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농업의 지역별 생산성 격차와 메타 프론티어 생산함수 추정

        반경훈,권오상 한국농업경제학회 2016 農業經濟硏究 Vol.57 No.5

        This study estimates the regional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s and the national meta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of Korean agriculture using micro-level production data of the period from 2003 to 2012. It is shown that regional variation of technical efficiency is larger than farm-level variation of technical efficiency within a region. The meta frontier itself does not show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oductivity, but the regional and individual technical efficiencies were improved substantially. Moreover, it is found that regional efficiency was improved mostly in the regions where the proportion of high valued-added urban-oriented farming is higher.

      • KCI등재

        한국 농업의 지역별 생산성 격차와 메타 프론티어 생산함수 추정

        반경훈 ( Kyung-hoon Ban ),권오상 ( Oh-sang Kwon ) 한국농업경제학회 2016 農業經濟硏究 Vol.57 No.4

        This study estimates the regional stochastic frontier production functions and the national meta frontier production function of Korean agriculture using micro-level production data of the period from 2003 to 2012. It is shown that regional variation of technical efficiency is larger than farm-level variation of technical efficiency within a region. The meta frontier itself does not show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roductivity, but the regional and individual technical efficiencies were improved substantially. Moreover, it is found that regional efficiency was improved mostly in the regions where the proportion of high valued-added urban-oriented farming is higher.

      • KCI등재

        농업부문 연구개발투자가 농가유형별 소득에 미치는 영향

        권오상,반경훈,허정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농촌경제 Vol.41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agricultural R&D on farm income in Korea. We constructed a decomposition method where farm income change was decomposed into the four effects of output price change, input price change, productivity change and production scale change. Before the decomposition method was applied, the impacts of the R&D expenditure on the changes in output prices, input prices, 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factor-bias were econometrically estimated. We found that the agricultural R&D expenditure negatively affected farm income by reducing agricultural product prices substantially. On the other hand, the agricultural R&D expenditure resulted in a saving in cost by reducing input prices and enhancing productivity. An increase in production scale owing to the R&D expenditure also contributed to farm income slightly. The sum of the positive effects of input price decline, productivity change, and scale change of the agricultural R&D dominated the negative effect of output price declin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D effects are substantially variant across farm households depending on their choice of products, input shares, farmland size, and production location. 본고는 지난 9년간 이루어진 농업 R&D투자가 농업생산자의 소득에 기여한 바를 요인별로 그리고 농가 유형별로 분리하여 계량분석하고자 하였다. R&D투자가 농산물 품목별 가격과 투입요소별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계량분석하고, 비용함수 추정을 통해 농업R&D가 농업생산성과 투입요소편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분석하였다. 이어서 농가의 농업소득변화를 산출물가격변화, 투입요소가격변화, 생산성변화, 생산규모변화의 요인별로 분해하는 것을 Bennet지수를 이용해 시행하고, R&D 투자로 인해 발생했던 이들 네 가지 요인이 각각 농가유형별로 유발한 소득변화를 실제로 도출하였다. R&D의 생산성효과는 투입대비 산출을 증가시켜 농업소득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생산량이 늘어남으로써 일부 농가유형을 제외하고는 규모효과를 통해서도 소득증대에 기여하였다. R&D의 농가유형별 영향은 생산성변화효과 측면에서는 유형별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생산규모효과는 품목이나 농가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가격효과인 산출물가격효과와 투입요소가격효과도 농가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 한국 경제의 KLEM DB구축과 nested CES 함수 추정

        권오상,한미진,반경훈,윤지원 한국환경경제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 구 한국환경경제학회 ) 2016 한국환경경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하계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부문을 세분화 한 한국경제의 KELM database를 구축하고, 다양한 네스팅(nesting) 구조 하에서의 CES 생산함수를 추정하여 투입요소간 대체탄력성을 구한다. KLEM은 투입요소가 자본, 노동, 에너지, 중간투입재로 구성되는 산업별 수량지수 및 가격지수로서, 이 중 에너지투입은 전력, 가스, 석유, 석탄으로 세분화하여 에너지투입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한국경제의 산업을 한국은행 산업연관표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35개 부문으로 분류하였으며, 한국은행의 투입산출표와 경제활동별 자본서비스물량지수, 고용노동부의 직종별임금실태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980년부터 2013년까지 연도별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KLEM database를바탕으로 CES 생산함수의 네스팅 구조별로 투입요소간 대체탄력성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탄력성은 생산성 분석뿐 아니라 기후정책의 효과분석, CGE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특히 다양한 네스팅 구조의 탄력성을 추정하고, 어떤 네스팅 구조가 적합한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 농업 KLAM자료의 구축과 생산성 변화 요인 분석

        권오상(Oh-Sang Kwon),반경훈(Kyung Hoon Ban),윤지원(Ji Won Yoon) 한국농업경제학회 2015 農業經濟硏究 Vol.56 No.3

        This study constructs quantity and price indices of Korean agriculture for the period 1971-2013, to estimate the change in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and identify its sources. Inputs are aggregated into capita l (K), labor (L), land (A) and intermediate inputs (M). Constructed indices show that theer were three stages of productivity change: the stage of high output and input growth rates (1971∼1986), the stage of low output and almost zero input growth rates (1987∼ 1997), and the stage of negative input and output growth rates (2000∼2013). Average TFP growth rate substantially declined in the 3 stage. Our econometric analysis identifies three sources of productivity change: technical change, scale effect and factor-biasedness. Technical change is the largest source of TFP growth that occurred in the 2nd and 3rd stages. Scale effect was also a substantial source of productivity change because the technology exhibits increasing returns to scale. It is found that factor- biasedness also affected productivity change, but its overall impact is negative.

      • KCI등재

        한국 경제의 KLEM DB구축과 중첩 CES 생산함수 추정

        권오상 ( Oh-sang Kwon ),한미진 ( Mijin Han ),반경훈 ( Kyunghoon Ban ),윤지원 ( Jiwon Yoon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18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7 No.1

        본고는 에너지부문을 세분화 한 한국경제의 KELM DB를 구축하고, 다양한 중첩(nesting) 구조 하에서의 CES 생산함수를 추정하여 투입요소 간 대체탄력성을 구한다. KLEM DB는 투입요소가 자본, 노동, 에너지, 중간투입재로 구성되는 산업별 수량지수 및 가격지수로서, 이 중 에너지투입은 전력, 가스, 석유, 석탄으로 세분화하여 에너지 투입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다. 구축된 KLEM DB를 바탕으로 CES 생산함수의 중첩구조별로 투입요소 간대체탄력성을 추정하였고, 대체탄력성 추정치를 사용하는 CGE 모형의 관례대로 중간투입재와 여타 투입요소 간의 Leontief 결합을 가정하는 경우와 이 가정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모두에 있어 대체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본고가 제시하는 탄력성 추정치는 산업별 생산기술 구조와 생산성 분석뿐 아니라 기후정책의 효과분석, 일반균형모형의 구축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constructs an energy-extended KLEM DB of 35 Korean industries, and estimates the elasticities of substitution under various nesting structures of production technologies. Unlike most existing studies that employed only three inputs, K, L, and E, we applied a dual approach where non-energy intermediate input M is also incorporated as a production input. Our dual approach which extended that of van der Werf (2008)’s 3-input model successfully identified and estimated the multi-nested production functions. We provide the estimates of the elasticities of substitution among 4 different energy sources as well. Our estimation results would be used for energy-environment model building for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