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1930~40년대 부산화단의 성립연구-일제의 동화정책과 부산 화단의 대응을 중심으로-

        배진영 ( Jin Yeong Bae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4 항도부산 Vol.30 No.-

        전시체제기의 부산미술에 대한 연구는 주로 서양화의 도입과 정착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그 선구적 역할을 한 것은 부산의 판화가이자 미술사가인 이용길이었다. 이후 옥영식과 강선학, 김철효 등이 부산미술사를 정리했으며 학위논문으로 이진철과 이동우 등의 연구가 있다. 이상의 연구들에서는 해당 시기의 중앙화단의 움직임과 분리됨은 물론 당시의 역사적 상황을 제대로 담지 못하고 서술되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또한 미술을 비롯한 한 시대의 문화는 그 당시의 역사적 경험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그 시대의 미술을 파악하는 것 역시 역사적 관점과 연결해야 함에도 기왕의 연구에서는 이 부분에서 큰 취약점을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은 상기의 문제점을 염두에 두고 일제 강점기, 특히 부산 지역에서 ‘근대 미술’이 본격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싹을 틔우기 시작했던 1930년대 ~ 1940년대, 즉 전시체제기를 ‘역사적 관점’에 바탕을 두고 살펴보고자 했다. 이 때 연구의 대상은 조선미술전람회(이하 조선미전으로 줄임.) 입선 작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해당 시기의 작품들이 일제의 동원정책에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 결과, 처음에 연구 과제로 제시했던 문제에 다음과 같은 답을 내렸다. 우선 중앙화단의 모더니즘적인 흐름에 비해, 부산지역의 화단은 독자적인 향토적이고 조선적인 방향을 추구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였다. 또한 부산의 화단은 당시 일제와의 관계 속에서 때로는 그들의 내선일체 정책이나 황국신민화 정책 등의 동화정책의 영향을 받아, 일부는 그에 조응하여 추종하기도 했지만, 동시에 일부는 그와 다른 방향을 추구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전자의 예로서 이 글에서는 임응구의 작품을, 후자의 그것으로는 양달석과 서진달의 예로 들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서 당시 일제의 동화정책이 단일한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이에 대한 부산화단의 대응 역시 획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구체적으로 진술 하였다. 이 연구는 선배 연구자들이 시도했던 부산 미술사 연구를 역사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부산 지역의 역사를 풍부화하려는 시도의 출발점에서 쓰인 바이다. 그렇기에 그 내용과 사료에 있어 좀 더 많은 보충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이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바라는 바의 성과를 거둔다면, 단순히 지역사의 확충이 아니라 한국사 전체의 귀중한 자산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 한다. The organization of Busan artist group in 1930`s-1940`s. The focus is on Japanese attempts at assimilation and countermeasures of the Busan artist group. The study of Busan arts in the period of the war, where a system is processed which is focused on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western painting. The pioneer of Busan art history is Lee Yong-gil who was a printer and art historian. After, the history of Busan art is studied by Ok Young-sik, Kang Sun-hak and Kim Chul-hyo. Others include Lee Jin-chul and Lee Dong-woo who wrote down the study of Busan art history. The above studies are separated and described as follows. It is between the Central Artist group movement and the Busan Artist group movement. It is impossible to describe the historical situation in those days. The contemporary arts is reflect historical experience at that time. Hence, we need an historical view to understand the above contemporary arts. But previous studies have weak points regarding this point. So, I think of the weak points in the previous study. The Modern arts in Busan area of Japanese colonial era were started. At that time between the1930`s and 1940`s. I studied the Busan arts in their historical view. I have focused on the study of the winning artists in the Joseon Art Exhibition. Through this paper, I tried to study the countermeasure of works of that time about Japanese Mobilization Policy. After a while, I found this answer. Above all, I specified and described that the Central artist group had Modernism stream, but the Busan artist group had local color and Joseon color. At that time, the Busan artist group has relationships with Japan policy. And, they have influenced by the Nae-son-il-che and the subject of the Emperor of Japan`s consciousness. After reading, one part followed Japanese policy and the other part followed a different way. According to this study, one part is the works of Yim Eung-gu and the other part is the works of Yang Dal-seok and Seo Jin-Dal. And, through this study, I described not only the assimilation of Japan in various channels but also the countermeasures of the Busan artist group. I think that this paper is revisited by the study of Busan art history in an historical view. I wrote this paper because my target was to extend the history of Busan religion. So, I need to study more and look at further historical records. But if I accomplish the target, I assure you that not only will it extend Busan history but also valuable, wider Korean history.

      • KCI등재

        연소왕의 정책과 거연의 성립

        배진영 ( Bae Jin Yeong ) 중국사학회 2003 中國史硏究 Vol.25 No.-

        本編論文硏究關干戰國中期以後成了`巨燕`的成立與燕昭土之政策的關係,巨燕的成立過程有一定聯係和燕昭王之政策. 第一,燕昭王卽聘賢者而施行了變法,因位變法遂行,燕國克服了當時之政治混亂而達成了富國强兵與政治安靜. 近成功的變法遂行.爲了完遂昭王之最大政治目標`伐濟`,燕昭王使??泰做反間工作,到了孤立齊,而??通過濟西大戰之勝利,結果燕昭王達成了伐齊. 第二,爲了以上變法遂行與伐齊,燕昭王擴建了燕下部.因此燕下部成爲爲了伐齊之軍事基地和劃期的變法遂行之施行場所.如此同時,成爲了昭王時期政治經濟文化的中心地. 第三,以上由干完遂昭王之最大政治目的伐齊,昭王擴大了燕國之南界,和以變法遂行獲得了富國强兵與軍事的自信感,終干敢行了北伐,當時燕國和東胡與朝鮮形式成了用人質某種政治關係而用活潑交易經濟關係之共生關係,北伐敢行以後,燕國設置了五郡在東胡與朝鮮地域. 第四,通過北伐敢行與五郡設置,燕國擴大了北??領域,所以燕下部在永定河以南燕國不堪富了北??領域,因此爲了官轄擴大地域,燕國遷部斷行了今北京地域之 域,從而燕國政治中心擴大了向北??. 以上通過在昭王時期實施的政策與 過程,燕國形式了`巨燕`,所以巨燕形式的時期是進行五部的設置和到永定河以北 域遼部的戰國中晩期以後. 就是說.在昭王時期成爲了燕國史上俱有最大領域和最大力量之巨燕.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약물중단 경험에 관한 연구

        배진영 ( Bae Jin Yeong ),이용표 ( Lee Yong Pyo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20 사회복지연구 Vol.51 No.1

        본 연구는 ‘왜 정신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무기한으로 정신약물을 복용해야 하는가?’, ‘정신약물의 복용을 중단한다면 당사자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그리고 ‘정신약물을 중단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와 같이 기존의 전문가 연구에서 합리적으로 답하지 못하고 있는 질문들에 답하고, 정신약물을 강제하는 정신건강복지영역의 관행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정신장애인의 약물 중단과 관련한 생생한 삶의 현장을 살펴보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참여자들에 대한 심층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지속적 비교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정신적 고통과 장애로 인해 정신과적 진단(F코드)을 부여받은 경험이 있으며 정신약물을 6개월 이상 복용한 경험이 있고 2년 이상 중단한 경험이 있는 정신장애 당사자 6명이었다. 분석 결과, 정신장애인의 약물중단 경험은 첫째, 혼돈의 출현: 잠식되는 현실, 둘째, 약물로 눌러진 혼돈: 현실로부터의 분리, 셋째, 혼돈과 현실에의 직면: 선명해지는 현실이라는 목적지, 넷째, 혼돈과 현실의 경계 긋기: 현실을 향한 여정으로 총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의 이론적 함의는 정신장애인이 무기한으로 정신약물을 복용할 필요가 없음을 시사 할뿐만 아니라, 단지 재발로만 예기되어 왔던 약물 중단 이후의 당사자 경험이 오히려 이전보다 만족스러울 수 있는 과정적 요소들을 드러내 보여준 것이다. 첫째, 비약물치료와 실천에 대한 타당성과 윤리성의 근거를 제공한다. 둘째, 현재 정신건강복지분야의 병식 개념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제공한다. 셋째, 약물을 복용하도록 하는 제도적 약물 강제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넷째, 커뮤니티케어 전략으로 시범사업단계에 있는 병원형 사례관리와 낮병원 확대는 재고되어야 한다. 다섯째, 지역사회 지지체계의 형성을 동반하는 비약물치료가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정신건강체계로 하여금 정신장애인의 진정한 치료에 대해 다시 본질적으로 고민해볼 것을 권고하며, 약물 중점적인 실천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지지체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비약물적인 실천으로 가는 방향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swer questions such as ‘Why should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ake psychiatric medication indefinitely?’, ‘What happens if they discontinue taking psychiatric medication?’ and ‘What should they do if they want to discontinue medication?’, which the existed studies haven’t answered reasonably, and to raise a question the practices of mental health welfare that forces them to take psychiatric medications. To look into the real-life related to medication discontinuation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nd analyzed throug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6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mong those who had been given psychiatric diagnosis due to mental distress and disabilities, and who had been taking psychiatric medications for more than 6 months and discontinued for more than 2 yea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xperience of medication discontinuation was derived with 4 themes: first, emergence of chaos: encroachment on reality, second, chaos suppressed by medication: separation from reality, third, facing to chaos and reality: reality as distinct destination, fourth, drawing boundary between chaos and reality: journey to reality.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not only it implies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do not need to take psychiatric medication indefinitely, but also it reveals processual factors in which the experience after medication discontinuation, which was only expected to relapse, may be more satisfactory than before. First, it provides a basis for the validity and ethics of non-medication treatment and practices. Second, it provides a necessity to review the current concept of insight in the mental health field. Third, it questions the legitimacy of institutional medication coercion forcing them to take medication. Fourth, hospital-type case management project and expansion of day hospital, which are in the pilot phase as strategies for community care, should be reconsidered. Fifth, it shows that non-medication treatment with the formation of a supportive social network in the community should be performed.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mental health systems reconsider the essential treatment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intrinsically, and suggests a direction away from medication-focused practice to non-medication practice centered on the supportive social network in the community.

      • KCI등재

        권리기반의 대안적 지역사회서비스로서 소테리아하우스(Soteria House)의 한국적 함의: 정신장애인 위기지원기능을 중심으로

        배진영(Bae, Jin yeong),송승연(Song, Seung Yeon)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1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4 No.54

        정신장애 당사자에게 있어 권리가 침해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는 위기상황에 도래하였을 때이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의 의사결정을 최대한 지원 및 존중하고 지역사회 중심의 인권기반의 접근을 담보하는 위기지원과정이 중요하게 고민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강압적, 비인권적인 개입을 금지하여 당사자의 인권을 보장하고, 지역사회에서도 효과적으로 정신장애인의 위기를 안정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대안적인 권리기반 서비스인 ‘소테리아 하우스(Soteria House)’에 주목한다. 이에 캘리포니아와 베른의 소테리아 하우스 모델을 검토 및 비교분석하고 한국에의 함의를 도출한다. 비교분석은 두 모델 간 서비스의 대상, 이론적 접근, 직원의 전문성, 핵심원칙의 의미, 약물의 사용, 급성기 지원방식, 사회복귀지원, 구조화의 정도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소테리아 모델이 한국의 위기지원서비스에 주는 함의는 첫째, 현재의 권리침해적이고 당사자에게 또 다른 트라우마를 주는 치료환경 변화에 잠재력을 제공한다. 둘째, 비전문가 인력 활용가능성으로 인해 평등한 문화 구축, 예산가용성 측면에서 높은 실천가능성을 제공한다. 셋째, 당사자가 위기 이후에도 지역사회 삶을 지속할 수 있도록 위기지원서비스의 지역사회 통합성과 치료 연속성을 담보한다. 넷째, 위기상황에서 정신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다섯째,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임상적 효과를 동시에 추구하는 건축적 환경의 변화를 도모한다. 여섯째, 정신장애인의 격리 및 강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The time when the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distress are most likely to be violated is when they arrive in a crisis situation. Therefore, the crisis service that sipports and respects theit decision-making as much as possible, and guarantees a huan rights-based approach centered on the community must be considered. In this context, the study focuses on alternative rights-based service,‘Soteria House’, which guarantees the human rights of persons concerned by prohibiting coercive and inhumane intervention, and shows that it can effectively stabilize the crisis of the persons with mental distress. So this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Soteria House of California and Bern each, and draws some implications for Korea. It compared each model on the respect of service user, theoretical approach, specialty of staff, meaning of core principle, use of medical treatment, support for crisis, support for social inclusion, and structure. Based on this, the implications of the Soteria model for crisis services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y provide the potential to change the treatment setting which violates the human rights of the patients and gives them another trauma. Second, they provide high practicality in terms of building an equal culture and budget availability with the use of non-professional staff. Third, they ensure social inclusion and treatment continuity of crisis service to maintain their life in the community even after a crisis. Fourth, they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to ensure their self-determination in a crisis. Fifth, they promote the change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which protect human rights of people in crisis and aim at clinical effectiveness at once. Sixth, they suggest alternatives to quarantine and compulsion toward the people in psychiatric crisis.

      • KCI등재

        대안 정신보건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신장애인 취업활동 증진을 위한 비약물 접근을 중심으로

        이용표(Lee, Yong-pyo),배진영(Bae, Jin-yeong) 한국직업재활학회 2020 職業再活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정신약물이 실제 정신장애인의 취업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가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많은 선행연구들은 장기적인 정신약물 사용이 신체적 고통은 물론 두뇌손상에 의한 새로운 정신장애를 발생시킨다는 위험성을 보고하고 있으며, 이러한 위험성은 약물의 효능을 능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 사용의 억제가 요구됨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비약물 혹은 약물 최소화를 기반으로 하는 대안 정신보건프로그램들을 탐색하여 정신장애인들이 취업활동에서 장기적으로 정신약물의 변화에 의한 위험이나 일상적 위기상황을 탈피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핀란드 오픈 다이얼로그, 스위스 소테리아 베른 그리고 일본 베델의 집 프로그램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안프로그램들의 공통점은 ‘전문가 약물처방 – 가족 돌봄’ 지지체계를 ‘동료를 포함한 집단돌봄’의 대안적 지지체계로 대체하고 있는 것으로 수렴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직업재활시설에서 대안 정신보건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사회에서 가족에게 집중된 소수 돌봄체계를 해체하고 다수 돌봄의 구조를 형성하여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에서 동료와 이웃을 포함하는 다수 돌봄 혹은 지지체계는 의도적으로 조직되고 관리되어야 한다. 셋째, 돌봄 혹은 지지집단 구성은 당사자의 안전감에 기반 하여야 한다. 넷째, 새로운 돌봄체계에서 정신약물에 대한 자기결정은 장려되어야 한다. 다섯째, 집단적 돌봄이나 지지의 장소는 당사자의 집이나 시설 공간 등이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으며 당사자의 선택이 존중되어야 한다. 여섯째, 당사자가 위기상황에 빠진 경우 집단은 즉각적으로 소집되고 생활상의 어려움이나 자신의 증상에 대해서 말하도록 장려되어야 한다. 일곱째, 집단과정을 통하여 미리 위기상황에서의 자기결정을 문서화하는 사전정신의료의향서를 활용한다.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he question of whether psychiatric drugs can enhance vocational activitie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Man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long-term use of psychiatric drugs has not only physical risks but also the risks of developing other mental disabilities due to brain damage, warning the long term use of drugs because it can outweigh the efficacy of the drug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lternative mental health programs based on non-drug or minimized-drug practice and to seek ways to prevent the risks from long-term use of psychiatric drugs or daily crisis in vocational activities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we analyzed Open Dialogue of Finland, Soteria Bern of Switzerland, and Bethel House of Japan. As a result, the commonality of the alternative programs was converged to be replacing the “prescription by an expert – family care” support system with an alternative support system of “collective care including pe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seven ways to adapt alternative mental health programs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irst, the care system by a few families should be disorganized and the structure for care by multiple persons should be formed in the community. Second, the care and support system with multiple persons, including peers and neighbors, must be intentionally organized and managed in the community. Third, the composition of care and support groups should be based on the feeling of security of the person concerned. Fourth, the self-determination of psychiatric drugs should be encouraged in the new care system. Fifth, the place of collective care and support can be freely selected and the choice of the person concerned must be respected. Sixth, if the person concerned is in a crisis, the group should be collected immediately and the person concerned should be encouraged to talk about his/her difficulties in life or his/her symptoms in a crisis in the group meeting. Seventh, using an advanced mental health care directive that describes self-determination about crisis situations through the collective process can make the person concerned feel a sense of security.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에 관한 연구

        송승연(Song Seung Yeon),배진영(Bae Jin Yeong),윤삼호(Yoon Sam ho) 한국장애학회 2018 한국장애학 Vol.3 No.1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차별을 드러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당사자 관점을 중시하는 참여행동 연구방법을 시도하였고, 15명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당사자운동 경력이 풍부한 정신장애 당사자들이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상생활 차별경험은 ‘강제적 정신의학 영역에서의 차별’, ‘가족 안에서의 차별’, ‘연애와 결혼에서의 차별’, ‘사회 속에서의 차별’, ‘언론 및 미디어에서의 차별’ 이 다섯 가지 주요 측면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 차별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의료기관과 전문가 중심의 의료 모형에서 지역사회와 당사자 중심의 사회 모형으로 정책의 큰 틀이 바뀌어야 한다. 둘째, 정신의료기관 입원 일수와 강제입원 비율을 OECD 평균 수준으로 낮추어야 한다. 셋째, 정신장애 관련 예산을 확충하고, 그 예산이 당사자의 자립과 권익을 지원하는 데 더 많이 사용되어야 한다. 넷째, 정신장애인도 다른 유형의 장애인과 동일한 수준의 복지서비스와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해야 한다. 다섯째, 중앙 및 지방 정부는 정신장애 당사자가 사회참여를 하고 자신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전향적인 정책과 조치를 취해야 한다. 여섯째, 정신장애인에게도 활동지원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일곱째, 정신장애인 차별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언론과 시민사회의 변화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aim to show discrimination which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experience in their daily life and suggests improvements. For this, we used method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which highlights on perspectives of the persons themselves, and interviewed 15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ho have diverse and meaningful disability experiences. As a result, the discriminated experiences in daily life appears in 5 aspects: ‘discrimination by coercive psychiatry’, ‘discrimination by family’, ‘discrimination about love and marriage’, ‘discrimination by society’ and ‘discrimination by news media’.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that can reform the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First, policy framework should be changed from clinical model that is centered on psychiatric institutions and experts to social model that is focused on community and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Second, days of hospitalization and proportion of compulsory hospitalization have to be lowered up to the level of OECD average. Third, budget on mental disability have to be expanded and it has to be used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and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Fourth, legislation has to be revised to guarantee welfare services and rights of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to the extent of level with other types of disabilities. Fif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to take prospective policies and measures for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manage themselves. Sixth, personal assistance services have to be provided to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Seventh, it needs to change news media and civil society to reduce the discrimination problems about persons with mental disabilities.

      • SCOPUSKCI등재

        Selective Dehalogenative Homocoupling of Haloarylsulfonates by th Use of Palladium Catalyst

        이태수,안정호,김진환,배진영,Lee, Tae Su,An, Jeong Ho,Kim, Jin Hwan,Bae, Jin Yeong Korean Chemical Society 200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22 No.4

        The palladium catalyzed dehalogenative homocoupling of haloarylsulfonates under reductive conditions has proceeded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halogen. Thus, an iodo or a bromo leaving group of haloarylsulfonates was homocoupled to gi ve symmetrical biaryls in good yields with the sulfonate group intact, whereas a chloro leaving group gave no reaction under the conditions used. When the more reactive nickel catalyst was employed instead of the palladium catalyst in the reaction, both dehalogenative and desulfonative homocouplings of haloarylsulfonates occurred regardless of the type of the halogen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