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근 북한학계의 동학농민전쟁 연구동향과 특징

        배항섭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民族文化硏究 Vol.46 No.-

        1990년 이전 북한학계의 동학농민전쟁 이해에서 보이는 특징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이다. 첫째, 1860년-1919년까지를 부르주아민족운동로 시기구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시기의 가장 핵심적인 흐름을 갑신정변에서 갑오개혁으로 이어지는 부루주아개혁운동에 두고 있다. 동학농민전쟁은 부르주아개혁운동의 부차적인 흐름으로 이해되었다. 둘째, 농민전쟁과 동학사상의 관련성을 부정적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북학학계의 동학농민전쟁 연구는 큰 변화를 보인다. 그 핵심은 동학사상에 대한 상향 평가와 동학농민전쟁의 애국 애족적 성격에 대한 강조이다. 이와 같이 최근 북한학계가 동학을 높이 평가하는 배경으로 두 가지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하나는 김일성이 동학과 관련하여 남긴 유훈이 다. 또 하나는 1990년을 전후한 시기 북한이 맞은 국내외적인 위기를 지적할 수 있다. 동구권 사회주의가 붕괴되었고, 김일성이 사망하였으며(1994), 핵문제를 둘러싼 대외적 긴장감이 고조되어 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외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의 정치사회적 통합과 단결을 도모하려는 의도에서 동학과 농민전쟁의 애국애족성이 강조된 것으로 보인다.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Tong-hak peasants' war in North Korean academic world. Firstly, they consider the period from 1860s to 1919 as a bourgeois national movement. As a result, the key flow in this period is a bourgeois reform movement from Kapsin coup(1884) to Kabo Reform Movement(1894). Tong-hak peasants' war is regarded as a secondary flow. Secondly, they negatively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peasants' war and Tong-hak philosophy. However, the study of Tong-hak peasants' war in North Korean academic world showed a great change. The core is about positive evaluation and emphases on devotion to the country and people. As the backgrounds, there are two main reasons they speak highly of Tong-hak. One is the teachings about Tong-hak left by Il-sung Kim. The other one is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North Korea faced. The East European socialism was broken down, Il-sung Kim died and tension about Nuclear Weapon was highly raised. So, in this situation, it appears that Tong-hak and devotion of peasants' war to the country and people were emphasized as the intention of planning politically and socially integration and solidarity to overcome the cris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제1차 동학농민전쟁 시기 농민군의 진격로와 활동양상

        裵亢燮 한국동학학회 2002 동학연구 Vol.11 No.-

        이 글의 목적은 1894년 3월 20일 무장에서 기포한 다음 4월 27일 전주성을 점령할 때까지 농민군의 움직임을 면밀히 검토하고 각 지역에서 벌인 농민군의 활동내용을 구체적으로 해명하는 데 있다. 그 과정에서 백산대회 개최 일자, 초토사 앞으로 통문을 보낸 장소와 날짜, 농민군이 전열을 가다듬으며 계군호령을 내린 장소와 날짜 등에 대해서도 새롭게 밝힐 수 있었다. 이러한 작업은 농민전쟁의 전모를 재구성하고 그 성격을 규명하는 데 기초적인 전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Aricle examines the marching route of the Peasant Army and the pattern of their Local Activities during the First Tong'hak peasant War.

      • KCI등재

        동학에서 보이는 ‘전통’과 새로운 사유

        배항섭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70 No.-

        동학사상에는 이미 유교적 요소가 매우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또 동학의 포교과정에서 제2세 교주 최시형은 유교적 요소를 더욱 강조하는 태도를 보였다. 동학농민전쟁의 최고지도자 전봉준 역시 동학을 유교적 측면에서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농민군은 ‘현실’의 지배이념과 지배체제를 수용하거나 그것에 기초하여 인정의 회복을 열망하였다. 농민군은 기존 질서를 너머서려는 의지나 새로운 사상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물론 이러한 농민군의 인식은 지배이념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이었지만, 그렇다 하여 그들의 생각과 행동이 반드시 지배체제와 이념의 자장 안에 갇혀 있던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기존의 지배이념과 지배체제에 의거하여 형성된 정치문화를 바탕으로 치자들에 지배이념에 상응하는 정사, 곧 민본이념에 의거하여 인정을 베풀 것을 ‘목숨을 걸고’ 요구한 것이다. 그 결과 민중에 의해 지배질서에는 균열이 가기 시작했고, 민본과 인정 이념을 기반으로 하던 ‘현실’의 정치질서와는 다른 새로운 정치질서가 아래로부터 형성되어 가고 있었던 것이다. So many Confucian factors have already been contained in the Donghak thought. And the 2nd religious leader Choe Si Hyoung showed the attitude emphasizing the Confucian factor more in the missionary work process of Donghak. The top-ranking leader of Donghak Peasant War, Jeon Bong Joon also seemed to accept Donghak from the side of Confucian as well. The Peasant army accepted the ruling ideology and ruling system of ‘reality’, and desired the recovery of benevolent governance based on it. The Peasant army didn’t have the will passing over the existing order or the new thought. Of course, the consciousness of these Peasant armies has the close connection with the ruling ideology, and yet, their thought and behavior were not locked in the frame of ruling system and ideology without fail. They demand, at the risk of their life, to show the benevolent governance, based on the political culture formed by ruling ideology and ruling system. Consequently, the crack occured in the dominance order. And from the lower part of society, began to formthe new governmental system different with the governmental system of reality that had been based on the ‘minbon’ and benevolent governance

      • KCI등재

        19세기 동아시아 민중운동과 여성의 참여

        배항섭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in people’s movement during the 19th century, compared with that of Chinese and Japanese women. In Korea, there are few cases of women’s participation in people's movement. In the case of China and Japan, however, there are a lot more examples of women’s participation in the movement.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 and China and Japan were discussed in this article in relation to the ruling ideology and the development of commerce. The Neo-Confucianism was more influential in Joseon than China and Japan.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however, were mostly lower classes. Therefore, it is implausible to explain the absence of Korean women's participation in the people’s movement than Chinese and Japanese women in the perspectives of Neo-Confucian ideology and its male-dominant society. The development of commerce or the city is another important factor. In the western and Japanese people’s movements, where women have participated in, many of them arose in the urban area as food riots. Joseon, however, was the most repressed country in terms of commerce among three East Asian countries. Moreover, the state’s control on merchants was heavily imposed around the country. This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xplanation about the lack of women’s participation in people’s movement during the 19th Joseon era. 이 글은 19세기 한국의 민중운동에서 보이는 여성들의 참여 여부나 정도를 중국·일본의 그것과 비교사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한국에서는 19세기 민중운동에 여성들이 참여한 사례가 거의 확인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중국과 일본에서는 19세기 민중운동에 여성들이 참여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중국의 백련교도의 난이나 태평천국운동에서는 여성 지도자나 여성 부대의 활약이 적지 않았다. 또 해적이나 도적 집단에도 여성들이 지도자가 되는 사례가 보인다. 일본에서도 민중종교의 창시자 가운데는 여성들이 많았다. 잇키를 비롯한 민중운동에도 여성들의 집단적 참여가 적지 않았다. 여성들의 참여는 19세기에 들어 두드러졌으며, 식량폭동에 참여하는 사례가 가장 많았다. 이 글에서는 한국과 중국 및 일본 간의 차이점을 지배이념이나 상업의 발달 등과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조선에서는 주자학의 영향력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컸다. 그러나 민중운동에 참가한 여성들은 대부분이 엘리트층의 여성들이 아니라 평·천민 계층의 여성들이었다. 따라서 민중운동에 여성의 참여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취약한 이유를 주자성리학적 이데올로기나 그에 따른 남성중심의 사회질서만으로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 하나 고려해 봐야 할 점은 상업 혹은 도시의 발달 정도이다. 서양이나 일본에서 여성들이 민중운동에 집단적으로 참가한 사례는 대체로 도시지역의 식량폭동이었다. 그러나 조선은 한중일 가운데 압도적으로 상업이 억압되었던 나라였다. 상대적으로 구매력이 높았던 양반 사족들은 가급적 시장과 거리를 두고자 하였다. 이들은 도시가 아니라, 농촌으로 들어가서 자리를 잡고 世居하였다. 또 상인에 대한 국가의 통제력 역시 매우 강하였다. 이 역시 조선사회에서 식량 폭동이 잦지 않았던 이유 가운데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차이도 중국 일본과 달리 조선의 민중운동에서 여성들의 참여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점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동학농민군의 대외 인식 : 대일관·대청관을 중심으로

        배항섭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04 泰東古典硏究 Vol.20 No.-

        개항 이후 민중의 대일관과 대청관은 개항 이후 전개된 대일, 대청 관계 뿐만 아니라 임진왜란이나 병자호란과 관련하여 전승되어온 기억과도 관련이 있었다. l9세기 후반 대외적 위기의식에 매개되어 임진왜란을 비롯한 역사적 경험과 결합된 대일 적대감을 이미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적대감은 개항 이후 일본의 침략 행위가 이어지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특히 갑신정변 이후에는 일본과 연결된 개화당과 개화에 대한 적대감으로까지 연결되었다. 반면에 반청의식은 상대적으로 약화되었다. 이 점은 동학농민전쟁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동학농민군은 斥倭·斥洋을 주장하였지만, 청에 대한 반대구호는 제기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농민군은 청의 침략성적 의도를 의심하지 않았고, 그들을 일본을 물리치는 연합세력으로 이해하였다. 이는 일본의 침략행위와 반일의식의 강화에 따른 반사효과라는 측면이 강하였다, 거란 임오군란 이후 청의 대조선정책과 그에 기반한 정치적 경제적 횡포와 침탈 등으로 미루어 볼 때 농민군의 대외인식이 불구적이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의 전개과정에서 조선민중들은 청나라와 일본 군대의 행동양태 등을 통해 청과 일본을 구체적으로 직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민중들은 화이론적 세계관의 연장선에 있는 사대주의적 친청의식과 문화적 우월주의에 입각한 대일 적대감의 구각을 탈피해가가기 시작했다. From the beginnings of Korea's opening to the West, Korean people's view of Japan and that of Qing(淸) had been influenced by the relations with these two big powers at that time, and by the inherited memories about Japanese invasion of 1592 and Manchurian invasion of 1636. On the point of later nineteen century, when Korean people felt they were trespassed by neighboring powers, their anxiety soon shifted to hostility to Japanese due to their historical experience of Japanese invasion of 1592. This hostility to Japanese had been intensified by the Japan's continual invasive actions, and the Coup d'e-tat of 1884 by Progressive Party supported by Japan made this feeling firm, and it soon moved to the hostility to the Progressive Party and enlightenment itself. On the other hand, anti-Manchurian feelings were not comparatively hostile. Donghak Peasant Uprising is a good example. Donghak Peasant Army raised its voice up against the Japanese and westerners, but it was not so opposed to Qing. And the more, Peasant Army never suspected Manchurians' invasive intention, and even looked up them as an allied power to restrain Japanese power. Japanese invasive action and much more fixed anti-Japanese feelings had made Peasant Army prefer Manchurian force to Japanese one. But as a matter of fact, Manchurian force was only another threatening factor to Korea, and not less than Japanese one. This misjudgment showed that Peasant Army's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ituation was prejudiced and distorted. But in the process of Donghak Peasant Uprising and Sino-Japanese war(1894), Korean people themselves had gone through hardships caused by two forces' military actions in the flesh. and this experience made Korean people break from the conventional attitudes, toadish pro-Manchurian mentalities based on sino-centralism and deep-rooted anti-Japanese feelings based on cultural chauvi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