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 동아시아 목간자료를 통해 본 “參”의 이체자와 그 용법

        방국화(Fang, Guo-hua) 한국목간학회 2020 목간과 문자 Vol.0 No.25

        본고는 “參”자가 동아시아 각국에서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그 사용법, 사용 상황에는 어떠한 공통점, 차이점이 보이는지를 목간 자료를 통하여 검토함으로써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한자 사용을 비교한 것이다. 일본 목간의 경우 734년 이후에는 “三”의 大字를 “參”, “가다” 또는 “오다”의 뜻을 “參”, “叅”과 같은 형태로 갈라 썼으나 그전에는 혼용된 예가 많았으며 “三”의 大字를 “叅”과 같은 형태로 쓴 예도 적지 않았다. 한반도의 목간 자료를 보면 통일 신라 이후에는 “三”의 大字를 “參” 형태로 서사하였는데 6세기의 月城垓子 목간의 “參”은 “叅”과 비슷한 형태로 쓰였다. 중국 간독에는 일본과 統一新羅 목간에 보이는 “參”의 용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敦煌文書에 “參”과 “三”의 차이점, 그리고 “叅”의 용법에 대한 기재 내용이 보여 이러한 용법이 일본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경주 월성 해자 목간에 보이는 “三”의 大字의 용례는 아마도 이러한 글자체의 분별이 이루어지기 전의 오래된 용법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한다. This paper compares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East Asia by examining how the “參” character was used in East Asian countries, and what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seen in its usage and usage situation. In the case of Japanese Wooden Documents, after 734, the 大字 of “三” was written in “參”, The meaning of “go” or “come” was written in “參” or “叅”. But before that, there were also many examples of writing the 大字 of “三” in the form of “參” or “叅”. In the case of Korean Wooden Documents, after the unitied Silla(統一新羅), the 大字 of “三” was written in the form of “參”. But the “參” in the 6th century Wolseong Moat(月城 垓子) Wooden Documents was written in the form of “叅”. Chinese Wooden Documents does not show the use of “參”. The differences between “參” and “三” and the usage of “參” are shown in the Dunhuang Documents(敦煌文書). It is estimated that these uses were introduced to Japan. It is also assumed that the usage of the Wolseong Moat(月城 垓子) Wooden Documents was probably an old usage before such a sense of character was made.

      • KCI등재

        동아시아 출토 문자 자료로 본 한자의 전파 과정 ― “岡” 용례의 재검토

        方國花 ( Fang¸ Guo-hua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최근에 古代人의 서사 습관을 꾸밈없이 그대로 전해주는 금석문, 목간 등 출토 문자 자료가 증가되고 있다. 이로 인해 漢字 한 글자 한 글자의 사용 상황을 자세히 고찰함으로써 한자의 시대적 및 공간적 특성을 찾아낼 수 있게 되었고 한자의 구체적인 전파 과정과 루트도 재현할 수 있다. 본고는 “岡”자를 예로 중국에서는 시대별, 지역별로 어떻게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시대적·공간적 특성이 동아시아 각국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고찰함으로써 중국과 한반도, 일본과의 소통·교류 관계를 밝힌 것이다. 그 결과 한반도와 일본에 전해진 “□” 글자체는 삼국시대부터 사용되어 양진시기, 남북조시기를 거쳐 수당시기까지 사용된 귄위있는 글자체이었으며 이러한 글자체가 고구려, 신라를 통해 일본열도에 전파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Recently, data such as inscriptions on ancient bronzes and stones and Wooden Documents have been increasing. This allowed us to know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to discover the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Thus, the specific propagation process and root of Chinese characters can also be reproduced. This paper considered how the “岡” character was used in China, for example, by era and region. It also revealed its communication and exchange relations with China,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by examining how these historic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ffected East Asian countries. As a result, we could see that the “□” which was transmitted to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 was a dignified writing style that was used from the Sanguo(三國) period of China to the Liangjin(兩晉) period and Suitang(隋唐) period. And we were able to reveal that these letters were introduced to Japan through Goguryeo(高句麗) and Silla(新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