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 한일 변소 유구의 비교 검토

        방문식(Pang Moon Sick)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9 No.-

        이 글은 3~9세기경 일본열도와 한반도에서 발견된 변소 유구의 비교를 토대로 한반도 변소 유구의 형식, 형식별 규모와 각 속성의 연관 관계, 정화와 사용방식에 대해서 알아본 것이다. 또한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변소 유구 속성을 통해 서로 대응되는 세부형식을 비교해보고, 규모와 복원 예를 통해 이들의 친연 관계를 추정해 보았다. 그 동안 한반도에서 변소에 대한 연구는 건축학, 고생물학, 민속학 등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고대 변소 유구에 대한 고고학적인 연구는 미진하였다. 이는 발견된 변소 유구의 수가 적어서이기도 하겠지만, 그 동안 변소 유구의 특성에 대한 구조나 규모에 대한 접근이 없었던 때문으로 생각된다. 실제 변소 유구를 특정하기에는 변소 내부에서 발견되는 유물의 양상이나 토양 분석을 조합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지만, 밑씻개를 꼭 사용했어야 할 당위성도 없고, 한반도의 토양 특성상 기생충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변소 유구라 할 때, 특정 유물의 발견이나 정황을 제외하고 규모와 구조만으로도 변소로 특정할 수 있을만한 가능성을 마련하기 위해, 고대 일본열도와 한반도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고대 변소 유구는 한반도와 일본열도에서 규모나 재질 등 유사한 범위 내에서 일정 부분 친연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익산 왕궁리 변소 유구는 규모와 정화방식에서 7~8세기 일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If it can be said that the basic biology of humans is feeding and excretion, it is clear that the tracerelated to excretion is the subject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archaeology. In Japan, researches on cesspit archaeology have made considerable progress since the 1990s but in Korea, such researches have been minimal. In researches on the toilet in Korea, it appears that the lack of data led to the lack of researches, and the lack of researches led to the lack of knowledge about the toilet, which led to the inability to establish the research subject, causing a vicious circle. Based on this critical mind, this author attempted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size of ancient toilet relics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viewpoint of preliminary study.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ilet relics on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through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toilet relics, and these were compared with those on the Japanese archipelago, and the kinship and diffusion process of the both were estimated. In this study, the detailed forms of the toilets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divided into 7 types, and the use, sewage disposal, and operating and managing methods of each type were estimated through comparing them with those on the Japanese archipelago. This study viewed that some of the ancient toilets which were established in the 6th~7th century on the Korean peninsula exerted influences on the Japanese archipelago. With this background, it was estimated that, in the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hip at that time, there might have been factors for diffusing such things as advanced lifestyle and the knowledge about the toilet of the people on the Korean peninsula to the Japanese archipelago.

      • KCI등재

        지역 공립박물관 콘텐츠 개발과 활용-인제산촌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신창희,방문식 한국역사민속학회 2019 역사민속학 Vol.0 No.56

        본고는 공립박물관의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보고 인제산촌민속박물관의 사례에 비추어 전시콘텐츠 개선 방안을 논해 본 것이다. 최근 박물관은 전통적인 유물의 보존과 전시에서 사회적인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사회적 역할은 근대 시민사회가 형성되고, 1960년대 유럽에서 새로운 바람이 불면서 더욱 강조되었다. 한국에서도 정책적․정치적․문화적 환경이 변화하고 지역문화 활성화 바람이 불면서 지역 공립박물관이 많이 설립되고, 사회적 역할을 기대하게 되었다. 이 사회적 역할은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지역경제의 활성화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러나 지역 공립박물관은 문화기관으로서 본래 특성을 살리지 못한 채 지역민과 외부 관광객의 기대에 부응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기존 지역 공립박물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도시 씬(urban scene)에서 비롯된 박물관 씬(museum scene)을 설정해 보았다. 이 과정은 박물관시설, 주변시설, 콘텐츠, 전문인력 등 전반적인 변화를 요구로 한다. 현행 공립박물관에서 당장 적용하기는 어렵기에 박물관의 중심 콘텐츠를 조작함으로써 지역사를 통한 박물관 정체성 바로세우기와 교육적 목적에서의 사회적 역할로 풀어 보았다. 실제 사례로 인제산촌민속박물관 전시콘텐츠의 현황과 문제점을 브렌다 로럴의 6대 경험요소를 변형․참고하고, 동형화 이론으로 분석해 보았다. 이에 인제산촌민속박물관은 중심 콘텐츠의 방향성이 부재하고, 지역성과 멀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실질적인 개선방향으로 박물관 설립목적에 적합한 중심 전시콘텐츠 선정, 지역적 장소성을 고려한 콘텐츠 개발, 그리고 콘텐츠의 확장과 전시연출의 다변화를 꼽아 보았다. 논고의 목적은 지역 공립박물관의 설립 당위성에 대한 의문을 일정 부분 해소하기 위함이었다. 특히 지역의 공립박물관이 다원화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지역문화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경제․문화․사회적 역할을 담당하는 문화기관이 될 수 있다. 본 논고의 서술은 그 가능성에 대한 전반적인 로드맵을 그려보고자 한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public museums and discusses ways to improve the contents of exhibitions with the case of Inje Mountian Village Folk Museum. Recently, museums are shifting the focus from the preservation and exhibition of traditional artifacts to their social role. The social role has been more emphasized with the formation of modern civil society and the emergence of new trends in Europe in the 1960s. In Korea, the changes in the policies and polit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s well as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es have led to the establishment of a number of public museums, for which the social role is expected. This social role has been discussed in terms of the villagization of local economies within the capitalist system. On the other hand, local public museums have failed to show the genuine characteristics as cultural organizations, not being able to meet the expect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established a museum scene originated from an urban scene for the direction that existing local public museums should pursue. This process requires general changes in the museum facilities, surrounding facilities, contents, professional manpower, etc. Since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to the existing public museums, this research reorganized the core contents of museums to encourage them to re-establish the identity through the local history and play the social role for educational purposes. As an actual cas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contents exhibited in Inje Mountian Village Folk Museum were analyzed based on the 6 experience elements by Brendan Laurel and isomorphism theory.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Inje Mountian Village Folk Museum lacked the direction for the core contents and that it was far from the locality. As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this research suggested selecting core exhibition content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developing contents by considering the regional location, and expanding exhibition contents and diversifying the exhibition displays and present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solve some of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local public museums. In particular, they can serve as cultural organizations that practically play the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roles based on the local culture in the diversifying modern society. The description in this research was an attempt to roughly develop a general roadlamp on the possibility.

      • SCOPUSKCI등재
      • 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주 : 전통문화 기반 문화원형을 중심으로

        신창희,방문식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6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

        이 글의 목적은 문화콘텐츠 산업 소자로 두서없이 이용되고 있는 문화원형의 개념과 범주를 재단하는 것이다. 문화원형은 기존 문화산업에서 배태된 이후 학술적인 개념정립이 시도되었으나 현재도 저마다의 기준으로 서로 다른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실제 문화산업으로 이용 될 때마다 공감하기 어려운 소재로 공급자와 수용자가 유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일회성 기획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글에서는 문화원형을 집단적 무의식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침전시키고, 직접적인 문화산업 소자로써 ‘대리표상(代理表象)’을 부상시켜 보았다. 대리표상이란 용어로 기존 문화원형 목록을 모집하면서 문화원형을 구획할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을 발견할 수 있었다. 기준은 공간(지역적 배경), 대상, 시간(시대적 배경)의 세 가지가 기본이 되며, 이로써 문화원형 범주의 경계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것을 바탕으로 해당 문화원형 대리표상의 보편성을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이야기자원이 필요하며, 이는 전통문화에서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