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actobacillus spp의 Salmonella enteritidis KU 101에 대한 보호 효과와 L. casei YIT 9018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염기배열 특성

        배진성,윤영호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3 한국축산학회지 Vol.45 No.3

        Lactobacillus spp. 급여에 의하여 Salmonella enteritidis 감염에 의한 치사율의 저하 성향, 시험관내 억제활성, 장액 내의 총 IgA 농도변화와 Lactobacillus casei. 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의 sequence를 측정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Lactobacillus spp. 5균주는 시험관내 Salmonella enteritidis 억제활성 측정 결과 모든 시험균주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그 억제활성의 차이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였으며, 억제활성의 차이는 L. helveticus CU 631 > L. rhamnosus GG ATCC 4356 > L. casei YIT 9018 인 것으로 나타났다. Lactobacillus spp. 급여에 의하여 Salmonella enteritidis challenge에 의한 치사율 저하효과는 Lb. helveticus CU 631은대 대조구의 생존율 62%에 대하여 100%로서 가장 높은 치사율 저하효과를 나타내었고, L casei YIT 9018, L johnsonii C-4의 생존률이 70%와 50%를 나타내었다. Lactobacillus spp. 의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의 sequence를 측정하고 gene bank에 등록된 균주의 sequence와 비교한 결과 homology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In vivo protective and in vitro inhibitory activities of Lactobacillus casei YIT 9018. against typical enteritis causing Salmonella enteritidis KU101 and IgA level after challenge have been determined. In order to identify the strains of lactobacilli the sequences of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were determined. All the test strains of Lactobacillus spp. inhibited Salmonella enteritidis, the intensity varied depending upon the species of lactobacilli. Effects on the survival rate of the mouse after challenge with Salmonella enteritidis KU101 on feeding Lactobacillus spp. have shown the highest survival rate in L. helveticus CU 631 followed by L. casei YIT 9018 and L. johnsonii C-4 and the lowest in control mice. The higher level of total Ig A concentration in the intestinal fluid of lactobacilli fed mice than control mice was observed. The sequences of 16S-23S rRNA intergenic spacer region of seven strains of Lactobacillus casei could be utilized as a strain identification, those sequences showed some degree of difference in homology.

      • KCI등재

        골격성 Ⅱ급 부정교합자의 악교정 수술 후 설골의 위치와 상기도 변화에 관한 연구

        배진성,김경호,박형식,허종기,박광호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2001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23 No.6

        OSAS(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is becoming more and more of importance nowadays. Therefore the study concerning OSAS is very important. Most of the studies which have been reported were comparison of upper airway size and change of skeletal class Ⅰ group and skeletal class Ⅲ group respectively. But, most of the showing OSAS have pharyngeal narrowing combined with more or less distinct maxillary and mandibular deficiency.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 posterior airway space and hyoid bone position in patients affected by class Ⅱ malocclusion and treated with orthognathic surgery. we measured the lines between selected upper air way landmarks on lateral cephalometric x-ray films of skeletal class Ⅱ 30 persons who had not been operated yet, were within 2 weeks after operation, were 6 months after operation. And we compared them respectively and analyzed them with pairing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skeletal class Ⅱ group was increased in all the level of PAS, especially PAS(MK) and PAS related to hyoid bone(H-phW, H-PhW(Me-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in 6 months after operation but that was larger than preoperation. And then the PAS was increased after mandibular advancement surgery.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S and surgical method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PAS and a number of surgical movement. At last, the hyoid bone was advanced within 2 weeks after operation but relapsed within the follow up period. In the end of the study, it was turned out that PAS was always wider without distinction of the region after the operation and that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oving volume of hard tissues and the changing quantity of PAS( ; how much PAS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ing degree of hard tissues). After this, to be based on the study, I consider that OSAS demands further study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o more practical applications to the patients.

      • KCI등재

        청천강 이남지역 분묘의 출현에 대하여

        배진성 영남고고학회 2012 嶺南考古學 Vol.- No.60

        무문토기시대 분묘의 기원·출현에 대해 여러 說이 있지만 아직 定說은 없다. 이 글은 분묘의 형식분류를통한 검토와는 다른 각도에서 지역별 분묘의 특징과 함께 부장품 조합과 매장습속에 주목하였다. 남한의 전기분묘는 후기처럼 群集하지 않고 종류별 지역 편중 없이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북한 전기의 석관묘는 대부분單板石式이며 바닥에 대형 판석과 자갈을 이중으로 설치한 것은 동북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또 단독 축조와 군집이 모두 확인되어 남한과도 다른 양상이다. 그리고 전기 후반과 상당부분 병행하는西周~春秋早期의 중국 동북지역 사례로는 요서의 석곽묘, 요동반도의 적석묘, 요동의 지석묘, 요령~길림의석관묘 등이 있는데, 한반도와 대비할 수 있는 것은 지석묘와 석관묘이다. 요동의 지석묘 가운데 쌍타자Ⅲ기~상마석상층기의 小石棚은 군집하며, 불탄 인골도 출토되었다. 봉성 동산 대석개묘에서도 火葬人骨은 일반적이지만, 묘실 구조가 다양하며 劍과 鏃은 부장되지 않는다. 요동~길림지역의 석관묘는 부장품은 말할 것도 없고 벽면을 축조하는 방식도 한반도에 비해 다양하다. 분묘의 출현에 중국 동북지역의 영향이 중시되어 왔지만, 구조·축조방식·배치 양상 등에서 공통점보다는차이점이 더 크게 표출된다. 그러한 원인으로는 무문토기사회가 요동지역으로부터 특정 석관묘를 채용했다기보다는 분묘를 축조하는 습속 혹은 문화 자체를 수용하여 지역에 맞게 적용시켰기 때문일 것이다. 중국 동북지역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 요령식동검의 부장은 공통되지만, 부장품 조합상은 요서·요동·길림·한반도가 각기 다르다. 중원계 청동예기 등 막대한 양의 부장품을 자랑하는 요서지역 하가점상층문화와의 부장품 차이는 말할 것도 없고, 요동지역과 서단산문화 석관묘의 부장품 조합에도, 요동지역 내에서도 시기와 지역에따른 차이가 있다. 그러한 반면, 劍·鏃·土器를 위주로 한 부장품 조합은 청천강 이남지역 전역에 공통성을보인다. 청천강유역은 전형 미송리형토기의 南限界이며, 동북아시아의 지석묘는 청천강유역부터 밀집 분포한다. 일정 지역에서의 동일한 부장품 조합상은 부장습속, 나아가 분묘에 대한 관념적인 측면의 공통성을 뜻할것이다. 최근 화성 동화리 토광묘와 광주 역동 석관묘에서 불 탄 인골과 목탄 등이 확인되었는데, 이것이 요동지역에 다수 보이는 火葬의 葬法과 무관하지 않다면 분묘 축조와 부장 및 매장습속에 있어 요동~북한~남한전체에 흐르는 공통의 매장 관념을 시사하기도 할 것이다. 그러한 광역적인 공통성 속에서 청천강 이남지역은분묘 축조와 매장에 대한 습속을 공유한 하나의 지역권으로 파악할 수 있다. Many scholars have researched origin and appearance of graves of Mumun Period, but an established theories were not existed. In this study, I noticed characteristics of graves and customs of burial by regional groups. The graves of the Early Mumun Period in South Korea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without uneven distribution. In North Korea, both isolation and form pairs were confirmed. These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e stone coffin of the Early Mumun Period. And paralleled the latter part of the existing Early Mumun Period, graves of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re stone coffin of western region of Liao River, stacked stone tomb(積石墓) of Liaodong Peninsula, dolmens of Liaodong region, stone coffin of liaoning~Jilin. Among them dolmens and stone coffin can be compared with the Korean Peninsula. Characteristics of dolmens of Liaodong region are form pairs, cremation bones, various grave goods and structure. Many scholars have emphasized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about emergence of graves in the Korean Peninsula.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structure and grave goods. However grave goods composition consisted of daggers, arrowheads, potteries are common to south of the Ch’ongch’on River. The Ch’ongch’on River basin is southern limit of Misongri Type Pottery, and dolmens of Northeast Asia were densely distributed in south of the Ch’ongch’on River. The same grave goods in a fixed region means manners and customs of burial and about graves commonality of ideological aspects. Accordingly, we can identify that south of the Ch’ongch’on River is a specific area having the same graves construction and manners and customs of burial.

      • 농업용 액체비료와 인공배지의 혼합 사용이 미세조류 성장과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배진성,이기세 한국공업화학회 2014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4 No.1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하여 생산비용을 낮추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액체비료와 인공배지의 혼합 사용과 함께 질소원과 탄소원의 첨가가 미세조류 성장과 지질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미세조류는 녹조류인 Chlorella vulgaris와 Chlorella ellipsoidea 혼합배양을 사용하였으며, 배양 비교를 위하여 인공 배지인 BG11, 농가에서 제조한 액체비료 PAL1을 사용하였다. 인공배지인 BG11과 비교하여 액비 PAL-1을 사용할 때 세포의 성장속도를 10-15%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탄소원으로 glucose 첨가시 성장률이 증가하며 지질함량은 증가하여 최대점에 이른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부산 출토 적색마연평저호의 검토

        배진성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39 No.-

        About 50 Bronze Age tombs have been identified in Busan. As the types of tombs are diverse and large groups of tombs have been identified, data conditions are better than before. Most of the tombs are stone coffins. Its biggest features are separate spac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ll and red burnished jars. It is particularly unusual that bottom of these red burnished jars are flat. These red burnished jars are not visible in other areas and are only found in Busan. These pottery are mainly distributed in Suyoung River within Busan. It is also distributed in Gangseo-gu area in the west, but not in Gijang area in the east. Red burnished jars, which shows this local characteristic, can be called Busan type red burnished jar in contrast to Haman type red burnished jar, which distributes to Gangseo-gu.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Busan's Bronze Age, views are growing that it can be seen as a transition belt because both Songguk-ri Culture and Geomdan-ri Culture are visible.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mix of dwellings of both cultures is a feature of Busan's the late Bronze Age. However, it is Busan type red burnished jars that represents the late Bronze Age in Busan. Its central area is determined by Suyeong River area, which is the center of distribution of red burnished jars, while both Songguk-ri type house and Ulsan type house are identified.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Busan in the late Bronze Age through transition belt, Busan type red burnished jar, and Suyoung River area. 현재 부산지역의 청동기시대 분묘는 약 50여기에 이를 정도로 많아졌고 종류도 다양하며, 대규모 분묘군도 확인되는 등 이전에 비해 자료적 여건이 나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부분을 차지하는 석관묘의 가장 큰 특징은 단벽 쪽에 부장칸을 설치하고 적색마연평저호 한 점을 부장한 점이다. 이 토기에는 마연과 목리가 보이며, 기형은 후기의 적색마연호에 일반적인 원저가 아닌 평저라는 점이 특이하다. 태토는 전형적인 적색마연토기에 비해 정선도가 떨어지며, 적색마연토기에 공렬문이 시문되는 점도 특이하다. 이러한 특징을 보이는 적색마연토기는 한반도 내에서 부산지역에서만 확인된다. 분포의 중심은 현재의 부산 도심에 해당하는 수영강 일대이며, 강서구 일대까지 분포범위를 넓혀 볼 수 있지만 동쪽의 기장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그리고 함안지역부터 강서구까지 분포하는 함안식적색마연호와 대비하는 의미에서 부산식적색마연호라는 형식명을 부여할 수 있다. 부산지역 청동기시대에 대해 주거지의 분포를 통해 송국리문화와 검단리문화가 공존하는 점이지대라는 견해가 있고, 이는 부인할 수 없는 특징이다. 그러나 타 문화의 주변부적인 특징보다는 부산만의 독자적인 특징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은 부산식적색마연호인 적색마연평저호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의 중심권역은 송국리형주거지와 울산식주거지가 모두 확인되는 동시에 적색마연평저호의 분포권에서도 중심부에 해당하는 수영강 일대로 판단된다. 특히 대규모 분묘군이라 할 수 있는 온천2동유적에서 고품질의 부산식적색마연호가 출토되는 점에서, 수영강 일대 중에서도 현재의 온천동은 청동기시대 후기 부산지역의 중심적인 취락지일 가능성이 높다. 기존의 점이지대론, (공렬문)적색마연평저호, 수영강 일대가 중심권역이라는 점을 통해 앞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의 부산지역을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墳墓 築造 社會의 開始

        배진성 한국고고학회 2011 한국고고학보 Vol.80 No.-

        The Korean Peninsula is where the dolmens are the most densely concentrated in Northeast Asia but research on these grave has been focused on the Late Mumun Period. Fortunately,however, the graves of the Early Mumun Period are continuously being identified. In this study,the graves of the Early Mumun Period are largely divided into wooden coffins, stone coffins,dolmens, and jugumyo. These graves are mainly found in isolation or form pairs, and are located on the distal ends connected to the hilltops and ridges. They we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eninsula which no regional preference in terms of type, and a common burial custom was shared. As for the origin and source of the graves of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 the Early Mumun Period, we can not exclude external influences given that the graves, which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and demonstrate a common burial custom, are not connected to the previous era. An important place that we should consider at this time is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Traces of cremation were recently identified in the graves of the Early Mumun Period, which makes us think of their relationship with the dolmens in Liaodong of China, where many cremated human bones were identified. The graves of the prehistoric to ancient period symbolically demonstrate hierarchical,ceremoni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societies where grave construction was generally conducted illustrat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ttlement structure and social complexity,compared to other societies. Therefore, the opening of the era of grave construction can be regarded as a very epochal event when the relevant society is viewed diachronically;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was the stage where various new elements appeared alongside grave construction. It may thus be argued that grave construction, which began throughout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played a key role in the development of Early Mumun Society into the Songgukri culture, which may be regarded as having had the most developed farming culture in the prehistoric era. Accordingly, as the latter part of the existing Early Mumun Period may be approached as a great breakthrough in Mumun earthenware society, it can be regarded as an independent era called ‘the Middle Mumun Period

      • KCI등재

        柱狀片刃石斧의 再檢討

        배진성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2 No.-

        It has been understood that the Pillar-shaped Adze(柱狀片刃石斧) was appeared in earlier of the Early Mumun Period. As time went on, length was diminished, and groove was made. As a result, the Grooved-adze(有溝石斧) was completed. It was noted that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by appearance of the Grooved-adze was closely related to development of wooden farming tools and growth of agrarian society. But recently the Pillar-shaped Adze of the Early Mumun Period has increased steadily, it is known that most are conformed to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e Pillar-shaped Adze was changing rapidly more than any other tools. This is common in stone tools composition. Therefore, we can argue that a set of stone tools were completed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Those in the background, we should pay attention to characteristics of Mumun Society in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Because during this time there were a lot of changes. Recently on a large-scale settlement·Bronze Dagger and so on, we pay attention to an expansive aspect of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Grave construction is also begun in this time. With these features, it was claimed that the latter part of the Early Mumun Period must be newly established to the Middle Mumun Period.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understand completion of a set of stone tools and appearance of the Pillar-shaped Adze as features of time division. 柱狀片刃石斧는 無文土器時代前期의 이른 시기에 출현하여 형식변화하는데, (선)송국리단계로 오면서 소형화되고 여기에 溝가 형성되어 有溝石斧가 완성되었으며, 유구석부의 출현과 이로 인한 석제공구세트의 완비는 목제농경구의 발달 및 농경사회의 성장과도 관련된다는 것이 기존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근래 전기의 주상편인석부 자료가 질적·양적으로 상당히 축적되어 재검토 한 결과, 거의 대부분의 자료가 前期後半에 한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기 후반의 주상편인석부는 가장 주요한 속성인 後面의 형태를 통해 直(Ⅰ)→曲(Ⅱ)→段(Ⅲ)으로 분류 및 변화하는데, 이는 同시대의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빠른 형식변화를 거듭하면서기능적으로 향상된 공구로 개량되어 갔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유구석부와 용도 및 기능이 같은 주상편인석부는전기 후반에 완성된 형태를 보이며 석기조성상에서도 일반화되고 있으므로, 석제공구세트가 완비되는 것은 후기가 아닌 전기 후반으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일상의 필수품이기도 한 주상편인석부가 전기 후반이라는 특정시기에 다른 어떠한 도구보다도 신속하게 변화하는 현상은 전기 후반의 사회 변화에 대한 무문토기인들의 적극적인 대응의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대규모 취락·동검·굴립주건물 등에서 전기 후반 무문토기사회의 발전적·역동적인 측면들이 부각되고 있으며, 분묘가 본격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하는 것도 이때부터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통해 기존의 전기 후반을‘中期’로 분리하여 조기·전기·중기·후기의 네 시기로 구분하자는 의견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주상편인석부의 등장 및 발달과 석제공구세트의 완비 역시 새롭게 분리된 시기의 특징으로 보기에 손색이 없으므로 본고는 新中期걩의 第二步이다.

      • KCI등재

        '벽석內' 적색마연호 공헌의 검토

        배진성 부산고고학회 2022 고고광장 Vol.- No.30

        This paper is about a unique custom that sacrifices the red burnished jar inside the wall of the tomb. In this regard, there was a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on ritual and gamsil(龕室), which is also in line with this paper's perspective to relate to ideas of the afterlife. The location of the red burnished jar, which sacrificed inside the wall of the tomb, varies. However, it has stronger commonality than differentiation in that it is placed in an independent space, distinguished from other objects such as sword, arrowhead, and jade. The location of the red burnished jar is mainly on the corner side, although there are also short wall or long wall. In this respect, it is presumed that the red burnished jar inside the wall was an object for the soul of the deceased. The period of tombs with these customs is mainly in the second half of Songguk-ri Culture. These cases are distributed only in a limited rang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in Gyeongnam, in Northeast Asia during the Bronze Age. More specifically, the main distribution area is the line leading to Sancheong-Haman-(Masan)-Geojedo Island in Gyeongnam. In terms of human activities forming tangible and intangible lines, this line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spiritual culture or ideas of the afterlife that was shared only in a specific region at a specific period. 이 글은 벽석 사이에 적색마연호를 공헌하는 특이한 습속에 대한 검토이다. 유사한 양상에 대해 축조의례와 감실이라는 관점의 연구가 있었으며, 내세관념과의 관련성을 논하는 본고의 관점과도 상통하는 측면이 있다. '벽석內' 적색마연호의 위치는 다양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완성품 한 점을 벽석 사이에 공간을 마련하여 끼우듯이 놓은 점, 검·촉·옥 등의 다른 기물과는 구분되게 독립된 공간에 놓은 점 등에서 차별성보다는 공통성이 강하다. 단벽이나 장벽 쪽도 있지만 주로 모서리 쪽이 많아, '바닥면'이나 '개석부'에서와 마찬가지로 주로 모서리 쪽에 적색마연호를 공헌하는 경향성이 있다. 따라서 벽석 사이에 공헌한 적색마연호 역시 바닥면이나 개석부의 것과 마찬가지로 피장자의 영혼을 위한 기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습속이 있는 분묘의 시기는 주로 송국리문화의 후반기에 해당한다. 공간적으로는 청종기시대의 동북아시아 일대에서 유독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만, 그 중에서도 경남지역 내의 한정된 범위에서만 나타난다. 더 구체적으로는 경남지역 내에서도 산청-함안-(마산)-거제도로 이어지는 라인이 주요 분포권이다. 인간 활동은 유형·무형의 線 및 그것으로 연결되는 面을 이룬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이러한 라인은 특정 시기에 특정 지역에만 공유되고 있었던 정신문화 혹은 내세관념의 一面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망자의 壺, 영혼의 壺

        배진성 한국고고학회 2020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Vol.- No.44

        청동기시대 분묘에는 왜 주로 호형토기가 놓였을까? 왜 다른 시대처럼 여러 점이 아니라 단한 점의 호형토기일까? 예로부터 인간의 영혼은 육신과 떨어져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므로 사후에도 소멸되지 않는다고 믿어져 왔다. 이러한 관념은 아주 오래전부터 있었을 것인데, 분묘 축조가 활발해지는 청동기시대라면 사후세계와 관련된 영혼에 대한 인식은 틀림없이 있었을 것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인식과 호형토기가 가진 신성한 측면에 기반하여 분묘에 단 한 점 완형으로 놓인 (적색)마연호를 ‘망자의 영혼을 담은 용기’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