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한원진의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통해 본 물(物)의 형이상학과 윤리학

        배제성 한국철학회 2022 철학 Vol.- No.152

        본 논문은 인성과 물성의 차이를 주장한 한원진의 인물성이론의 철학적 함의를 이해하는 지평을 확장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퍼킨스가 제안한 ‘물(物)’에 관한 해석에 주목하였다. 그는 ‘물’이 중국철학사의 중요한 용어 중 하나이며, 그 중요한 의의는 개체로 존재하는 대상이 개별화되는 원리를 논하는 데 있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물’에 관한 담론은 개별적인 대상이 존재하게 되는 방식뿐만 아니라, 그 대상들이 서로 관계 맺는 적절한 방식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적 측면과 윤리학적 측면을 포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원진의 주요한 문제의식이 개별화의 원리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파악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규명하는 하는 바는 두 가지이다. 첫째, 한원진의 인물성이론이 개별화의 원리를 어떤 방식으로 구현하는지를 보일 것이다. 둘째, 한원진의 인물성이론을 통해 제시될 수 있는 개별화의 원리가 성리학적 지향과 특징을 어떻게 구현하는지를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서 중국철학사라는 더 넓은 맥락과의 연관 속에서 한원진의 주장을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시에 유가적 관점이 반영된 개별화의 원리를 보여주는 ‘물(物)의 형이상학과 윤리학’의 한 예시라는 측면에서 그의 성론(性論)을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의 성론(性論)은 유가적 조화의 이상이 개체의 성을 통해 실현되는 방식과 그 세계관에 대해서 구체적이고 정교한 이해를 제시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try to expand the horizon to understand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Han Wonjin’s theory of nature, which argu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nature of things. For that purpose, I focuses on Perkin’s interpretation of ‘thing’. He suggested that the term ‘thing’ is important because the term is a main category in which principle of individuation was discussed in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The discourse on thing can encompass metaphysical and ethical aspects, for it includes not only the way in which individual objects exist, but also the appropriate way in which they relate to each other. I suggest that Han Wonjin’s approach can be grasped in a way to explain a kind of principle of individuation. So, more specifically, I will try to demonstrate the two features of Han Wonjin’s theory of nature. First, how does that theory represent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Second, how does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to which his theory is applied reflect the orientation and characteristics peculiar to Neo-Confucianism? By answering these questions, we can evaluate Han Wonjin’s theory in connection with the wider context of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Not only that, we can shed light on his theory as a example of the metaphysics and ethics of thing, which fit well with the Confucian view of the world. Finally, Han Wonjin’s theory of nature presents a sophisticated picture of the way how a confucian ideal of cosmic harmony can be realized by the nature of all individual objects.

      • KCI등재

        간재(艮齋) 전우(田愚)의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 고찰: 본성과 세계관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제성 한국유교학회 202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4

        본 논문은 간재 전우의 본성과 세계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물성동론을 검토하였다. 왜 세계관에 주목하는가? 우선 그것은 인물성동이논변의 성격에 관련되며, 다시 이것은 성리학적 세계관이 위기에 봉착해 있던 당대의 상황과 공명하며 전우가 인물성동론에 주목할 이유를 새삼 환기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측면들을 조망하기 위해서 기독교 선교사인 에른스트 파버의 태극 비판에 대한 전우의 반론, 화양서원 묘정비에 삽입되어 논란을 일으킨 송시열의 언급에 대한 전우의 논평, 수암 권상하의 인물성이론에 대한 전우의 반박, 그리고 조선 말기에 인물성동론과 이론의 지양을 표방한 기정진의 인물성론에 대한 전우의 비판 등을 함께 살펴보았다. 이런 몇 가지 측면들은 각각 근대화와 서구 문명의 침투에 대한 대응, 전통의 성리학 담론에 대한 해석의 우위 고수, 그리고 당대에 새롭게 주어진 이론적 대결에 대한 응전이라는 의미 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여러 측면에 대해 간재가 대응한 방식은 실질적으로는 낙학계 전통의 인물성동론에 대한 반복과 강조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러한 몇 가지 측면들을 종합적으로 조망함으로써, 성리학적 세계관과 본성의 관련이라는 중요한 문제에 연관된 인물성동이론의 토대에 대한 이해를 환기할 수 있게 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Jeon Wu’s Claim tha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focu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nature and world view. Why do we pay attention to ‘world view’? First of all, the issues of the debate of sameness or differences between human and animal nature are closely related to the world view, further, this feature of the debate resonated with the situation at the time when the Neo-Confucian world view was in crisis. As a result, Jeon Wu becam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claim tha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the same. To illuminate these aspects, this paper specifically examines three materials: Jeon Woo's refutation of Ernst Faber's criticism of the Great Ultimate(太極), Jeon Woo's refutation of Gwon Sangha’s claim that hat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different, Jeon Woo's refutation of Ki Jungjin’s theory of human and animal nature. Each of these aspects shows a response to modernization and the penetr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adherence to the superiority of 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Neo-Confucian discourse, and a response to a new theoretical confrontation given to the time. The way Jeon Wu responded to these aspects can be summed up as a repetition and emphasis on the theory of the Nak school(洛學) tradition to which he belongs. Nevertheless, by looking at these aspects comprehensively, we can evoke an understanding of the basis of the theory of human and animal nature, which is attributed to a fundamental matter of the relation between the Neo-Confucian world view and nature.

      • KCI등재

        ‘생지위성’ 해석을 통해 본 간재학파 성리설의 특징: 간재 전우와 후창 김택술을 중심으로

        배제성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5 No.-

        본 논문은 간재 전우와 후창 김택술을 중심으로 간재학파에서 토론했던 한 가지이슈에 주목한다. 그것은 성리학의 성론에서 ‘생지위성’이 가리키는 의미이다. 주자이래로 ‘생지위성’은 기질지성으로 이해되었지만 간재는 그것을 본연지성으로 이해할 수 있는 측면이 있으며, 그 측면이야말로 더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그러한 간재 주장의 취지를 분석하였다. 이 문제에 관한 간재의 취지를 이해하기 위한열쇠는 그가 생각하는 ‘생(生)’의 의미, 그리고 그것이 ‘성(性)’과 연관되는 방식이다. 간재에 따르면 ‘생지위성’이라는 말에 담긴 중요한 의미는 리(理), 즉 성(性)이 필연적으로 기(氣) 안에 존재한다는 것이 반드시 제약의 가능성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그 기(氣)를 통해 성(性/理)이 온전히 실현될 수 있다는 이상적 가능성이다. 이러한 그의 이해는 본연지성은 성(性)의 일반적 규정인 반면 기질지성은 특수한 상태나 측면을 가리키는 한정적 의미에 불과하다는 주장으로 이어진다. 결론적으로, 그는 생명[生]의 의미에 주목함으로써 인간의 도덕적 가능성과 제약을 아우르는 균형 잡힌 시각을 유지하면서도 결국 그 주축은 성선을 완전히 실현할 수 있다는긍정적 의미에 있음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an issue discussed in Ganjae School, particularly by Jeon Woo and Kim Taek-Sul. The issue is how to interpret a sentence in Mencius, that is, ‘Shengzhiweixing’. Since Zhu Xi, the sentence has been interpreted as meaning Temperamental Nature (氣質之性), but Jeon Woo claimed that the nature expressed in the sentence can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Original Nature (本然之性).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claim? The key is the specific meaning of ‘Sheng (生)’ in Jeon Woo’s thought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Sheng’ and Nature in his philosophy. According to Jeon Woo,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 of the sentence, ‘Shengzhiweixing’, is that although Nature is always in material force, it fully can realize in and through this material force. Such an understanding of Nature is linked to his other claim that Original Nature is the normal definition of Nature, whereas Temperamental Nature is not. In conclusion, on the one hand, Jeon Woo calls for us to confront the reality that all human beings possess both moral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n the other hand, he urges us to believe that despite the complexity of human beings, the Goodness of Nature is a more prominent and dominant aspect.

      • KCI등재

        조선 후기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 논쟁과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의 관계 연구 -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의 성삼층설(性三層說)과 외암(巍巖) 이간(李柬)의 반박을 중심으로

        배제성 (사)율곡학회 2016 율곡학연구 Vol.33 No.-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 of the debate about Inmulseong(人物性 : nature of human and things) in relation to the theory of itong giguk(理通氣局: principle is penetrating and material force is limited). For this purpose, first, the problem situation of the dabate has been specifically defined. The situation requires an expla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mulseong and the view of iil bunsu(理一分殊: principle is one but manifested diversely). And, the explanation had to be based on the theory of itong giguk. Han Won-jin definitized and made an issue of the problem. He argued that because the bonnyeon_ji seong(本然之性: original nature) and do(道: the way) should macth,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are different. Many of his colleagues supported this argument. H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bate about Inmulseong. The controversy between Han Won-jin and Yi Gan represents the difficulties of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mulseong and il bunsu based on the theory of itong giguk. On the view of il bunsu, the universal principle and the nature of human and things should have a necessary relationship. But, itong giguk emphasizes the effects of gi(氣: material force). From that point of view, a mechanism that derives the different natures from a universal principle is only possible through different gi. So, the way to understand giguk(氣局: material force is limited) became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defined the way as ‘regulative’ or ‘limited’ relationship. From this point of view, the issues of Han Won-jin and Yi Gan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tong giguk and the debate about Inmulseong has been illuminated. 본 연구는 리통기국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인물성동이논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인물성논쟁의 배경이 되는 문제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였다. 그것은 리일분수적 체계 안에서 인물성을 정합적으로 해명하되, 리통기국의 틀에 기반하여 그 설명을 추출해내는 것이다. 남당 한원진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고 쟁점으로 부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본연지성과 도(道)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물성이 달라야한다는 논증을 제시했고, 여러 동료들의 동의를 얻는 데 성공했다. 그의 주장은 인물성 논쟁의 촉발과 전개에 중요한 동인이 되었다. 인물 간에 다른 본연지성을 설명하기 위한 남당의 성삼층설과 이를 반박한 외암 사이의 논쟁은 리통기국의 틀에 기반하여 리일분수와 인물성의 문제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난점과 특징적 양상을 잘 보여준다. 리일분수적 관점에서 리일의 보편적인 리와 인물의 분수의 성은 서로 필연적이고 연속적인 관계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상대적으로 기의 제약성이 더 강조되는 리통기국의 틀에서는 보편적인 리를 상정하고, 오직 기의 매개, 즉 기국을 통해서만 구분의 논리를 확보해야 한다. 그래서 기국을 이해하는 방식이 중요한 쟁점이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것을 규정적 관계와 제약적 관계로 설명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남당과 외암의 입장 차이가 분석되었고, 리통기국과 인물성논쟁의 관계가 전체적으로 조명되었다.

      • KCI등재

        지식사회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주희 격물론

        배제성 대동철학회 2020 大同哲學 Vol.93 No.-

        본 논문은 지식사회학의 이론에 기반하여 주희 철학의 특징을 탐구하였다. 지식사회학 은 지식과 사회구조와의 관계성에 주목한다. 그것은 특히 사회구성원들이 가지는 믿음 이 그 사회를 실재 로서 구성하고 존립하게 하는 필수적 전제이며, 지식 이 그 믿음을 정당화 하는 근거라는데 초점을 둔다. 주자학이 일반적인 사회구조와 윤리적 관계에 밀접하게 관 련되는 만큼 이러한 관점으로 주희가 수립한 이론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유용한 통찰을 얻 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관점은 기존 사회질서의 고수나 혁신과 같은 양 극단 사 이에서 주희 철학에 내재된 주체성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포착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에 대해서는 그의 사회적 정체성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사대부의 관점에서 그의 이론 체계가 가질 수 있는 의미에 주목함으로써 논의되었다. 특히 격물론(格物論)에 주희의 문 제의식이 집약되어 있다고 보고 여기에 초점을 두었다. 지식사회학은 인공물인 사회적 구성물들이 어떻게 자연적인 실재로 받아들여질 수 있 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우리가 공유하는 일상의 세계 자체가 이런 방식 으로 구성된 실재이다. 주희의 철학은 이러한 일상적 실재에 그 정당화의 토대를 두는 동시 에 그러한 실재를 정당화하는 방식으로도 기능한다. 이러한 특징은 그의 철학에서 일상적 인 도덕규범을 우주론적인 체계로 종합하는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하지만 그의 철학이 단 지 일상적 실재를 정당화하는 의미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의 철학은 일상적 실재에 토대를 두면서도, 그 토대 위에서 사대부의 고유한 지위와 정체성을 정초하고 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라도 그 일상적 실재 자체를 능동적으로 변혁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This paper try to find some features of Zhu Xi s philosophy based on sociology of knowledge. The sociology of knowledge pays attention to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social structure. Particularly, it focused on that beliefs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is a necessary condition to construct and maintain the society as a reality, and knowledge is the ground to justify the belief that the society is real. We can gain useful insight by analyzing with the view of sociology of knowledge, for Neo-Confucianism is closely related with social structure and ethical relationship in the society. Furthermore, this view can be useful to grasp the meaning of practical agent in Zhu Xi s philosophy in the historical context. This paper try to grasp the meaning by to attention to the standpoint of Zhu Xi as Sadaeboo(士大夫). This analysis focuses especially on Zhu Xi s theory of investigation of things(格物) , because it seems that Zhu Xi s philosophical problems are concentrated this theory. Sociology of knowledge provide an explanation of how artificial social components can be accepted as natural realities . In fact, this ordinary world in which we live is itself such a constructed reality. This ordinary reality is the strongest reality, so the reality does not require further justification. Zhu Xi s philosophy is not only anchored in the ordinary reality, but, at the same time, justify it. This feature of his philosophy is expressed in the way that all ordinary practical norms are synthesised in united cosmological system. But, His philosophy is not only justify the ordinary reality. He also establishes the status and identity of Sadaeboo(士大夫). This identity involves the right to transform the ordinary reality, even in part.

      • KCI등재후보

        율곡학 심론의 전개와 심화 : 심心과 형기形氣와 기질氣質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제성 (재)한국연구원 2022 한국연구 Vol.- No.11

        율곡의 심성론은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와 ‘이통기국(理通氣局)’을 종지로 주자 철학을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관점을 수립하였다. 율곡학은 이기심성(理氣心性) 의 구분과 이기불리부잡(不離不雜)의 의미를 명료하게 부각시키면서 그에 내재한 철학적 함의나 문제의식이 수면 위로 표출될 가능성을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율곡 후학들은그에 따라 부각된 이론적 문제들에 대응하며 학술을 전개하고 심화시키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특히, 기의 역할을 강조하는 학문 체계 안에서 심(心)의 고유한 지위와 역할을 구체화하는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기(心氣)와 형기(形氣)의구분’·‘심(心)과 기질(氣質)의 구분’을 중심으로 그 논의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두 주제는 인심도심설과 호락논변이라는 중요한 사상사적 맥락과 궤를 같이 하는 가운데 율곡 심론(心論)의 심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Yulgok established a view, represented by ‘principle unifi es, material force delimits’, and ‘unity of the issuance of material force with principle mounting it’, for a consistent understanding of Zhu Xi’s theory. His theory mad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more prominent. The successors of Yulgok deepened discussions on these issues. Th is study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of the discussions. More specifi cally, we focused on the issue of distinguishing between mind-heart and physical force, and the issue of distinguishing between mind-heart and temperament. Th rough these investigations, we can identify a tendency for discussions about the feature and status of the mind-heart to deepen theoretically.

      • KCI등재

        인물성동이논쟁을 통해 본 노사(蘆沙) 이일분수설(理一分殊說)의 쟁점과 함의

        배제성 한국동양철학회 2022 동양철학 Vol.- No.57

        Ki Jeong-jin is the one of the most famous Neo-Confucian theoris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e is well known as a proposer of the theory of statements that there is only one Principle although the phenomena vary. He particularly emphasizes the role and authority of Principle. His arguments related to the theory were mainly raised in the work of Napryangsaeui. He, in this work, explicitly reveals the intention to resolve the issues of the nature of humans and things in the Ho-hak debate. But he has never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debate. Instead, after his death, some debates over Napryangsaeui arose between his students and Jeon Woo. This paper aims to analyze Ki Jeong-jin’s theory by comparison with the view of Han Wonjin who represents the theory of nature of humans and things in the Ho-hak school, and with the issues of debate between Ki Jeong-jin’s students and Jeon Woo. Particularly, we focused on the matter of relation between ‘completeness and incompleteness’ and ‘original nature’. Through this analysis, we could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aspects discussed in the theory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nature of humans and things, and the significance of Ki Jeong-jin’s theory. Furthermore,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we could shed light on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the philosophical statements that there is only one Principle but the phenomena vary. 기정진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성리학 이론가로 손꼽히며, 특히 리의 역할과 위상을 강조한 이일분수설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이일분수설은 「납량사의」라는 저술에 집중적으로 제시되었으며 여기에서 그는 호락논쟁의 인물성동이론에 대한 극복이라는 지향을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하지만 기정진 자신은 직접 관련 논쟁에 참여하지는 않았고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야 그의 문인들과 간재 전우 사이에서 「납량사의」 논쟁이 벌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호학의 인물성이론을 대표하는 한원진의 입장과 「납량사의」 논쟁의 쟁점을 참조점으로 삼아서 기정진 이일분수설의 특징과 함의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주요한 준거는 이들 모두에게서 주요한 쟁점이 되었던 ‘편전과 본연지성의 관계’라는 문제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조선 후기 인물성동이론이 논의된 양상, 그리고 그 안에서 기정진 이일분수설이 가지는 특징적 의미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인물성동이논쟁을 통해 이어진 본연지성 개념에 대한 탐구가 이일분수라고 하는 철학적 명제의 의미의 재구성으로 이어진 과정도 드러낼 수 있었다.

      • KCI등재

        외암 이간의 철학사적 지위 재검토-낙론 확립 과정에 미친 그의 영향을 중심으로-

        배제성 범한철학회 2024 汎韓哲學 Vol.112 No.1

        이간은 호락논쟁에서 낙학을 대표하는 참여자로 널리 알려졌지만 실제로 그는 호학의 일원이기 때문에 이러한 평가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특히 최근의 호락논쟁 연구에서는 호학과 낙학이라고 하는 학파적 맥락이 부각되면서 이간의 철학사적 위치는 다소 모호해졌다. 본 논문은 이러한 진전된 학계의 인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도, 그러한 맥락 안에서 이간의 철학사적 중요성을 구체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한다. 그것은 특히 낙학의 종지로 알려진 심・기질 분변의 입장을 수립하는 과정에 이간이 끼친 영향에 주목하는 방식으로 시도된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이간이 직접적으로 낙학의 학자들과 소통하면서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을지라도, 그의 주장이 이후 낙학의 형성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Oiam Yi Gan’s Position in the History of Philosphy in Joseon. Yi Gan is well known as a prominent participant in the Horak debate within Nak school. However, this evaluation is controversial, because he actually belonged to the Ho school, not the Nak school. Recently, since academic trend focusing on context of the debate among the schools has extended, Yi Gan’s position has become more ambiguous. While actively embracing this advanced understanding, this paper aims to examine Yi Gan’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in detail within that context. The investigation focuses on his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claim that mind-heart is distinct from temperamen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doctrine of Nak school. Through this, we will discover that Yi Gan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 KCI등재

        농암 김창협의 「사단칠정설」 연구 – 기호학내에서의 사상사적 의미와 호락논변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배제성 한국철학사연구회 2019 한국 철학논집 Vol.0 No.60

        This paper studies on the significance of Kim Chang Hyup(金昌協)’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In the history of Chosun(朝鮮) Neo- Confuciansim, Kim Chang Hyup, particularly, has received attention in two respects, his compromising thought between Toegye’s theory and Yulgok’s theory and his historical status as the first teacher of Nak-Hak(洛學). The understanding that Kim Chang Hyup claimed compromising thought between Toegye and Yulgok is mainly based on hi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This paper, however, analyzes hi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it claims important theoretical issues in thought of Yulgok School. Specifically, the theory of Kim Chang Hyup is analyzed through three problems. they are, first, ‘the distinction between ‘material force of mind(心氣)’ and ‘materical force of body(形氣)’’, second, ‘clean and dirty(淸濁) material force as the factor deciding whether to be good or evil’, and third, ‘fixed material force and fluid material force’. As a result, we could find that Kim Chang Hyup’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had a great impact on the whole of Yulgok School. 농암 김창협의 사상사적 지위는 크게 두 측면에서 주목받아왔다. 첫째는 퇴율절충론자라는 측면이고, 둘째는 조선 후기 기호학을 주도한 낙학계의 초대 종장이라는 점이다. 첫 번째 측면은 특히 그의 저술인 「사단칠정설」의 내용에 근거한 것이다. 반면, 본 논문에서는 그의 「사단칠정설」을 분석하되, 퇴율절충론의 측면보다는 기호학 내에서의 중요한 문제제기라는 점에 더 주목하였다. 그래서 ‘심기(주체)와 형기(대상)의 구분 문제’, ‘선악 결정의 원인으로서 기의 청탁’, ‘기질의 고정적 측면과 유동적 측면’의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농암 「사단칠정설」의 특징과 사상사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심기와 형기의 구분’은 농암의 심성론에서 강조되는 능소(能所), 즉 주체와 대상을 분명하게 구별하는 논리와 일관된다. 이것은 율곡의 인심도심설의 이론적 난점을 해소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는 한편, 「사단칠정설」의 논리적인 바탕이 되고 있다. ‘선악 결정의 원인으로서 기의 청탁’에 대한 농암의 입장은 퇴율 절충의 문제의식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호학과 낙학 양측 모두에 중요한 자극을 주어 사상사적으로 의미가 큰 문제제기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기질의 고정적 측면과 유동적 측면’을 구분한 농암의 논리는 호락논변에서 중요한 쟁점이 된 남당의 논리와 강한 상관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김창협의 「사단칠정설」은 퇴율절충의 범위를 넘어, 조선 후기 기호학의 사상적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저술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화서 이항로의 선악관과 역사의식 ‒역사적 주체 형성의 성리학적 기획‒

        배제성 한국철학회 2022 철학 Vol.- No.150

        Yi Hangno is known to represent the tendency to strictly defend the Joseon’s Neo-Confucian world. He was a person who was acquiring knowledge of Neo- Confucianism at the highest level of his time. This paper analyzed the way he, who devoted himself to confrontation with Western civilization, reconstructed the practical subjectivity of Neo-Confucianism. He reinterpreted the moral subjectivity of Neo-Confucianism as a kind of historical subjectivity. Yi Hangno, based on his Neo-Confucian knowledge, interpreted the conflict with Western civilization as a historical event and tried to persuade that resisting Western civilization is a universal moral task that everyone should pursue. Yi Hangno tried to synthesize Mengzi’s idea of defeating heresy, and the doctrine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which is a method of moral cultivation, and resistance to Western civilization. And he emphasized the role of ghosts in adjusting the gap between moral ideal and reality. In this regard,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subjectivity of Neo- Confucianism were discussed. 화서 이항로는 조선 말기에 굳건하게 성리학적 이념을 고수한 위정척사파를 대표하는 인물이자 당대 최고 수준의 성리학 지식인이었다. 본 논문은 그가 서양문명에 대한 대결 의식을 바탕으로 성리학의 실천적 주체성을 재구성한 방식을 규명한다. 그것은 성리학의 도덕적 주체성을 일종의 역사적 주체성으로 재해석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항로는 성리학적 지식을 토대로 서양문명과의 충돌이라는 상황을 역사적으로 의미화하면서, 서양에 대항하는 것을 모든 사람이 추구해야 할 보편의 도덕적 과제로 제시하려 하였다. 이항로는 맹자에 기원하는 벽이단의 이념, 인심도심의 도덕수양, 서양문명에 대한 투쟁을 하나의 과제로 통합하려는 시도를 한다. 하지만 이를 위해 선과 악의 이분법적 대립을 사뭇 강조한 그의 태도는 성선의 일원적 세계관, 도덕적 당위, 그리고 실제 현실 사이의 긴장을 심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이항로는 선과 악에 상응하는 복과 재앙의 실현을 보증함으로써 당위와 현실 사이의 괴리를 조정하는 귀신의 역할을 강조함을 통해 도덕적 세계관의 실재성을 보완하려 한다. 이에 관련하여 성리학의 도덕적 주체성에 내포된 특징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