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절사의관에 대한 연구

        박훈평(Hun-Pyeong Park) 한국의사학회 2018 한국의사학회지 Vol.31 No.1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results of a Korean Envoy s medical bureaucrat(attendant)travel to China. Unlike other Envoy medical bureaucrats, envoy s trade made profits for those who participated.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rotocols of a Korean Envoy’s medical attendant which include:(1)A prominent family member or high-ranking official does not participate in the Envoy smedical bureaucrat, either himself or his descendants. This denies the general theory that the medicinal material trade helped the economic status of medical officials. (2) Envoy s medical bureaucrat is a high percentage of interpreter bureaucrat in the households of father mother, and wife. This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about the envoy schedule and the benefit of the envoy may have been exposed nadvanc.

      • KCI등재

        조선 시대 활인서 연구 : 연혁 및 상비처방을 중심으로

        박훈평(Hun-Pyeong Park) 한국의사학회 2020 한국의사학회지 Vol.33 No.1

        활인서는 조선시대 도성의 빈민 치료와 구제를 담당하는 관청이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잘못 알려진 사실들을 수정하고, 활인서의 의료기관적 성격에 중점을 두어 상비처방을 분석하였다. 대비원, 혜민국, 제생원의 세 관청의 업무는 서민의 구료라는 면에서 업무 영역이 겹쳤다. 그러나 대비원은 순수한 의료 관청이 아니며, 교육 기능이 없고, 약재 관리를 하지 않는 점에서 다른 두 관청과 구분되었다. 활인서의 상비처방을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다음의 새로운 사실을 알았다. 첫째, 상비처방의 구성에 있어 허준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다. 둘째, 열성유행병은 당시의 응급의료적인 면에 있어 사회적인 주요 문제였다. 셋째, 조선 후기에 열성유행병 치료에 있어서 이전 시대에 비하여 더욱 정교해진 치료 처방을 갖추게 되었다. The Office for Saving Lives (活人署) (OSL) was the office in charge of the treatment and relief of the poor in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disputes prior scholarship on the OSL by analyzing the use of a ready-made prescription and by focusing on the personality of the OSL’s medical institutions. The work of the three government offices, the Office of Great Mercy (大悲院) (OGM), which was the formal office of OSL, the Office of Benefiting People (惠民署) and the Office of Aiding Life (濟生院), overlapped in the area of relief of the common people. But OGM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two in that it was not a purely medical office, had no educational function, and did not manage medicine. By analyzing a standing prescription, this article argues: 1) Heojun’s influence on the composition of a standing prescription is absolute. 2) Epidemic warm disease (溫疫) was a major social problem in terms of emergency medical care at the time. 3)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reatment of epidemic warm diseases became more sophisticated than the previous era.

      • KCI등재

        갑오개혁 이후 조선 왕실의 의료 관제 연구

        박훈평(Hun-Pyeong Park) 한국의사학회 2020 한국의사학회지 Vol.33 No.2

        The royal medical officer system of the Joseon after the Gabo Reform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e period of the Taeuiwon, the Jeonuisa, the Naeuiwon, and the Sijongwon period. This study shows:1. The status of the royal medical office was related to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2. After Jeonuisa, traditional royal offices of the Joseon Dynasty were not used. 3. ‘Jeonui’ became synonymous with bureaucrats in charge of royal medical care after the Taeuiwon period. 4. The Minister of Jeonui was the highest in medical bureaucracy since the Joseon Dynasty. 5. The imperial medical service included Western medicine doctors after the Sijongwon period. 갑오개혁 이후 왕실 의료는 크게 내의원, 전의사, 태의원, 시종원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새롭게 알았다. 첫째, 왕실 의료 관청의 위상은 왕실의 위상과 관련이 있다. 대한제국 시종원 시기가 가장 낮았고, 태의원 시기가 가장 높았다. 둘째, 전의사 시기부터 전통적인 조선시대 왕실 관제 직임들이 사용되지 않았다. 내의원, 의약동참, 내침의 등이 그 예이다. 셋째, ‘典醫’가 왕실 의료를 담당하는 관료 의사와 동의어가 된 것은 태의원 시기 이후이다. 그 이전의 典醫는 의사가 아닌 왕실 의료를 담당하는 관청의 고위직 관료도 포함하는 용어였다. 넷째, 典醫長은 의학 관료직으로는 조선 시대 이후로 가장 높았다. 2품관 이상의 지위인 칙임관이 임명되었다. 다섯째, 황실 의료에 있어 서양의들이 포함된 것은 시종원 시기 이후이다. 그 이전까지는 한의 일변이었다. 이는 서양의학이 대한제국의 공적인 황실 의료 체계 내에서 강제적으로 이식되었음을 시사한다. 당시 통감부 체제 아래에서 일본의 조선에 대한 영향력 증대라는 상황과도 관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태산구급방 정본화 연구

        박훈평(Hun-Pyeong Park) 한국의사학회 2019 한국의사학회지 Vol.32 No.1

        TheTaesangugeupbang(EmergencyPrescriptionsforChildbirth)isamedicaltextwrittenbyLi-ChengongofChinaintheearly14thcentury. ItincorporatesformsofobstetricsandgynecologyinuseintheChosunDynastyandisquotedintheHyangyakjibsungbang(Compendium ofPrescriptionfrom theCountryside),theEuibangyoochui(ClassifiedCollectionofMedicalPrescriptions),andtheTaesanjibyo(Collection ofEssentialsforChildbirth).TherecentrediscoveryofTaesangugeupbangmanuscriptsinJapanhasenabledfull-scaleresearchofthistext. Thisarticleisbasedonastudyofthesemanuscriptsandattemptstosynthesizethetextthroughthevariousdocuments.Thearticlesuggests that:(1)criticaltextsforunderstandingtheTaesangugeupbangincludetheUijeoggo(AReviewofMedicalBooks),theEuibangyoochui, andtheTaesanjibyo;(2)thereisapossibilitythattheTaesangugeupbanghaddisappearedfrom useinJoseonbythelate15thcentury; (3)theTaesangugeupbangcomplementedthetreatmentregimenofothertextsandinfluencedthedevelopmentofearlyChosunophthalmology; (4)TheTaesangugeupbangisquotedinmanyJoseon smedicaltextsandisrelatedtotheauthor smentor.

      • KCI등재

        조선 후기 태안이씨 의관 연구 - 사맹공파를 중심으로

        박훈평 ( Park Hun Pyeong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3 No.-

        태안이씨 사맹공파는 조선 후기 기술직 관료를 구성하는 주요한 가계의 하나이다. 조사된 가계 내의 의관은 총 65명이었다.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57명에 새로 8명이 추가로 발굴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냈다. 첫째, 의관 가계로서 17세기 후반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18세기 중후반 전성기를 누렸고, 19세기에도 일정한 지위를 유지하였다. 가계 내 의관은 1672년 의과에 급제한 인물이 처음이었다. 18세기 중반, 내의를 3명이나 배출하면서 의관 가계로서 탄탄한 입지를 다졌다. 18세기 중후반은 활동한 가계 내 인물이 의관이 19명에 달한다. 19세기는 점차 고위직에 오른 의관이 줄었지만 배출 의관의 수는 비슷하였다. 둘째, 사조 분석을 통해보면,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가계 내 세전 양상이 잘 나타난다. 사조 중에 의관이 없는 경우는 5례로 전체의 7.81%에 불과하다. 생년에 따른 활동 시기를 감안하면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가계 내 세전 양상이 두드러진다. 셋째, 가장 많이 종사한 의학 관청은 전의감이었다. 해당 의관 중에 전의감이 최종 관력인 이는 42명으로 65.6%에 달한다. 『해혹변의』를 저술하게 된 배경도 이와 연관시켜 생각할 수 있다. 의관 가계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 가계 내 후진의 의과 대비에 더욱 노력했을 가능성이 있다. 넷째, 영조와 순조 때 의과의 급제 연령은 다른 의관 가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즉 세전 양상이 두드러진 시기에 급제 연령이 낮게 나타났다. 사맹공파 내에서 영정조기에 비하여 순조 대에 급제 연령이 높아졌다가 고종대에 다시 감소하는 추이도 세전과 급제 연령의 연소화와 관련시켜 볼 필요가 있다. Samaeng(司猛)-gong(公)’s ancestry of Taean Lee clan is one of the major clans that make up medical bureaucra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65 medical bureaucrats in the household surveyed. In addition to the 57 people investigated in the previous study, 8 additionally were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As a medical bureaucratic family, it began to be formed in the late 17th century, enjoyed its heyday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and It maintained a certain position even in the 19th century. The first medical bureaucrat in the household was the first to enter Medical state examination in 1672. In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it produced three royal doctors and established a solid position as a medical bureaucrat.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there were 19 medical bureaucrats who were active in the household. In the 19th century, while the number of medical officials who had risen to high positions gradually decreased, the number of medical officials discharged was similar. 2) Through the analysis of father, grandfather, great-grandfather, and maternal grandfather,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pattern of inheritance within households is well seen. Among the four ancestors, there were no medical officials in 5 cases, accounting for only 7.81% of the total. Considering the period of activity according to the year of birth, the pattern of pre-tax in households is prominent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3) The most engaged medical office was Jeoneuigam. Among the officers, the Jeonui-gam was the final official, accounting for 65.6% of the 42 people. The background that led to the writing of HaeHokByeonUi can be thought of in connection with this. As one of the means to maintain the status of the medical family, it is possible that they made more efforts to prepare for Medical state examination of the junior in the household. 4) At the time of King Yeongjo and Soonjo, the passing age of Medical state examination was relatively low compared to other periods. In other words, when the hereditary pattern was prominent, the age of passing grades was low.

      • KCI등재

        조선시대 제주목의 의료제도 및 醫政

        박훈평(Hun-Pyeong Park) 한국의사학회 2021 한국의사학회지 Vol.34 No.2

        조선시대 제주는 섬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관찰영과 병영 단위에 파견되는 심약이 단독으로 배치되는 등 의료제도 면에 있어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독특한 면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선후기 제주목의 의료제도 및 의정 전반에 걸쳐 여러 사료로서 고증하였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유의미한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제주심약의 업무와 인물들을 보면, 조선시대 제주의료의 태생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제주심약은 다른 제도심약에 비하여 의약에만 종사하기 어려운 상황, 주요 의관 가계들의 기피로 의관 자질의 질적인 하락이라는 이중의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둘째, 의생을 통한 제주의 공공의료 구축은 실패하였다. 제주의생은 18세기 초반 공공의료에 있어 분명 필수적인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정원 등에서 연속성은 없었다. 의생을 맡은 향리는 필요에 의해 여러 향임을 맡았다. 따라서 의약에 대한 전문성은 결여 내지 부족하였다. 셋째 제주약포의 재배 약재는 제도권 의학을 위한 약재 수급의 실패를 보여준다. 제주에서 제도권 의약을 시행하기 위한 정도의 약재는 수급이 불가능하였다. 그렇다면 대체할 수 있는 향토 약재의 발굴이나, 외부에서의 반입이 필요했을 것인데 그러한 노력도 거의 없었다. 결론적으로 조선후기 제주는 중앙에서 행해지는 제도권 의약에 대한 기반 구축이 실패하였다. 의료를 시행하는 주체, 의료에 쓸 수 있는 약재 등이 모두 결여되거나 부족하였다. 조선후기 제주가 전래의 巫醫를 계속적으로 따른 것은 다른 대안이 없었기 때문이다. During the Joseon Dynasty, Jeju had a unique aspect that differentiated it from other regions in terms of medical system, such as the exclusive deployment of shimyak dispatched to Gamyeong and Barracks units due to the uniqueness of being an island.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verified as various historical sources throughout the medical system and procedures of Je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the following significant conclusions were drawn. 1) Looking at the work and characters of Jejushimyak, it shows the inherent limitations of Jeju medical care in the Joseon Dynasty. Compared to other multiple regions’s shimyak, Jejushimyak had two limitations: it was difficult to engage in only medicine, and the quality of medical doctors declined due to the avoidance of major medical doctors households. 2) The establishment of public health care in Jeju through Medical Cadets failed. Jeju medical science obviously played an essential role in public health care in the early 18th century. However, there was no continuity in the garden, etc. Hyangri, who was in charge of Medical Cadets, was in charge of various fragrances as needed. Thus expertise in medicine was lacking or lacking. 3) The cultivated herbs of Jeju’s herb field show the failure of supply of herbs for institutional medicine. It was impossible to supply enough herbs to implement institutional medicine in Jeju. In that case, it would have been necessary to discover alternative local herbs or to bring them in from outside, but there was hardly any such effort. In conclus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Jeju fail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entrally administered institutional medicine. There was a lack or lack of all the entities that provided medical care and herbs that could be used for medical care. The reason that Jeju continued to follow traditional shaman medicine in the late Joseon Dynasty was because there was no other alternative.

      • KCI등재

        조선 전기 ‘상한’ 관련 문헌의 도입과 활용 연구 : 간행, 인용, 강서 활용을 중심으로

        박훈평(Park Hun Pyeong) 대한의사학회 2019 醫史學 Vol.28 No.3

        The status or role of Shanghan Lun (Treatise on Cold Damage Diseases) in Joseon is quite different compared to neighboring China and Japan. This is a unique aspect that distinguishes Joseon’s medicine from other East Asian countries at that time. Prior studies have conducted research on non-professional books of Shanghan Lun; howev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ansmission and utilization of professional books of Shanghan Lun. In the citations of medical books in the first half of Joseon period, the domestic introduction of professional books of Shanghan Lun used at the time occurred mostly from the mid-thirteen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fifteenth century. In particular, the version of professional books of Shanghan Lun quoted in Euibangyoochui (Classified Collection of Medical Prescriptions) were centered on the Yuan edition. In other words,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Cold Damage Diseases was based on the Yuan’s medicine. Professional books of Shanghan Lun, which were published separately during the compilation or publication of Euibangyoochui, were intentionally selected.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Shanghan Leishu (Classified Book of Cold Damage) was used as a textbook of Cold Damage in the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because the author of this book, Yang Shizhen and his practice acted as the basic text. The nature of Shanghan Leishu, which pursued the integration of “several symptoms of internal medicine” and “Cold Damage” instead of pursuing independent medicine of Cold Damage with different internal medicines, may have had some influence in forming the uniqueness of Joseon’s medicine of Cold Damage. Shanghanfu (Harm Caused by Cold: A Poem) was an introduction for easy access to formal Cold Damage’s content. Shanghanfu is presumed to be a medical book made out of prose poems, the core of Shanghanzhizhangtu. Non-professional books of Shanghanlun have also been cited in the first half of Joseon period’s medical texts in relation to Cold Damage. However, these books were not used as textbooks in medical bureaucracy’s education. The exclusion of major Cold Damage-related texts from the medical bureaucracy’s education may have hampered the development of Joseon’s Cold Damage medicine.

      • KCI등재

        徐丙孝 연구에 대한 예비적 고찰

        박훈평(Park Hun-pyeong)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徐丙孝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그 자료를 바탕으로 그의 생애를 재구성하고, 장차 그의 의학 사상을 분석하려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예비적 고찰을 하였다. 이를 위해 족보, 관보, 『經驗古方要抄』, 『內殿日記』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徐丙孝는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에 걸쳐 사회적 활동보다는 주로 임상의사로서 종사하였다. 그는 영남 남인계 대구서씨 가계에서 태어나, 대한제국기에는 嘉善大夫, 侍從院典醫長을 일제강점기에는 李王職典醫, 勅任官 대우, 훈3등을 지냈고 의학 관련 단체나 기관에서의 활동은 적은 편이다. 이는 그가 임상의라는 본연의 자리에 더 충실했던 결과로 추정된다. 2. 『經驗古方要抄』는 『濟衆新編』을 중심으로 하고 『東醫寶鑑』으로 보충하여 간략하게 만든 책이다. 본문은 『濟衆新編』의 편제와 내용을 따랐고, 「單方」은 『東醫寶鑑』의 내용으로 보충하였다. 3. 『經驗古方要抄』는 『東醫寶鑑』의 「單方」 전통을 복원 발전시켰다는 의의가 있다. 조선 후기의 관찬의서 『壽民妙詮』과 『濟衆新編』, 『醫方撮要』에서 『東醫寶鑑』의 단방 내용은 계승되지 못하였다. 4. 徐丙孝는 기존 궁중 의약 전통을 충실히 따르면서 효과가 검증된 새로운 처방도 활용하였다. 『內殿日記』의 처방 분석을 통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경악의 煖肝煎이 새로운 처방의 사례이다. 결론적으로 徐丙孝는 『東醫寶鑑』과 『濟衆新編』의 의학관을 충실하게 계승 발전시킨 임상의라 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徐丙孝 의학 사상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이며 현존 자료의 미비로 그의 학술적 체계가 어떻게 정리되었는가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아니다. 이후 徐丙孝에 대한 새로운 자료가 발굴되어 이보다 더욱 진전된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llect basic data about Seo, Byung-Hyo and lay the groundwork for future analysis of his medical ideas. Methods : The life of Seo in regards to family and relationships was reconstructed through his genealogy and newspaper articles. His medical ideas were analyzed through the treatment records in books and historical material. Results : 1. Seo was primarily a clinician rather than a social worker throughout the Korean Empire and Japanese colonial era. 2. 『Summary of Experienced Old Prescriptions (經驗古方要抄)』 was a concise book that mainly took after the 『New Edition on Universal Relief (濟衆新編)』, supplemented by contents from the 『DongUiBogam(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3. It is meaningful that Seo s book restored and developed the single-ingredient prescription tradition of the 『DongUiBogam(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4. Seo faithfully followed the tradition of royal court medicine and utilized new prescriptions that were proven effective. Analysis of the prescription contents of 『A royal palace s diary(內殿日記)』 displays such characteristic. Conclusions : Seo, Byung-Hyo could be regarded as a clinician who faithfully inherited and developed 『DongUiBogam(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 and 『New Edition on Universal Relief (濟衆新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