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의금의 귀속과 분배를 둘러싼 법률관계

        배병일(Bae, ByungIl) 한양법학회 2012 漢陽法學 Vol.23 No.3

        Relief money is the condolence money which gives for condolers and comes to pay their respects at the deceased’s funeral. Now and then the bereaved quarrel about sharing of relief money taken with their parents’s death. Devolving and sharing of relief money is different from the custom of the nation, region or province, clan or family which the deceased belong to. Relief money is contributed for funeral expenses, and then donated consideration for bereaved family’s economic pain. The Characteristics of Relief money is free real donation which mourners give the bereaved. Devolving of relief money depends on consent of the deceased family, first of all. If not agreed, considered to willing of condolers. If mourners associated with the deceased come to, relief money devolve the deceased, and then turn to inheritance. If mourners associated with the deceased family come to, relief money devolve the family of the deceased. If mourners associated with one of the deceased family come to, relief money devolve one of the deceased family. First of all, relief money appropriate funeral expense, and then the money left should be share. Relief money should share on agreement of the deceased family. If not, it is reasonable that the money should be a share to each.

      • KCI등재

        부동산실명법상 계약명의신탁에 있어서 부당이득반환으로서의 원물반환

        배병일(Byungil Bae) 한국법학원 2014 저스티스 Vol.- No.143

        명의신탁은 당초 종중이 입법상의 미비로 종중명의로 등기할 수 없어서 종원 명의로 편의적으로 이루어진 등기 실무를 해결하고자 일제하 조선고등법원이 만든 법리이다. 명의신탁은 당초의 창설 의도와는 달리 부동산투기의 수단으로 악용되어 사회적 물의를 빚었고, 이에 따라 부동산실명법을 통해서 이를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신탁자가 자신의 권리구제를 전혀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은 아니다. 대법원은 계약명의신탁에서 부동산실명법의 시행일을 기준으로 하여 시행일이전에는 신탁자가 소유권을 가지고 있어서 수탁자로부터 원물반환을 받을 수 있다고 하고, 시행일 이후에는 신탁자에게 소유권이 없기 때문에 원물반환을 할 수 없고, 매매대금을 반환받을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신탁자는 부당이득반환청구로서 소유권이전등기청구를 통하여 원물을 반환받을 수 있고, 나아가 신탁자와 수탁자간의 위임약정에 기하여 소유권이전등기청구를 통해서도 원물을 반환받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Originally the title(nominal) trust theory made by Chosun High(Appellate) Court under the rule of Japanese Empire. At that time, the clan could not register the land with its own name, because it had no legal right to stipulate the registration of the clan"s land due to the incompleteness of Chosun"s real estate registration rules. Title trust was prohibited to control real estate speculation by 1990 Act, because it was used as one of speculation methods and apparently defied the intention of the legislative. Although the title trust theory and pratice inherently contain the possibility to be vile against the original intention of inventing and permitting their existence, we can not get rid of the whole legal system vis-a-vis the theme without elaborating legal principles and their well-founded interpretation on the crucial matter of the restitution of unjust enrichment.

      • KCI등재후보

        취득시효상의 자주점유의 해석과 헌법상 재산권의 보장

        배병일(Byungil Bae) 한국법학원 2011 저스티스 Vol.- No.126

        민법은 점유취득시효를 인정하고 있고, 다른 나라와는 달리 우리나라는 ‘취득시효의 왕국’ 이라고 할 정도로 대법원에 의하여 널리 인정되고 있다. 대법원은 취득시효의 요건에 있어서 소유의 의사라는 점유자의 주관적 인식을 어떻게 객관화시킬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몇 차례 전원합의체 판결을 통해서 자주점유에 관한 법리해석을 한 바 있다. 헌법상 재산권보장규정은 민법의 중요한 근본이념으로서 私人간에 있어서의 소유권에 관한 다툼을 둘러싸고 민법 해석을 함에 있어서도 존중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와 私人간에 있어서의 소유권에 관한 다툼에 있어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의 재산을 보호해야 할 헌법상 의무를 부담하는 존재라는 점에서, 재산권의 보장 법리는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국가는 개인의 기본적 인권을 보장할 의무(헌법 제10조 후문)가 있기 때문에, 국민의 재산권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앞서서 보장하여야 할 것이다. 점유취득시효에서 자주점유에 대한 입증책임은 점유자가 아닌 상대방이 부담하지만 자주점유는 점유자의 소유의 의사로서, 점유자의 내심의 의사를 상대방이 입증하는 것은 입증 불능에 가까운 악마의 증명이다. 그래서 내심의 의사가 아니라 권원의 성질이나 점유자의 태도나 행동 등 구체적인 외형적 객관적 사정이라는 기준에 의해서 점유자의 자주점유를 판단하여야 한다. 대법원은 취득관련 서류를 제출하지 못하더라도 6·25 전쟁 등으로 취득관련서류가 소실되고 점유자의 점유경위와 용도를 고려하여 자주점유의 추정이 깨어지지 아니한다고 하고 있다. 이것은 국가가 각종 취득서류를 보관하지 않고, 지적공부조차 정비하지 않은 책임을 모두 국민에게 전가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이는 국가가 국민의 재산권보장이라는 기본권보장의무를 무시하게 된다. 국가는 국민의 경제적 기본권인 재산권을 보장하여야 하고, 나아가 국가는 국민의 기본권에 대한 보호의무가 있고, 국가는 보호의무를 방기해서는 안된다. 헌법상 재산권보장규정과 국가의 기본권보장의무는 취득시효의 자주점유에 관한 해석에 영향을 끼쳐야 된다. 아울러 민사소송에서의 무기대등의 원칙상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는 토지 취득절차에 관한 서류를 제출하지 않으면 안되고, 만약 제출할 수 없다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입증책임에서의 불이익을 부담해야 한다. According to the Korean Civil Code, Paragraph 1 of Article 197 stipulates; A possessor is presumed to be in possession openly, peaceably, in good faith, and with the intention of holding as owner. According to the Korean Civil Code, Paragraph 1 of Article 245 stipulates; A person who has for twenty years peaceably and openly held possession of an immovable with an intention to own it, shall acquire the ownership by making registration thereof. Because the possessor of property is presumed to be in possession with the intention to hold such property as owner pursuant to Paragraph 1 of Article 197 of the Civil Code, a possessor who claims an acquisitive prescription does not bear the burden to prove the intention to hold as owner, instead, a person who negates the consummation of acquisitive prescription claiming the possession of such possessor as the possession without intention to own bears the burden of proof thereon. In case of the acquisitive prescription of real property, whether a possession is with or without the intention to hold such real property as the owner shall not be determined by the possessor's internal or subjective state of mind but shall rather be determined externally and objectively by the nature of the source of right of acquisition of the possession or other circumstances related to the possession. Thus, the presumption of possession with the intention to own shall be reversed when it is proven that the possessor commenced the possession based on the source of right appearing to be accompanied with no intention of ownership in light of its nature or when it is proved that the possessor does not have the intention to possess by excluding another person's ownership based on the external and objective circumstances, including the circumstances where the possessor does not have the intention to exercise an exclusive control by excluding another person's ownership as if the subject were his or her property. Therefore, when it is proved that the possessor occupied certain real property owned by another person, without permission, knowing that there existed no juristic act or other legal requirements for the acquisition of ownership at the time of the commencement of the possession, it shall be deemed that the possessor did not have the intention to possess excluding the ownership of others and, thus, the presumption of possession with an intention to own shall be reversed. But according to the Korean Constitution, the first of Article 23 stipulates; The right of property of all citizens shall be guaranteed.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thereof shall be determined by Act. the second of Article 23 stipulates; The exercise of property rights shall conform to the public welfare. The third of Article 23 stipulates;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of private property from public necessity and compensation therefor shall be governed by Act: Provided, That in such a case, just compensation shall be paid. And then according to the Korean Constitution, the second of Article 37 stipulates; The freedoms and rights of citizens may be restricted by Act only when necessary for national security, the maintenance of law and order or for public welfare. Even when such restriction is imposed, no essential aspect of the freedom or right shall be violated. The Korean Constitution, the latter of Article 10 stipulates; It shall be the duty of the State to confirm and guarantee the fundamental and inviolable human rights of individuals. So that nation and local government should suggest document about acquired process of land, if not, they burdened disadvantages.

      • KCI등재후보

        타주점유에 있어서의 상당성의 산술적 비율

        배병일(Bae Byungil) 한국법학원 2009 저스티스 Vol.- No.111

        점유취득시효의 요건에는 점유자가 소유의 의사, 즉 자주점유로 점유할 것이 필요하다. 민법상 자주점유는 추정되기 때문에, 취득시효소송에서는 타주점유에 대한 입증책임은 취득시효의 상대방, 즉 소유명의자가 부담한다. 타주점유의 입증책임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이를 완화시키고자 객관적사정론이 등장하였다. 대법원은 객관적 사정의 하나로서 점용권과 상당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점용권보다는 상당성이 더 설득력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대법원의 판례를 살펴 본 바, 1. 타주점유에 있어서의 상당성의 산술적 비율은 20% 이내로 본다. 2. 산술적으로 20%를 넘는다고 하더라도 위치와 형상, 주변상황 등을 고려하여 상당성이 있다고 보아 자주점유로 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3. 시효취득의 대상이 되는 토지의 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그 산술적 비율이 10% 이내로 볼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An acquisitive prescription of Korean Civil Law Article 245 prescribes a person who has for twenty years peaceably and openly held possession of an immovable with an intention to own it, shall acquire the ownership by making registration thereof. An intention to own it, that is, autonomy possession is the primary requisite to success in positive prescription. State of Possession in Korean Civil Law Article 197 stipulates a possessor is presumed to be in possession openly, peaceably, in good faith, and with the intention of holding as owner. Therefore the intention of holding as owner is presumed. The proof of the heteronomy possession in positive prescription burdened a person's hands, that is, a named owner. Because the burden of proof of heteronomy possession is very difficult, the theory of objective consideration appeared to relieve the charge of proof. Korean Supreme Court suggested considerable nature and right of occupation and use as one of the objective consideration. In my opinion, it is reasonable that considerable nature is better than right of occupation and use. Korean Supreme Court prescribed, the first, arithmetic proportion of considerable nature on the heteronomy possession seemed within 20%. The second, even if it is over 20% arithmetically, it is regarded considerably in ratio as autonomy possession, considered the location and configuration, surroundings of the land. Finally if the scale of the land is wide, arithmetic proportion of considerable nature on the heteronomy possession is within 10%.

      • KCI등재

        죽도문제연구회와 일본 독도정책의 현황

        배병일(Byungil Bae)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3 독도연구 Vol.- No.15

        최근 일본은 아베정권이 들어선 이후 우경화로 치달리고 있고, 반면에 우리 박근혜정부는 신뢰를 바탕을 한 외교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일본은 타케시마는 일본 영토라는 주장을 계속하고 있다. 일본은 평화적인 수단을 이용해서 현안을 해결하려고 하는 근본적인 정책기조를 가지고 있다고 하면서, 모든 기회를 이용해서 협상을 계속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이것은 정직하지 못한 것이다. 일본은 외교에서도 속내와 겉마음이 다른 것이 기본적인 태도이다. 죽도연구회는 시마네현이 만든 유사 관변단체이다. 죽도에 관한 연구는 일본 정책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는 죽도연구회를 심각하게 조사하고 연구해야 한다. 사견으로는 독도는 한국 영토이고, 영토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독도는 일본이 러시아에 대하여 주장하고 있는 북방영토문제와는 다른 것이다. Recently Japanese turn to the conservative swing since the new Abe regime, on the other hands we Korea adhere closely to the confidence policy. Japanese claims that Takeshima is Japanese territory repeatedly. Even Japan has a fundamental policy to resolve the issue through peaceful means, and tries to continue negotiations, taking every opportunity. But it is untruth. Japanese is different intention from face in the diplomacy. The study group of the issue of Takeshima is a quasi official organ made by Shimane Prefecture. A study on the issue of Takeshima would be the biggest influence to Japanese policy. We all inspect and research to the study group of the issue of Takeshima seriously. In my thought, Dokdo is Korean territory, and then it is not a territorial problem. Dokto is different from that northern territorial issue which Japanese hold very strongly to Russia.

      • KCI등재

        부당적립 및 시설미비에 관한 사립대학 학교법인과 총장의 손해배상책임

        배병일 ( Byungil Bae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0 No.48

        교육부는 2011년부터 사립학교법을 개정하여 적립금과 이월금에 관한 규제를 하였다. 2018년 대법원판결도 학교법인이 사립학교법을 위반하여 적립금과 이월금을 부당하게 적립ㆍ운영하여 대학의 시설ㆍ설비 등의 미비 정도가 객관적으로 보아 현저하여 학생에게 정신적 고통을 주었다면 학교법인과 총장은 학생에게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고 하였다. 학교법인과 학생은 재학계약을 체결하고, 그 재학계약에 의해서 학교법인은 학생에게 채무내용을 이행하지 않으면 채무불이행책임을 부담할 수 있고, 학교법인 이사장의 직무행위로 손해를 가한 경우에도 민법 제35조의 불법행위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 법인 이사장은 재학계약의 당사자가 아니므로 학생에 대하여 채무불이행책임은 부담하지 않지만, 학교법인의 불법행위책임이 성립하면, 이사장도 민법 제35조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한다. 대학 총장은 재학계약의 당사자가 아니므로 학생에 대하여 채무불이행책임을 부담하지 않지만, 민법 제750조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은 인정될 수 있다. 학교법인에게는 적립금 등 문제에 관해서 경영판단에 따른 재량이 있다고 보아 위법성을 인정함에 있어서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위법성이 인정되더라도 학교법인과 이사장에게만 민법 제35조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부담시켜야 한다. 적립금 등과 관련한 민법 제750조의 손해배상책임을 총장에게 부담시키는 것은 재검토되어야 한다.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Korea has revised the Private School Act since 2011 to regulate reserve and carry-over funds. Also in 2018, the Supreme Court of Korea ruled that if the educational foundation unreasonably accumulated and operated reserves and carry-overs in violation of the Korean Private School Act, causing mental pain to students due to facility shortages at the institution, the foundation and the president should bear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The educational foundation and the student sign the enrollment contract, and under the contract, the foundation is liable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 if it does not discharge the contract, and liable for tort caused by the misconduct of the chairperson under Article 35 of the Korean Civil Act. Since the chairperson of the foundation is not a party to the enrollment contract, he/she is not liable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on the student, but if the tort liability of the foundation is established, the chairperson also bears the liability for damages under Article 35 of the Korean Civil Act. Likewise, since the university president is not a party to the enrollment contract, he/she is not liable for non-performance of obligations, but may liable for damages due to tort under Article 750 of the Korean Civil Act. However when handling the reserves, it is within the discretion of managerial judgement of the educational foundation, recognition of illegality should proceed with prudence. Although when the illegality is recognized, only the foundation and the chairperson should bear the liability for damages under Article 35 of the Korean Civil Act. The application of Article 750 of the Korean Civil Act to the university president with regard to reserve fund and such must be reexamined.

      • KCI등재

        울진·영덕지역 산림계의 송이채취권

        배병일(Bae Byungil) 한국지역사회학회 2012 지역사회연구 Vol.20 No.1

        This article describes the custom of the forestry fraternity about the pine mushrooms collection. In the Korean Civil law, article 302 stipulated special servitude as a right of common. In a case where the inhabitants of a certain area, as a collective body, are entitled to take grass or trees, catch wild animals, take earth or sand, rear live stock, or take other profits from the land of the area owned by another person, the provisions of this Chapter shall apply mutatis mutandis subject to the custom of each locality. This study is based upon a premise that the custom of the pine mushroom collection exists as the Special Servitude of the Korean Civil Law or one of the property right. In the study, the custom of the collection of the pine mushrooms traces back to the origin of the firewood and pasture system (Sichojang) of Yi dynasty and the right of comm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At present, the custom of the collection of the pine mushrooms exists as living system, and it is operated by the forestry fraternity de facto. This article raises a question in legal aspects of the system and organization of the forestry fraternity (Sanlimgye) under the custom research in 2002 and 2003 in Ulgin and Youngduk counties of Kyungbuk Province.

      • KCI등재

        일제하 법령과 조선고등법원판결에 내재하는 종중재산법리의 왜곡

        배병일 ( Byungil Bae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외법논집 Vol.39 No.1

        Recently, Japan’s recent conservative swing in diplomatic patterns seems to have triggered the international grave concerns. Clan appeared at the end of Koryo dynasty and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clan property appeared owing to permission of farmland trade under the King Sejong’s reign. Clan and its property increased rapidly after confusion in land system caused by Imjinllan(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after 17th century, Sansong and Songgye played a part in accelerating the formation of clan property. Clan property collapsed through the Korean Cadastral Survey of Farmland and Forest land carried out by the Imperial Japan, and Japan further recognized clan property as financial basi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o Japan destroyed clan property which could have supported the movement. Clan property, the material factor of a clan, consists of the farmland for graves(Wito) and forest land for graves(Myosan). Japan nationalized the farmland for graves(Wito) giving reason that they are not reported through the Korean Cadastral Survey of Farmland and forest land for graves(Myosan) through the Korean Cadastral Survey of Forest Land. Chosun High Court of the Imperial Japan changed legal characteristic of the farmland for management of graves from co-ownership to partnership-ownership. Theory of title trust, also contributed to the collapse of clan property.

      • KCI등재

        진료비와 책임제한

        배병일(Byungil Bae)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63

        의사와 환자는 의료계약을 통하여 진료행위를 하고, 진료비를 지급하게 된다. 이에 진료채무는 수단채무로서의 성질을 가지므로 의료계약에 따라 의사가 최선을 다해 진료를 하였다면 환자에게 진료비를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진료행위 도중에 의료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의료계약은 파탄이 나고, 의사가 진료채무의 내용에 좇은 이행을 하지 아니하였음을 이유로 환자는 의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를 할 수 있다. 이에 의사는 환자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액에서 진료비 상당액을 공제해야 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이처럼 상반된 이해관계를 가지는 의사와 환자사이의 진료비 문제에 대하여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의료사고가 없는 경우에는 의사는 환자에게 진료비를 청구할 수 있고, 심지어 치유가 되지 않거나 후유증이 있더라도 진료비를 청구할 수 있다. 의료사고가 있는 경우에는 의사는 의료사고가 발생하기 이전에 발생한 기왕진료비를 환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 의사는 의료사고가 발생한 진료행위로 인한 진료비를 환자에게 청구할 수 없고, 오히려 의료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을 환자에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의사는 의사의 책임제한범위를 벗어나는 부분에 해당하는 진료비는 환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 또한 그 초과범위에 해당하는 진료비는 환자의 손해배상청구액과 상계할 수 있다. 의사는 의료사고 이후 후유치료비를 환자에게 청구할 수 있지만, 의사의 책임제한의 범위내에 해당하는 부분에 속하는 진료비는 환자에게 청구할 수 없다. 의사의 책임제한 범위를 초과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진료비는 환자의 손해배상청구액과 상계할 수 있다. 의사는 사실심 변론종결일 이후에 발생하는 향후진료비는 환자에게 청구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도 책임제한법리는 적용되어야 한다. A doctor practices medical treatment and a patient pay his or her fee through a medical contract between them, Thus, the doctor can claim payments from the patient if the doctor has seen the patient with the best effort since the medical debt is the obligation of performance. However, when a medical malpractice happens, the medical contract is canceled and the patient may put in a claim for a damage against the doctor’s medical default. Against this argument, the doctor may claim for treatment fee deduction from the claimed compensation amount. From reviewing these problems about the treatment fee issue between a doctor and a patient, this paper drew a conclusion. When there is no medical accident, the doctor can claim payments from the patient, even if the cure is incomplete or there are aftereffects. When there is a medical accident, the doctor can claim payments from the patient for the fee before the accident. The doctor cannot claim payments from the patient for his or her medical treatment that has brought a medical accident, rather the doctor should compensate the patient for the damage. However, the doctor can claim payments from the patient even for the amounts that excess his or her restriction on liability. Also that exceed fee can be deducted with the patient’s claimed damage amounts. The doctor cannot claim payments for the treatment fee after the medical accident, but for exceed fee. This exceed fee can also be deducted with the patient’s claimed damage amounts. The doctor can claim payments for the treatment fee comes after the date of the end of the trial hearing, and the principle of restriction on liability is also applied to this.

      • KCI등재

        광해로 인한 민사적 구제에서의 문제점

        배병일(BYUNGIL BAE)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78

        최근 햇빛 반사광에 의한 피해인 광해로 인하여 눈부심 등을 비롯한 손해를 입은 경우에 손해배상청구와 함께 방해배제청구로서 철거나 금지를 청구하는 소송이 제기되고 있다. 광해소송은 일조방해 등과 같은 환경소송이지만, 일조방해소송에서는 소유자가 종전부터 누리고 있던 일조이익이 건물의 신축 등 방해물로 인하여 일조이익이 감소하는 소극적 침해가 문제된다. 그러나 광해소송에서는 반사광이 집안으로 유입되어 눈부심을 유발하는 등 평온한 주거환경을 해치는 적극적 침해가 문제되므로, 소음이나 수질오염의 공해소송과 유사하다. 일조방해소송에서는 일정한 시간 동안 일영(日影)이 계속되어야 피해가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손해 발생에 일정 기간이라는 요건이 있어야 하지만, 소음과 수질오염은 일정한 시간의 계속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준을 넘는 소음과 오염 사실이 있으면 참을 한도를 넘는다고 하고, 손해가 있다고 한다. 따라서 반사광피해로 인한 광해소송에서도 일정한 시간의 계속이라는 요건은 참을 한도의 판단기준에 필요하지 않다고 보아야 한다. 반사광 피해로 인한 광해 소송에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는 원칙적으로 건물 등이 준공되거나 외부골조공사가 완료된 때부터 진행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위자료청구권의 소멸시효는 침해자가 반사광침해를 하는 패널의 철거의무나 반사광차단을 하는 시설의 설치의무를 부담하는 경우, 철거의무나 설치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부작위는 새로운 불법행위가 되고 그 손해는 날마다 새로운 불법행위에 기하여 발생하는 것이므로 피해자가 그 각 손해를 안 때로부터 개별적으로 진행한다고 보아야 한다. Recently, a lawsuit has been filed to demand a removal or a ban as a claim for removal of disturbance, along with a claim for damage in a case of sunlight pollution caused by reflected sunlight. The suit against sunlight pollution is an environmental lawsuit like a suit against sunlight obstruction, but in the case of sunlight obstruction, the sunlight profit that the owner previously gained falls due to construction of new buildings, hence treated as passive infringement. However, the suit against sunlight pollution is similar to pollution lawsuit such as noise and water pollution, as it deals with active infringement that disturbs the peaceful residential environment by reflected light entering the house causing glaring. The suit against sunlight obstruction requires a duration of sun shadow to acknowledge the damage, thus a certain amount of period is needed, on the contrary the noise and water pollution does not require a certain amount of continuous time, but if there is noise and water pollution that exceeds certain standard, it is considered the damage is underway. Likewise, in the suit against sunlight pollution caused by reflected light, the requirement ‘continuation of a period of time’ is not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standard of bearable limit. In principle,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claim for damage of the suit against sunlight pollution progresses since the building construction is completed or the external framework is completed. However, the extinctive prescription of compensation claim where the infringer bears the obligation to remove the panel that causes reflected light, or to install a shade that blocks the reflected light, the omission to not fulfilling either obligation becomes a new illegal act and as the damage from the act occurs every individual day ex delicto, so it should deem to be carried out respectively since the damage was real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