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화 <아버지 의심하고 떠난 남편과 가짜 남편>에 나타난 부자관계와 그 서사적 의미

        방유리나(Bang, Yurina)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통일인문학 Vol.56 No.-

        이 글의 목적은 설화 <아버지 의심하고 떠난 남편과 가짜 남편>을 통해 부자관계에서 발생한 문제가 이후의 부부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아버지 의심하고 떠난 남편과 가짜 남편>에서 부자관계를 살펴보고, 3장에서는 설화 <쥐좆도 모른다>와의 비교를 통해 그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이에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아버지 의심하고 떠난 남편과 가짜 남편>에서 ‘가짜 아들’은 ‘진짜 아들’이 문제를 자각하지 않으려는 데서 출현한 인물이다. 서사의 주체인 아들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고 포기하고 회피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와는 관련 없는 인물, 제대로 된 아들 노릇을 할 수 있는 가짜를 등장 시키게 하였다. 두 번째, <아버지 의심하고 떠난 남편과 가짜 남편>에서 ‘아내’는 유일하게 가짜를 알아본 인물로, 서사의 주체인 아들이 자신의 존재가 진짜임을 입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가짜를 모두 인정함에도 불구하고 가짜를 거부하는 아내로 인해 서사의 주체는 본인의 문제를 더는 회피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그리고 실제 상황을 직면함으로써 변화하게 되었다. 세 번째, <아버지 의심하고 떠난 남편과 가짜 남편>과 <쥐좆도 모른다>는 동일한 서사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각기 어떤 관계에서 문제가 발생했으며, 그에 대해 서사의 주체가 어떤 식으로 해결해 나가는지에 따라 상이한 서사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문제를 스스로 자각했느냐와 문제를 포기하고 존재를 부정하는 방식을 택했느냐에 따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epical meaning and a father-son relationship in folklore <Husband Leaving Wife and Fake Husband>. In chapter 2, analyzed for a father-son relationship in <Husband Leaving Wife and Fake Husband>. In chapter 3, revealed the epical meaning through compare with <Gyjotdo morenta(쥐좆도 모른다)>.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Husband Leaving Wife and Fake Husband> focus on a father-son relationship. The coming of fake husband is owing to real husband. Real husband avoid his responsibility for his father and wife. Second, the wife is the only one who recognize the real husband in <Husband Leaving Wife and Fake Husband>. Thanks to wife, real husband can face to face with problem. Third, the epic of <Husband Leaving Wife and Fake Husband> is similar to the epic of <Gyjotdo morenta>. There is just the difference about self-awareness or not.

      • KCI등재

        <전남편 제사 지내는 아내와 명나라 제사 지내는 조선>에 나타난 설득의 원리와 그 문학치료적 의미

        방유리나 ( Bang Yurin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문학치료연구 Vol.24 No.-

        이 논문의 목적은 <전남편 제사 지내는 아내와 명나라 제사 지내는 조선>에 나타난 설득의 원리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문학치료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편 제사 지내는 아내와 명나라 제사 지내는 조선>은 외교관계에서 발생한 문제를 부부관계에서 발생한 문제로 해결한 서사이다. 이때의 `설득의 원리`는 `과거 인연에 대한 불신에서 신뢰로의 전환`이다. 그리고 이는 `문제의 주안점 파악 → 동일한 문제의 연결 → 문제의 해결점 모색`이라는 과정을 거친다. 둘째, <전남편 제사 지내는 아내와 명나라 제사 지내는 조선>에서 현재 남편이 전남편 제사를 지내는 아내를 이해하게 된 것은 자기서사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상대의 과거 인연이 나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에서 상대도 나도 과거의 인연이 있었기에 지금의 인연을 맺을 수 있다는 것으로 변화된 것이다. 이와 관련된 서사로 <아내의 전남편 제사 지낸 아버지>가 있다. 셋째, 설득의 원리는 서사접속능력과 서사의 성장과 관련된다. 서사접속능력이 높을수록 서사의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는 곧 설득할 대상의 서사를 파악하는 것과 관련된다. 서사의 성장은 좌절의 서사, 승리의 서사, 상생의 서사와 관련된다. 좌절에서 승리로, 승리에서 상생으로 옮겨갈 수 있을 때, 설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tch the principle of persuasion and to unfold the meaning of Literary Therapeutics for < The wife who holds a ceremony for ex-husband >. The result of discussio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 The wife who holds a ceremony for ex-husband > is the epic which solves the problem, that it comes from a diplomatic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onjugal relations. At this time, `The principle of persuasion` is `The switch that change from distrust to confidence for the connection of the past`. And it passes through some process in accordance with `Defining the main problem` and `Connecting identical problem`, and `Finding the solution of the problem`. Second, the reason why husband understands the wife who holds a ceremony for ex-husband in < The wife who holds a ceremony for ex-husband > is that the epic of self changes. It was changed from the anxiety, which the past connection of marriage partner can be a threat to myself, to the recognition which can be made in the present connection because of their past story. The work with this epic is < The husband who holds a ceremony for wife`s ex-husband >. Third, the principle of persuasion is related with the capability of epic connection and the growth of the epic. The more the capability of epic connection exists, the more easily epic connects, and this is related with the recognition for the epic of someone whom we have to persuade. The growth of the epic is related with the epic of frustration, the epic of victory, and the epic of win-win. When the frustration moves to the victory, and then the victory moves to the win-win, the persuasion can be done with ease.

      • 영화 <업>에 나타난 ‘모험 정신’과 관계의 재형성

        방유리나(Bang, Yurina)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09 영화와문학치료 Vol.2 No.-

        영화 <업>은 칼 프레드릭슨이라는 노인에 대한 이야기이다. 꿈 많던 어린 시절부터 한 사람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결혼을 하고 꿈을 다 못 이룬 상태에서 상대방이 죽게 된 상황을 빠른 속도로 훑으면서 이 사람이 이제껏 살아온 방식은 어떠했고 삶의 목표가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배우자와의 사별로 인해 홀로 남게 된 한 노인에게 그 삶의 목표가 어떤 힘을 발휘하며 다른 이들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작용해나가는지를 살피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 논문은 칼을 중심으로 영화 전반을 이끌어가는 ‘모험 정신’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2장에서는 우선 <업>의 서사를 그 핵심 이미지와 함께 정리하여 전체 내용을 파악하였다. 3장에서는 영화의 핵심인 ‘칼과 엘리의 서사’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떠한 위기를 겪게 되며, 이후 이러한 서사가 다른 이들과의 관계 속에서 회복되는 과정은 어떠한지 등을 단계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단계를 서사적 전개 상황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칼과 엘리의 서사가 형성된 지점이다. 칼과 엘리는 찰스 먼츠라는 모험가를 통해 ‘모험 정신’이라는 각자의 꿈을 키우게 되었다. 그리고 그 꿈으로 인해 두 사람이 만나게 되었고, 이는 이들의 공동 서사로 자리잡게 되면서 결혼과 이후 삶을 지탱하는 힘이 된다. 그리고 이 ‘모험 정신’은 이들에게 ‘집’이면서 ‘엘리’, 그리고 ‘칼’의 의미로 자리 잡게 된다. 다음으로 칼과 엘리의 서사에 닥친 두 번의 위기이다. 첫 번째 위기는 칼이 살고 있는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한 문제이다. 이들로 인해 집에 대한 ‘포기’와 또 다른 집으로 옮길 것을 판결 받지만, 칼은 집을 ‘이동’하는 것으로 위기에 대처한다. 두 번째 위기는 집을 이동시킨 낯선 곳에서 마주하게 된 관계 속에서 일어난다. 다른 이를 보호하기 위해 집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 나타나지만, 칼은 집을 ‘보호’하는 것으로 그 위기를 다시 넘긴다. 마지막으로 칼과 엘리의 서사에 찾아온 변화이다. 이제야 엘리의 꿈을 이루고 둘의 서사를 ‘완성’시켰다고 생각하던 칼은 지금까지 엘리와 살아온 과정 자체가 완성을 위해 나아갔던 것임을 뒤늦게 알게 된다. 그리고 러셀과 케빈, 더그 등 현재의 관계를 위해 집을 ‘포기’하고, 다른 존재를 ‘보호’하는 것으로 방향을 전환한다. 이러한 칼의 이동 내지 변화는 내가 중시하던 것에서 세상이 자신에게 바라는 것, 자신이 세상에 할 수 있는 것으로 옮겨가면서 가능해진다. 엘리와의 부부관계에서 행복했던 순간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것만큼 현재 다른 이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 사이에서 해내야 할 역할이 있음을 알게 된 것이다. 이처럼 영화 <업>은 사랑하는 아내를 잃고 그 관계를 지키고 유지하는 것에 집중하던 한 남자가 그녀와의 관계에서 범위를 넓혀 다른 이들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는 또한 한 사람이 다른 이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부부서사에만 골몰해있던 것에서 벗어나 부모서사로서 세상을 대하는 법을 깨닫게 되는 것이기도 하다. The film <UP> is a story about old man named Carl Fredrickse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meaning of "Spirit of Adventure" on the film. There are three grades of process. First grade is a formation of "Epic of Carl and Ellie". When Carl is a young boy, he meets a tomboy named Ellie. They share the same interest in exploration. Ellie"s desire is to move her clubhouse to Paradise Falls in South America, and Carl promised he keep. The promise is a energy of their life keep. "Sprit of Adventure" is a symbol same meaning as Carl, Ellie, and their house. Second grade is a crisis of "Epic of Carl and Ellie". Crisis comes twice. First crisis is around Carl"s house with construction. The court orders Carl to give up house and move into Retirement Home. But he goes to South America by floating house. Next one happens from South America. He must be choose to protect between house and Kevin(named by Russel). He has no alternative. Last grade is a change of "Epic of Carl and Ellie". His dream of going Pradise Fall was finally realized. And that point, he find out that Ellie didn"t want this. The time when lives together is "Spirit of Adventure". At last, he makes up his mind to protect someone. The process of Carl"s change is movement of relationship. Relationship of Carl and Ellie is past, but it lasts another meaning. And Carl becomes to make ‘father and mother epic’ in relationship with others.

      • KCI등재

        전설을 활용한 영화창작과정에 나타난 집단의 문제의식 탐색

        방유리나 ( Yurina Bang ) 겨레어문학회 2012 겨레어문학 Vol.48 No.-

        이 논문은 전설을 활용한 영화창작과정을 통해 동일한 대학생 집단의 문제의식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사전 학습 단계, 증거물 선정 단계, 각본 창작 단계, 영화 제작 단계, 상영 및 평가 단계의 다섯 단계를 걸쳐 총 20편의 전설이 마련되기까지의 과정별 특징을 살폈다. 3장에서는 창작전설에 나오는 인물이 처한 문제 상황, 문제대처방식 및 해결여부에 따라 분류하고 그에 따른 작품들의 세부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가 갖는 시사점 및 보완점을 제시해 본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전설창작은 특정 대학교에 소속된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서사를 파악하게 해준다. 둘째, 창작전설을 영화로 전환시켜 나가는 과정은 집단의 협업을 통해 창작능력을 심화시킬 수 있다. 셋째, 창작된 전설을 바탕으로 창작집단의 문제를 발견하고 보완 지점을 모색할 수 있다. 넷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사 지도 및 창작교육은 ``남녀 결연`` 및 ``자기 성취``와 관련한 전설을 바탕으로 구상 및 보완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through creating a film using legend. In chapter 2, the process of creating a film using legend was introduced. There are five stages, prior learning about the Korean legend, selecting evidence of creative legend, writing a film script, producing a film, showing and reviewing a film, In chapter 3, total 20 works made by 114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There are two criteria, One is the problematic situation, the other is how to cope with difficulty. The results of this paper as follows. First, group creating is useful to grasp the epic of group. Second, creating a film is helpful for students by improving their creativity. Third, problem of creator is reflected in creative legend. Fourth, creative writing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can be supported work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n and woman, self-realization.

      • KCI등재

        우울증과 관련된 분노서사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

        방유리나 ( Bang Yurin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4 문학치료연구 Vol.30 No.-

        이 글은 우울증과 관련된 분노서사에 대한 문학치료학적 접근을 통해 분노를 조절할 수 있는 문학치료프로그램의 밑그림을 제안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증과 관련된 분노서사의 실체를 밝히려면 우울증과 분노에 함께 작용하는 비합리적 신념에 주목해야 한다. 그 결과 `이성에 대한 집착`이 핵심 문제로 자리하고 있는 이성가르기서사를 그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둘째, 우울증과 관련된 분노를 유발시키는 서사는 `애정 대상의 상실`로 인해 갖게 되는 분노감을 `서사의 주체` 자신에게로 돌리는 특징을 갖는다. 이에 해당하는 서사로는 <눈 빠지게 기다리다 말라 죽은 상사뱀>, <선덕여왕을 사모하다가 재가 된 지귀>, <손에 명주 감고 처녀 만진 조월천과 상사뱀> 등이 있다. 셋째, 우울증과 관련된 분노가 조절되는 서사는 `애정 대상의 상실`로 인해 갖게 되는 분노감보다는 `상황` 자체에 주목하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하여 현 애정 대상에 대한 집착을 끊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려 한다. 이에 해당하는 서사로는 <회초리 맞고 목숨 구한 남자>와 <역적 누명과 회초리>가 있다. 넷째, 우울증과 관련된 분노조절을 위한 문학치료프로그램은 `분노억압의 단계(좌절의 서사) → 분노표출의 단계(승리의 서사) → 분노조절의 단계(상생의 서사)`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노억압의 단계에서는 <눈 빠지게 기다리다 말라 죽은 상사뱀>과 <선덕여왕을 사모하다가 재가 된 지귀>를, 분노표출의 단계에서는 <손에 명주 감고 처녀 만진 조월천과 상사뱀>을, 분노조절의 단계에서는 <회초리 맞고 목숨 구한 남자>와 <역적 누명과 회초리>를 점차적으로 배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anger epic related to depression in a literary therapeutic view, and plan the anger management literary therapeutic program.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veal the anger epic related to depression, irrational belief applying on depression and anger should be focused. With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irrational belief of depression and anger, it is analyzed that the anger epic related to depression is related the epic of dividing the opposite sex which shows the attachment for the opposite sex in a literary therapeutic view. Second, the examples of the epic of dividing the opposite sex are < Sangsa snake >, < Jigwi(志鬼) >, and < Jo, Wol-cheon and Sangsa snake >. In those epic, the agent of epic has a tendency to get angry to oneself when he or she lost the object of their affection. Third, the anger-control epic related to depression has a tendency to focus on the `situation` itself rather than the anger from losing the object of affection. < A man being struck a stick > and < Whip and Virgin > are related to these anger-control epic. Fourth, the anger management literary therapeutic program related to depression can be organized as three steps. First step would be `anger-repression`, and second step would be `anger-out`, and third step would be `anger-management.` In anger-repression step, < Sangsa snake > and < Jigwi(志鬼) > can be used. Then, in anger-out step, < Jo, Wol-cheon and Sangsa snake > can be used. At last, in anger-management step, < A man being struck a stick >와 < Whip and Virgin > can be used.

      • KCI등재

        영화 〈고지전〉을 통해 본 분단서사와 그 극복 가능성 전망

        방유리나(Bang, Yurina)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통일인문학 Vol.55 No.-

        이 논문은 영화 〈고지전〉에 대한 서사 분석을 통해 사람들 내면에 작동하고 있는 분단서사에 대해 탐색하고자 했다. 이에 2장에서는 영화 〈고지전〉의 문제의식 및 분단서사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서사의 주체’와 ‘서사의 갈림길’에 주목하였다. 3장에서는 ‘오뉘 힘내기’ 유형의 설화와 견주는 작업을 통해 〈고지전〉에 나타난 분단서사의 실제와 극복 가능성을 전망하고자 했다. 논의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지전〉과 ‘오뉘 힘내기’는 대결구도를 취하는 두 대상이 어느 한 쪽이 죽어서 없어질 때까지 대결을 멈추지 않는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둘째, 〈고지전〉에서의 강은표는 ‘오뉘 힘내기’의 누이와 유사성을 갖는 인물이었으나, 12시간 최종 격전지에서 승자가 되는 ‘동생’의 위치로 입장을 옮겨가고 있다. 셋째, 〈고지전〉의 서사는 최종적으로 ‘누이’에 대응될 만한 인물을 없애고 ‘동생’에 대응될 만한 인물이 상황을 종료하는 데서 멈추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사 전개는 누이가 언제든지 동생이 될 수 있으며,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뜻이 다른 상대를 없애야만 하는 분단서사를 자극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atch the division epic in the film 〈The Front Line〉. In chapter 2, the epic of 〈The Front Line〉 was searched on the basis of ‘an agent of epic’ and ‘turning point of epic’. In chapter 3, the division epic of 〈The Front Line〉 was compared with ‘the folklore of Sibling Competit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s in 〈The Front Line〉 and ‘the folklore of Sibling Competition’ fight to the death. Second, Kang, Eun-Pyo(character in 〈The Front Line〉) changed from Sister(character in ‘Sibling Competition’) to Brothe r(character in ‘Sibling Competition’) in last battle. Third, the character on equal terms with Sister(character in ‘Sibling Competition’) is non-existent in 〈The Front Line〉. Instead, the character on equal terms with Brother(character in ‘Sibling Competition’) is existent in the film. This is aroused ‘division epic’ which the relationship is recognized as a rupture in the epic of self.

      • KCI등재

        설화 <구복여행>과 영화 <내 이름은 칸>의 서사 비교를 통해 본 복 구하기와 인연 맺기의 의미

        방유리나 ( Bang Yurin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8 No.-

        이 논문의 목적은 영화 <내 이름은 칸>과 설화 <구복여행>의 서사 비교를 통해 구조적 상동성을 살피고, 그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 이름은 칸>에서 리즈반 칸이 대통령을 만나러 가기로 결심한 것은 <구복여행>에서 복 없는 남자가 자신의 복을 구하기 위해 떠난 것에 비견된다. 둘째, <내 이름은 칸>에서 리즈반 칸이 아내 만디라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구복여행>에서 복 없는 남자가 좋은 남편을 얻으려고 하는 여자의 부탁을 해결해 주면서 그 자신이 남편이 되는 것에 비견된다. 셋째, <내 이름은 칸>에서 리즈반 칸이 대통령을 만나게 되기까지 겪게 되는 일련의 과정은 <구복여행>에서 복 없는 남자가 여러 고민을 가진 사람들을 만나 그들의 부탁을 들어주는 과정에 비견된다. 문학치료학에서는 작품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서사`에 주목한다. 비록 서로 다른 작품일지라도 밑바탕으로 삼고 있는 서사는 동일할 수 있다. 그렇게 되었을 때 작품들 간의 서사가 보완되면서, 애초의 작품에서 잘 풀리지 않던 서사의 길이 열리기도 하고, 새로운 의미를 재발견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tructual homology between a tale < Fortune Quest > and a film < My Name is Khan >.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decision of Lizban Khan goes to meet President in < My Name is Khan > equals an unfortunate man`s thing in < Fortune Quest >. Second, the thing of Lizban Khan effort to be recovery of conjugal relationship in < My Name is Khan > equals an unfortunate man`s thing in < Fortune Quest >. Third, the process of Lizban Khan resolves about the terrorism problem and the natural disaster in < My Name is Khan > equals an unfortunate man`s thing in < Fortune Quest >. Literary therapeutics focuses on the epic, not the text. Therefore, this method of analysis in literary therapeutics opens up a new field about understanding works.

      • 영화 <비욘드 사일런스>에 나타난 진정한 가족 되기

        방유리나(Bang, Yurina)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3 No.-

        영화 <비욘드 사일런스>는 청각장애로 인해 어릴 적 부모와의 관계에서 상처를 가진 한 아버지가 음악을 하려는 딸을 이해하지 못해 갈등을 겪다가 결국 딸의 음악을 받아들이면서 화해하게 되는 이야기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비욘드 사일런스>의 가족구성원들 중 아버지와 딸이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어떠한 서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러한 서사가 오늘날 우리들에게 뜻하는 바는 무엇이며 누구에게 유용한 작품으로 기능할 수 있을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2장에서는 영화의 서사 전개와 해당 장면을 정리하고, 3장에서는 라라와 마틴의 입장에서 이를 재정리하여 자기서사의 모습과 변화 양상을 추적하였다. 이에 따른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라라는 부모로부터 자립을 통해 자신의 법칙을 세워나가는 성공적인 부모밀치기서사를 가졌다. 둘째, 마틴은 자녀에 대한 부모의 태도로 부모를 판단하는 부모가르기서사를 성공적으로 하지 못함으로써 자녀를 대함에 있어 부모에 대한 자녀의 태도로 자녀를 판단하는 자녀가르기서사로 진행되었으나, 자녀의 소망과 법칙에도 다 뜻이 있을 것이라 짐작하며 자녀를 이해하려 하는 자녀되찾기서사로 서사의 방향을 바꾸고 있다. 셋째, 영화 <비욘드 사일런스>는 부모가르기서사를 가진 사람이 자녀를 대할 때, 자녀가르 기서사에서 자녀되찾기서사로 나아가는 서사를 가진 작품이다. <비욘드 사일런스>는 우리들에게 가족관계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이는 오늘날 가족 안에서 상대에게 부모 역할을 기대하며 서로 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유용한 서사로 작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Film <Beyond Silence> is a st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the daughter. In this paper is on the basis of "Theory of Epic" in Literary Therapeutics. The result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Lala" has "the epic of pushing parents". Lala grows successfully. Second, the epic of "Matin" changes from "the epic of dividing children" to "the epic of recovering children". Third, The film <Beyond Silence> is useful to the parents who depends children.

      • 영화.〈할람 포(Hallam Foe)〉에 나타난 ‘어머니 떠나기’와 그 문학치료적 의미

        방유리나(Bang, Yurina)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1 영화와문학치료 Vol.6 No.-

        이 글은 영화 <할람 포>에 나타난 ‘어머니 떠나기’와 그에 대한 문학치료적 의미를 탐색한 것이다. 이에 따라 논의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영화 <할람 포>의 줄거리를 정리하고 ‘어머니 떠나기’의 과정이 어떻게 전개되어 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주인공 할람은 ‘현실 속의 어머니’인 새어머니의 존재를 인정하는 단계, 이후 ‘환상 속의 어머니’인 어머니와 닮은 여인과 이별하는 단계를 밟아나갔다. 3장에서는 2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서사의 성장’과 함께 연결시켜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현실 속의 어머니(베리티)’와의 관계는 ‘좌절의 서사’ 수준에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상 속의 어머니(케이트)’와의 관계는 ‘승리의 서사’ 수준에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러한 두 개의 관계를 겪은 할람이 ‘어머니’라는 큰 존재로부터 심리적인 독립을 모색하게 되는 것에서 ‘상생의 서사’가 나타날 단서를 발견할 수 있었다. 성장 영화는 서사의 성장이 관찰될 수 있는 영화로, 서사의 주체가 좌절과 승리를 거쳐 상생으로 나아가는 지점까지 확보할 수 있을 때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Separation from Mother" in <Hallam Foe> and the meaning of literary therapeutics. The result of discussion is as in the follows. In chapter 2, plot and the process of "Separation from Mother" in <Hallam Foe> was introduced. There are two steps. One is to accept a stepmother as "the real mother". The other one is to separate a woman lookalike as "the real mother" In chapter 3, a growth of the "epic of Hallam" was analyzed. At this time, the epic of breakdown was realized in relationship with "the real mother(Beriti)". The epic of victory was realized in relationship with "the fake mother(Kate)". The epic of coexistence wasn"t realize, but twe can find the clue to the problem. Film about growth of oneself, to observe about "growth of the epic" is possible.

      • KCI등재후보

        영화 <무산일기>에 나타난 두 가지 시선과 그 서사적 의미

        방유리나(Bang Yurina)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11 통일인문학 Vol.52 No.-

        이 논문은 영화 <무산일기>의 서사를 파악하고 그것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를 살펴본 글이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무산일기>는 주인공 승철을 중심으로 크게 두 가지 시선으로 나뉘어져 있다. 승철이 향하는 시선과 승철에게 향한 시선인데, 승철이 향한 시선은 백구와의 관계를 통해서, 승철에게 향한 시선은 경철과 숙영`의 관계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승철이 백구를 지키는 과정은 승철이 남한 사회에 대해 느끼는 감정과 그 안에서의 절실함과 연관된다. 경철과 숙영이 승철에게 대하는 태도는 남한 사회에서 승철에게 갖는 불편함과 어색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두 가지 시선이 전환점을 맞이하는 과정과 그것이 갖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승철은 몇 번의 갈등을 겪고 난 후 스스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며, 이는 곧 남한 사회에 적응해가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승철의 모습이기도 했던 백구는 죽고, 승철이 꿈꾸던 숙영과의 관계는 원만하게 회복되어 가는 모습을 보였다. 곧 주변 사회의 가치가 그른 것이라 하더라도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승철은 자신의 서사를 바꾼 것이다. 이와 같은 서사의 전환 과정은 궁극적으로 한 개인이 지향하는 서사가 반복적인 좌절을 겪을 때 어떻게 변해가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반복된 실패의 경험은 애초에 지향하던 서사를 포기하고 새로운 서사를 마련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것은 탈북자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사회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여러 소수자들의 삶과 맞닿아 있다. 이런 점에서 <무산일기>의 서사는 자신이 지향하는 것을 지키고자 했으나 포기하고 현실에 맞춰서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에게 공감을 일으키는 작품이며, 이것이 이 영화가 갖는 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ing an epic of the film <The Journals of Musan> and what it meas. The result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two different viewpoints in <The Journals of Musan>. One is about South Korean community, the other is about Seung-chul(main character). Seung-chul is a North Korean defector and a social misfit. Second, Seung-chul tries to fit in the society by changing the epic of self. Therefore he just left the dead dog Beak-gu on the street. Beak-gu is his other self in the past. This movie is about one person who is having problem adjusting to society. It tells a story about process of 'the epic of desire' modified by repeated attempts and failures. These are issues not only North Korean defector, also that touch us all i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