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웨이블렛 디노이정 필터를 이용한 실내 이동로봇의 방위오차 개선연구

        배진형(Jin Hyung Bae),홍성경(Sung Kyung Hong)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8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4 No.9

        To achieve the challenges of low-cost MEMS gyros for the precise self-localization of mobile robots, this paper examines an effective method of minimizing the drift on the heading angle that relies solely on integration of rate signals from a gyro. The main idea of the proposed approach is to use wavelet de-noising filter in order to reduce random noise which affects short-term performances.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Epson XV3500 gyro and the performances are verified by the comparisons with an existing commercial gyro module of vacuum cleaning robots.

      • KCI등재

        여성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한 사회복지실습의 어려움과 지원방안

        배진형(Jin-Hyung Bae),박미현(Mee-Hyu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

        최근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 사회복지전공생의 증가와 더불어 필수과목인 사회복지실습에서의 경험탐색을 통한 적절한 실습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들이 사회복지실습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인 실습교육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실습을 마친 G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생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개별면접을 실시하고, 질적 연구방법인 근거이론의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한 개방코딩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이 경험하는 사회복지실습에서의 어려움은 49개의 개념, 18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로 최종 분석되었다. 범주는 다양한 장애요인으로 인한 실습 진입의 어려움, 북한과의 차이로 인한 혼란, 기대와 다른 과업과 역할 수행, 부담되는 인간관계, 복지적 전문역량 부족감, 불가피한 환경적 어려움, 그리고 개인적 고충상황이었다. 이를 근거로 이들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실습교육을 위한 지원방안을 학교, 실습기관, 실습생과 사회의 측면에서 제언하였다.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North Korean defectors. Many of them enter universities and major in social welfare in order to get jobs. As a required course, they must participate in field practicum and many difficulties are expecte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orth Korean defectors’ practicum experience in specific, and to support more effectively in the field work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who go to G cyber university and have finished their field practicums, were interviewed in an in-depth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open coding through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as Grounded theory’s initial analysis. As the result, the following was found: 49 concepts, 18 sub-categories, and 7 categories. The categories includ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reparation for and beginning with various obstacles; confusion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orth Korean and South Korean culture; tasks and functions that were not expected, personal relationships which were burdensome to them; feeling a lack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evitable environmental circumstances, and 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better support in field practice education in the side of universities, community agencies, individual students and the general society were addressed.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자아 인식과 기능적 활용에 대한 탐색 연구 : 멈추어 생각해 보기

        배진형 ( Bae Jin Hyu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7 No.2

        다양한 도전들 속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사회복지사들, 그들에게 멈추어 서서 자신의 자아를 되돌아보는 성찰의 시간이 필요하다. 특별히 사회복지사의 자아가 실무에서 기능적으로 잘 활용되고 있는지 성찰하는 것은 동기 부여된 실천과 소진 예방을 위해 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회복지 영역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이 사회복지사로서 지금까지 일 해 온 과정을 포괄적으로 성찰하며 발견한 다양한 자아의 측면들을 어떻게 실무 상황에서 기능적으로 활용해 왔는지에 대한 경험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경력 10년 이상 된 여러 분야의 사회복지사 8명을 의도적 표본추출을 통해 모집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질적 분석되었고, 그 결과, 47개의 개념과 15개의 하위범주,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들은 첫째, ‘나는 나임을 인식함’, ‘나만의 독특한 경험을 확장함’, ‘신앙인으로서의 나를 조명함’, ‘밀도 있는 전문성을 발휘함’, ‘꾸준한 고민과 점검을 이어나감’, ‘선택과 구분을 통한 자기관리 방법을 적용함’, 그리고 ‘성숙한 상생을 위해 덜어주고 보태어 감’ 이었다. 이를 토대로 ‘타고난 본성과 경험을 디딤돌 삼고 신앙과 전문성을 활용해 가되 안주하지 않는 성찰과 구분된 자기관리를 통해 뜻을 향해 주변과 더불어 성장해 감’을 전체 주제로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사회복지 교육과정 차원에서 사회복지사의 자기인식, 자아의 기능적 활용과 자기 관리, 셀프케어 등 과목 개설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선배 사회복지사들이 경험을 통해 효과적이라고 입증한 기능적 자아활용의 모델 사례들을 본 연구에서 도출된 범주별로 공유하는 실질적 기회의 확대,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신앙을 업무 상황들에 어떻게 기능적으로 반영하는지에 대한 심도 깊은 탐색, 자신만의 개성과 고유한 특성을 독특한 방식으로 홍보하고 공유함으로써 발생되는 효과에 대한 연구 및 예비사회복지사들의 차별화된 자아 발견 및 구체화된 공유 필요성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social workers recognize their self and use their self in functional ways. This study utilized in-depth interviews and subject analysi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Eight experienced social workers from various practice fields were recrui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ubject analysis method through coding process. As a result, 47 concepts, 15 sub categories and 7 categories were found: ‘realizing themselves’, ‘expanding their unique experiences', 'recognizing both one’s religious and professional self', ‘using their professional perspective and skills richly’, ‘consistent self-reflection’, ‘trying to keep a healthy self with selection and separation’, and ‘sharing and contributing to mature cooperation’. The subject drawn from the analysis is ’Purposive co-growth through on the basis of in-nature personality and experience, utilization of religion and professional competence, and incessant reflection and distinguished self car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establishment of academic courses on self reflection, the opportunities to share each category presented in the study, functional self use and self care, addressing the necessity to explore on social workers’ self use through connecting religious self, and expressing their self effectively with their distinct strengths.

      • KCI등재후보

        사례관리 멘토링에 참여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멘토의 전문역량 증진에 대한 연구

        배진형 ( Bae Jin Hyung ),안정선 ( Ahn Jeong Su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9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지역 내 저소득층 사례관리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멘토들이 수행한 전문역량 증진 경험과 그 결과는 어떠하였는지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사전사후검증과 사후 목표성취도 설문분석의 양적분석 방법과, 실질적인 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통한 질적자료 분석을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멘토 사전사후 설문분석에서 체계개입 기술역량과 사례관리역량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목표성취도가 5점 만점에 평균 4.42점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는데, 멘티를 이해하는 능력, 사회복지실천역량의 향상이 가장 두드러졌다. 멘티와의 긍정적인 관계성 확립, 사례관리역량 향상 등 멘토개별목표성취도도 4.45점의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포커스그룹인터뷰 내용을 근거이론방법론에서의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한 개방코딩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42개의 개념, 17개의 하위범주 및 7개의 상위범주로 정리되었다. 상위범주로는 ‘최선을 다해 멘티를 이해하고자 먼저 노력함’, ‘멘티에게 의미 있는 지지체계가 되어 줌’, ‘인내와 철저한 사전 준비 필요성을 깨닫고 적용함’, ‘구체적인 실천기술 증진을 자각함’, ‘다각적 전문 역량이 개발됨’, ‘다체계적 슈퍼비전을 적절히 활용함’ 그리고 ‘멘티 및 모든 체계들과의 상생적 팀워크가 증진됨’으로 나타났다. 이로서 양적 평가 결과에서의 체계개입기술 및 사례관리역량 증진, 멘토 전체 및 개별 목표성취도 평가 결과를 질적 평가 분석에서도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멘토의 전문역량 증진을 위한 멘토링 관리 체계 및 관련 연구 촉진, 사례관리 각 단계별 멘토 역량 구체화 논의, 사례관리 멘토링 모형 개발과 보급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tudent mentors majoring in social welfare developed their professional competencies through a community mentoring program for low-income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study utilized quantitative methods including the pre-post tests and the survey for examining the level of goal achievement. To collect qualitative data, the study implemented a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ult, intervention skills and case management skills of mento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general level of goal achievement scored high as 4.42 out of 5 with remarkable improvements in their practical competency and ability to understand mentees. Also, the level of individual goal achievement in areas of fostering a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mentees and case management competency attained 4.45 points. In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open coding with constant comparison, 42 concepts, 17 sub-categories and the following 7 categories were found: ‘Trying one’s best to understand mentees,’ ‘becoming a meaningful support system for mentees,’ ‘recognizing and practicing patience and the necessity of preparation,’ ‘realizing their growth in utilizing practical skills,’ ‘developing multiple competences as semi-case manager’, ‘properly utilizing systematic supervision’ and ‘developing symbiotic teamwork with all program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including developing mentoring modules were proposed.

      • KCI등재

        사회복지실습에서 경험하는 실습생의 어려움과 대처

        배진형(Jin-Hyung Bae),김희수(Hee-Soo Kim),안정선(Jeong-Sun Ah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8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실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실습생들의 어려움과 어려움에 대한 대처의 실제적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다. 실습을 마치고 실습수업을 수강하는 10명의 학생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의 지속적 비교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실습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실습 환경에서의 구조적 도전, 업무나 역할 자체에서 오는 부담감, 조화롭지 못한 인간관계, 전문지식 및 기술의 부족, 관점의 상충, 소진과 진로 고민으로 인한 개인적인 버거움으로 분석되었다. 대처는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 주변으로부터 도움을 받음, 어려움을 회피함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 실습교육 및 지도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fficulties and the coping strategies that social work students experienced in their field practicum.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0 students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ison in open coding to classify into main and sub categories. As a result, difficulties were found as the following 6 categories; structural challenges from the environment of field practicum, pressure from work/roles, unbalanced human relationship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skills, conflict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personal stress from burn-out/worries about future career. Coping strategies were found as the following 3 categories; solving problems through confrontation, seeking help from other people, and avoiding difficulties.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field education system and supervision were presented.

      • 중견 사회복지사 자신의 직업적 가치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배진형 ( Jin-hyung Bae ) 한국기독교사회복지실천학회(구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21 기독교 사회복지 Vol.3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자아에 대한 성찰 필요성을 기반으로, 실천을 하는 데 있어 사회복지사 자신이 가지고 적용해 온 직업적 가치관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최소 경력 10년 이상인 8명의 중견 사회복지사들을 의도적 표본추출방법으로 모집하여 개별 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분석방법인 귀납적 주제분석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33개의 개념과 10개의 하위범주 및 3개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첫째 범주는‘ 나를 구성하는 근본적 자질을 인식하고 활용하기’였다.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 나를 이끄는 선한 본성을 따라가기’,‘ 내가 속한 터전을 지켜가기’, 그리고 ‘신앙적인 확신과 비전을 다져가기’였다. 두 번째 범주는 ‘인생과 현장에서 길러진 실무자 관점을 체화해 가기’ 이다.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 실천에 적용할 기본자세를 확인하기’,‘ 자신과 상대방을 깊이 들여다보기’,‘ 대상을 중심에 두고 일하기’ 그리고‘ 성장을 위한 시간을 투자하기’였다. 세 번째 범주로는‘ 관점의 한계를 벗고 내딛어가기’이다. 이에 대한 하위범주는‘ 철저히 상대방의 입장이 되어보기’,‘ 내 행동의 일부를 과감히 조정하기’, 그리고‘ 고정된 시선을 자각하고 완전히 변화하기’였다. 이러한 범주화를 토대로 도출된 주제는‘ 타고난 성향과 신앙을 바탕으로 삶과 실천현장에서 다져온 내공을 디딤돌삼아, 여전히 선한 탈바꿈을 위한 면밀한 도전의 발걸음을 멈추지 않기’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내 체계적인 직업가치관 고찰 교육, 기독교사회복지사들이 신앙과 직무를 조화하는 구체적인 사례들에 대한 탐색과 적용, 인터넷 공간을 통해 일반인과 함께하는 복지인식 증진을 위한 관점변화, 강점과 더불어 선입견과 편견에 대한 지속적 성찰과 도전 필요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ortant work values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hich stems from the need for self-reflection among social workers. To achieve this purpose, 8 experienced leading social workers who have worked at least over 10 years were recruited. For data collection, in-depth interview for each was held. Data were analyzed with subject analysis method through coding process. As a result, 33 concepts, 10 sub-categories, and 3 main categories were found. The first category‘ Recognizing and utilizing one’s original talent,’ which includes the following subcategories:‘ following the guidance of good nature’,‘ preserving one’s family and livelihood soundly’, and‘ strengthening the one’s confidence and vision in faith.’ The second category‘ Embodying the practical perspective resulting from work and life experience’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sub-categories:‘ reevaluating one’s basic attitude to apply in practice’,‘ deeply observing the self and the other’,‘ working with a client-centered mode’ and‘ investing time for growth.’ The third category‘ Taking a step further beyond the limits of one’s perspective’ is comprised of the following subcategories:‘ fully putting oneself in another’s shoes’,‘ adjusting one’s behavi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without hesitation’, and ‘completely changing oneself upon realizing one’s past narrow view.’ The main theme found in the result was‘ Never giving up to tackle the challenges for better change, based on one’s natural characteristic, faith and perseverance from life and career as social workers.’ Accordingly, the necessity for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systemic review of vocational values in educational curriculum, search and application of real case studies on how Christian social workers balance their faith and work, promotion for a general perspective to nurture the welfare of society in more advanced ways via internet, opening the chances for realization of one’s unconscious bias as a professional. Further study exploring vocational values with young social workers or college majors in social work is also recommended.

      • KCI등재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사회복지 역량모델 개발

        김성경(Kim Sung Kyung),김희수(Kim Hee Soo),원영희(Won Young Hee),최선희(Choi Seon Hee),안정선(Ahn Jeong Sun),배진형(Bae Jin Hyung),김성호(Kim Seong Ho)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3 No.-

        본 논문은 한국 K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교육 및 실천현장에서 요구하는 사회복지 역량을 도출하고 사회복지 역량모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FGI 방법, 일반모델 덧씌우기 역량모델 개발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7대 사회복지 역량(‘전문직 가치와 윤리의 실천’, ‘다양성과 차이에 대한 이해와 실천’, ‘사회구조에 대한 이해와 실천’, ‘정책에 대한 이해와 실천’, ‘사회복지 조직 이해와 행정 실무’, ‘개인․가족․집단․지역사회에 대한 이해와 실천‘, ’조사연구‘)과 24개 하위역량, 48개 세부역량, 132개 학습목표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학과 역량 기반 교육과정의 방향과 사회복지교육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social work competency and social work competency model to seek their implications for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comprehensive review on related literatures was conducted in each section of social work competency and competency model.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by applying the Generic Model Overlay Method proposed by Dubois(1993) and using focus group interview. The result showed social work competency model which consisted of 7 competencies, 24 sub-competencies, 48 indicators, and 132 performance outcomes. In particular, the most significant output of this study is developing the form of social work competency model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education to develop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학전공 유학생의 현장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H 대학교 중국인 유학생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배진형,안정선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 교육현장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의 어려움과 관련한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이들의 차별화 혹은 공통된 욕구들을 밝혀내고, 이에 대한 현장실습지도 및 교육적 차원의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국유학생인 5명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녹취된 자료는 근거이론의 초기 단계인 지속적 분석 방법을 활용한 개방코딩을 통해 48개의 개념, 20개의 하위범주 및 7개의 범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중국유학생들이 실습을 통하여 경험한 다양한 어려움들은 첫째, 불확실하고 비자발적인 실습의 시작 둘째, 낯선 실습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도전, 셋째, 한정된 개인역량에서 오는 부족감, 넷째, 다양한 실습지 관계 상황에서의 갈등, 다섯째, 미흡한 과업수행 역량으로 인한 위축감, 여섯째, 실습을 통해 더욱 확인되는 차이점들에의 직면, 마지막으로 실습을 종결하며 느끼는 미완성감 이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습지도 체계 마련, 보다 철저한 욕구파악을 통한 사전교육 실시, 현장과 실습지도자들의 다문화 역량 강화, 학교 실습지도교수와 현장과의 소통체계 강화 등의 대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inese students' fieldwork experience in the welfare agencies during their field work practicum,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difficulties. Through this study, this specific students' differentiated educational needs would be found and also be a basic data for more appropriate field work education. As for the data collection, 5 available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or graduate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the script was analyzed by constant comparison method in grounded theory's open coding to categorize as the qualitative analysis. As the result, Chinese students' difficulties areas were starting with uncertainty and unmotivated feeling, challenges that they had to adjust on new environment, limits from not enough individual competence, adjusting on relational tasks that were not familiar, shrinking due to insufficient task competence, facing with differences through the field work practicum, and feeling uncompleted while the practicum was finishing. Through the result, suggestions for more suited field work education by the school and the agency were described.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학생의 사회복지현장실습에서의 대처경험

        김소희,배진형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1

        북한이탈주민으로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사이버대학생들은 지역사회복지기관 등에서 실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북한문화 및 교육체계의 차이와 언어소통, 직장병행, 건강상의 어려움, 사회적 편견 등이 더해져 일반학생들과는 다른 어려움들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사이버대생들이 실습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는지 대처경험의 본질을 파악하여 지역사회실습기관과 학교에서의 더욱 체계화된 실습지도에 반영코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실습을 수행한 북한이탈주민 G 사이버대학생 중 의도적 표본추출방법을 통해 선정된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녹취된 원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방법에 의거한 개방코딩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이 실습 상황에서 당면한 다양한 도전들에 대처하는 방식으로 41개의 개념, 15개의 하위범주를 통한 5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발견된 각 범주는 첫째, 자신을 드러내지 못함, 둘째, 한정된 자원을 최대한 동원하려 애씀, 셋째, 주어진 상황과 타협하며 노력해 나감, 넷째, 생소한 상황에 적응하고 업무를 배우고자 적극적으로 나섬, 마지막으로 새로운 관계 맺음을 소중히 하고 발전시킴이었다. Increasing numbers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 universities, major in social welfare and participate in field practicum that is the requirement course. During the time of the field practicum, they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resulting from cultural/educational differences, language, balancing with their work, health problem and social prejudice. Their coping styles toward those difficulties are influential factors that could effect on their educational outcome.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cope with many different situations that they faced in their field practicum. The result would help on development of effective field education in both sides of universities and community agencies. 6 north Korean female defector students were recrui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and data were gathered by in-depth interviews. Data were analyzed open coding by constant comparison as the intial analysis method in grounded theory. 41 concepts, 15 sub-categories and 5 categories came out. The coping styles they used were problem-centered and social support style more, than emotional or avoidant style, and that means moving gradually from negative coping toward positive coping. As the result, the categories were 1)not expressing themselves, 2)trying to utilize limited resources that they have, 3)making efforts to negotiating the given situations, 4)adjusting and learning actively, 5)valuing and developing new relationships established in the practicum. Based on the result, more systematic support from the sides of the field work agencies and schools to develop their positive coping style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