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역사신학 : 한국교회의 세습 -그 뒤틀린 역사

        배덕만 ( Dawk Mahn Bae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3 No.-

        이 글은 교회사적 관점에서, 지난 40년간 한국교회에서 벌어진 교회세습의 기록을 정리하고, 세습을 둘러싼 다양한 반대, 저항, 비판의 목소리들을 소개하며, 그런 현상들의 특징과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교회세습의 역사를 세 시기(1973-1999, 2000-2011, 2012-2013)로 구분했다. 교회세습 반대운동이 사회적 주목을 크게 받았던 해가 2000년과 2012년이었으므로, 그때를 중심으로 시기를 셋으로 나눈 것이다. 시기적으로, 한국교회의 세습은 1973년부터 공식기록이 나타나지만, 1997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했고, 2001년에 광림교회가 세습에 성공하면서 가속도가 붙었다. 교단적으로, 교회세습에 성공한 교회들은 전 교단에 두루 분포되어 있지만, 합동과 기감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았다. 지역적으로, 교회세습은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곤, 경인지역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목회자적 측면에서, 세습을 시도·완료한 교회들은 은퇴하는 목사들이 개척했거나, 20년 이상 목회하면서 교세를 크게 성장시켰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대형교회 담임목사뿐만 아니라, 교단의 총회장이나 감독을 지냈다. This paper has three goals: (1) to show the history of hereditary succession of senior pastorship for the past forty years, (2) to introduce the various voices regarding that issue including advocacy, resistance, or criticism, (3) to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those phenomena. In this paper, the history of hereditary succession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1973-1999, 2000-2011, 2012-2013). Since the most remarkable years regarding this issue were 2000 and 2012, the history was divided in that way. In terms of time, one can find the first remarkable case in 1973, but such practice has prevailed since 1997. In particular, since Kwanglim Methodist Church succeeded in father-to-son succession of senior pastorship, it began to be precipitated in Korea. Denominationally, while one can find those cases in all but every denomination that such mission was successfully completed, it is absolutely predominant in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예장 합동) and the Korean Methodist Church(기감). Geographically, except for some cases, those churches are mainly located in Seoul and its neighbor regions. Next, one can also find some features in the various voices against that practice. Chronologically, when Kwanglim Church attempted the hereditary succession, the first organized resistance took place and it revived in 2010. In the meantime, however, there was no remarkable resistance or criticism against that practice, while many churches completed those transmission. Geographically, it was in Seoul that one can find most of the resistances. And those anti hereditary succession movements were led by the evangelical organizations such as the Christian Ethics Movement of Korea, the Christian Alliance for Church Reform, the Bible Korea, the Gospel and Context, and the NewsnJoy. Theologically, so far, it is not relatively easy to find any significant gesture from theologians and Christian scholars regarding this issue. Finnaly, in terms of strategy, those anti-movements were carried out with statements, prayer meetings, forums/seminars, and public demonstrations.

      • 미국교회 종말론의 다양성과 그 역사적 흐름

        배덕만(Bae, Dawk Mahn) 한국오순절신학회 2013 오순절신학논단 Vol.- No.11

        정교분리를 배경으로 수많은 교파들이 경쟁하며 공존했던 미국교회에는 매우 다양한 형태의 종말론들이 복잡한 상호작용과 화학작용을 일으키며 자신들의 정체성과 사회적 지위를 형성했다. 특히, 종말론이 교인들의 사회의식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끼치면서, 미래뿐만 아니라 현재, 교회뿐만 아니라 세상에 대한 교회의 태도를 결정지었다. 이런 면에서, 종말론에 대한 이해는 미국교회를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이런 문제의식 속에서, 이 논문은 먼저 종말론에 대해 이론적 전(前) 이해를 위해 세 종류의 천년왕국론(전, 후, 무 천년설)을 각각 살펴본 후, 미국교회의 다양한 종말론을 대표했던 인물들을 1945년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다룰 것이다. 이 인물들은 윌리엄 갓비(1833-1920), 윌리엄 블랙스턴(1841-1935), 월터 라우쉔부쉬(1861-1918), 오랄 로버츠(1918-2005), 핼 린지(1920-), 게리 노스(1942-), 클러렌스 벤스(1944-)다. 이들 중 일부는 이미 널리 알려져서 학자들에 의해 상당 수준의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다른 이들은 아직까지 학계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했다. 하지만 그들의 인기 유무와 상관없이, 선택된 인물들은 우리가 20세기동안 미국에서 종말사상의 다양성과 역동성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자신들을 타인들과 구분할 수 있는 독특한 종말론들을 발전·보급해 왔기 때문이다. 끝으로,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을 연구의 시기적 기준으로 택한 것은 20세기에 미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사건이 제2차 세계대전이었기 때문이다. Various kinds of eschatology have shaped their own identities and social status as a result of complicated interactions among them in America where a number of denominations have coexisted competing one another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n particular, eschatology made an indelible impact upon the attitude of churches toward the world, while influencing the social consciousness of believers. In that sense, without understanding the complicated history of eschatology, it is not possible to do justice to the nature of American church. Given this situation, I will delve into three kinds of millennium theories(pre-, a-, and post-millennialism) for our theoretical preunderstanding of eschatology, and continue to analyze selected leading voices for each eschatological circle, defining 1945 as the demarcation line for this paper. For this research, I chose seven William B. Godbey(1833-1920), William E. Blackstone(1841-1935), Walter Rauschenbusch (1861-1918), Granville Oral Roberts(1918-2005), Hal Lindsey(1920-), Gary North(1942-), and Clarence L. Bence(1944-). While some of them are already so well known to scholars that many and thorough researches have been done, other are still waiting for academic researches on them. However, regardless of their popularity, selected figures will be greatly helpful for our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nd dynamics of eschatological ideas in America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for they developed and promoted their own unique eschatologies by which they could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s. Finally, I chose 1945 as the demarcation line for this paper, for I believe that the end of the World War II made the most significant impact upon the history of America in th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
      • 세계화의 종교적 표현으로서 오순절운동

        배덕만(Dawk-Mahn Bae)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3 종교문화학보 Vol.20 No.1

        20세기 후반부터 세계는 신자유주의 체제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 물론, 세계화는 경제적 측면을 넘어, 정치, 문화, 종교를 포함한 보다 포괄적인 개념이지만, 경제의 영향력이 절대적임은 부정할 수 없다. 정부의 규제나 간섭에서 벗어나, 자본, 기술, 인력, 상품, 문화가 자유롭게 유통되면서, 세계는 빠르게 하나로 통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경제 중심의 세계화는 선진국, 자본가, 상층계급에게 막대한 혜택을 안겨준 반면, 계발도상국, 노동자, 하층계급에겐 치명적인 불이익을 안겨주었다. 이런 세계화의 부정적 현실 속에서, 종교, 특히 기독교도 영향을 주고 받으며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특히, 20세기 후반 이후, 오순절운동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면서 기독교계의 지각변동을 일으킨 주인공이 되었다. 세계화의 물결을 타고, 기독교가 마침내 세계적인 종교가 되었으며, 그 중심에 오순절운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오순절운동은 초기부터 성령세례를 강조하며 선교사역에 적극적으로 헌신하여, 1세기만에 개신교 최대의 그룹이 되었다. 학자들은 오순절 운동이 힘겨운 상황에서 영웅적으로 섬기며 생존할 수 있었던 근원적 동력을 오순절운동의 ‘성령 체험’에서 찾는다. 또한, 가난하고 병든, 소외된 사람들에게 오순절운동의 번영신학과 신유사역은 특별한 호소력을 발휘했다. 한국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조용기 목사와 여의도순복음교회는 국내에서 오순절운동의 경이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세계적 확산, 즉 ‘오순절운동의 세계화’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 그의 오중복음과 삼중구원의 메시지, “셀그룹”을 중심으로 한 조직력, 탁월한 설교와 카리스마적 리더십 등을 통해, 한국교회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오순절운동이 널리 확산된 것이다. 하지만 국내의 학자들은 한국의 오순절운동을 향해, 신자유의의 부정적 측면을 직시하고, 번영신학의 유혹에 저항하며, 국수주의를 극복하라고, 그리고 성령론 발전에 힘을 쏟고, 오순절운동과 민중신학의 창조적 결합을 추구하라고 주문한다. 만약 오순절운동이 세계화 속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기독교가 되었고, 그 중심에 한국의 오순절동이 존재한다면, 위의 주문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 한국과 세계오순절운동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주문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때, 한국오순절운동의 미래는 매우 밝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아무도 미래를 낙관할 수 없다. 부디, 한국오순절운동이 세계화의 부정적 결과에는 용감하게 대응하고 세계화의 긍정적 요소는 적극 활용하여, 21세기 기독교의 발전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Since 1990s, the world has established the neo-liberal economic system. Of course, “globalization” cannot be simply identified with “neo-liberalism,” for it comprehends politics, culture, and religion as well as economy. Nevertheless, it is impossible to deny the absolute power of economy in the globalization of this era. The world is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as a result of free and dynamic circulation of capital, technology, manpower, commodity, and culture without any serious restriction by governments. However, this neo-liberal-centered globalization turns out a fatal disaster to all the people but a few of the western countries, capitalists, and upper-class people. In the world under the negative influence of globalization, religion in general, Christianity in particular, is going through a dramatic change struggling with it. Above all, since the late of twentieth century, it is the Pentecostal-Charismatic Movement that has been the fastest growing subculture of Christianity transforming the configuration of Christianity in the world.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 wave of globalization, Christianity eventually came to be “the Global Religion,” and the Pentecostal-Charismatic Movement is playing the most significant role in it. From the beginning, the Pentecostal-Charismatic Movement enthusiastically participated in the world missionary depending o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Scholars tend to pay their special attention to the doctrine of “the baptism of the Holy Spirit” by which the early Pentecostals could overcome all kinds of hardship and obstacles in their mission fields. In particular, their “prosperity theology” and divine healing ministry strongly appealed to those who suffered from poverty, diseases, and isolation. The situation of Pentecostal-Charismatic Movement in Korea was almost the same. The late-rev. David Yonggi Cho and Yoido Full Gospel Church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wondrous growth and spread of Pentecostal-Charismatic Movement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Thanks to Rev. Cho’s powerful preaching, unique doctrine of Five-fold gospel and three-fold salvation, genius organizing skill including “cell-group,” and Charismatic leadership, his version of Pentecostalism could successfully spread out all over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But a lot of scholars continue to give important advices to Korean Pentecostals including Yoido Full Gospel Church: ① “Focus on the negative results of neo-liberalist capitalism,” ② “Resist the sweet temptation of Prosperity Theology,” ③ “Overcome the chauvinistic tendency,” ④ “Invest more energy for the development of pneumatoloy, and ⑤ “Seek to find the way of synthesizing Pentecostalism and Minjung theology. The future of Pentecostal-Charismatic Movement in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will be determined by how it responds to those advices, for it already became the most powerful and influential Christianity as a result of or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If it succeeds in completing those urgent tasks, the future of Pentecostal-Charismatic Movement will be greatly bright and positive. If not, however, nobody can guarantee its ongoing growth and positive influence in the future. Personally, I pray that Korean Pentecostals continue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bright future of Christianity in the 21st century by wisely responding to the negative effects of globalization as well as by appropriating its positive elements creatively.

      • KCI등재

        빌리 그레이엄과 미국복음주의

        배덕만 ( Bae Dawk-mahn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8 역사신학 논총 Vol.33 No.-

        이 논문은 미국 복음주의와 빌리 그레이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려는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특히, 빌리 그레이엄이 세상을 떠난 해에, 그리고 그의 영향력에 비해 한국에서 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현실을 고려할 때, 그가 복음주의의 발전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시기적ㆍ학문적으로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미국 복음주의는 1940년대에 근본주의와 자신을 구분하면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미국복음주의협회 창설(풀1러942), 신학교 개교(1947), 「근본주의의 불편한 양심」출판(1947), 잡지 크리스「처니티 투데이」 창간(1956), 빌리 그레이엄의 뉴욕집회(1957) 등은 그런 구분의 상징적 사건들이며, 이 과정에서 찰스 풀러헤, 롤드 오켕가칼, 헨리, 그리고 빌리 그레이엄이 핵심적 역할을 담당했다. 이 과정에서 이 운동은 자신을 "신복음주의"(neo evangelicalism)로 명명했으나, 후에 단순하게 "복음주의"로 불리게 되었다. 이처럼, 자유주의뿐 아니라 근본주의와 구별되는 새로운 흐름으로서 (신) 복음주의가 출현하고 확산ㆍ제도화되는 과정에서 그레이엄은 결정 적인 역할을 했다. 먼저, 그는 근본주의와 복음주의가 분리되는데 결정적인 원인과 동력을 제공했다. 둘째, 그레이엄은 복음주의가 미국 내에서 확산되고 뿌리를 내리며 지위가 상승하는 데 기여했다. 셋째, 그레이엄은 복음주의를 세계로 확장하는데 공헌했다. 끝으로, 그는 한국에서 복음주의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즉, 그가 복음전도를 위해 진보적 목회자들과도 교류하자, 근본주의자들은 그와의 교제를 중단했다. 동시에, 그는 풀러신학교, 휘튼 대학교, 고든콘웰신학교를 재정적으로 후원했고, 「크리스처니티 투데이」지의 발행을 지원하면서 복음주의의 제도적 발전을 도왔다. 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특히 대규모 전도집회를 통해, '그리고 로잔대회'같은 국제행사를 통해 복음주의의 세계적 확산에 기여했다. 끝으로, 그는 한국전쟁때부터 수차례 한국을 방문하여, 복음주의에 기초한 신앙부흥, 교회성장, 신학발전에 큰 자극이 되었다. 하지만 그가 남긴 과제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그가 대통령들과 과도하게 친밀했던 것은 그 자신뿐만 아니라, 복음주의의 명성에도 부정적 흔적을 남겼다. 따라서 복음주의자들은 국가와 교회의 관계에 대해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그에게 끈질기게 제기된 “반지성주의"의 굴레는 반드시 극복되어야 할 과제다. 복음이 지성과 충돌할 이유는 없다. 셋째, 복음주의자들은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보다 책임있게 반응해야 한다. 세상이 더욱 복잡해지면서, 보다 총체제이고 현실적인 해법이 요청되기 때문이다. The primary goal of this essay is to delv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Billy Graham and American evangelicalism. In particular, it seems to be a meaningful academic work to examine the impact that Graham made upon the development of evangelicalism in America this year, when he finished his journey on earth.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re are only a few of academic papers about Graham, it is quite necessary to pay a special attention to his life and ministry. The American evangelicalism began to appear in church history by distinguishing itself from fundamentalism in the early 1940s.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ism(1942), the opening of Fuller Theological Seminary(1947), the publication of Uneasy Conscience of Fundamentalism(1947)and Christianity Today(1956), and Billy Grahsm's New York Crusade(1957) were only a few of the symbolic examples of such a distinction. And Charles Fuller, Herold J. Ockenga, Carl Henry, and Billy Graham played essential roles in this course. At first, though they called themselves "neo-evangelicals," they soon came to be known just simply as "evangelicals." Then, how should w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raham and evangelicalism? Simply speaking, Graham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ourse of birth, growth, and maturity of (neo) evangelicalism as a new stream which was distinguished from both fundamentalism and liberalism. First of all, he privided a desicive cause and momentum for the separation between evangelicalism and fundamentalism. Secondly, Graham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and promotion of the status of evangelicalism in America. Thirdly, he helped evangelicalism to spread out all over the world. Finally, he also made an important impact upon the development of evangelicalism in Korea. That is, when he tried to develop his cooperation with the progressive pastors for evangelism, his fundamentalist friends cut off their friendship with him without hesitation. Then, he did his best to assis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evangelicalism by not only supporting Fuller Theological Seminary, Wheaton College, and 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financially, but also working together for the publication of Christianity Today. In addition, he also contribited to the worldwide expansion of evangelicalism in many ways including crusades and international conferences. Finally, h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revitalization of faith, church growth, and theological development on the basis of evangelicalism in Korea by a series of his huge crusades since the Korean War However, he also left behind not a few of legacies with which evangelicals have to struggle. First, his too close relationship with presidents made a negative mark on both his reputation and that of evangelicalism. Thus, evangelicals of this generation need to approach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and state more carefully. Secondly, evangelicals should do their best to overcome the shackle of anti-intellectualism of which Graham was harshly accused. In fact, there is no reason that the Word of God clashes with a human intellect. Thirdly, evangelicals need to respond to the various social problems with more serious responsibility. The more the world is getting complicated, the more comprehensive and practical solution is asked f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