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의 문화 내용 분석 및 학생과 교사의 인식 연구

        배소연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어인 영어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지식과 열린 마음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 영어교과서는 각국의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2011년도부터 학교현장에 적용되고 있는 중학교 3학년 개정 영어교과서의 문화 내용을 분석해보았다. 개정 교과서와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김지효(2008)의 논문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논하였다. 또한 교과서 분석과 함께, 교과서에 반영된 문화 내용에 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 및 의견도 조사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 결과이다.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소재항목별 비율은 ‘정치, 경제, 역사, 지리, 과학, 정보, 통신, 우주, 해양, 탐험 등 교양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19.44%)’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개정 교과서는 ‘타문화에 속한 사람들의 생활습관, 학교생활 등 일상생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14.71%)’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문화배경별 비율은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가 보편문화(39.34%), 영어권문화(31.15%), 한국문화(16.39%), 비교문화(8.2%), 비영어권문화(4.92%)의 순으로 나타났고 개정 교과서는 보편문화(50%), 기타문화(19.64%), 영미문화(12.5%)와 한국문화(12.5%), 대조문화(5.36%)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문화유형별 비율은 정신문화(46.97%), 행동문화(33.33%), 물질문화(19.7%) 순으로 나타났으며 개정 교과서는 정신문화(44.64%), 행동문화(39.29%), 물질문화는(16.07%)의 순으로 나타나 순위에는 아무런 변동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이다. 설문조사는 ‘문화에 대한 개인적 경험 및 인식’, ‘영어교과서에 반영된 문화 내용에 대한 인식’, ‘영어수업시간에 이루어지는 문화교육에 관한 생각’, 그리고 ‘교과서와 수업시간에 바라는 문화교육’이라는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로 TV, 영화를 비롯하여 교과서나 신문·잡지·인터넷 등을 통해 문화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요소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으며 수업시간에 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였다. 개정 교과서에 대하여는 37.33%의 학생들은 영어교과서가 다양한 국가를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였고, 56.67%가 다양한 인종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나라의 문화가 영어권국가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서에서 다루는 문화 내용의 중요성과 교과서를 통해 충분한 문화습득을 하고 있는가에 대하여는 모르겠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교과서의 문화 내용이 흥미로운지에 관하여는 48.66%가 긍정적이었지만 22%는 모른다고 답하였고, 29.34%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그들이 흥미를 느끼거나 느끼지 못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문화소재의 흥미도, 내용의 다양성 등이 있었다. 문화교육 방식에 관하여 학생들은 크게 상관없다고 답해, 교육 방식보다는 교과서에 반영된 문화 내용을 더욱 중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과서와 수업시간에 바라는 문화교육 조사 결과, 학생들이 교과서에 더 반영되기 원하는 소재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비교적 다양하게 나타났고, 문화배경은 영어권문화와 기타문화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문화유형은 행동문화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시간에 바라는 문화교육방식으로는 현재 교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교과서(9.95%)와 교사의 설명(5.88%)보다 영화, 음악, 사진 등의 시청각 자료(52.04%)를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터뷰 결과이다. 인터뷰에 응한 모든 교사들이 문화에 대한 지식이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며, 영어교육 시 문화지도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2007 개정 교과서가 다양한 문화를 고루 포함하거나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비해 문화 내용이 더욱 증가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향후 집필될 교과서를 위한 몇 가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앞으로 편찬될 교과서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나라들의 문화를 더욱 반영하고, 등장인물도 영어권만 소개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국가 출신의 등장인물들을 소개하며, 교과서의 각 단원마다 소개된 문화소재에 대한 구체적인 관련 자료를 제공할 것을 제언하였다. 한편 교사들은 수업시간에 문화를 지도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교사의 지식과 경험이 부족하고, 문화지도 자료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이러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으로 문화 강좌나 연수를 강화하고, 교과서나 지도서의 문화지도 내용을 확대·편성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문화교육과 교과서의 개선 방향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의 문화 내용의 변화가 필요하다. 제7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의 문화 내용을 비교했을 때, 소재나 배경 면에서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여전히 개선해야할 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소재항목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19가지 소재 항목을 골고루 다양하게 분포되도록 하되, 문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8번-11번 항목들은 반드시 포함을 시키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문화배경 역시 한국문화, 영미문화, 기타문화, 대조문화, 보편문화를 골고루 다양하게 포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개정 교과서 모두 보편문화의 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단원 수의 한계를 가진 영어교과서에 다양한 문화배경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보편문화의 비율을 줄여야만 한다. 다음은 문화유형이다. 문화유형은 물질문화, 행동문화, 정신문화의 비중을 고르게 포함하되,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행동문화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한다. 설문조사 결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은 추상적인 정신문화보다는 구체적인 행동문화를 더욱 쉽고 재미있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파악된 반면, 교과서의 반영 비율은 정신문화가 행동문화보다 11.31%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것은 현장에서의 교사들의 역할을 필요로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교과서의 문화 내용에 대해 그 중요성을 알고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교과서에 반영된 문화 내용에 대하여 그 중요성이나 필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과서가 다양한 문화를 소개한다 할지라도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가 준비되지 않으면 문화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 셋째, 교사들을 위한 문화수업 자료가 개발·보급 되어야 한다. 교사들이 문화교육에 어려움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시청각 자료 등 수업자료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것이다. 교사들이 수업시간에 문화교육을 어려움 없이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청각 자료 및 문화지도서 등 문화수업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결국 더 나은 문화교육을 위해서는 교과서의 개선뿐 아니라 학생들의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변화와 함께 문화교육을 위한 충분한 자료도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f the Cultural Content of 3rd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the Perspectives of Students and Teachers Bae, So Yeon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ultural content is properly presented in 3rd grade English textbooks and to investigate both student and teacher perspectives of the cultural content of those textbooks. To perform this study, the cultural content of five different textbooks is analyzed according to cultural elements in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Cultural backgrounds and cultural types are also reviewed for the analysis of English textbooks. It also investigates the perspectives and opinions of students and teachers towards cultural education and the cultural content of English textbooks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textbook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cultural content of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the proportion of non-English based culture(14.71%) is the highest. Second, with regard to cultural background suggested by Lado(1964), universal culture(50%) is widely distributed. After that, Non-English based culture(19.64%), English-based culture(12.50%), Korean culture(12.50%), and contrast culture(5.36%) are followed. Third, based on cultural type suggested by Bierstedt(1970), spiritual culture is the highest as 44.64%, behavioral culture is 39.29% and material culture is the lowest as 16.07%. The results of the surveys show that many students are interested in learning new culture and they primarily depend on the textbook for acquiring cultural knowledge. It was discovered that students prefer more concrete and practical cultural elements as compared to abstract ones. Students consider the cultural content of textbooks an important factor in the way of learning culture in class. The kind of cultural content that each student prefers is varied. Most students prefer English and Non-English based culture to universal culture. They also prefer behavioral culture as opposed to spiritual culture or material culture. The students questioned found that audio-visual materials were the preferred method of learning culture.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show that all of the teachers questioned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They agree that English textbooks should be revised by adding more detail and current cultural information. Teachers suggest that teaching materials and special cultur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ey can overcome the difficulty of cultural education in class.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English textbooks, surveys and interviews, this study puts forward the following three proposals. First, English textbooks should provide diverse cultural elements and cultural backgrounds. Universal backgrounds should be reduced. Material, behavioral, and spiritual cultures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However, the preference to behavioral culture by many students should be reflected in English textbooks. Second, students' attitudes and perspectives of the cultural content of English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eachers should help students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content of English textbooks and to acquire them naturally. Third, diverse teaching materials and special cultur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to utilize and to guide learners in acquiring knowledge of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 헌법상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연구

        배소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한민국 헌법 제31조는 교육에 관해 구체적으로 정하고 있으며 특히 제31조 제4항은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은 법률에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된다는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학생자살, 사교육문제, 교권실종, 학교폭력 등 심각한 문제들이 끊임없이 표출되는 교육현실을 마주하며 교육 전체를 아우르는 헌법상 원리가 증발하였으며 임시방편적인 미봉책들만 난무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은 장식적으로 이해되거나 교육활동에 관한 통제의 근거로 입법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무엇보다도 교육 자체가 그 목적과 방향성을 상실하고 있다는 가장 큰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영역에서의 인간성 혹은 인간주체성 회복과 교육의 민주공화주의 실현기능이라는 역할 수행을 위하여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의 가치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헌법이 지향하는 교육에 관한 청사진을 확인하고 바람직한 미래 교육을 구상한다.헌법상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 선언은 추상적인 가치선언에 그치지 않고 실제 교육영역에서 구체적인 가치 판단의 기준이 되어 교육주체 간의 관계 속에서 실효적으로 모든 교육활동의 지도원리로 기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교육기본법 기타 교육관련법률은 이를 충분히 구현하지 못하고 있으며 헌법재판소 및 각급 법원의 태도 역시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경계 없이 모호하게 나열하며 이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 원리가 헌법상 의의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먼저 각 원리가 독자적인 의미를 가지고 구별되고, 현실에서 실효성을 갖도록 구체적인 제도로 구현되어 보장되어야 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강조되지 않았던 교육 주체를 배려하고, 기존의 논의와 해석의 틀에서 벗어나 그 의의를 발전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자주성,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 간의 조화와 균형을 완성하여야 한다.결론적으로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이해는 인간중심적 관점의 회복을 바탕으로 인격주체성 완성과 민주공화국의 실현이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리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활동은 그 목적과 가치에 부합하게 행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개별구체적인 교육문제들에 대해 일관적인 진단과 해결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교육의 자주성은 교육자의 입장에서 강조되는 자주적 결정권 및 외부로부터의 통제와 간섭배제라는 종래의 의미에서 나아가 교육활동시 교육을 받는 자의 자주성과 인격이 배려되고, 교육 그 자체의 본질을 잊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로 확장되어야 한다. 민주주의 혹은 법치주의가 침범할 수 없는 배타적 교육영역이 아니라 오히려 이들 원리에 의하여 보장받고 이를 통해 헌법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교육활동의 자주성을 보장하는 것을 일차로 그 안에서 각 교육주체들 간 서로에 대한 자주성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교육이 실현되어야 한다.다음으로, 교육의 전문성은 교육의 특수성에 따라 교육전문가의 전문적 교육활동 보장이라는 기존의 의미를 바탕으로 현대 교육환경과 수준에 맞는 ‘전문성’의 의미를 살릴 필요가 있다. 엄격한 교원자격제도, 전문교원양성제도와 지속적인 검증과 연수제도를 통해 공교육을 회복하고, 표현 그대로 전문적인 교육활동이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진정한 교육의 전문성 원리가 보장되는 것이다. 교육의 목표와 가치에 맞는 각 개별 교육활동 및 교육행정의 전문적 수행을 위해 이론적 탐구, 재정확보와 함께 전반적인 교육환경과 시각에 대한 개선 역시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정치라는 단어에 매몰되지 말고 보다 완전한 ‘정치’의 의미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한다. 현재 교원에 대한 정치활동 제한이라는 틀로 도식화되어 있는 시각은 지속적인 논의를 통하여 균형을 회복하여야 하며, 궁극적으로 이는 ‘교육의 중립성’ 보장을 위한 원리로 해석되고 입법화되어 앞의 두 원리와 함께 교육활동의 기둥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은 교육의 본질과 목표를 잊지 않고 그 실체적인 의미를 회복할 수 있을 때 비로소 다른 헌법상 지도원리들과 함께 대한민국 교육의 기본이념으로서 헌법상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예술고등학교 청음교육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 감상제재곡을 활용하여

        배소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술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청음수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자는 그동안 선화예술고등학교의 시창․청음 수업을 하면서 기존의 청음교육방법에 몇 가지 문제가 있다고 생각했다. 예를 들면 인위적으로 작곡된 8마디 악곡을 프레이즈에 관계없이 두 마디씩 나누어 들려주는 방법, 음악의 여러 요소들을 무시하고 음고와 리듬을 파악하게 하는 방법, 피아노 음색만을 대상으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여러 학자들의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이미 존재하고 있는 음악을 청음교육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연구하게 되었다. 청음을 지도하는 방법으로는 기존에 행해지던 음고와 음가만을 듣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음정관계 듣기․리듬 듣기․음색 듣기․구조 및 형식 듣기 총 4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는데 이들 각 영역에 적합한 음악선곡은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감상영역 제재곡으로 제한하였다. 그리고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3차시에 걸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직접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설문조사로서 학생들의 반응과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음악교과서 감상제재곡을 활용하여 청음수업을 하는 것이 기존의 청음수업방법을 보완하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지만 3차시의 제한된 수업 결과로서 한계점이 있다. 청음교육을 가장 효과적으로 지도하는데 하나의 분명한 정답은 없겠지만 지금의 방식에 머물지 않고 좀 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교육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ighly efficient teaching methods in ear-training at arts high school in Korea. With experience of teaching in ear-training class at Sun-Hwa Arts High School, there might have a couple of problems in ear-training previously taught in most arts school these days. For instance, most of Arts Schools in Korea had used to play each two measure of eight measures musical examples temporarily composed, or to let students recognize pitches and rhythms regardless a number of music elements such as musical phrasings, or to utilize piano sounding rather than other instruments; this would be limited for students to be familiar with piano tone color.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the method of application of teaching in ear-training class with playing the familiar excerpts with music theories of music educators in the process of supplement of these questionings. In these various teaching methods of ear-training, this thesis has been categorized four different parts of teaching methods into the listening to intervals, rhythms, timbre, and structure in various styles of the music examples, rather than listening in pitches and note values in rhythm. Moreover, most listening music examples are utilized the excerpts from listening examples in the text books of high school freshmen year. Furthermore, to have a chance to teach for trial, this study of teaching method had been applied to ear-training class with course plans for three weeks in Sun-Hwa Arts High School at three times a month during last semester. After all three classes, the students carried out survey the output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the classes with different approaches. Meantime, it turns out the result that this study would be one of the effective teaching approaches with the excerpts which are sounded familiar to the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unfortunately, this study might be rarely able to have opportunities to apply at a certain school. Accordingly, there might be no correct answer to teach the class, however, I look forward to improving of music education in Korea with exploring the teaching methods in various manners.

      • 어린이 경제교육 사이트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배소연 한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어린이 경제교육 사이트의 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친환경디자인대학원 아동미술디자인전공 배 소 연 국민생활에서 경제가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돈의 소중함과 관리방식을 모르는 경제문맹현상은 생활에 불편을 주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무분별한 신용카드 사용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우리나라 국민들의 경제교육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졌다. 특히 경제교육은 실제 사회생활에서 스스로 자립하여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본교육이라는 점에서 어린이들에 대한 경제교육의 중요성이 더욱 더 강조되고 있다. 어린이들은 미래의 소비 주체인 동시에 우리 경제를 이끌어 나갈 주춧돌이다. 이들에게 올바르게 생산하고 소비하는 일을 가르치는 것은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현재의 상황은 어떠한가? 학교에서는 과거에 가르치던 개념 정립 위주의 이론 교육으로 일관하고 있고 가정에서는 자녀들에게 올바른 생산과 소비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현재 초등학교의 교과 과정에는 실과와 사회 과목에 경제 관련 단원이 있는 것 외에는 준비된 경제교육과정이 전혀 없는 상태이다. 각 시⋅도 교육청이 몇몇 경제교육 시범학교를 지정하여 실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약간의 지원금 외에 다른 지원이 없을 정도로 경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따라서 학부모들은 사회단체와 사설기관의 경제교실과 경제캠프에 자녀들의 경제교육을 맡기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제교실과 경제캠프는 몇몇 사회단체에서 주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많은 비용을 요구하는 곳이 대부분이어서 또 다른 사교육을 위한 고비용 지출이 발생하게 된다.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어린이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찾아내고 나아가 새로운 정보를 창조하는 창의성을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방법의 변화 속에서 어린이들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스스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해가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해야 하며 보다 개별화된 학습자 중심의 교육 환경을 갖추고 다른 학습자들과 협력하여 지식을 생산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어린이 경제교육 사이트(이하 CEES라 칭함)와 같은 새로운 경제교육 매체의 등장은 기술의 진보나 새로운 발명에 의존하지만 기술적 특성 못지않게 실제 이용자의 태도나 심리적 속성 또한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이러한 매체의 발전 방향이나 그에 따른 기술적 진보는 이용자들의 행태나 요구에 부합하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 경제교육 매체에 대한 접근은 대체로 기술 발전이나 정책 수립 등 주로 거시적인 관점의 논의가 이루어져 왔고 매체 이용자인 개인적 차원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이론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왜,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CEES를 이용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얻게 되는 충족은 어떠한 것들인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CEES의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그리고 미디어 이용에 따른 충족 사이에 어떠한 관계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CEES 이용동기와 이용행태 간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CEES 이용자들의 미디어 이용동기에 따라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오락추구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상적이고 습관적인 이용행태를 보이는 반면, 정보추구를 목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계획적 이용행태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CEES 이용행태와 이용충족 간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CEES 이용행태가 이용에 따른 충족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계획적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정보 획득에 대한 충족과 CEES의 기능적 편리함에 대한 충족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EES 이용동기와 이용충족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 결과는 CEES 이용동기에 따라 CEES 이용에 따른 심리적 만족 즉, 충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CEES 이용에 있어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목적이 높을수록 CEES가 제공하는 고품질의 다양한 정보 획득에 대한 충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CEES의 기능적 편리함을 이용하기 위한 목적이 높을수록 CEES의 편리한 기능에 대한 충족감은 물론 편리한 기능 이용에 따른 정보 획득의 용이성에 대한 충족감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람들이 재미와 즐거움과 같은 오락 측면에서의 충족감을 획득하는 데는 정보추구, 편리한 기능의 이용, 오락과 휴식 등과 같은 다양한 이용동기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EES 이용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충족과 만족 요인을 확인하는 일은 경제교육 시장 진입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이다. CEES 운영 업체들은 이용자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통해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 기대, 니즈(needs)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맞춤형 서비스로 개발함으로써 CEES의 지속적인 성장과 확장을 위한 계기를

      • 헌법상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연구

        배소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Article 3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uarantees the right to education as a fundamental rights. This right is the basic right to realize the ideology of the cultural and democratic welfare states pursu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essential right to be the basis of other fundamental rights. To realize the right to education, the Constitution mandates through article 31(4) to ensure the independence, professionalism and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by law. Among them,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political neutrality in education’ is limited to supporting the nation’s excessive regulations on education or justifying the comprehensive prohibit on political activitie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as stipulated by the Constitution is to ensure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not to limit the political fundamental rights of teachers. In particular, the future generation responsible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a constitutional community based on the values of liberal democracy has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including political education. The exclusion of all political elements from the education and adherence to passive methods that do not address controversial topics whether meets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political neutrality in education.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pursued by the Constitu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party political neutrality’. This means that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should not reveal party political partisanship, including religious sectarianism, on the basis that education should not be dominated or tooled by state power or specific political forces. The current education legislation system is formed with minimum declarative rules on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as well as regulations that comprehensively and wholly prohibit teachers from engaging in political activities. There is a problem that article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6(1) and article 4(3)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which stipulate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n the legal stage, did not specify ‘who’ should remain politically neutral. There is a problem that Article 6 of the Framework Act on Education, which stipulates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n the legal stage, and Article 4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did not specify who should remain politically neutral. In addition, the sanctions rule on cases where political neutrality is violated is unclear, and the government does not differentiate between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each education party, such as the stat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eachers. Furthermore, the current legal system, which wholly prohibit teachers from engaging in political activities,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erms of harmoniz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with the fundamental political rights of teachers. Ensur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s also an important task for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should not be used as a basis for indiscriminately defending or supporting the position of the centr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education ministry, education superintendents and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should seek improvements to minimize confusion among education parties in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process of education's political neutrality. As a prior condition, the standards of conduct per education party may be presented at a minimum in education administr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clarify the role of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body to restore the rights of educational parties whose right to receive education has been violated, and to supplement follow-up procedures and systems. The interpretation of th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hich vaguely estimate the correlation between guaranteeing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and prohibiting teachers from political activities, should be improved. There are inherent limitations for the court to present objective criteria for judging whether violates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The judiciary should actively perform its function of monitoring and checking whether other state agencies are undermining or reducing their constitutional meaning, away from a passiv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t is more important that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function effectively as a basis for examination standards, than which textbook system is adopted. The limits of the national educational authority to maintain political neutrality should be specified even if the state intervenes in the content and methods of education through the curriculum. Strong regulation of teachers’ political rights does not guarantee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n particular,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inevitably has a political character that entails value judgment. Thus,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n democratic civil education is embodied in the principle of how to teach. This, at least, prohibits partisan and biased bias delivery or brainwashing. It also means to reproduce political topics in sufficient dispute and ensure opportunities for free discussion and participation. After all, social consensus of community members must be made through the educational field and political process in order to determine how and level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s guaranteed. For this purpose, discussions on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should not be reduced to excluding political elements from education.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ultimately realizing ‘neutrality of education’ to insure the right to receive education. 교육은 개인이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바탕으로 인격을 형성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조건인 동시에 국가사회적으로 공동체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헌법 제31조는 이러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기본권으로 보장하고 있는데, 이 권리는 대한민국헌법이 지향하는 문화국가와 민주복지국가의 이념을 실현하는 방법상 기초이자, 다른 기본권의 기초가 되는 기본권이다. 이처럼 중요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실현하기 위해 헌법은 제31조 제4항을 통해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할 것을 명령하고 있다. 이 중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해석과 적용이 교육에 관한 국가의 과도한 규제를 뒷받침하거나 초·중등 교원의 정치활동을 포괄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논의 범위에 그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헌법이 규정하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지 교원의 정치활동을 금지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특히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토대로 헌법공동체를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할 책임 있는 미래 세대는 정치교육을 포함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교육영역에서 모든 정치적 요소를 배제하고, 논란 가능성이 있는 주제를 다루지 않는 소극적 방법을 고수하는 것만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적 의미를 최대한 실현하는 것인가에 관해서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정치적 중립성은 서로 대립하는 편이 있음을 전제로,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거나 모든 편을 동등하게 대우하는 것이다.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할 주체는 소극적인 의미에서 어느 편에도 치우치지 않는 태도를 유지하여야 하고, 적극적인 의미에서 공정하게 처신할 책임을 진다. 헌법이 추구하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정당정치적 중립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것은 교육이 국가권력 또는 특정한 정치세력에 의해 지배되거나 도구화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기초로,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이 종교적 종파성을 포함한 정당정치적 당파성을 드러내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행 교육입법체계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최소한의 선언적 규정과 함께 교원의 정치활동을 포괄적이고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규정들로 형성되어 있다. 교육기본법 제6조 제1항과 평생교육법 제4조 제3항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교육이 정치적·파당적 또는 개인적 편견을 전파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되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을 중심으로 법률단계에서 구체화하였다는 의미가 있지만,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 할 주체를 명시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정치적 중립성을 위반한 경우에 관한 제재규정이 명확하지 않고, 국가와 교육기관, 교원 등 교육당사자별 역할과 책임을 구별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보인다. 한편, 교원의 정치활동을 포괄적이고 전면적으로 금지하는 현행 교육 관련 법률체계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는 방법이 교원의 정치활동 금지로 전부 대체되지 않아야 한다는 점에서 재고될 필요가 있다. 교육을 운영하고 감독하는 교육행정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광범위한 재량영역이 존재하는 교육행정에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중앙 교육행정기관의 입장을 무비판적으로 옹호하거나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로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또, 교육부와 교육감, 시·도교육청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해석과 적용과정에서 대립 관계를 형성하는 문제는 교육당사자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선점을 모색하여야 한다. 교육행정 차원에서 사전적 조건으로 교육당사자별 행위기준을 최소한 제시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침해된 경우, 일회적이고 사후적인 처벌에 그치기보다 교육을 받을 권리가 침해된 교육당사자의 권리를 회복하기 위한 교육행정기관의 역할을 명확하게 하고, 후속 절차와 제도를 보완하는 것도 필요하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교원의 정치활동을 포괄적으로 금지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충분한 근거가 되는가의 문제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오래된 사법적 쟁점 중의 하나이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과 교원의 정치활동 금지 간의 상관관계를 막연하게 추정하거나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의무에 관한 논리를 별다른 검토 없이 원용하는 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해석 태도는 개선되어야 한다. 한편, 어떠한 행위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위반에 해당하여 처벌 대상이 되는가에 관해서는 법관에 따라 판단결과가 달라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법원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위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하기에는 본질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법부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적 의미를 소극적으로 해석하는 태도에서 벗어나 다른 국가기관이 그 헌법적 의미를 훼손하거나 축소하고 있지 않은지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기능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교육현장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교육 쟁점에 적용될 수 있다. 교육내용의 중립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교과서 제도를 채택하는가의 문제보다 교과서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심사기준으로 유효하게 기능하는 것이 더 의미 있다. 한편, 국가가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에 개입하는 경우에도 정치적 중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국가교육권의 한계가 명시되어야 한다. 교육내용에 관한 심사기준으로서 정치적 중립성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배제하고, 평등을 보장하는 것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보장이 교사의 모든 정치활동에 대한 금지로 도식화되어 있는 부분은 꾸준한 논의를 통해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정치교육은 필연적으로 가치판단을 수반하는 정치적 성격을 가진다. 민주시민교육에서 교육방법에 관한 원칙으로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은 최소한 당파적이고 편향적인 편견을 전달하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에서 나아가 교화와 일방적 주입을 금지하되, 정치적 주제를 충분히 논쟁적으로 재현하고, 자유로운 토론과 참여의 기회를 보장할 것을 요청하는 것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결국,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는 방법과 그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교육현장에서부터 교육영역에서 준수되어야 할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정치과정을 통해 사회적 합의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담론이 ‘정치’라는 단어에 매몰되어 교육에서 정치를 부정하는 의미로 축소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궁극적으로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적 의미를 실현하기 위해 ‘교육의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관점에서 논의가 활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 한국춤 무형문화재 태평무 전승 참여동기 척도 개발

        배소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형문화재 태평무 전승에 참여한 강선영류 태평무 전승자를 대상으로 태평무 전승 참여동기 요인을 도출하여 측정척도를 개발한 후, 태평무 전승자의 특성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척도 구성, 척도 검증, 가설검증으로 3단계로 나누어진다. 첫째, 한국춤 무형문화재 태평무 전승 참여동기 척도 구성은 문헌조사와 델파이 조사, 전문가 집단 토의, 전문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진행하였다.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63명의 태평무 보유자, 이수자, 전수자들을 대상으로 질문지의 원자료에 근거하여 초기문항과 요인을 도출하였다. 질적 연구에서 도출된 태평무 참여동기 문항은 전문가 집단 토의를 통해 측정요인을 개념화한 결과 1차 영역에서 60개 문항이 범주화되었고 2차 영역에서는 21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범주화된 3차 영역에서는 친근 지향성, 상호 교류 지향성, 작품 매력 지향성, 정체성 지향성, 보상 심리 지향성, 전문 지향성으로 총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최종 문항과 요인은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내용 타당도를 구축하였다. 둘째, 한국춤 무형문화재 태평무 전승 참여동기 척도 검증은 설문 조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평균분산추출 과정을 거쳐 진행하였다. 본 조사에 참여한 태평무 이수자, 전수자, 대학 무용 전공자, 문화센터 수강자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총 317부의 설문지를 통해 척도를 검증한 결과 작품 매력 지향성 5문항, 정체성 지향성 4문항, 보상 심리 지향성 3문항, 전문 지향성 5문항으로 총 4요인 17문항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한국춤 무형문화재 태평무 전승 참여동기 가설 검증은 일원변량분석 과정을 거쳐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척도를 가지고 태평무 전승자를 대상으로 소속, 무용 기간, 연령에 따른 집단 간 참여동기 차이를 구명하였다. 소속에 따른 태평무 전승 참여동기 차이는 작품 매력 지향성, 정체성 지향성, 보상 심리 지향성, 전문 지향성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용 기간과 연령에 따른 태평무 전승 참여동기 차이는 정체성 지향성, 보상 심리 지향성, 전문 지향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혼합방법론을 사용하여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한국춤 무형문화재 태평무 전승 참여동기 척도를 최초로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선행연구의 측정 도구에서 제시되지 않았던 정체성 지향성, 작품 매력 지향성, 친근 지향성의 3개 참여동기 유형이 구명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참여동기 요인과 태평무 전승자의 특성변인에 따른 차이검증을 구명하는 것은 추후 태평무 전승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열었다는 것에 중요한 함의를 지니며, 앞으로 본 척도를 통해 효용성 높은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척도를 활용하여 지역 분포 측면을 고려한 다양한 집단과 변인에 맞춰서 시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척도를 활용하여 공연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 만족도, 몰입도, 가치 인식도, 무용 지속의도 등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성을 검증할 수 있다. 셋째, 본 척도를 심리학적 접근, 인류학적 접근, 사회학적 접근, 미학적 접근으로 분류하여 연구한다면 다차원적이며 폭넓은 후속 연구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of Taepyeongmu participation motivation by applying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to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transmission of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92 Taepyeongmu(Kang Sun-young style) and then verify the difference among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process of research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scale composition, scale verification, and hypothesis verification. The stage of the scale composition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survey, Delphi survey, expert group discussion, and expert opinion collection process. Initial questions and factors were derived based on the original data of the questionnaire for 63 participants who are Taepyeongmu holder, Taepyeongmu certified trainees and Taepyeongmu successors. As a result of conceptualizing the measurement factors through expert group discussion; 60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primary area, 21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secondary area, and 6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tertiary area of participation motivation. Therefore, a total of six factors were derived: friendly orientation, mutual exchange orientation, work attractiveness orientation, identity orientation, compensation psychological orientation, and professional orientation. These results were constructed by collecting expert opinions. The stage of the scale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verage variance extraction. The quant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17 people who were Taepyeongmu certified trainees, Taepyeongmu successor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and those who attended the cultural center. The survey tool i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five-point Likert scal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cale, a total of 4 factors, 17 questions, were derived as 5 questions of work attractiveness orientation, 4 questions of identity orientation, 3 questions of compensation psychology orientation, and 5 questions of professional orientation. The stage of the hypothesis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a One-way ANOVA analysis. With a measure of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ed, the difference i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mong groups according to affiliation, dance period, and age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i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transmission of Taepyeongmu according to affiliation,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work attractiveness orientation, identity orientation, compensation psychology orientation, and professional orientation. The difference in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the transmission of Taepyeongmu according to the dance period and 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dentity orientation, compensation psychological orientation, and professional orientation. Using the mixed methodolog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by developing the transmission participation motivation scale for Taepyeongmu that did not exist for the first time. It is meaningful in that three types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identity orientation, work attraction orientation, and friendly orientation, which were not presented in the measurement tool of previous studies, were identified.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verification according to these factors of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and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of Taepyeongmu participants has important implications in that it opene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Taepyeongmu transmission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highly effective tool through this scale in the future.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the scale to try according to various groups and variables considering the aspect of regional distribution. Second, using this scale, it is possible to verify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variables such as influence on performance satisfaction, satisfaction, immersion, value perception, and dance continuity intention. Third, it will be a multidimensional and extensive follow-up study if someone analyses with a psychological approach, an anthropological approach, a sociological approach, and an aesthetic approach using the scale.

      • 직업상담사의 자기성찰이 주관적 경력성과(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

        배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변화와 발전, 코로나19 영향으로 사회 전반의 직업군이 변화하고 전문화되고 있어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직업상담사의 역할이 중요시된다. 고용서비스의 민간위탁 확대에 민간고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직업상담사들의 전문성은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직업상담사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직업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나 연관성 있는 교육, 직업상담사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문성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직업상담사와 직업상담사가 속한 조직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직업상담사의 자기성찰이 주관적 경력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 전문성인식 향상을 위한 방법에 접근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고, 직업상담사의 자기성찰이 주관적 경력성과(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성찰이 주관적 경력성과(경력만족과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업상담사의 자기성찰이 주관적 경력성과(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영향 관계, 직업상담사의 자기성찰은 전문성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직업상담사의 전문성인식은 주관적 경력성과(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직업상담사의 자기성찰은 주관적 경력성과(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문성인식은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고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직업상담사 대상으로 하였고 온라인으로 268부의 설문을 회수하였으며, 이 중 중요한 문항을 누락한 2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66부를 본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최종 데이터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검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과 Scheffe를 이용한 사후검증, Pearson 상관관계 분석, Baron과 Kenny(1986)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찰의 차이분석결과로 나온 차이는 나이, 자격증의 종류, 기관활동분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기성찰이 주관적 경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이 주관적 경력성과의 하위요인 중 경력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성찰이 전문성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성인식이 주관적 경력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전문성인식은 주관적 경력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성찰은 주관적 경력성과(경력만족과 경력몰입)의 관계에서 전문성인식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성찰의 하위변인인 자기이해와 상호작용과 주관적 경력성과의 하위변인인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은 전문성인식에 모두 완전 매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전문성인식이 직업상담사의 주관적 경력성과(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역할의 중요성을 밝혔다. 이는 직업상담사의 자기성찰이 필요하며 전문성인식이 높으면 주관적 경력성과(경력만족과 경력몰입)가 더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전문성인식은 자기성찰의 하위변인인 자기이해와 상호작용, 그리고 주관적 경력성과의 하위변인인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왔다. 이는 직업상담사가 전문성인식의 자기성찰과 주관적 경력성과의 영향에 대한 시사점으로 첫째, 직업상담사의 전문성인식을 위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직업상담사가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조직 차원에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직업상담사의 자기성찰과 전문성인식을 향상될 수 있도록 직업상담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직업상담사로 전문성인식을 높이기 위한 실천 방법으로 직업상담사들과 서로 상호작용과 네크워크 형성하고 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ue to rapid change and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COVID-19, occupational groups across society are changing and becoming more specialized, so the role of job Counselors providing employment service is gaining importance. The professionalism of job Counselors providing private employment service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expanding the consignment of employment service to the private sector. However, despite this importance, research on the expertise of job Counselors is insufficient. More effective efforts to enhance methods or related education to increase vocational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of job Counselors are needed. To do so, the job Counselors and the organization to which the job Counselors belong will have to engage in continuous efforts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ism and improve profession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in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job Counselors’ self-reflection on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and to approach methods to improve professionalism awareness. Differences in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the effect of self-reflection of job Counselors on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have been verifi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of job Counselors on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how self-reflection of job Counselors affects professionalism awareness; how the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job Counselors affects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and, does professionalism awarenes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job Counselors' self-reflection on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job Counselors providing employment service, and 268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online, and 266 copies were finally used as data for this study, excluding two copies that omitted important questions. For the final data,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ost-test using Scheff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by Baron and Kenny (1986)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program.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difference produced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 analysis in self-refle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ype of certificate, and field of institutional activity. Second, in the effect of self-reflection on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self-refle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involvement among sub-factors of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gnificant effect of self-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awareness,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n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ism aware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professionalism awareness was found to play the role of full mediation. Self-understanding and interac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refle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which are sub-variables of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were fully mediated by professionalism awareness. Through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professionalism awareness on the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of job Counselors was identified. This shows that self-reflection of job Counselors is necessary and that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can improve if the professionalism awareness is high. Also, professionalism awareness was proven to be fully mediating self-understanding and interac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reflection, and career satisfaction and career involvement as sub-variables of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For the implications on the influence of job Counselors' self-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awareness and subjective career performance, first, it suggests that systematic and organizational support is necessary for professionalism awareness of job Counselors, and various methods are need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by job Counselors and enhance their professionalism. Seco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 for job Counselors are needed to improve their self-reflection and professionalism awareness. Also, as a method of practice to increase professionalism awareness as a vocational counselor, it suggests the need to support job Counselors to interact and form a network and support them so that they can become professionals.

      • 광고의 장르적 특성과 모델 연기에 관한 연구 : TV 광고의 특정 장르를 중심으로

        배소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고는 소비자에게 상품에 관한 정보를 알려주고, 제품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주며, 합리적인 소비의식을 훈련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광고는 단순히 상품을 팔기 위한 수단이 아닌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 그리고 인간의 라이프스타일을 지배하는 가장 영향력 있는 대중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다양한 상품으로 인해 제품의 차별화가 어려워지면서 광고모델의 영향력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때문에 광고모델은 자신만의 매력으로 소비자들을 설득하여 광고효과를 높이는 매개체의 역할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하지만 광고에서는 광고 연기자라고 하지 않고 '모델' 이라고 부른다. 왜 연기자 혹은 배우라고 하지 않는 것일까? 대다수의 광고에서는 광고모델의 연기력보다는 판매하려는 제품 혹은 모델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들도 카메라 앞에서는 연기를 해야만 한다. 그러므로 연기의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오히려 광고 속 연기의 특성을 찾아내어 광고모델의 연기적인 측면이 강화 될 때 광고는 훨씬 설득력이 높아지므로 소비자들의 공감이 형성되는 광고가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광고의 설득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수단인 광고모델과 표현방식인 광고 속 연기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무대연기, 영상매체연기(영화, 드라마)와 구별되는 TV광고라는 매체 속에서의 광고연기의 특성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광고 속 연기의 특성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광고연기의 실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Commercial films or commercials give product information, present an opportunity for consumers to make a product choice, and instill in them rational buying habits. Thus, commercials are not just a method used for selling products, but an extension of mass culture that influences the thoughts and behaviors of people and, in essence, dominates people's lifestyle. As it is becoming more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 ever-increasing variety of products, the role of commercial model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at i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appeal to the audienc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ercial. However, people in commercials are often simply referred to as "models" instead of "actors". Why are they not referred to as actors? Most commercials tend to use either the product itself or the image that the model possesses rather than the acting ability of the model to convey a message. But as models must act even in such situations, they must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acting. In fact, whe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cting in commercials are properly understood and exploited,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ercial could be heightened and elicit stronger sense of empathy from the audience. In this research, the importance of acting in commercial is emphasized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nventional acting (in films, dramas, or on stage) and acting in commercials with the hopes that a more effective acting would be possible for models in commercials through such understanding.

      • 친환경 식품 시장 진입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 리뉴얼 연구 : 롯데상사 엘그로 한끼톡톡 쌀 중심으로

        배소연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롯데상사의 ‘엘그로(L’grow) 한끼톡톡 쌀 브랜드 재활성화’에 관한 연구이며, 재활성화를 위한 디자인 리뉴얼 시 친환경적인 시각적 표현요소의 변화가 소비자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 및 검증을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배경은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 이후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친환경 식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면서 달라진 시장 변화에 맞게 제품을 재활성화하기 위해 리뉴얼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그리고 범람하는 친환경 식품들 사이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리뉴얼 시 효과적인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 먼저 친환경 식품 시장 현황 및 전망을 다루었으며, 패키지 디자인 리뉴얼 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해 선행논문을 참고하여 디자인 평가지표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친환경적 소비자 유형 및 소비자 태도에 대한 이론에 대해 정리하였다. 실험자극물을 제작하기 위해 총 6개의 국내 대표적인 친환경 식품브랜드(초록마을, 올가홀푸드, 한 살림, iCOOP 자연드림, 해빗, 헬로네이쳐)와 국내 오픈마켓 TOP3(쿠팡, 11번가, 위메프)에서 유기농 쌀로 검색했을 때, 상위노출 광고를 제외한 가장 인기순위인 제품으로 한정 지어 사례조사를 하였다. 사례분석 틀을 제작하여 친환경 쌀 패키지의 시각적 표현요소를 분석하였으며 브랜드가 내세우고 있는 디자인 차별화 전략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리뉴얼 전 한끼톡톡 쌀 패키지 디자인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분석하기 위해 총 5명의 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1차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전문가 조언을 반영해 리뉴얼 시 패키지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총 3가지의 실험자극물(일러스트 강조형 디자인, 텍스트 강조형 디자인, 사진 강조형 디자인)을 제작하였으며, 그중 한 가지 시안을 선정하기 위해 앞서 진행했던 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 심층 인터뷰 및 101명의 예비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심층 인터뷰에서 ‘텍스트 강조형 디자인’이 선정되었고 또한, 101명의 예비 설문 조사에서도 ‘텍스트 강조형 디자인’이 선정되었다. 최종 선정된 실험자극물은 리뉴얼 전 한끼톡톡 패키지 디자인과 비교하기 위해 마지막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200명의 친환경적 소비자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2021년 4월 24일부터 4월 30일까지 6일 동안 진행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2 통계분석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쌀 구매 행동에 관한 소비자 조사에서 나타났던 친환경 식품 패키지 디자인 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3가지 요소(제품정보, 이미지, 브랜드)와 리뉴얼 후 패키지 디자인을 선호하는 이유가 일치하였다. 둘째, 리뉴얼 후 한끼톡톡 패키지 디자인은 리뉴얼 전보다 인지적, 감정적, 행동의욕적 반응에서 모두 높게 나왔다. 이는 리뉴얼 후 한끼톡톡 패키지 디자인의 친환경적인 시각적 표현요소가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한다. 셋째, 리뉴얼 후 한끼톡톡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유형별 소비자 태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 소비자와 친환경적 소비자의 인지적 반응 및 감정적 반응의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행동의욕적 반응에서 친환경적 소비자가 더 높은 결과 값이 나왔다. 본 설문을 통해 친환경 쌀 패키지 디자인 시 중요한 시각적 표현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에 소비자 선호도를 높이는 데 있어 큰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그리고 본 논문의 사례분석표와 리뉴얼 시 디자인 평가지표는 친환경 식품패키지 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활용되길 기대하며, 건강과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요즘 친환경 식품 시장에서 차별화되는 패키지 디자인 전략으로 경쟁에 있어 우위를 가져가길 바란다. This is a study on the L'grow Hanki Toktok rice brand. Specifically, it is a study to identify and test how redesigning it into a more eco-friendly visual expression affects consumers.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is that, with the advent of the COVID-19 pandemic, there have been an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who want to purchase eco-friendly food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renew the design of the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ective design strategy to secure competitiveness among numerous eco-friendly food brands in the market. In the theoretical part, this study, first, dealt with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prospect of the eco-friendly food market. Referring to existing research papers, it revised the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to get objective evaluation of the package design. In addition, it discussed theories on types and attitudes of consumers favoring eco-friendly foods. To produce experimental stimuli, this study chose well-known eco-friendly food brands in Korea (Choroc Maeul, ORGA Whole Food, Hansalim, iCOOP Jayeon Dream, Hav’eat, and Hello Nature) and the most popular online brands in the category of 'organic rice' in the TOP 3 open markets in Korea (Coupang, The 11th Street, and We Make Price). By creating the analytical frame to examine the cases, this study analyzed visual expression elements of them, and tried to figure out the strategies to differentiate their brands. And, before renewing the Hanki Toktok rice package design, to analyze problems of the brand design, and seek ways to improve it, this study did in-depth interviews to five design specialists. Then, reflecting their advices, this study produced the renewed package design of the brand. This study generated 3 kinds of experimental stimuli: illustration-emphasizing design, text-emphasizing design, and photo-emphasizing design. Then, to choose one among the three designs, this study did in-depth interview to specialists, and did preliminary survey to 101 consumers online. Specialists preferred 'text-emphasizing design', so did 101 consumers. To compare the finally chosen experimental stimulus with the pre-renewal Hanki Toktok package design, this study did the final online survey. The survey respondents were eco-friendly consumers and other common consumers.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was 200.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 days from April 24 to 30, 2021.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2.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most important elements (product information, image, and brand) in eco-friendly food package designs consumers pointed out in the survey on rice purchase were the very reason why respondents favored the renewed design. Second, all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willing responses to the renewed design were higher than those to the previous design. It proves that the eco-friendly visual expression of the renewed design was effective to consumers. Third, in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s to the renewed desig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co-friendly consumers and common consumers. However, in behavior-willing response, the former group was higher than the latter group. This study revealed what important visual expression elements are important in eco-friendly rice package design.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help designers of eco-friendly rice package design to find ways to boost consumer preference to eco-friendly good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case classification table and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this study developed will be used for developing food package designs, and that, in the age where consumers conscious of health and environment are increasing, those designers will secure competitive advantages with differentiated package design strategies in the eco-friendly food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