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취업자의 노동이동 및 고용형태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반정호(Ban Jung-Ho),김경희(Kim Kyung-Hee),김경휘(Kim Kyung-Huy)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3

        본 연구는 청년패널 자료(2002-2003)를 활용하여 청년취업자의 노동이동 및 고용형태 전환의 실태를 파악하고 고용형태의 전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요 분석 결과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취업자의 비정규직 고용은 약간의 감소를 보이지만, 같은 기간 취업청년계층이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이나 실업(혹은 비경제활동인구)으로 대거 전환되는 된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의 청년계층의 고용이 매우 불안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여성이나 저학력자의 비정규직 고용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고, 실업이나 비경제활동인구로 전환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계층의 고용안정화를 위해 정부차원의 차별적인 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청년계층의 구직활동이 공식적인 경로에 의해 이루어진 경우나 직장에서 배치된 직무가 적절할수록 비정규직 함정에 빠질 위험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보여주어, 청년계층에 대한 취업의 경로를 공식화하고 청년계층의 교육이나 기능(기술)수준에 적합한 직무배치를 통해 고용의 질적인 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규모가 큰 대기업일수록 비정규직 함정에 빠지게 될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최근 청년계층의 대기업 정규직 채용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할 때, 오히려 소규모 사업체나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청년계층의 입직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청년취업자의 직장형태가 정부관련 기관일수록 비정규직 함정에 빠질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제한적인 연구기간으로 인해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우리나라의 청년실업정책이 공공근로나 인턴제와 같은 비정규직 고용을 중심으로 실시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현행 청년실업 정책은 청년계층으로 하여금 안정된 직업경력을 확보하거나 정규직으로 전환을 촉진시키는 가교역할을 할 수 있는 고용정책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takes of youth panel data(2002-2003), there is the purpose to know to youth employed's labor mobility conditions of employment status conversion and examine on factors affecting conversion of employment status. Main analysis result and policy imply, is as following. First, although youth employed's non-standard employment shows some decrease, employment youth hierarchy was construed that youth of our country is consisting very changefully because appear great turnover that is converted by unemployment or Not economically activity population same period. Specially, non-standard employment phenomenon of woman or low in scholarship person appeared notedly, and because phenomenon that is converted by unemployment or Not economically activity population is expose that is deepened, discriminating policy of government dimension is required for employment stabilization of these class. Second, show result that danger to escape to non-standard job risk trap which seeking employment activity of youth class is arranged case or company which is formed by official path is suitable becomes low, must formulate path of employment about youth class and improve qualitative level of employment through suitable job placement education of youth class or function (technology) level. Third, when was construed, but take into account that the although large enterprise have low risk in non-standard job, recently employment of youth class consists very limited, rather small scale business or smaller enterprise's competitive power preferably need to be plan. Finally, danger to non-standard job youth employed's company form is government connection wonder was expose that high, Such result can do that it is difficult by limited research period, but reflect actuality that youth unemployment policy of our country is enforced laying stress on public labor or unregular job employment such as internship system. Therefore, current youth unemployment policy may have to change by employment policy that can secure stable work record by youth class or act as bridge-building that promote conversion by full-time job.

      • KCI등재후보

        한국 기업의 퇴직연금제 선호에 관한 연구

        반정호(Jung-ho Ban) 한국노동연구원 2005 노동정책연구 Vol.5 No.4

        본 연구는 퇴직연금제도의 시행에 맞춰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 2004년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기업의 퇴직연금제 도입여부와 선호되는 제도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할 의사가 있는 기업은 전체 표본의 33.4%로 그 선호도가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퇴직연금제도의 도입이나 유형의 선호를 결정하는 요인은 기업의 규모와 재무상태, 임금수준, 노동력의 구조, 노조유무 등 외부적인 요소와 함께 노사간의 협력관계, 후생복지수준, 근로자에 대한 고용보장의 의지 등 기업의 내부적인 요소가 동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퇴직연금제도의 도입과 정착을 위해 기업은 이와 같은 기업을 둘러싼 내ㆍ외부적인 환경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노사간의 합의도출을 위한 파트너십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한편 정부는 퇴직연금제도의 조기정착이 가능한 기업의 제도 도입을 권장하고 상대적으로 재무구조가 열악한 기업이나 규모가 작은 기업들의 제도 도입이 용이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At this time of introduction of corporate pension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whether or not domestic corporations will accept to introduce corporate pension plans and if so, which form of pension policy will be their preferred one.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workplace panel data of 2004 as produced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businesses which are willing to introduce corporate pension plans stands no more than 33.4 percent of the total sample businesses. Also it showed that the decision to introduce or not and to choose which form of pension policy to introduce is affect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size and financial status of the enterprise concerned, its wage level, structure of workforce, and the existence of trade union as well as internal factors including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corporate welfare level, and workers’ desire for job security. Therefore, the study argues that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stabilization of corporate pension plans in the nation, the enterprises concerned need to understand their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sand also maintain cooperative labor-management partnership. In the meantime, is needed the government’s will to strongly recommend enterprises’ early introduction of corporate pension plans, if they are competent to do so now. For those who cannot due to their unstable financial structure or small size of their businesses, institutional reforms to make them easy to participate are required.

      • KCI등재

        가구 구성방식의 다양화가 소득불평등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반정호 ( Jung Ho Ban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1 사회복지정책 Vol.38 No.1

        이 논문은 최근 경험되고 있는 가구구성의 변화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1999년부터 2008년 10년 동안 우리나라의 가구구성은 노인가구 및 모자가구, 1세대 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전문사무직 임시일용직 가구가 증가한 반면, 근로자외 가구와 상용노무직 가구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가구 구성방식의 다양화가 소득불평등에 미친 영향을 정태적 동태적으로 요인분해하면, 노인가구 및 모자가구, 1세대 가구의 증가는 전체 도시가구의 소득 불평등을 확대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가구주 고용의 차원에서는 근로자외, 임시일용직 가구의 고용불안정 계층의 비중변화가 소득불평등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회경제적 변화 및 인구학적 변화에 따른 가구구성의 역동적 변화가 충분히 예측되는 상황에서 특정 성이나 인구집단을 중심으로 한 가구구성이 곧 해당 가구의 경제적 결핍이나 빈곤과 동일시되지 않도록 하는 가족정책과 고용정책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se the effects that recently observed changes in household composition have had on income inequality. During the decade spanning 1999 to 2008, Korean society has seen a rise in the number of elderly, single-parent, and single-generation households. This trend also coincides with the rise of households supported by professional/daily/temporary work earners and the fall of nonworking households and permanent-work earners. Static/dynamic factor decomposition analyses of the effects of changing household composition on income inequality reveal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single-parent, and single-generation households plays an important part in deepening income inequality in urban households. Also, with respect to the work status of the household head (main earner), I find that the increased share of workers in unstable working arrangements (such as non-working, daily, temporary work) explains the higher income inequ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face of reasonably predictable dynamic changes resulting from socio-economic or demographic shifts, family and employment policies must be oriented to preventing household compositions effects (defined by a certain gender or other demographic group) from translating directly into those households` economic deprivation or poverty.

      • KCI등재

        모자가구의 소득분포와 빈곤요인 분석

        반정호(Ban, Jung-ho),김경희(Kim, Kyung-hee) 한국노동연구원 2013 노동정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를 활용하여 모자가구의 내부 이질성을 고려한 해당가구의 소득분포와 빈곤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모자가구의 시장소득 기준 빈곤율과 빈곤심도는 외환위기 이후 악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경상소득 기준 빈곤지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까지 일정하게 유지되어 공적이전의 빈곤감소 효과를 보여주었으나 최근 들어 그 효과가 미약해지고 있다. 빈곤심도 지표(FGT)에 대한 요인분해 결과 미취업자 가구의 빈곤기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고용상태별로는 임시일용직을 중심으로 한 고용불안 계층의 빈곤기여도가 높아졌다. 모자가구의 빈곤탄력성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모자가구 내 발생한 소득불평등 수준을 완화하는 것이 이들의 빈곤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혼인?모성?고용지위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모자가구 중 소득보조와 같은 소득향상 정책을 통해 빈곤경감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계층은 남성배우자가 존재하지 않는 무배우자이며, 임시·일용직의 고용취약계층이다. In this study, I use data from the Korea Statistical Office"s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to analyse the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incidence of single-mother households in Korea, after accounting for within-group heterogeneity. Analysis shows that, in terms of household market income, the incidence and depth of poverty experienced by single-mother households has steadily worsened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Poverty rates in terms of current income were stable up until the 2008 financial crisis, reflecting the effectiveness of public transfers in abating poverty. However, this effect appears to have weakened recently. Decomposition for the FGT metric of poverty suggests an increase in the variation attributable to households who are jobless or find themselves in precarious employment - such as temporary/daily work. Studying the poverty elasticity of single-mother households, we find that reducing the within-household income inequality may sufficiently reduce the household"s chances of poverty, with differing results depending on marital/maternal/employment statuses. We also find that single-mother households most likely to be made better-off through transfers and other income-enhancing policies are those who have no male spouse, or who are in precarious employment arrangements such as temporary/daily work.

      • KCI등재
      • KCI등재

        자영자 가구의 소득변동과 빈곤에 관한 연구

        반정호(Jung-Ho Ban) 한국노동연구원 2012 노동정책연구 Vol.12 No.1

        본 논문은 1990∼2010년까지 20여 년 동안의 자영자와 임금근로자 가구 간의 소득격차와 빈곤위험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영자 가구의 소득창출력은 외환위기 전후를 기점으로 임금근로자 가구에 비해 약화 되었으며, 특히 저학력-중고령 계층에서 소득격차가 확대되었다. 개인 및 가구경제적 특성, 노동시장적 특성을 고려한 실증모형으로 소득격차와 빈 곤가능성을 추정한 결과, 자영자 가구는 임금근로자 가구에 비해 소득격차와 빈곤위험이 증가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인구고령화와 노동유연성 확대에 따른 자영업 선택이 증가하는 현실과 경기침체 및 경쟁과열에 의한 자영업의 수익성 악화 현상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자영업의 저숙련화-중고령화-빈곤화 연결고리를 단절시킬 수 있는 고용 및 사회정책이 요구된다. An empirical analysis for the study was provided to look into the income disparity and the poverty risk of self-employed and paid workers between the year of 1990 and 2010. The result was presented that the income creation of self-employed households was diminished compare to those of paid worker households around the time of IMF crisis. Moreover, the income disparity has been expanded especially on the low-educated and the aged class. A conclusion, estimating the features of an individual, a household economy and a labor-market, was drew that the income disparity and the poverty probability of the self-employed households was increased more than the those of the paid worker households. It is imperative, with the expansion of population aging and labor flexibility, to consider a way of discontinuing the links among the low-skilled-aging population-poverty of the self-employed, which turns up with the combinations of the reality of making a choice to be a self-employed, economic recession, excessive competition and exacerbated profitability.

      • KCI등재

        대체가정 서비스 유형에 따른 아동의 발달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경희(Kyung Hee Kim),반정호(Jung Ho Ban) 한국아동복지학회 2005 한국아동복지학 Vol.- No.19

        본 연구는 입양대상 아동의 출생이후부터 입양 전까지 대체가정 서비스 유형별(시설보호 VS 위탁가정보호) 아동의 발달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선험적으로만 주장되어왔던 위 탁가정보호 아동의 발달상의 우위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 해 홀트아동복지회 입양아동의 신상명세자료에서 아동의 신체적 발달사항을 파악하고 있는 `Well Baby Test` 기록지(이하, WBT)에 나타난 체중, 신장(키), 머리둘레를 주요 변수로 설정 하였으며, 아동의 신체발달의 특성은 대한소아과학회에서 측정한 소아신체발육 표준치를 기준으로 월령별 WBT결과를 표준화한 지수를 활용하여 기술분석(descriptive analysis) 및 변량분석(t-test)을 실시하였다. 아동의 의료 기록을 바탕으로 질병 이환율을 병(의)원 내원 횟수로 비교 분석한 결과, 내원 빈도가 잦은 경우에는 시설보호 아동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질 병 유형별(호흡기계, 소화기계, 피부계)로는 감기와 기관지염의 경우 시설에서 보호받은 아동의 내원율이 위탁가정에서 보호받은 아동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대상 아동의 신체적인 발달적 상황 변화를 비교한 결과 위탁가정에서 보호받은 아동이 출생당시와 1회차 WBT 그리고 출생당시와 3회차 WBT 모두 체중의 경우에 정적(positive)인 발달을 나타내는 평균발달상회 아동군 비율이 더 높았다. 아동의 신체적 발달은 출생 당시에는 전 영 역(신장, 체중, 머리둘레, 가슴둘레)에서 시설에서 보호된 아동의 지수가 높았으나, 2회차 WBT 분석에서는 전 영역에서 위탁가정에서 보호받은 아동이 시설에서 보호받은 아동보다 발육지수가 향상되었고 특히 1차 WBT에서 유일하게 낮았던 신장발육 지수도 증가하였다. 3회차 WBT에서는 신장과 체중의 경우, 위탁가정에서 보호받은 아동이 시설에서 보호받은 아동보다 체중발달 표준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가 보여주듯이 출생당시 발육상태가 상대적으로 좋은 아동이 시설로 보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후의 발육지수는 위탁가정에서 보호받은 아동보다 낮아진다는 것은 양육환경(시설 혹은 위탁가정)이 아동의 신체 발육에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argues the superiority of the foster care by making comparison of child development in two service types-institution care vs. foster care-during the period from birth to right before being placed for adoption. In doing so, this study uses the personal data of adopted children recorded in Holt Children`s Services. To check their physical conditions, the `Well Baby Test` (hereafter, WBT) which identifies children`s weights, heights, and size of the head recorded in the is used. In addition, the number of hospital visits and types of disease of the infants suffered before being adopted are also examined. This study rests on targeted infants in accordance with the age of infants` ages with reference to infant physical development index devised by Korean Academy of Pediatrics according to the outcomes on the differences of physical development (height, weight, and size of the head) from when the first WBT was recorded to when the third WBT was recorded. When the third round WBT was recorded, those in foster care showed higher indexes both in height and weight than those placed in institutions. In terms of size of head, even thou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s, index of those placed in institu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ose placed in the foster care agency. Such outcomes prove that environmental condition (of institutions or foster care agencies) is a major factor that affects on the physical development of infants. Results of analysis that classifies the types of disease into respiratory, digestive and skin demonstrates no difference. However, when it comes to influenza and bronchial trouble that are vulnerable to aerial infection, the infants cared in institution have a higher rate than those cared for in foster care. Those who are cared in a group (institutional care) are more vulnerable than those not (foster care).

      • KCI등재후보

        한국 상황에서의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유형에 관한 소고

        김경휘(Kyung-Hui Kim),반정호(Jung-Ho Ban) 한국노동연구원 2006 노동정책연구 Vol.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다양하게 사용되는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고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사회적 기업의 유형을 탐색적으로 고찰해 보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사회적 기업을 공공부조형(PAT), 지역사회친화형(LFT), 시장친화형(MFT) 사회적 기업으로 유형화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공공부조형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기업이 정부에 의해 보호된 시장을 형성하고, 종교적ㆍ박애주의적 성격을 갖는 조직으로 정의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사회친화형은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 목적을 갖고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재화 및 서비스를 생산하여 지역사회에 제공하고 발생한 이익은 지역사회에 재투자하는 하는 것을 말한다. 시장친화형은 사회적 가치뿐만 아니라 개인 및 조직의 이윤창출에 주목적을 갖는 조직을 의미한다. 사회적 기업의 기본 원칙에 근거하여 사회적 기업으로서 적절성을 고려해 보면 지역사회친화형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적절한 사회적 기업으로 평가된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organize various concepts and types of social enterprise, and search the most suitable type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This comparative analysis divided social enterprise into three types; public assistance type(PAT), local friendly type(LFT), and market friendly type(MFT). PAT social enterprise is defined as religious, philanthropic organization forming protected market by government. LFT social enterprise is to produce and provide required goods and services in a community, and reinvest the gained profit to the community. MFT social enterprise is the organization which does not only pursue social value, bu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rofit creation as well. Considering the fittingness based on the basic rules of social enterprise, we conclude that local friendly type(LFT) is the most suitable type of social enterprise in Korea.

      • KCI등재

        중고령자 삶의 질 변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태균(Yoo, Tae Kyun),반정호(Ban, Jung H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2

        이 논문은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중고령자의 심리적ㆍ사회경제적 지위변동이 이들의 삶의 질 수준과 그 동태적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중고령자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우위를 차지하거나 안정된 계층에서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이들의 삶의 질 변화에도 사회경제적 지위변동이 일정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심리적 차원에서 중고령자 개인의 일자리, 수명, 생활수준 등에 대한 미래 기대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 수준 또한 높고, 이 기대수준이 과거에 비해 증가할수록 삶의 질 또한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령화 진전에 따른 노인인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후소득보장체제의 개선 및 고령친화적 노동정책을 통해 소득기회를 창출함으로써 노년기 물질적 안녕을 추구하는 한편, 의료보장 및 사회참여 증진을 통한 육체적ㆍ심리적 안녕을 이루어낼 수 있는 다각도의 사회복지서비스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n empirical analysis is presented,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year data of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to probe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change of dynamics by the variations of 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al status in the elderly. The results, in general, show that the variations of the socio-economical status in the elderly may help predominate in their status or elevate the quality of life in a stable level. Moreover, the quality of life in the older improves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expectancies to an individual workplace, lifespan, and the standard of living. In addition, the study proves that the quality of life is also ascended as the expectancies increase as the past expectancies of the individual workplace, lifespan and the standard of living raise as well.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required to pursue material comforts in old age by creating income opportunities with the amendment of the income maintenance policy and age-friendly labor policy as advancing to an aging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multilateral approaches in social-welfare policies should be prepared to achieve both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y assuring medical care and enhancing social participation.

      • KCI등재

        대졸 청년층 취업준비노력의 실태와 성과

        박성재(Sung-Jae Park),반정호(Jung-Ho Ban) 한국인구학회 2006 한국인구학 Vol.29 No.3

        이 연구는 청년들의 취업준비노력이 노동시장 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노동시장 성과는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 300인 이상 사업장 취업여부,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의 3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취업준비노력이 첫 일자리로의 이행기간에 미친 효과를 보면 재학 중 일 경험과 취업준비 시기는 첫 일자리로의 탈출확률을 높이지만, 학점, 영어점수, 면접횟수는 오히려 이행기간을 장기화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취업효과는 학력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였다. 전문대 졸업자는 교육훈련과 재학 중 일 경험이, 대졸자는 학점, 현장실습, 외국어능력 등이 좋은 일자리로의 진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임금효과에서도 전문대 졸업자와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문대 졸업자는 재학 중 직업훈련, 재학 중 일 경험, 영어능력이 임금수준을 높이고 있다. 4년제 대학 대졸자는 졸업 후 직업훈련을 받거나 재학 중 일 경험은 오히려 임금수준을 낮추지만, 영어점수와 재학 중 취업준비는 임금보상이 높은 일자리로 진입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re-employment efforts of the youth on their transition to the labor market. Labor market performance is accessed by the transitory period, the employment at workplace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nd the wage level. Based on the effects of employment efforts for the first transitory period, job experience during school and preparatory period for employment would raise the likelihood of employment, but the school credit, grade in English, and the frequency of interviews, on the contrary, failed to reduce the transitory period. Employment effect varied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In case of college graduates, vocational education and job experience during scho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leading them to decent job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university graduates, job experience and language skills were proven to be important factors. Lastly, for the wage effect, in case of college graduates, vocational training, job experience during school, and English ability were proven to increase the wage level. However, vocational training after graduation and job experience during school decreased the wage level, but grade in English and pre-employment efforts during school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decent, highly paid job for university gradu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