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동지역 갈색여치의 발생시기별 서식지의 변화 및 발육생태 특성

        방혜선,정명표,김명현,한민수,나영은,강기경,이덕배,이경열,Bang, Hea-Son,Jung, Myung-Pyo,Kim, Myung-Hyun,Han, Min-Su,Na, Young-Eun,Kang, Kee-Kyung,Lee, Deog-Bae,Lee, Kyeong-Yeol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4

        충북 영동지역에서 대발생한 갈색여치의 서식지 변화 및 배자후발육의 특징에 관해서 2007년에서 2009년까지 3년간 조사하였다. 갈색여치의 월동알은 3월말에서 4월초까지 약 2주 동안 야산에서 부화하였으며, 이 기간의 지온은 $7{\sim}14^{\circ}C$로 측정되었다. 부화한 약충은 야산에 서식하며 참나무류의 잎을 가해하였으나 5월 초순경에 3-4령이 되면서 과수원으로 서식처를 이동하였다. 이 시기는 비탄리 일대 과수원 복숭아잎이 개엽하는 시기와 일치하였다. 갈색여치는 복숭아 잎을 가해하면서 성충까지 발육하였고 6월 하순경에 다시 인근 야산으로 이동하였다. 갈색여치는 부화 후 성충이 되기까지 평균 7회 탈피를 하며, $25^{\circ}C$에서 그 기간은 평균 49.2일이었다. 야외에서 채집한 암컷 성충은 평균 26.2 mm의 긴 산란관을 가지며 앞가슴등판 및 뒷다리 퇴절의 크기가 수컷보다 컷다. Characteristics of habitat alteration and post-embryonic development of Paratlanticus ussuriensis were investigated in the mountain region of Bitanri, Yeongdong county, Chungcheongbuk-do from 2007 to 2009. Overwintered eggs under the ground in the hillside were hatched from late March to early April. The soil temperature during this season was $7{\sim}14^{\circ}C$. Young nymphs lived mainly at the hillside by eating oak tree leaves but the 3rd or 4th instars switched their habitat to orchards near the hillside in early May, which is the time for sprouting of peach leaves. Old nymphs developed into the adult stage at the orchards in late May and moved back to the hillside in late June. Duration of post-embryonic development from the first instar nymph to adult was 49.2 days after 7 moltings at $25^{\circ}C$. Female adults collected from the field had long ovipositor (26.2 mm) and were slightly longer in the body length, hind femur, tegmen and pronotum than those of males.

      • KCI등재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 Waterhouse)의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방혜선,나영은,김명현,노기안,이정택,Bang, Hea-Son,Na, Young-Eun,Kim, Myung-Hyun,Roh, Kee-An,Lee, Jung-Taek 한국응용곤충학회 200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6 No.3

        토양의 비옥도를 높여주는 분식성 곤충으로써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애기뿔소똥구리(Copris tripartitus)의 발육생태를 각 온도에서 관찰하였다. 대량증식 및 환경변화 모델 적용을 위해 15, 17.5, 20, 25, 27.5 및 $30^{\circ}C$(16L:8D)에서 발육실험을 한 결과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기간은 $17.5^{\circ}C$에서 118.0일이고, $27.5^{\circ}C$에서는 49.3일이었다. 온도가 높을수록 짧은 발육기간을 보였으며, 알, 유충, 용, 알에서 우화까지의 발육영점온도와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12.1, 11.2, 12.1, $9.2^{\circ}C$, 그리고 82.7, 462.0, 225.7, 947.2일도이었다. 난 및 유충의 발육단계에서 사망률은 $25^{\circ}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 애기뿔소똥구리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는 $25^{\circ}C$이었다. Copris tripartitus Waterhouse is a coprophagus insect which enhances the soil fertility as conveying dung into the soil. We compared preimaginal development, mortality, and size of C. tripartitus at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 (15, 17.5, 20, 25, 27.5, 30). Total preimaginal periods ranged from 118.0d at $17.5^{\circ}C$ to 49.3d at $27.5^{\circ}C$. Development threshold temperature (DT) and total effective temperature for the development of egg, larva, pupa and for complete development (egg to emergence) were 12.1, 11.2, 12.1 and $9.2^{\circ}C$ and 82.7, 462.0, 225.7 and 947.2 degree days, respectively. The mortality of egg and larva was the lowest at $25^{\circ}C$. The optimum temperature for hatchability and on the development of C. tripartitus was estimated to the $25^{\circ}C$.

      • KCI등재

        갈색여치 알의 휴면타파를 위한 저온처리 및 월동 온도조건의 영향

        방혜선,김명현,정명표,한민수,나영은,강기경,이덕배,이경열,Bang, Hea-Son,Kim, Myung-Hyun,Jung, Myung-Pyo,Han, Min-Su,Na, Young-Eun,Kang, Kee-Kyung,Lee, Deog-Bae,Lee, Kyeong-Yeoll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2

        갈색여치 알의 휴면타파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내 및 야외의 다양한 온도조건에서 배자발달 및 부화율을 측정하였다. 갈색여치 휴면알을 $25^{\circ}C$에서 계속 사육할 경우 부화하지 않았으며 1회 저온처리($5^{\circ}C$ 또는 $10^{\circ}C$에서 30, 45, 60일간)한 후 $25^{\circ}C$에서 사육해도 부화하지 않았다. 또한, $5^{\circ}C$에서 같은 기간 동안 2회 저온처리를 한 경우에도 부화하지 않았다. 그러나 $10^{\circ}C$에서 2회 반복하여 저온처리를 했을 때에 3.6${\sim}$26.7%의 알이 부화하였다. 1회 저온처리 후 $25^{\circ}C$에서 부화하지 않은 알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5^{\circ}C$에서 저온처리한 알들은 변하지 않았으나 $10^{\circ}C$의 경우에는 1.5배 증가했다. 90일 된 알을 2007년 9월에 산간지역 3곳의 땅속에 묻은 후에 월동후 부화율을 관찰한 결과, 충북 영동 회포리, 비탄리 및 경북 화산리에서 1회 월동알의 부화율은 11.3, 3.5, 4.1%였지만 2회 월동알은 25.1, 21.6, 0.4%였다. 부화는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 사이이지만 남쪽에서 약간 일찍 부화하였다. 이 시기의 토양온도는 8${\sim}$$12^{\circ}C$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갈색여치 휴면알은 반복적인 저온기간의 영향이 크며 야외에서는 1회 또는 2회의 월동기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emperature effects on diapause termination of Paratlanticus ussuriensis eggs were studied by measuring embryonic development and hatching rates at various conditions of indoor chilling and overwintering temperatures. Diapausing eggs of P. ussuriensis did not hatch at continued incubation at $25^{\circ}C$ and even after chilling for once at either $5^{\circ}C$ or $10^{\circ}C$ for 30, 45 and 60 days. In addition, double chillings at $5^{\circ}C$ with a 90 days interval at $25^{\circ}C$ did not induce hatching of diapausing eggs. However, double chillings at $10^{\circ}C$ induced hatching at 3.6${\sim}$26.7%. When eggs were incubated at $25^{\circ}C$ after chilling for once at $5^{\circ}C$ for various periods, those weights were not changed but those chilled at $10^{\circ}C$ gradually increased to approximately 1.5 times. When 60-days-old eggs were artificially deposited under the soil at three different mountain sites in September 2007, the hatching rates of the first-overwintered eggs were 11.3, 3.5 and 4.1% and those of the second-overwintered eggs were 25.1, 21.6 and 0.4% at Hoepori, Bitanri and Hwasanri, respectively. Most eggs were hatched from mid-March to mid-April but little bit earlier in southern regions. During the hatching period soil temperatures in three tested locations were around 8 to $12^{\circ}C$. In overall, diapausing eggs of P. ussuriensis were greatly influenced by chilling temperature conditions and those repeated cycles, and may required overwintering for one or two times to hatch for the post-embryonic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

        자료 : 갈색여치에 대한 백강균의 병원력 검증

        방혜선 ( Hea Son Bang ),정명표 ( Myung Pyo Jung ),김명현 ( Myung Hyun Kim ),한민수 ( Min Su Han ),강기경 ( Kee Kyung Kang ),이덕배 ( Deog Bae Lee ),남성희 ( Sung Hee Nam ) 한국환경농학회 2010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9 No.3

        본 연구에서는 갈색여치의 친환경적 방제를 위해 곤충병원성 진균인 백강균(B. bassiana)의 병원력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된 모든 균주에서 60% 이상의 병원력을 나타냈으며, 살충시간 또한 10일 이내로 짧았다. 따라서 백강균은 갈색여치의 생물학적 방제원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Laboratory trial on the control effect of Beauveria bassiana against Paratlanticus ussuriensis was carried out with fungi collected from South Korea, China and Peru. All B. bassiana species from collected at each site had a strong fungicidal activity against P. ussuriensis. The Abbott`s formula was the highest showing 100% mortality and the others also showed over 60% mortality. It took 3 to 6 days until katydid attained to death after inoculation with all B. bassiana treatments. From this trial, B. bassiana fungus was found to have some effects as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activity against P. ussuriensis. So B. bassiana c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environment-friendly and effective pesticides for the control of P. ussuriensis.

      • KCI등재

        연구보문 : 토양환경 ; 우분 분해에 대한 지렁이와 소똥구리의 상호작용

        방혜선 ( Hea Son Bang ),나영은 ( Young Eun Na ),정명표 ( Myung Pyo Jung ),김명현 ( Myung Hyun Kim ),한민수 ( Min Su Han ),강기경 ( Kee Kyung Kang ),이덕배 ( Deog Bae Lee ) 韓國環境農學會 2009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8 No.3

        우분의 분해에 있어 소똥구리와 지렁이를 함께 처리한 구에서 단독으로 소똥구리와 지렁이를 처리한 것 보다 분해율이 높았고, 지렁이와 소똥구리가 우분 분해 활동을 한 다음에 식물체를 파종했을 때 식물체 생장은 비료를 처리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인정되었다. 우분 함수율 78%까지는 소똥구리에 의해 분해 활동이 일어나며, 30%까지는 지렁이에 의해, 30% 이하에서는 두 동물군 모두 분해 활동을 하지 않았다. 소똥구리와 지렁이에 의해 운반된 우분은 초기 우분의 약 72%이며, 이중 10.2%는 소똥구리의 brood ball 형성에 이용되었다. 지렁이의 활동이 소똥구리의 brood ball 형성에 저해요인이 되지 않았고, 소똥구리의 활동 또한 지렁이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지렁이와 소똥구리는 우분에서 공간적 분포를 같이 하면서 먹이 경쟁을 하기 보다는 상호보완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effect of earthworm and dung beetle on cattle dung pat decomposition was assessed by combining quantification of earthworm density and with or without dung beetle in pats and measurements of the decomposition rate of these pats. Cattle dung decomposition rate was higher in the pots treated with both earthworm and dung beetle than in the pots with either earthworm or beetle alone. After dung beetle and earthworm activity, the growth of oat in earthworm with dung beetle treatment was similar effect with fertilizer treatment. Dung beetle was responsible for dung decomposition until 78% moisture content in the dung, earthworm was responsible for up to 30% moisture of dung, and two group were not shown any activity for decomposition less 30% moisture content of dung. Therefore dung in the different periods could be broken down by each group. The disappearance and conveyance of dung by earthworm and dung beetle was 72% of the initial dung amount. 10.2% of 72% dung was used making brood balls by dung beetle. Earthworm activity was not an impediment on making brood balls by dung beetles. The interaction of earthworm and dung beetle may have a complementary cooperation rather than competition in the same dung pat. Indeed, development of earthworm accelerate to coexist with dung beetles instead without dung beetles. From this result, maximum benefits of the effective earthworm and dung beetle can be achieved, it is needed to preserve population of earthworm and dung beetles in pasture to sustainable agricultural environment.

      • KCI등재
      • KCI등재

        LED 광원에 대한 갈색여치의 행동반응

        정명표 ( Myung Pyo Jung ),방혜선 ( Hea Son Bang ),김명현 ( Myung Hyun Kim ),한민수 ( Min Su Han ),나영은 ( Young Eun Na ),강기경 ( Kee Kyung Kang ),이덕배 ( Deog Bae Lee ) 韓國環境農學會 2009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8 No.4

        효과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갈색여치를 방제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하여 빛파장별 LED등에 대한 갈색여치의 광주성을 살펴보았다. 단일광원실험에서 모든 광원쪽으로 갈색여치가 이동하였고, 다중광원실험에서는 비록 특정광원에 대한 특이적 반응은 나타나지 않아 각 처리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무광원 지역보다는 광원지역으로 더 많이 이동하는 특징을 보였다. 즉 갈색여치는 특정 파장에 대한 선호성을 보이지는 않았지만, 빛에 대한 광주성을 가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LED유아등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포장실험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hototactic response of Paratlanticus ussuriensis to different wavelength of light by the use of LEDs and to provide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 improved trap with the longer trapping efficiency to control environment-friendly this katydid. P. ussuriensis were attracted to the single LED light source, especially, blue and white. For the multiple LED light sources, the movement of P. ussuriensi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LED-light bands. Overall, P. ussuriensis had a tendency to move to light source although they were not attracted to a specific wavelength of light. These methods may be used as information for conducting a phototactic response of other insects.

      • KCI등재

        갈색여치(Paratlanticus ussuriensis) 기주식물의 이화학적 특성변화와 먹이선호 구명

        김명현 ( Myung Hyun Kim ),방혜선 ( Hea Son Bang ),정명표 ( Myung Pyo Jung ),나영은 ( Young Eun Na ),한민수 ( Min Su Han ),강기경 ( Kee Kyung Kang ),이덕배 ( Deog Bae Lee ) 韓國環境農學會 2009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8 No.4

        부화한 갈색여치는 서식지의 식물이 개엽하기 전까지는 부식질을 섭식하며, 갈참나무를 포함한 참나무류가 개엽을 하면 이들의 어린잎을 섭식한다. 갈색여치가 산림지역에서 과수원으로 이동하는 시기는 5월 초순경으로 복사나무 잎이 개엽하는 시기와 일치하였다. 산림에 주로 서식하던 갈색여치가 과수원으로 이동하는 것은 갈색여치가 기존 먹이원이던 참나무잎보다 복사나무 잎이나 복숭아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복숭아 잎에 대한 선호성에는 갈색여치의 성장과 발육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는 질소함량 차이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야외에서 갈색여치가 과수원으로 이동하는 시기와 갈참나무 잎의 질소함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시기가 일치하며, 동일시기 복사나무 잎의 질소함량은 갈참나무잎보다 항상 높은 값을 유지하였다. 또한 실내실험에서 3가지(갈참나무 잎, 복사나무 잎, 어린 복숭아) 먹이 중 복사나무잎>복숭아>갈참나무 잎의 순으로 먹이를 선호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In 2006 and 2007, there was a big outbreak of the Ussur Brown Katydid, Paratlanticus ussurriensis in the central part of Korea attacking some orchard trees. Until 2000, the katydid had not been regarded as an agricultural pest because they were distributed widely in Korea with low population density and their habitats were confined mainly to hillsides of forested areas. The fact that katydid attacked orchard trees with a higher population density seemed to be related to a change in feeding environment. And the shift of their habitats from oak woodlands to commercial orchards was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nutritional contents of their feed. In an attempt to understand these relationships, we conducted an ecological study of the affected areas. When the katydids changed their habitats in early May of 2008 and 2009, they shifted their host plants from oak trees to peach trees. The habitat shift was closely related to the nitrogen (N) content of the host plant leaves. When katydid moved to the hillside adjacent to orchard farm, N content of oak tree leaves decreased dramatically from 5.3% to 2.2%. At that time N content of peach tree leaves were higher than the 2.2% of oak leaves, showing 3.5~5.0%. This range of N content of peach tree leaves has been consistent until late June. And feed preference analysis carried out in the laboratory showed that katydid prefered peach tree leaves to peach fruit to oak tree lea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