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선시대 포를 응용한 대학 학위예복 디자인 개발 : 전남대학교 학위예복을 중심으로
Academic dress is a formal academical clothing for those who hold a status of academic degree, entitling them the authority of the degree. The current academic dress used in the country follows the same form of Western academic dress and does not consider the national identity or the status and image of university, suggesting a new design of academic dress. Development of academic dress design has been carried out among universities that are located in the capital area and have high recognition for evaluation and the number of such universities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In the design of academic dress suggested by a significant number of such universities, formative aesthetic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is integrated. This phenomenon is not limited to the country and major universities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hina witness a growing demand for independent design with the image of their universities and home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cademic dress design where the formative aesthetic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and the imag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re harmonized, as a tool of expression to introduce the identity of the Korean culture. For the method of study, literature study and empirical study were combined. Through literature study, the concept and history of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dress, the typ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o in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wearing domestic academic dress was analyzed by using empirical study. The universities of target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wearing academic dress are where design of the formative elements of traditional costume combined with the existing academic dress and include the College of Korean Classical Music of Chung-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University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Three universities except for Chung-ang University use a common academic dress; only the College of Korean Classical Music of Chung-ang University wears a new design of academic dress. In the process of suggesting a new design of academic dress based on the result of the wearing condition survey,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academic dress and the need for new design were understood and a costume design process was introduced to suggest objective design results. In the costume design process, the need to develop academic dress desig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as raised and the academic dress used b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as examined. Based on this, the criteria for academic dress design were established and a work plan table and an illustration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design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Design I adopts the form of a flight feather of Korean full-dress attire and the hem in the neckline of academic dress and the edge of robe with application of rectangular duri sleeve. To get rid of inconvenience due to a wide sleeve and promote activity, a slit was used in jindong line. The UI of our school was applied to express the imag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n academic hood and the academic hat was designed in the form of a hexagonal hat with attachment of a hat string based on the form of hat. Design II uses ceremonial robe feather, hem ornament, and triangular mu to express the neckline of academic dress and the edge of robe. Colors symboliz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re applied to academic dress to express the image of the university and the academic hat is design with the application of the form of royal secret inspector's flower worn with angsam. Design III uses a straight line type feather of shimui and the slit and hem of a long crane-white gown in the neckline of academic robe and the ornament of hem. The logo and school color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were applied to express the image of the university and the academic hat takes the same form as the existing one. Design IV uses the hem of a long crane-white gown and the Bangryeong form of eather of shimui. It adopts the hem of a long crane-white gown in the end of the edge sleeve of academic dress, cuffs of gown and Bangryeong feather of shimui in the neckline. The academic hat has a yellow line ornament in the same form as the existing one to give a sense of unity with the academic dress. The academic dress design suggest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results could be suggested as a practical approach for the moderniz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s the costume which expresses Korea's indigenous culture and image and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at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put the development of the academic dress desig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to practical use. 학위예복은 전공자로서의 권위를 인정받는 학위 수여식에서 착용하는 대학의 의례복식이다. 현재 국내에서 착용하고 있는 학위예복은 서구의 학위예복 형태를 그대로 따르고 있으며, 국가의 정체성이나 대학의 위상과 이미지가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새로운 디자인의 학위예복이 필요하다. 그동안 학위예복 디자인 개발은 수도권에 위치해 있고, 평가 인지도가 높은 대학 사이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대학의 수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중 상당수의 대학에서 제시된 학위예복 디자인에는 한국 전통복식의 조형미가 적용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며, 미국, 영국, 중국 등 국외 주요 대학에서도 자국과 해당 대학의 이미지가 표현된 독자적인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알리는 하나의 표현 수단으로써 한국복식의 조형미와 전남대학교의 이미지가 조화를 이룬 학위예복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ㆍ외 학위예복의 개념과 역사, 조선시대 포의 종류와 조형적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고, 실증연구에 의해 국내 학위예복 착용실태를 분석하였다. 착용실태 분석의 대상 대학은 기존 학위예복에 전통복식의 조형적 요소가 응용된 디자인을 착용하고 있는 곳으로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성균관대학교, 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이다. 중앙대학교를 제외한 세 곳은 대학 전체에서 공통된 학위예복을 착용하고 있었으며, 중앙대학교는 국악대학에 한하여 새로운 디자인의 학위예복을 착용하고 있었다. 착용실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학위예복 디자인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학위예복이 가진 문제점과 새로운 디자인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객관적인 디자인 결과가 제시될 수 있도록 의상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입하였다. 의상디자인 프로세스 과정에서 전남대학교의 학위예복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 제기와 현재 전남대학교에서 착용하고 있는 학위예복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학위예복 디자인의 기준을 설정하고 작품계획표와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제시된 디자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디자인Ⅰ은 도포의 칼깃과 가선의 형태를 학위예복 네크라인과 학위가운의 가장자리에 응용하였고, 직사각형의 두리소매를 적용하였다. 넓은 소매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진동선 부분에 트임을 주어 활동하기에 편리하도록 하였다. 또한 전남대학교의 이미지를 학위후드에 표현하기 위해 본교의 UI를 응용하였고, 갓의 형태를 응용하여 육각모에 갓끈이 부착된 형태로 학위모를 디자인하였다. 디자인Ⅱ는 앵삼의 단령깃, 가선장식, 삼각무를 응용하여 학위가운의 네크라인과 가운의 가장자리에 표현하였다. 또한 전남대학교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학위예복에 전남대학교를 상징하는 색을 적용하였고, 앵삼과 함께 착용하였던 어사화의 형태를 응용하여 학위모를 디자인하였다. 디자인Ⅲ은 심의의 직선형태 깃, 학창의의 트임과 가선을 학위가운의 네크라인과 가선 장식에 응용하였다. 또한 전남대학교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전남대학교의 로고와 교색을 적용하였고, 학위모는 기존의 형태와 같게 하였다. 디자인Ⅳ는 학창의의 가선과 심의의 방령형태의 깃을 응용한 디자인으로 학창의의 가선을 학위가운의 가장자리 소매 끝, 가운의 밑단, 심의의 방령깃을 네크라인에 응용하였다. 학위모는 기존의 것과 같은 형태에 학위가운과 통일감이 느껴지도록 황색 선 장식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제시된 학위예복 디자인은 한국 고유의 문화와 이미지가 표현된 복식으로써 한국 전통복식 현대화의 실제적인 방안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며, 전남대학교 학위예복 디자인 개발의 실용화를 위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전통 한복의 젠더 혼합적 특성이 현대 한복디자인에 미친 변화 연구 : 소쉬르의 기호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국내에서는 여성의 사회적인 역할과 활동의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각종 단체에서 발생되는 남녀 차별 관련 사건들이 연일 화제가 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남녀 차별 문제가 언급되면서 사회의 변화가 촉구되고 있다. 사회 변화 의 결과, 현대 복식에서 남녀의 신체적 특징이 표현되지 않은 젠더리스 스타일이 선호되고 있다. 한국의 전통복식은 시대의 흐름에 따른 생활양식, 가치관, 미적양 식 변화 등의 영향으로 형태, 소재, 색채를 포함한 조형적 요소가 현대적으로 변 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 한복은 한국 전통복식의 양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전통 한복과 전통 한복의 양식에 현대 복식문화가 더해져 새로운 형태로 변화된 현대 한복 두 가지로 분류된다. 현대의 젊은 세대에게 한복 착용 문화는 타인과 구별되는 특별한 경험이자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의 하나로 받아들 여졌고, 젊은 세대에게 한복이 관심의 대상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특별한 행사 뿐 만 아니라 일생생활을 포함한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따라 착용 가능한 복 식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전통복식에 나타난 혼합적 특성이 현대 한복디자인에 미친 변화를 고찰하는 것으로, 현대 한복에 나타난 다양한 혼합적 특성 중 현재 이슈가 되고 있는 젠더 이미지에 소쉬르의 기호학을 적용하여 이에 나타난 특성 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기호학 이론, 젠더 혼합성의 개념, 한국 전통복식에 나타난 혼합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조사연구는 2014년부터 2023년까지 10년 동안 한복진흥센터에서 실시한 프로 젝트, 현대 한복의 대표적인 브랜드, 패션잡지 보그 코리아에 출판된 화보 작품 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현대 한복디자인에 표현된 젠더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분 석 대상은 총 1,371점으로 이 중 한국의 전통적인 젠더 가치관이 표현된 전통복 식의 형태가 그대로 착용되거나 응용된 작품을 기준으로 하여 연구자가 1차로 578점을 선정하였다. 1차로 선정된 작품은 전통복식 전공자 3인과 의상디자인 전공자 2인으로 구성된 5인의 평가단에 의해 2차 평가 되어 최종으로 521점이 분석되었다. 한국 전통복식에 나타난 젠더 혼합적 특성을 고찰한 결과 한국의 전통적인 젠 더 가치관이 표현된 전통복식에는 남녀 복식 공착화(共着化)의 개념이 표현되어 있었으며, 남녀공용복식, 남성 전용복식, 여성 전용복식으로 분류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과 미적 감각 등에 따라 변화된 현대 한복은 전통 한복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조형적으로는 변화된 것으로 보이나 내 적으로는 한국의 전통적인 젠더 가치관이 내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에 따라 현대 한복디자인에 표현된 젠더 이미지를 양성의 이미지, 역전된 성의 이미지, 중립적 성의 이미지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현대 한복디자인에 표현된 젠더 이미지 분석에 소쉬르 의 기호학 이론을 적용하여 현대 한복에서 확인되는 조형요소를 기표로 분석하 였고, 이에 내재된 의미를 기의로 분석하였다. 현대 한복에 표현된 기표는 젠더 이미지 각각에서 확인되는 복식의 종류, 실루엣, 소재, 색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 다. 양성의 이미지가 표현된 현대 한복디자인의 조형요소 분석 결과 복식의 종류 에서 남녀 복식의 활용 빈도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남성복식에서는 외의 류, 여성복식에서는 기본복식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실루엣 에서는 H라인과 A라인의 활용 빈도가 동일하게 확인되었고, X라인이 가장 낮게 확인되었다. 색채에서는 메인 컬러에서 무채색의 활용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서 브 컬러에서 유채색의 활용 빈도가 높게 확인되었다. 소재에서는 하드한 재질과 소프트한 재질의 차이가 크지 않게 나타났다. 역전된 성의 이미지가 표현된 현대 한복디자인 조형요소 분석 결과 복식 종류에서 남성복식의 활용 빈도가 가장 높 게 나타났고, 여성복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실루엣에서는 H라인의 빈도가 가 장 높게 나타났고, 색채는 메인 컬러와 서브 컬러 모두에서 무채색의 활용 빈도 가 높게 나타났다. 소재에서는 하드한 재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립적 성의 이미지가 표현된 현대 한복디자인 조형요소 분석 결과 복식 종류에서 여성복식 의 활용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남성복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실루엣은 A라인과 H라인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X라인과 Y라인이 낮은 비율로 확인되었 다. 색채는 메인 컬러에서 유채색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서브 컬러에서는 무채 색과 유채색이 유사한 비율로 확인되었다. 소재는 하드한 재질이 대부분을 차지 하였다. 기의는 외연적 의미와 내포적 의미로 구분하여, 현대 한복디자인에 내재된 외 연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양성의 이미지가 표현된 현대 한복디자인 은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가 표현된 복식 아이템과 소재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구성하였고, 실루엣과 색채를 통한 젠더 이미지 표현은 확인되지 않았다. 역전된 성의 이미지가 표현된 현대 한복디자인은 성별에 따른 이미지가 표현된 복식 아 이템과 소재를 활용하여 해당 이미지를 구성하였다. 색채와 실루엣은 젠더의 이 미지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았다. 중립적 성의 이미지가 표현된 현대 한복디 자인은 착용자의 성별과 일치되거나 성별에 관계없이 남녀공용으로 착용된 복식 아이템으로 해당 이미지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 한복디자인에 있어서 실루엣, 소재, 색채가 젠더 이미지를 표현하는 역할과 함께 현대 패션디자인 요 소의 하나로 활용되었음을 의미한다. 현대 한복디자인에 내재된 내포적 의미 분석의 결과 현대 한복에 표현된 젠더 이미지에는 전통 한복의 공착화 현상에서 확인되는 특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양성의 이미지가 표현된 복식은 남성의 전용복식과 여성의 전용복식을 하나의 디자인 혹은 스타일에 활용하여 공착화 현상을 심화시켰다. 중립적 성의 이미지 가 표현된 복식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남녀공용으로 착용된 복식을 활용하여 젠 더 이미지는 중립이지만 공착화 개념을 유지시켰다. 역전된 성의 이미지가 표현 된 복식은 공착화 개념과 연관성이 미비하지만 착용자의 신체적인 성별과 복식 의 교차를 통해 젠더 이미지 표현의 측면에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 전통복식의 젠더 혼합적 특성에 따른 표현과 의미의 변화를 전통 한복과 현대 한복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공착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젠더의 표현 방식, 사회 인식, 복식 착용 방법, 복식 형태와 스타일 네 가지 측면에서 변화가 확인되었다. 젠더 표현의 측면에서는 젠더 표현 요소가 전 통사회의 젠더 가치관과 같은 비가시적인 개념에서 현대사회의 젠더 이미지와 같은 가시적인 개념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영상세대인 MZ세대의 한복에 대한 관 심 증가로 인한 이미지 표현 방식의 변화로 해석된다. 사회 인식의 측면에서는 전통사회의 남녀 인식이 현대사회에 접어들면서 직업 및 학벌에서 성별의 구분 이 없어짐에 따라 현대 여성의 사회적 위치 변화와 함께 복식 착용에 대한 인식 또한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식 착용 방법의 측면에서는 복식을 활용하는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남녀 복식 착용의 성별에 따른 경계가 약화되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이는 변화된 젠더 이미지의 모호한 경계를 의미한 것으로 해석된다. 복식의 형태와 스타일의 측면에서는 남녀 성별에 관계없이 동일한 형태의 복식 을 착용하되 착용 스타일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젠더 이미지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 복식에 내재된 공착화 특성이 현대 한복에도 여전히 내재되 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사회는 성별보다 젠더를 중요하게 인식하며, 이에 따라 젠더리스 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통 한복에 나타난 남녀공용복식의 특성을 분석하여 현대 한복과 젠더리스 패션 트렌드의 연계성을 다루었다는 점 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특히 한국의 전통적인 젠더 가치관이 내재된 전통 한 복의 특성과 그 특성을 바탕으로 현재의 사회‧문화적 현상이 반영된 현대 한복을 분석한 결과는 전통복식을 현대화하는 방안을 구성하는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 이라 생각된다. Recently, as the scope of women's social roles and activities has expanded in Korea, incidents related to gender discrimination in companies, schools, and various organizations are becoming a hot topic every day. As a result of social change, genderless styles are preferred in modern cloth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s been transformed into modern costume in terms of form, material, and color due to changes in lifestyle, values, and aesthetic fashions. Accordingly, modern hanbok(Korean traditional clothes) has been divided into two types: traditional hanbok, which maintains the style of traditional Korean clothing, and modern hanbok, which has been transformed by adding modern costume culture to the style of traditional hanbok. Culture of wearing hanbok was a special experience for modern people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s and accepted as one of the means of expressing their individuality. In addition, hanbok has become an object of interest to the younger generation, and it is recognized as a clothing that wearing in various lifestyles, including daily life as well as special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that the hybrid characteristics shown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have had on modern hanbok design and to analyze the gender image that is currently an issue among the various hybrid characteristics of modern hanbok.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were examined by applying Saussure semiotics to image analysis. The research methods used were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search, we examined the theory of semiotics, the concept of gender mixing, and the mixed characteristics that appeared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s. The survey research analyzed the gender image expressed in modern hanbok design by the hanbok Promotion Center, modern hanbok brands and a published in the fashion magazine 'Vogue Korea' for 10 years from 2014 to 2023. A total of 1,371 items were analyzed, of which 578 items were selected by researchers based on works using traditional clothing shapes that express Korea traditional gender values. The first selected work was evaluated twice by a five-person evaluation team consisting of three traditional costumes majors and two fashion design majors, and finally 521 poi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ixed characteristics of gender that appeared in Korea traditional costumes, the concept of co-wearing costumes was expressed in Korea traditional costumes, and it was classified as co-wearing costumes, men's clothing and women's clothing. Modern hanbok, which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lifestyle and aesthetic sense of modern people, has changed in formality based on traditional hanbok, but internally, traditional Korean gender values are inherent. The gender images were divided into the costume expressing images of both sexes that the images of men and women are intersected or expressed simultaneously, resulting in a visible discrepancy in gender, the costume expressing reversed gender images, and the costume expressing neutral images. Based on the research data, Saussure semiotics theory was applied to gender image analysis expressed in modern hanbok design. The shaping elements of modern hanbok were analyzed with a signifier, and the meaning inherent in it was analyzed with a signified. The signifier expressed in modern hanbok were analyzed based on the type, silhouette, material, and color of clothing that can be identified by gender image. modern hanbok, which expresses the image of both sexes, analyzed the formative element of the design and the frequency of use of men's and women's clothing is almost similar.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that the frequency of men's coat is high for men's clothing and women's basic clothes is high for women's clothing. In the silhouette, the frequency of H-line and A-line was the same, and the frequency of X-line was the lowest. In the color, the main color had a high frequency of achromatic color, and the sub-color had a high frequency of chromatic color. In the materials, the frequency between hard and soft materials was similar. Modern hanbok, which expresses a reversed sex images, analyzed the formative element and then men's clothing was the most frequent and women's clothing was the least frequent. In silhouette, the frequency of H-line appeared the most, and in color, the frequency of achromatic color appeared the most. Among the materials, the hard material was the highest. Modern hanbok, which expresses the image of neutrality, analyzed the formative element of the design and women's costume was the most frequent and men's costume was the lowest. Most of the silhouettes were A-line and H-line, and X-line and Y-line were low frequency. In the main color, the chromatic color appears high, and in the sub-color, achromatic and chromatic color appeared similar. The signified was divided into denotative and connotative meanings, and the denotative meaning inherent in modern hanbok design was analyzed as follows. Modern hanbok Design, which expressed the image of both sexes, expressed the image with items, materials. But Gender image expressions using silhouettes and colors did not appear. Modern hanbok design, which expresses reversed sex images, was expressed using the items and materials according to gender image. However, colors and silhouettes did not directly express gender images. Modern hanbok Design, which expresses the image of neutrality, use a items that can be worn regardless of gender or gender of the wearer. These results mean that the silhouette, materials, and colors of modern hanbok design used gender images as one of the fashion design elements along with the role of expression. According to an internal semantic analysis inherent in modern hanbok design, the gender image expressed in modern hanbok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co-wearing phenomenon of traditional hanbok. Clothing, which expresses the image of both sexes, has deepened the phenomenon of co-wearing by using men and women's costumes for one design or style. Clothing, which expresses the image of neutrality, maintained the concept of co-wearing phenomenon by utilizing costumes worn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Clothing that expresses the reversed gender image is not related to the concept of co-wearing, but it is related to gender image expression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wearer's sex and costum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s in expression and meaning of modern hanbok according to the gender-mix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s from the perspective of unisex-wearing, changes were identified in four aspects: gender expression method, social perception, how the costumes are worn, and the type and style of costumes. In terms of gender expression, gender expression elements have changed from invisible concepts such as gender values in traditional society to visible concepts such as gender images in modern society. The change in expression is interpreted as a result of increased interest in the hanbok of the MZ generation, the video generation. In terms of social perception, as the turn of modern society, the perception of men and women in traditional society has changed with no more distinction between genders in occupation and academic background, and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social position of modern women, the perception of wearing costumes also changed. In terms of how to wear costumes, as the range of how to utilize costumes has expanded, it was changed to the aspect that the gender boundaries between men and women wearing costumes have weakened. This means that gender image boundaries have become blurred. In terms of the type and style of costumes, the same type of costumes was worn regardless of gender, while various gender images were expressed by changing the wearing style. This mean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wearing clothes inherent in traditional costumes are also inherent in modern hanbok. Modern society recognizes gender more important than sex, and the demand for genderless fashion has increased accordingly. In this situati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o-wearing phenomenon is meaningful in reserch about connection between modern hanbok and genderless fashion trends. In particular,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bok, which has traditional Korean gender values, Modern hanbok, which reflects current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can be used a data for modernizing traditional costu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