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梅泉 黃玹의 「李忠武公龜船歌」 고찰

        배종석(Bae, jong-su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4

        梅泉 黃玹(1855~1910)은 구한말의 지식인으로 일제의 국권침탈에 자결한 우국지사로 잘알려져 왔다. 그의 시 중 「李忠武公龜船歌」는 우국정신을 거론하면서 일찍부터 주목받아 온작품이다. 기존의 논문에서는 이 시를 매천이 살던 시대가 임진란을 연상하게 하는 역사적인 면에 치중하여 해석하고 있다. 나아가 제국주의에 대응한 매천의 민족적 의식이 드러난 시로 보고 있다. 물론 이 시의 가장 큰 의미는 우국적 측면이 확실하다. 그렇지만 역사적인 면에 치우쳐 개인의 정감에 대해 소홀히 다루는 면이 없지 않다. 즉 시는 한 시인의 정감이 만들어 낸 것으로 그 시인의 내면세계가 고스란히 펼쳐져 있는 것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이다. 더욱이 동시대 지식인들이 이순신을 소재로 시를 지으면서 서로 다른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는 점은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점은 시의 史的인 측면을 벗어나 개인적 정감의 순수한 발로라는 측면으로 시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으로 살펴본 결과 「이충무공귀선가」 는 상상을 통해 현실세계를 극복하려는 매천의 염원이 실려 있으며, 특히 그의 삶에 대한 의지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Hwang-hyeon(1855~1910) was an well-known patriotic intellectual who made a strong protest against Korea-Japan annexation by suicide in the late Greater Korean Empire. His poetry「Yichungmugong_Gwiseon_ga The song for Gen.Yi Sun-Sin s Turtle Ship 」also got focused for its theme, a patriotism. The exsiting studies on the poetry, however, explained it concentrating on its historical period reminding Imjinwaelan, Japanese invading Chosun in 1592~1598, but not on his personal emotion. However, the inner world of a poet which his poetries are extracted from shouldn t be overlooked, especially in considering that other poetries written by each authors of the period evokes distinguised impressionses from themselves. This study on the poetry 「Yichungmugong_Gwiseon_ga」, conducted under the consideration, concluded that it should be re-explained on the point of that Hwang-hyeons s hope to get over the suffering situation and his strong will for the life are embraced in it.

      • KCI등재

        명청교체기 조선사신단의 해양표류기 연구 -안경의 『가해조천록』을 중심으로-

        배종석(Bae, Jong-suk) 한국고전번역원 2020 民族文化 Vol.56 No.-

        이 논문은 명청교체기에 한반도 서해를 이용하여 명나라에 다녀온 安璥(1564~1640)의 『가해조천록』을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안경은 사행도중 하루도 빠짐없이 기록하여 17세기 해로사행의 실상을 알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왕복 60일을 해상에서 보냈는데, 이중 30일은 표류한 기간이다. 이 때문에 이 책에는 당시 표류의 정황이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안경은 왕복 해로에서 총 여섯 번의 제문을 지어 기도를 올렸다. 이러한 기도는 해로사행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표류 기간에 알게 된 龍堂王神과 天妃에 대한 경외감을 표출한 것은 험난한 바다를 경험했기에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기도에 의한 응답은 기대하기 어렵고 결국 목숨을 천명에 맡긴 채 사신의 임무를 수행할 뿐이었다. 다행히 죽음의 문턱에서 살아왔지만, 그가 겪은 그날의 고통과 두려움은 쉽게 가시지 않았다. 명청교체기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이뤄진 해로사행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극한의 고통과 두려움을 주었다. 그리고 이는 고스란히 조선 사신들이 감내할 수밖에 없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rifting records Gahaejocheonnok (『駕海朝天錄』) by An Gyeong(安璥) who took a round trip from Joseon to Ming China across the West Sea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Ming-Qing transition period). An Gyeong recorded every single day of the mission trip to reveal the true state of sea-route envoy in the 17th century. In particular, on his 60-day round trip, he spent 30 days drifting at sea. For this reason, this record clearly reveals the circumstances of the drift at that time. In his writing, An Gyeong is found to have written and offered up a total of 6 prayers while drifting at sea during his round trip across the West Sea. This kind of urgent prayers can be characteristic of the record of the sea-route envoy.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for An Gyeong to express sense of reverence for the Dragon King God(龍堂王神) and the Heavenly Concubine(天妃), only because of his encounter with harsh experiences at sea. Not expecting to get an answer to each prayer of his own from the sea god, but just entrusting his destiny to heaven, An Gyeong(安璥) could not but carry out his own mission as envoy to the end. Fortunately he could save his life on the brink of death, but the pain and fear he had gone through during his drifting at sea did not go away easily. The sea-route envoy, which took place under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Ming-Qing transition period, caused extreme pain and fear never been experienced before, but Joseon envoys had no choice but to endure it.

      • KCI등재

        역사 속 인물의 한중(韓中)비교 연구 -전횡(田橫)을 중심으로-

        배종석 ( Jong Suk Ba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5 漢文古典硏究 Vol.31 No.1

        전횡은 사마천의 『사기』에서 나오는 인물이다. 그와 그의 오백 빈객은 의리를 위해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결정을 했다. 이것은 오랫동안 한중 지식인들에게 충격과 감동을 주었다. 그래서 많은 지식인들이 그에게 관심을 갖고, 평을 짓기도 하고 시를 읊기도 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점을 염두에 두고 한중지식인이 전횡을 바라보는 시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전횡을 평가하는 글에서 중국 지식인이 더 다양한 평가를 내렸고, 시작품에서도 중국지식인이 더 다양한 측면으로 형상화했다. 이를 통해 한중 지식인이 전횡을 평가하고 형상화하는 데 차이가 나는 이유를 두 가지 알 수 있었다. 첫째, 중국은 전횡의 유적지를 실제로 답사할 수 있는데, 한국은 서적을 통해서만 접할 수 있었다. 둘째, 중국은 여러 왕족을 거치면서 관념이 다소 자유로운 반면, 한국은 오로지 성리학을 중심으로 이어져 왔다. Tian Heng appeared in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史記] by Sima Qian. Tian Heng and the 500 guests committed suicide for righteousness, which has shocked and moved the Korean and Chinese literati a long time ago. Therefore many literati have been concerned about Tian Heng and there were also lots of essays as well as poems about him.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how the Korean literati and the Chinese literati took a very different view of Tian Heng. The Chinese literati seemed to make more various comments on Tian Heng, as for poems, the Chinese poets also portrayed him in more extensive ways. There are two reasons for the difference in the Korean works and the Chinese works about Tian Heng. First, the Chinese literati could visit the sites about Tian Heng in person while the Korean literati could only learn about Tian Heng through historical records. Second, the Chinese literati could have more free concepts since the change of dynasty, on the contray, the Korean literati have embraced Neo-Confucianism only.

      • KCI등재

        田橫論에 대한 연구

        배종석(Bae, Jong-suk) 한국고전번역원 2015 民族文化 Vol.46 No.-

        본 논문은 2200년 전 중국 산동성에 살았던 제나라의 왕 田橫에 관한 것이다. 그와 관련된 기록은 사마천의 『史記』에 전해지고 있다. 그는 한 고조에게 무릎을 꿇을 수 없다고 하면서 自決하였고, 그를 따르던 오백의사는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모두 자결하였다. 이후 이들의 절의는 2천년 넘게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었다. 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이들에 대해 긍정적이지는 않았다. 이들의 처신에 대한 비판을 서슴지 않고 한 조선 지식인도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그들에 대한 사람들의 끊임없는 관심이었다. 모든 사람들이 의분을 참고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세상에 이들의 자결은 통쾌한 자극을 준 셈이었다. This paper concerns itself with research that has been done on Tian Heng (田橫), the monarch of Qi who lived in the vicinity of Shandong, China 22,000 years ago. Sima Qian (司馬遷) mentions him in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史記). Rather than surrender in disgraceto Liu Bang, the first Han emperor, he committed suicide. Tian Heng’s 500 retainers also killed themselves when they learned of his death. This event is still avidly discussed today. Although almost everyone viewed these suicides favorably, there was a Joseon dynasty scholar who bluntly criticized Tian Heng for them. The legend of Tian Heng and the 500 retainers appeals strongly to those who feel the indignities of living in a corrupt world.

      • 명량해전 관련 이순신 주변인물 고찰

        배종석(Bae jong su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2 이순신연구논총 Vol.- No.18

        명량해전은 그 결과만 두고 보더라도 세계 해전사에 길이 남을 대첩이다. 무엇보다 칠천량해전에서 수군이 궤멸된 뒤 이뤄낸 승리라서 더없이 값진 것이다. 그리고 대첩의 저변에는 백성에게 절대적 믿음을 가진 이순신이 다시 통제사에 올라, 관군과 백성이 한마음으로 왜적을 무찌르고자 하는 의지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이순신과 수군 이외의 이들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가장 큰 원인은 이들에 대한 자료가 부족한 탓이다. 당시 상황을 가장 자세하게 기록한 『난중일기』를 보더라도 전란 중에 이순신이 혼자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내용이 소략할 수밖에 없다. 이에 개별 문집을 검토하여 명량해전에 참여한 세 명의 인물을 찾아 서술하게 되었다. 본문에서 언급한 세 사람은 명량해전에서 수군을 고립되지 않게 도와준 대표적인 사례이다. 배응경은 내륙의 관군으로 정유재란 때 나주 목사가 되어 수군에 협조하였고, 오익창과 정운희는 모두 영광 사람으로 명량해전 때 피난선에서 수군에 원조하였다. 특히 뒤의 두 명은 피난민으로서 당시 수많은 민간인들이 전투에 참여한 것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명량해전에 민간인들이 수군의 뒤에서 군수물자를 제공하거나, 소리를 질러 성원하였던 것은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하겠다. Sea battle of Myeong-ryang(鳴梁海戰), leaded by General Lee Sun-sin(李舜臣) is among the most dramatic naval warfares through the history over the world. The story, moreover, increased in value as the Chosun Navy won the war after they got demolished in the previous sea battle of Chilcheon-ryang. The source of power that brought the win to Choseon was the strong unity and will between the forces and civilians against Japanese invading troops. The source of the unity and will, as well as, was General Lee’s leadership of trust in people. However, the studies on the sea battle so far have been limited in General Lee and the navy at that time. The first reason that the studies couldn’t focused on the people out of the navy was lack of the records. For instance, Nanjungilgi(亂中日記) was poor in substance as it was just General Lee’s personal diary written through the war time. This is the study on the three men who participated the war found out in the separate literatures. The three men were models who supported Chosun navy as civilian. Army officer Bae Eung-gyeong(裵應褧) supported the navy since he took office as Mayor of Naju in Jeonra province. Oh Ik-chang(吳益昌) and Jeong Woon-hee(丁運熙), refugees from Yeonggwang, show that a number of civilian took part in the battle. It deserves a profound study that the civilian supported the navy in sea battle of Myeong-ryang by providing military demands or raising a great war whoop.

      • KCI등재

        일제강점기 魯軒 南健의 저항의식과 시문학 연구

        배종석(Bae, Jong-suk) 대동한문학회 2021 大東漢文學 Vol.69 No.-

        노헌 남건(1850~1943)은 조선조 말 경북 영해에서 태어나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를 살다간 유학자이다. 그는 일제가 조선을 잠식해가는 과정에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저항을 했다. 나라가 망하고 시대가 변해도 옛 나라의 전통과 선왕에 대한 의리를 지키며 평생을 살았다. 그는 경술국치 이후 은둔생활을 하면서 일제의 만행에 대해 폭로하고, 일제에 저항한 의사들의 충절을 입전하여 고요한 저항을 이어 나갔다. 남건은 역사 속에서 절의를 실천한 의사를 많이 추앙하며 유교의 강상이 무너지지 않게 했고, 이를 통해 자신의 마음을 다잡았다. 그리고 을사늑약 체결과 의병장의 순국, 경술국치와 신해혁명을 겪으면서도 그는 이성적으로 생각하며 한편으로 다음 시대를 위해 자제들을 가르치고, 한편으로 스스로 절개를 지켜나갔다. 하지만, 결국 절개를 지켜나가는 것도 자제들을 가르치는 것도 거스를 수 없는 역사의 흐름에서 한계라는 것을 인식하였다. 남건은 시대에 발 빠르게 대처하며 살아가진 않았지만, 망국의 유민으로서 식민지 세상에 영합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끝까지 지켜나가는 지조 있는 삶을 살았다. 이를 통해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시대에서 전통을 고수한 한 유학자의 고뇌가 어떠했는지 알 수 있다. Nam Geon(pseudonym: Noheon, 1850~1943) was a Confucianist who was born in Yeonghae, Gyeongbuk,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He witnessed the whole history of the Korean Empire and then lived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He resisted to Korea’s annexation into the Empire of Japan in his own way. Even if his country lost national sovereignty, he lived his whole life keeping the old traditions and staying loyal to the former emperor. After the signing of the Annexation Treaty, he lived in seclusion, resisting to Japanese imperialism by exposing the atrocities of it and depicting the loyalty of the righteous men who also resisted it. Nam Geon expressed his reverence to many righteous men in history who stayed loyal, and was dedicated to keeping the Confucian doctrine from collapsing. He witnessed the signing of the Protectorate Treaty and the Annexation Treaty, the martyrdom of the generals of righteous armies and the Revolution of 1911, but he kept thinking rationally. He started to nurture disciples while maintaining moral integrity, although he finally realized that it had limitations in the irreversible tide of history. In face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Nam Geon did not soon adapt to that. As an adherent of the former Empire, he did not succumb but stayed upright and loyal to the end. This embodied the agony of a Confucianist who adhered to tradition in a special era of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특집기획 : 기획주제1 ; 한양(漢陽) 도성(都城) 및 그 풍정(風情)의 지역학적(地域學的) 접근(接近) : 매천 황현의 서울 경험과 시문학(詩文學)

        배종석 ( Jong Suk Ba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5 No.1

        매천 황현(1855~1910)은 전남 광양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려서 훌륭한 스승을 찾아 이웃 고을인 구례까지 왕래하며 학문을 했다. 그러나 약관이 되자 더이상 시골의 고루함을 견디지 못하고 서울로 올라갔다. 그의 학문에 대한 열정이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가게 했던 것이다. 서울을 출입한 지 만 10년간 그는 다양한 名士들을 만나 지적 갈증을 해소하기도 하고, 고향에서는 가기 힘든 금강산과 천마산을 유람하며 견문도 넓히기도 하였다. 하지만, 당시 조정의 失政을 직ㆍ간접적으로 목도하여 ‘도깨비세상’이라고 비난하며 은거를 결심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서울은 그의 일생에 큰 전환점이 된 곳이었다. 매천이 서울에 있을 때는 아직 학문이 완숙되지 않은 시기였다. 이 때문에 서울에서의 다양한 경험이 그의 삶과 가치관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쉽게짐작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매천이 서울에서 경험한 것을 바탕으로 그 실마리를 찾아보려고 시도 하였다. 서울 경험을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었다. 첫째, 서울에 있을 적에 유람하며 지은 시를 중심으로 거기에 드러난 내면의 자각을 살펴보았다. 둘째, 서울에서 교유한 명사들에게 받은 영향을 알기 위해 평생토록 그들을 읊은 시를 살펴보았다. 셋째, 나그네의 처지에서 새롭게 인식되는 가족과 고향을 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처럼 서울 경험이라는 제한된 시공간을 중심으로 다각도로 접근하면서 서울이 그에게 어떠한 의미가 되었는지 다소나마 이해할수 있었다. Hwanghyeon liked to visit neighboring villages looking for respectable mentors from his youth. But as he grew up, he was no longer satisfied with the limited experiences in his secluded hometown Gwangyang in Jeonnam province. At last, Hwanghyeon in 20s moved to Seoul and hung around with famous scholars so that he could enlarge his experience. For 10 years in Seoul, Hwanghyeon could satisfied his thirst for knowledge by meeting various intellectuals, traveling Mt.Keumgang and Mt.Cheonma those he would never see in his hometown. There were, however, not only good things in Seoul. Hwanghyeon also watched misrule and corruptions of the Royal Court. Those made him to anger, to condemn and to go back to his home. What is clear is that Seoul trip was a turning point of Hwanghyeon`s life. Since Hwanghyeon`s learning had not been completed at that time, his life and values got critically affected by the experiences in Seoul This study, focused on Hwanghyeon`s experiences in Seoul, has three parts distinguished into theme. First part of this study explains Hwanghyeon`s inner idea with his poems written in his Seoul trip. Second part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Hwanghyeon and intellectuals in Seoul. And homesick poems that he wrote as a stranger in Seoul are reviewed on the third part.

      • KCI등재

        매천(梅泉) 황현(黃玹) 순국(殉國)100주년(週年) 기념(紀念)-매천(梅泉)의 삶과 문학(文學) 매천시(梅泉詩)의 의경(意境) -만수동(萬壽洞) 형상을 중심으로-

        배종석 ( Jong Suk Bae ) 우리한문학회 2010 漢文學報 Vol.23 No.-

        A number of studies on Hwang-hyeon`s poetries is accumulated so far while the they limited the view point of new researches on his poetries concentrating on just one subject, a patriotism. Since a poet write a poem not on the plane but in multi-dimensional space, this study tried to recompose Hwang-hyeon`s space, Mansudong. Mansudong doesn`t mean a real place but the poet`s inner world appeared from his poetries. Hwang-hyeon`s lyric poetries build the world by making deep observation on the things and matters and connoting his feelings and imaginations from them. Mansudong, the space isolated from the outer world, provides Hwang-hyeon, an intellectual watching the tragic realty during the late Greater Korean Empire, a temporary shelter from the mental trouble. He often imagined easing and escaping from the worries about the historical situation by involving himself into his poetries. He, however, failed to pass by the realty and finished the works like 「Ohagimun(梧下紀聞)」 and 「Maecheon`s Yarok(梅泉野錄)」. In other words, Mansudong is a place in where he avoids and from where he watches objectively the realty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수당(修堂) 이남규(李南珪)의 주체적 대외의식과 시

        배종석 ( Jong Suk Bae ) 근역한문학회 2009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29 No.-

        Sudang(修堂) Lee Nam-Gyu(李南珪, 1855~1907) is a government official as well as intellectual in the end of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Although he had an independent subjective consciousness as a government official, most of his seclusion time was spent on composing poems. Since he poured out all his minds into poet, and poem composing on the other hand also shaped his mind peaceful, so through the poems of his seclusion period we cam explore a lyric psychological states of the poet. Later during the Insurrectionary period, the transformation to Patriotic poem writting shows his independent subjective consciousness before the seclusion period. In other words, his independent subjective consciousness is followed from the Insurrectionary activities period as a government official, but between this filled with his lyric poems from the seclusion period which should not be forgotten in order to get a complete comprehension of Sudang`s poems.

      • KCI등재

        가전체소설 「海衣國史」의 이본 고찰

        배종석(Bae, Jong-su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5

        「海衣國史」는 김을 의인화한 가전체소설이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전체소설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사물인 ‘김’을 소재로 지어진 점에서 특이할 만하다. 이 때문에 2007년 『연합뉴스』에서 이 작품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때 저자를 朴尙淵(1631~1696)으로 소개하였는데, 이는 2007년에 발표한 유권석의 논문을 근거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 학계와 대중에 이렇게 알려져 왔다. 하지만, 최근 필자는 아직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安璥(1564~1640)의 문집에서 이 작품을 찾았다. 안경의 문집은 현재 하버드대학 옌칭도서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각각 필사본 이본이 소장되어 있다. 여기에 각각 「해의국사」가 실려 있다. 그러므로 「해의국사」의 이본은 총 3종으로 2종은 안경의 문집에, 나머지 1종은 박상연의 문집에 실려 있다. 본고에서는 3종의 「해의국사」 이본을 비교하였다. 먼저 안경의 문집 『芹田集』 이본을 서로 대조하여 선본을 가렸다. 그리고 박상연의 문집 『金谷集』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안경의 문집은 장서각에 소장된 『근전집』이 선본이었다. 『금곡집』과의 비교를 통해서는 안경의 「해의국사」는 전고를 그대로 차용하였고, 서술이 대체로 간략한 측면이 있었다. 반면, 박상연의 「해의국사」는 전고를 문맥에 맞게 수정하였고, 서술이 비교적 상세하였다. 이 점은 박상연이 안경의 글을 개작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글을 지었다는 결정적인 근거가 된다. 「해의국사」는 김이 천자인 나라의 흥망성쇠를 전개하며 이단(불교)을 배척하고 스스로 위신을 갖춰야 한다는 경계의 목적을 지니고 있다. 안경의 경우 병자년(1636)의 치욕으로 더 이상 벼슬하지 않고, 자손에게도 벼슬하지 말라고 경계하며 스스로의 위신을 생각한 것이 「해의국사」를 짓게 된 동기와 관련이 있으리라 여겨진다. 박상연의 경우는 경신대출척을 겪으며 벼슬길이 막힌 뒤 전라도를 유람하였는데, 이때 김을 접하고 안경의 「해의국사」를 수정·보완하여 완성도 높은 이야기를 서술한 것으로 여겨진다. Haeuiguksa (海衣國史) is a Korean anthropomorphism novel that personifies the laver. It is unique in that it is based on ‘laver,’ a motif that has not been seen in Korean anthropomorphism novels ever known. In recognition, it was featured in Yonhap news in 2007. At that time, the author was known as Park Sangyeon (朴尙淵, 1631-1696), based on a paper published by Professor Yu Kwonseok in 2007, which has been known to the academia and the public so far. However, I recently found another version of this work in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by An Gyeong (安璥, 1564-1640), which is still little known to the academic community. Two copies of An Gyeong’s collection are currently housed in the Harvard-Yenching Library and in Jangseogak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respectively in manuscripts. Therefore, there are three versions of Haeuiguksa, two of which were contained in the collection of An Gyeong and the other in the collection of Park Sangyeon. This paper compared th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Haeuiguksa. First, the two versions of An Gyeong’s collection called Geunjeonjip (芹田集)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o determine which is the original one, and the difference was analyzed in contrast to the version of Park Sangyeon’s collection of writings Geumgokjip (金谷集). As a result, Haeuiguksa of Geunjeonjip housed in Jangseogak predated one of Harvard-Yenching Library. The two versions of the Haeuiguksa of An Gyeong shared the same allusion, and the description was generally brief. On the other hand, the Haeuiguksa of Park Sangyeon revised the allusion to fit in the context, and the description was relatively detailed. This is the evident reason why Park Sangyeon wrote an article with a higher level of completion by using the writings of An Gyeong. Haeuiguksa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vigilance that the emperor ‘laver’ should be well versed in the rise and fall of the heavenly kingdom, reject Buddhism and attain prestige on his own. An Gyeong, who was no longer a government official after the disgrace of the country of 1636, was also wary of his descendants and considered prestige important. In the case of Park Sangyeon, he went on a trip to Jeolla-do after being dismissed from office due to the incident called Gyeong-sin-dae-chul-cheok (庚申大黜陟) in 1680. And it is believed to have been a modified version to Haeuiguksa of An Gyeong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