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약체결의 권한과 절차

        배종인(Jongin BAE) 국제법평론회 2009 국제법평론 Vol.0 No.29

        국제적 차원에서 볼 때 조약의 체결은 주권국가(당사국)들 간의 의사의 합치 과정이다. 이때 조약체결국가(당사국)는 국내적 차원에서 그 의사를 결정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전자의 과정은 국제법 특히 1969년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이하 ‘조약법협약’)이 규율하는 반면, 후자의 과정은 주로 헌법과 국내법령이 정하고 있다. 이 논문은 조약법협약을 염두에 두면서, 대한민국의 조약체결과정에서 그 의사결정 권한과 절차를 살펴보고 효율성과 민주성이라는 잣대로 이를 평가하려는 시도이다. 이 연구가 규명하고자 하는 바는 (ⅰ) 대한민국에서 조약체결 권한이 누구에게 부여되어 있고, (ⅱ) 그 권한이 어떻게 위임됨으로써 하부 행정기관이 행하는 일련의 조약 체결 행위에 형식적ㆍ법적 정당성을 제공해 주는가, 그리고 (ⅲ) 이러한 권한을 토대로 하여 대한민국의 어떠한 기관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조약을 교섭하고 체결되는가 하는 것이다. 결국 이와 같은 국내적 관점에서 바라본 조약의 체결은 주권국가가 그 내부적인 의사를 수렴하여 국제법을 형성하고 이를 인식하고 수용하는 일련의 과정인 바, 이 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국제법의 형성ㆍ수용을 객관화하고 합리화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은 특히 조약이 MOU(비구속적 합의)와 어떻게 구분되는지 하는 문제 제기에서 출발하여, 대통령의 조약체결권 개념 정립, 고시류조약과 기관간약정 각각에 대한 설명, 잠정적용ㆍ개정ㆍ종료 등 비정형적 조약체결 절차에 대한 조명, 남북한간의 남북합의서에 대한 자리매김, 조약체결에 관한 국내법을 위반한 조약의 국내적 효력 문제, 조약체결 과정에서 국회/국민의 민주적 참여 방안과 그 한계점 등을 중점적으로 논하고 있다. Treaties’ areas of coverage were traditionally confined to the so-called ‘inter-State affairs’ such as military alliance and boundary-delimitation. The last several decades, however, have witnessed a growing importance of treaties not merely as obligations between States but also as norm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ing domestic laws and regulations. Treaties also have expanded its coverage into the matters conventionally reserved for a sovereign State. Bearing in mind the growing influence of treaty on the domestic plane, this dissertation is set to look into the Republic of Korea’s law and practice regarding the Vienna Convention on the Law of Treaties. This dissertation is particularly purposed to look into (ⅰ) which constitutional institution is endowed with treaty-making powers in Korea; (ⅱ) how such powers are delegated io order to justify any relevant acts on the part of government officials; and (ⅲ) which procedures the entity or ministry in Korea has to undergo to negotiate and conclude a treaty. In particular, it focuses upon the following aspects of law and practice of Korean regarding treaty-making; how treaty and MOU (non-binding international agreements) are distinguished; how to define and elaborate on President’s treaty-making powers; what constitutes the so-called ‘Go-Si-Ryu’ treaty and agency-to-agency arrangements respectively; what practices the Korean Government has had with regard to provisional application, revision or termination of treaties; how to conceptualize the agreements concluded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Constitution; ways to encourage wider participation of general public or the National Assembly in treaty-making process and the limits thereof.

      • KCI등재후보

        국제규범의 형성과정과 그 촉진 · 장애 요인에 대한 고찰

        배종인(BAE, Jongin) 국제법평론회 2012 국제법평론 Vol.0 No.36

        The development and expanded use of the UAS (Unmanned Aircraft Systems), often called "drones", has presented challenges to the existing regulatory regimes both in the civil and military aviation sectors, which have so far assumed the presence of a pilot in the cockpit. This article examines and attempts to capture how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en endeavoring to integrate this UAS into the current regulatory frame through the process and debate of international norm-making. In the field of civil aviation,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has made steady headway in drafting and incorporating a set of new rules (SARPs: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into the Annexes of the 1944 Chicago Convention with a view to avoiding any disruption to aviation safety, in particular mid-air collision potentially arising from the introduction of UAS into non-segregated airspace. This smooth incorporation can be attributable to the agreed objective of navigation safety, the technical nature of the issues involved, and the constitutional arrangement under the Chicago Convention for international legislation. Among the theoretical frameworks for international law, the functionalist approach can best explain the ICAO process and its achievement, for the 'technical and non-political' cooperation is supposed to produce better results. On the military front, in contrast, the UAS technology gave rise to a different controversy of whether the targeted killing or aerial attack by combat drones may be justifiable under the framework of IHL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or IHRL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While the US Government defends its practices of UAS-assisted targeted killings as part of legitimate combat action and also on the ground of self-defense doctrine, the NGOs and UN Special Rapporteur vehemently voice the concern that such practices could blur the framework and boundary of IHL. Although the UN Human Rights Council took up the issue by its Special Procedures, the chasm appears to be too deep to bridge at the moment. The relevant issue belongs to the realm of high politics and, compared to the ICAO machinery, the setting of UN Human Rights Council falls much short of any institutional arrangement for norm-setting. The stalemate up to now can be explicable by the perspective of realism. Those States which have virtual monopoly on the UAS technology will not sacrifice their 'real' security interests in exchange for the 'superficial' common good. This contrast between the civil and military sector illustrates the diversity of international norm-making process. It also enables us to identify the factors either facilitating or hampering such process. This article identifies, as major variables to such process, the nature of the issue (political vs. technical), the participants in the process, and the presence of any constitutional arrangement.

      • 대한민국과 국제인도법의 과거, 현재와 미래

        배종인(Jongin BAE)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2018 人道法論叢 Vol.- No.38

        국제인도법은 우리에게 가깝고도 먼 존재라고 할 수 있다. 근세기 한국전쟁이라는 참사를 겪었고 아직도 그 유산을 짊어지고 있는 우리에게 국제인도법은 과거를 반성하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필수불가결한 규범이다. 아울러, 한반도를 넘어 다변화를 꾀하고 있는 우리 외교에게 있어서도 국제인도법은 지구 곳곳의 무력분쟁 지역에서 발생하는 인권침해를 평가하고 이에 대한 우리 입장과 대응을 정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준거이기도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공법 전반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낮아지는 가운데, 국제법의 다른 분야에 비해서도 관심이 낮을 뿐만 아니라 국내 뉴스나 법원에서도 좀체로 다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국제인도법은 멀게만 느껴지는 존재가 되고 있다. 이 글은 국제인도법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고, 또 어떤 의미를 가져야 하는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에 두고 실천적 방안을 강구하고자, 이 논문은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적 매듭을 지어 과거 우리 역사 속에서 국제인도법과의 접점을 재조명하고 있다. 우선 단편적이나마 우리 역사 속에서 국제인도법의 원칙과 맥락을 같이 하는 신라 화랑도의 ‘살생유택’ 정신, 안중근 의사의 만국공법 준수 일화를 살펴 본 다음, 한국전쟁을 중심으로 당시 제네바 4개 협약을 포함한 국제인도법의 적용 문제와 포로의 강제송환을 둘러싼 논쟁과 우리 정부의 입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현재 국제인도법 관련 제반 조약에 대한 우리나라의 비준·가입 현황을 점검해 보고, 1997년 대인지뢰금지협약, 1954년 무력충돌 시 문화재 보호 협약 등 미가입 조약에 관한 정부의 입장을 검토하였다. 인도법 관련 조약에 대한 국내 이행 법률을 설명하고, 제네바협약의 중대 위반은 우리의 국제형사재판소 이행 법률 제정에 따라 우리 국내적으로도 명시적으로 처벌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도 소개하였다. 국내적 이행 강화 방안으로서 국제인도법 국가위원회 재개, 군내 전담법률고문 확보, 제네바협약 이행을 위한 조직 정비 등을 언급하고, 국제인도법이 일반시민에게 친근하게 느껴지게끔 우리의 사상, 역사, 사례를 적극 발굴, 활용할 필요도 강조하였다. 한편, 국제인도법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설득 논리도 개발하고, 무력충돌 피해와 접점을 가지는 정부차원의 개발원조, NGO의 해외 구난 활동, 국제평화유지군 파견 등 새로운 수요에도 적극 응할 필요도 제기하였다. IHL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is often perceived in Korea as a set of rules detached from daily life. As a midsize State which suffered heavily from the Korean war, the Republic of Korea ought to appreciate and diligently comply with IHL. This article is intended to look into what IHL means for Korea, and how Korea should address the issue of better compliance with IHL. It first examines the Korean war, the applicability of IHL principles to the war, and the then controversial refusal on the part of South Korea to repatriate POWs to North Korea. Moving on to the present issues, it reviews the ROK’s status of ratification of, or accession to, major IHL treaties, and analyzes the reasoning for nonratification especially of the 1997 Anti-personnel Landmine Convention and the 1954 Hagu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While explaining domestic implementing legislations for IHL, it points out Korea’s ICC Laws has covered the grave breaches of the Geneva Conventions and its 1st Additional Protocol. For better respect and compliance of IHL on the municipal level, the reactivation of the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HL, the positioning of legal advisors in the military, enhanced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are suggested. The emerging issues of lethal autonomous weapon, cyber warfare, and the IHL compliance mechanism are also briefly touched upon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