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지함(李之菡)의 걸인청(乞人廳)을 활용한 ICT 융합콘텐츠 제안
배지혜 ( Bae Ji-hy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한국사상과 문화 Vol.93 No.-
The planning of cultural contents for local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needs to be based on the cultural consumption direction of the public and the continuous brand acquisition of cultural contents. In this regard, multi-sensory convergence contents planning is being done using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and it has been produced from the viewpoint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and ripple effects in various space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the area. Lee Ji-Ham(李之菡) was the author of Tojeongbigyeol(土亭秘訣) and was mainly dealing with the economic reform theory and the Geolincheong, which was known to have been established by hi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welfare. In this paper, the historical person named 'Tojeong(土亭) Lee Ji-Ham(李之菡)' and 'Geolincheong(乞人廳)’, Which is one of his many accomplishments, is focused on building a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for the public's cultural consumption and awareness, without focusing on historical confirmation and interpretation and we propose a convergence content using ICT technology. It is aimed at create cultural contents to understand and attract the public to the 'Lee Ji-Ham', a historical person with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Asan, Chungnam, although the public interest is low. For this reason, one of the various proposals of ICT convergence contents using Geolincheong, we tried to utilize the relics and data related to Lee Ji-Ham in a feasible cultural dimension. Therefore, we proposed a space type contents called 'Tojeong Lee Ji-Ham's Memorial Hall'. In this regard, ICT application technology is suggested to realize realistic feeling by using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maximize immersion effect to the public. Visitors will be able to see the space reproduced by Geolincheong through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and receive various images and information on the screen in the background of the actual Geolincheong. We also proposed to implement contents using beacon technology and media façade. In addition, Lee Ji-Ham's achievements and the historical resources of Geolincheong were implement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and suggested ways of utilizing digital contents to play with digital media. To this end, we have proposed the construction of cyber memorial hall and the production of edutainment contents in various formats as practical ways.
모바일러닝 기반에서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활동을 위한 학습지원도구 모형 개발
배지혜 ( Ji-hye Ba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1
유비쿼터스 환경 시대에 맞춰 현재 스마트 디바이스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스마트 미디어 기기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으며 많은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또한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이러한 교육용 어플리케이션들은 지식기반사회의 학습도구로서 지식접근 및 창출에 중요한 요소인 인터넷과 웹을 활용하게 되고 이동성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모바일기기를 통해 학습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창의적 문제해결(CPS, 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을 활용하는 교육용 앱에 대한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돕는 모바일러닝 기반의 학습환경을 설계하는 데 있다. 제안하는 학습지원 도구는 모바일 앱 형태로 제작되며 학습활동에 있어 다양한 창의적 사고과정 활동과 표현방식, 상호작용성 등의 기능을 통해 학습자의 고차원적인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 인지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환경은 안드로이드용 앱 인벤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앱 인벤터 서버환경에서 제공되는 컴포넌트와 이벤트 핸들러를 이용하여 교수자모드와 학습자모드의 앱을 각각 설계하였다. 교수자앱은 학습활동 제공을 의미하는 프로바이더(Provider) 모드 기능이 포함되며 학습자 앱은 CPS 활동을 위한 학습활동 모드 기능이 설계된다. 대부분의 창의성 관련 앱들은 그래픽작업을 통한 두뇌활동 향상 프로그램, 체험활동 위주의 프로그램 등으로 출시가 되어 있으나 교수-학습 활동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활동 관련 앱은 존재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수업활동에서의 활용측면에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TT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 모니터링 구조의 설계에 관한 연구
배지혜 ( Ji-hye Bae ),배성환 ( Seong-hwan Bae ),김수현 ( Soo-hyun Kim ),강희국 ( Hee-kuk Kang ),박윤용 ( Yoon-you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임베디드 시스템은 가전, 단말, 제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관리, 제어, 통제 및 테스트를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원적인 제약을 가진 임베디드 시스템의 단점을 잘 활용할 수 있기 위해 NFS를 기반으로 하는 개발 환경을 구현하였고, LTT를 설치하여 임베디드 장비 내 커널의 성능평가 및 분석을 할 수 있는 모니터링 도구를 설계하였다. 또한, 수집된 모니터링 정보들을 MONETA 2.0이라는 모니터링 도구로 웹상에서 도시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포스터 : 대학 IT교육에서의 4C/ID모델 기반 학습환경 설계
배지혜 ( Ji Hye Ba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6 No.1
대학에서는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의 습득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IT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의 IT교육 환경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여야 하는 교육 특성과 하드웨어 장비를 교육환경에 필요로 하는 교육 외적인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학습몰입도 수준향상과 효율적인 학습성과 창출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전략이 요구된다. IT교육에서의 PC 활용은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 유발에 도움이 되지만, 단지 PC라는 하드웨어 장비를 통한 흥미 유발은 일시적일 수 있으며, 오히려 학습에 관련 없는 PC 활용요인 등으로 학습자의 동기를 저해하거나 복잡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등으로 인해 학습자에게 새로운 인지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IT교육에서의 학습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 스스로가 PC 활용의 기술적 특성을 학습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 과제를 구성하고 해결하는 방식, 교수자의 학습자에 대한 스캐폴딩 방식, 지원적/절차적 학습 내용을 통한 단계적인 학습효과 창출 등을 고려한 교수-학습 설계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IT교육의 학습환경 수업에서 복잡한 문제에 대한 해결과정 학습 지원을 위한 4C/ID모델을 교수-학습전략으로 설계하고자 한다.
정보교과교육 : 설치형 블로그를 활용한 보조학습도구 프레임워크 설계
배지혜 ( Ji Hye Bae ),강희국 ( Hee Kuk Kang ),박윤용 ( Yoon Young Park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1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5 No.2
최근 사용자가 주체가 되는 웹 2.0과 교육을 연결시킨 새로운 학습 방법을 고안하려는 움직임이 활성화되고 있다. 웹 2.0의 많은 요소들 중에서도 블로그는 집단에서 개인 중심으로 변해가는 웹의 경향을 잘 반영한 도구이며 게시판 같은 도구와 달리 개방적이며 정보와 콘텐츠의 생산과 확산에 쉽게 동참할 수 있는 출발점이 되는 도구이다. 본 연구는 디자인이나 구조, 콘텐츠 등의 구성이 자유로운 설치형 블로그를 활용한 보조학습도구의 각 학습 유형별 프레임워크 설계를 제안한다. 각 학습 유형은 세부적으로 튜토리얼형, 자기조절학습형, 협동학습형, 문제중심학습형으로 분류를 하였고 이에 따른 보조학습도구 프레임워크 설계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학습 유형별 프레임워크 설계 모두 동기설계이론이 기본적으로 적용되며 객관주의와 구성주의적 이론 관점에 입각하여 이를 분류해보았다.
포스터 :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학습콘텐츠 제작 프레임워크 설계
배지혜 ( Ji Hye Ba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6 No.2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기기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설계함으로써 교수자가 복잡하지 않은 환경에서 직접 콘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구축하는 방안을 제안하려고 한다. 기기는 애플 사의 아이패드를 이용하였으며 응용 프로그램은 Explain Everything을 기반으로 하였다. 학습 콘텐츠 결과물은 동영상, 이미지, PDF문서로 총 3가지 유형으로 제작되며 단계별로 콘텐츠 제작 프레임워크를 정의하였다.
사무직 남성의 일-가족 갈등 및 가족-일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
배지혜 ( Ji Hey Bae ),서혜영 ( Hye Young Seo ),이숙현 ( Sook Hyun Lee ) 한국가족관계학회 2002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men`s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with their parental satisfaction, by their families’ developmental stage. This study used data collected for the Men’s Work, Family and Quality of Life(Seo & Lee, 2002).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subsample of 214 fathers who worked at compani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descriptive statistic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Peason`s correlat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reported an average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a lower level of‘family-work conflict’. The variables that explained men`s ‘work-family conflict’ were night-work frequency, daily work hours and flexibility. The variables which explained ‘family-work conflict’ were a compressed workweek, number of children and father’s age. Second the fathers reported a high level of parental satisfaction. Third, ‘work-family conflict’ was not related to men`s parental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first child`s age. Forth, only for men whose first child entered university, men`s ‘family-work conflict’ was negatively related to men`s parental satisfaction.
배지혜 ( Bae¸ Ji-hye ),조성은 ( Cho¸ Sung-eun ),이영민 ( Lee¸ Young-min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47 No.2
In this study, we wanted to examine the economic and demographic factors affecting the amount of expenditure on public employment services. Through this, the government intends to provide indicators to explore the appropriate level of expenditure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stability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major theoretical backgrounds and prior studies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were considered, and panel data were regressed over the past five years in 21 OECD countries based on financial,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descriptive variables derived from prior research. Estimates using the Panel GLS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to discuss dichotomies and autocorrelation showed that GDP growth rates, passive labor market policy spending, national burden rates, participation rates, and net replacement rates of unemployment income had a positive effect on public employment service spending.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derived for GDP per capita, the government's final consumption expenditure, government debt, unemployment and labor productivity.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ew National Employment Support System, which will begin this year, the provision of public employment services to the vulnerable will be further strengthened. Human resources and resources sp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system, such as establishing universal welfare through strengthening the social safety net, national 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human resources, and stabilizing the labor market to promote economic happiness, should be efficiently utilized and managed.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노드 재라우팅 알고리즘 설계에 관한 연구
배지혜 ( Ji-hye Bae ),엄익정 ( Ik-jung Um ),윤남식 ( Nam-sik Yun ),박윤용 ( Yoon-young Park ),오문균 ( Moon-gyun O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6 No.1
수천 개의 센서 노드들이 센서 필드에 전개되어 있는 경우에 센서 노드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PEGASIS 라우팅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노드들 간의 상대 거리 정보를 수집하여 센서 노드의 위치 정보를 탐지하고 이를 이용하여 임의의 노드가 고장이 났을 경우, 데이터 전송을 원활히 하기 위한 최적의 재라우팅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학습에서 인접성 원리의 적용이 학업성취 및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배지혜 ( Ji Hye Bae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교육공학회 2013 교육공학연구 Vol.29 No.3
Various multimedia design principles have been suggested by previous research. One of the example is contiguity principle, which is text should be closely aligned to corresponding graphics in order to reduce extraneous cognitive lo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media design principles, especially, contiguity principle, on learning achievement and cognitive load in smartpad-based learning. Participants were 120 college students who voluntarily registered for the experim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groups: either studying with learning materials with contiguity principle or learning materials without contiguity principle. Finally 117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for achievement, and MANOVA for cognitive load(mental effort, physical effort, task difficulty, self evaluation and material desig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tudents who studied with learning materials with contiguity principle scored higher than the other group. In terms of cognitive load, only physical effort and material desig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mplications from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detailed design suggestions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apply contiguity principle for learning using smartpad. Second, measurement for cognitive load should be refined using various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