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BCD 함유 제품 및 폐기물의 국내 물질흐름 및 관리 연구

        박휘언 ( Hwi-eon Park ),김현희 ( Hyun-hee Kim ),권유리 ( Yuree Kwon ),장용철 ( Yong-chul Jang ),배희경 ( Hee-kyung Bae ),이승규 ( Seung-kyu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8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

        HBCD(Hexabromocyclododecane)는 주로 건축 자재 중 발포 폴리스티렌 및 압출 폴리스티렌 등의 단열재에 난연제로 사용되고 있다. HBCD는 환경적으로 독성, 지속성, 생체 축적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제품의 사용, 처리 및 처분을 통한 인체 노출 및 환경 배출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HBCD는 REACH Regulation 상고위험성 우려물질(SVHC) 및 허가대상물질(부속서 14)로 2015년 허가유예종료일(Sunset date)이 만료됨에 따라 사용 및 유통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POPs Regulation 개정안(Regulation(EU) 2016/293)을 통해 발포폴리스티렌 제품에 대해서는 HBCD의 생산을 2019년 11월 29일까지 허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먼저 국내 HBCD 적용 현황 및 함유 제품 및 폐기물 내 HBCD 함량을 파악하였다. 국내 발포스티렌 통계자료 등 관련 자료를 파악하여 HBCD 함유 제품의 물질흐름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외 HBCD 함유 제품 및 폐기물에 대한 규제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에서 적용 가능한 HBCD 함유 폐기물에 대한 관리기준 및 처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1) 건축자재 중 단열/보온재의 분석결과 총 18개 중 HBCD는 5개 시료에서 검출되어 HBCD의 검출율은 28%였다. 단열/보온재 내 HBCD 함량은 613 ~ 6,284 mg/k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평균 3,375mg/kg, 표준편차는 1,281 mg/kg이었다. 2) HBCD의 물질흐름 파악 결과, 2016년 기준 약 35 톤의 HBCD가 수거되었고 이중 약 33 톤의 HBCD가 소각 또는 매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국내외 HBCD 함유 제품 및 폐기물의 규제현황을 검토한 결과, 전 세계적으로 HBCD를 규제대상물질로 설정하여 제품 및 폐기물 내 함유 농도로 관리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HBCD 함유 폐기물에 대한 관리기준 및 처리지침이 수립되어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HBCD 함유 폐기물의 재활용 함량 기준으로 바젤협약에서 검토 중인 100 mg/kg을 제시하였다. 또한 함량 기준에 따른 HBCD 함유 폐기물의 적정처리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HBCD 함유 폐기물 처리 및 적정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항후 HBCD룰 포함한 잔류성 오염물 관리에 대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폐TV 내 PBDEs의 전과정 단계별 정적 및 동적 물질흐름분석

        박휘언 ( Hwi-eon Park ),장용철 ( Yong-chul Jang ),권유리 ( Yuree Kw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전 세계적으로 폐전기전자제품은 2016년 44.7 백만 톤이 발생하였으며, 2021년 52.2백만 톤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그런데 전기전자제품 중 난연제로 주요 사용되는 PBDEs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는 잔류성, 생물축적성, 독성의 성질을 갖고 있어 잔류성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로 등재되어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전기전자제품 중 폐TV의 국내 전과정 단계별 정적 및 동적 물질흐름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그리고 국내외의 폐전기전자제품 내의 PBDEs에 대한 규제에 따른 2030년까지의 국내 폐TV 및 PBDEs 배출거동을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 1) TV 총 38개 시료 중에서 스크리닝 과정을 거쳐 분석 대상 시료로 31개를 정하였다. 이중 16개에서 PBDEs가 135~18,467 mg/kg의 범위로 검출되었으며 검출율은 53%였다. 평균은 7,739 mg/kg, 표준편차는 4,283 mg/kg으로 나타났다. 2) TV에 대한 정적 물질흐름분석 결과, 2017년 기준 PBDEs의 경우 총 출고량 및 가정 사용량은 각각 약 35 ton, 약 36 ton이었으며 재활용 시설로 수거되는 양이 약 129 ton이다. 플라스틱사출업체로 재활용되는 양은 약 108 ton이었다. 3) TV에 대한 동적 물질흐름분석 결과, CRT TV는 대략 2025년 까지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며 수거 및 재활용 시 2022년 이후에는 소량의 PBDEs가 배출될 것으로 보인다. 4)PBDEs의 배출 특성 파악 결과, CRT TV의 경우 2026년 이후 폐기물로 배출되지 않았다. LCD TV의 경우 폐기물 발생량이 2020년 이후 증가하였다. 5) Population Balance Model을 이용하여 PBDEs의 재고량을 파악한 결과, CRT TV 내 PBDEs의 재고량은 2020년 이후 발생되지 않았다. PBDEs의 대기로의 배출량을 파악한 결과, 2020년 약 18kg까지 감소하였다가 LCD TV의 사용증가에 의하여 2030년 약 43kg까지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PBDEs 함유 폐전기전자제품 처리 및 적정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항후 PBDEs를 포함한 잔류성유기오염물질 관리에 대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브롬화 난연제 함유 제품 및 폐기물의 국내외 규제 및 처리현황 연구

        박휘언 ( Hwi-eon Park ),장용철 ( Yong-chul Jang ),최종현 ( Jong-hyun Choi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PBDEs, TBBPA 및 HBCD를 포함한 브롬계 난연제(BFRs)는 자동차, 전자 제품, 건축 자재 및 직물과 같은 다양한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일부 브롬화 난연제는 환경적으로 독성, 지속성, 생체 축적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브롬화 난연제를 함유한 제품의 사용, 처리 및 처분을 통한 인체 노출 및 환경 배출 가능성이 있다. 많은 국가에서 브롬화 난연제 사용에 대한 규제에 관한 법률 및 규정이 다양하게 시행되고 있지만 BFR을 포함하는 제품 및 폐기물의 수준, 흐름, 처리 기술 및 규정에 관한 정보는 제한적으로 이용 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먼저 국내 브롬화 난연제 적용 현황 및 함유 제품 및 폐기물 내 브롬화 난연제 함량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외 브롬화 난연제 함유 제품 및 폐기물에 대한 규제현황 및 처리현황을 파악하고 국내에서 적용 가능한 브롬화 난연제 함유 폐기물에 대한 관리기준 및 처리 방안울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 브롬화 난연제 적용 현황, 함유 제품 및 폐기물 내 브롬화 난연제 함량 검토, 브롬화 난연제 함유 제품 및 폐기물의 규제현황 및 처리현황은 관련 연구보고서 및 논문검토 등 문헌조사 및 통계자료 조사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국내 유통되는 브롬화 난연제의 사용량은 전기·전자/자동차제품에 범용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11,077톤), 전기전자, 건축자재, 운송수단의 순이었다. 2) 브롬화난연제 함유 폐기물 내 함량은 폐전기전자제품의 경우 TV가, 건축자재에서는 보온단열재 및 재활용 원료에서 높게 나타났다. 3) 국내외 브롬화 난연제 함유 제품 및 폐기물의 규제현황을 검토한 결과, 전 세계적으로 브롬화 난연제를 규제대상물질로 설정하여 제품 및 폐기물 내 함유 농도로 관리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폐기물에 대한 정의 및 관리기준이 수립되어 있지 않았다. 4) 국외 BFRs 함유 폐기물 처리 기술에 대한 조사 결과 재활용, 매립, 물리화학적 처리, 에너지회수 및 소각처리를 하고 있으며 EU 등 일부 국가에서는 브롬화 난연제 함유 물질의 매립을 금지하고 스톡홀름협약에서 제시한 최적가용조건으로 소각처리를 하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브롬화 난연제 함유폐기물에 대한 처리지침이 수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브롬화 난연제 함유 폐기물 처리 및 적정 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항후 브롬화 난연제를 포함한 잔류성 유기 오염물 관리에 대한 정책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KCI등재

        폐자동차 파쇄잔재물(Automobile shredded residues)의 PBDEs 물질흐름분석

        장예지 ( Yeji Jang ),장용철 ( Yong-chul Jang ),김현희 ( Hyunhee Kim ),박휘언 ( Hwi-eon Park ),권유리 ( Yuree Kwon ),최종현 ( Jong-hyun Choi ),김기헌 ( Ki-heon Kim ),김우일 ( Woo-il Kim ),황동건 ( Dong-gun Hwang ),김종국 ( Jong-guk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36 No.2

        Brominated flame retardants (BFRs) including PBDEs, TBBPA, and HBCD have been used in automobiles. As BFRs contain some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listed by the Stockholm Convention due to their toxicity for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they have been identified as substances of great concern due to the possibility and potential of human exposure and environmental release during automobile use, treatment, and disposal. This study examined and summarized the PBDE levels and management of automobile-shredded residue (ASR) after disassembly and the shredding processes of end-of-life vehicles (ELVs). The results show that the concentrations of PBDEs detected from the ASR samples range from 313 mg/kg to 5,527 mg/kg, with an average of 1,037 mg/kg. Among the 13 isomers of PBDEs, high levels of deca-BDE were found in the samples. The results of the substance flow analysis of PBDEs show that 122 tons of PBDEs were generated after the disassembly and shredding process in 2016. The final destinations of PBDEs in ASR were energy recovery (68%) and incineration (32%).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final fate and behavior of PBDEs during these processes. Specific management guidelines associated with ASR containing high levels of PBDEs should also be established in order to prevent the widespread dispersion of POPs in the environment as well as human exposure in improper disposal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