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맥영양요법을 시행한 조혈모세포이식 소아의 재원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박효정 ( Hyo Jung Park ),윤정아 ( Jung A Yoon ),김도영 ( Do Young Kim ),허윤정 ( Yoon Jung Huh ),정선영 ( Seon Young Chung ),인용원 ( Yong Won In ),이영미 ( Young Mee Lee ),서정민 ( Jeong Meen Seo ),손기호 ( Kie Ho Sohn )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1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지 Vol.4 No.1

        Purpose: Parenteral nutrition (PN) is a standard supportive care for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in Samsung Medical Cen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length of hospital stay (LOS) in pediatric HSCT patients administrating PN routinely.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for 128 pediatric HSCT patients from Aug. 2008 to Dec. 2009. Demographics, nutrition status on the first report in the nutrition support team, calories and nutrients supplied, PN duration, LOS, PN-induced complications, and laboratory data were collect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Multivariate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LOS. Results: The median age of registered patients was 70 months (range 6∼239 months). Twenty-three patients (18.0%) were malnourished moderately to severely when PN was started. Number of autologous HSCT was larger than allogeneic HSCT (87 vs 41). In children undergoing HSCT, LO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N duration (P<0.001) and graft type (P<0.001). Especially, in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PBSCT), malnourished patients at the beginning of PN were shown the tendency to increase LOS (P=0.024) and PN duration (P=0.043). Conclusion: In pediatric HSCT patients administrating PN routinely, LOS was associated with a graft type of HSCT and PN duration. Especially for autologous PBSCT patients, the nutrition status at the beginning of PN had the influence on LOS and PN duration. During the peri-HSCT period, careful nutrition monitoring can prevent malnutrition, decrease PN duration, and shorten LOS. (JKSPEN 2011;4(1):1-6)

      • KCI등재

        북한 문법의 복수토 ‘들’과 수범주

        박효정 ( Park Hyo-jeong ),주향아 ( Ju Hyang-a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8 No.-

        본 연구의 목적은 복수 표지 ‘들’이 북한 문법에서 복수토로 정립되는 과정과 문법 범주로서의 수범주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재고하는 데 있다. 북한 문법에서는 ‘들’을 ‘복수토’로 처리하고 ‘복수토’로는 ‘들’ 하나만을 인정하고 있으며, 이것이 수범주라는 문법적 범주를 나타내는 표지인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시각은 남한에서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수’를 문법적 범주로 인정하지 않는 것과 대비되는 입장이다. 그러나 남북은 ‘들’에 대한 의미 분석에 있어서는 동일하게 파악한다. 북한 문법에서 ‘들’을 하나의 품사로 설정하는 것은 남한 문법과 달리 품사 분류의 중요한 기준을 형태로 두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용법의 ‘들’을 하나의 범주로 설정하는 것은 유사한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문법 형태가 어떤 것은 토로, 어떤 것은 뒤붙이로, 어떤 것은 불완전 명사로 설정되는 문법 내적 모순을 초래할 수 있다. 북한 문법에서 수범주를 문법 체계 안에 넣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째, 북한 문법은 조사와 어미를 구분하지 않고 토로 다루며 ‘토’를 중심으로 문법 범주가 구성되어 있다. 둘째, 북한 문법의 기저에 깔린 유물론적 관점이 영향을 미친 것이다. 남북한 통합 문법적 관점에서 볼 때 언어 체계를 통일화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언어철학에서 비롯된 문법 체계의 차이를 현명하게 조율하고 또 존중하며 새로운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the plural mark ‘deul(들)’ is established as ‘bogsuto(복수토)’ in North Korean grammar and the number category as a grammar category. In North Korean grammar, ‘deul’ is treated as ‘bogsuto’ and only ‘deul’ is recognized as ‘bogsuto’, and this is regarded as a maker indicating the grammatical category of the number category. This view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most researchers in South Korea do not recognize ‘number’ as a grammatical category. However, North and South Korea recognize the same in analyzing the meaning of ‘deul’. Unlike South Korean grammar, North Korean grammar made ‘form’ an important criterion for part of speech. However, setting ‘deul’ in all usages as a category can lead to an internal contradiction in grammar, in which several grammatical forms that perform similar grammatical functions are set as ‘to(토)’, some as ‘suffixes’, and some as bound nouns. There are two reasons for setting the number category as a grammar system in North Korean grammar. First, North Korean grammar is treated as ‘to’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Particles(조사) and endings(어미), and grammar categories are organized around ‘to’. Second, materialism is the basis of North Korean grammar. For the unified grammar of the two Koreas, it is necessary to wisely adjust and respect the differences in the grammatical systems stemming from each other’s linguistic philosophy.

      • KCI등재

        「한글 맞춤법」(1988)의 ‘사이시옷’에 대해서

        박효정(Park, Hyo-Jeo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 맞춤법」(1988)의 ‘사이시옷’ 현상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남북이 한글 표기에 차이를 보이는 어문규범 중 하나를 세부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남북 어문규범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한글 맞춤법」(1988) 총칙 제1항의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은 1933년 조선어학회가 제정한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의 기본 정신을 이어받는 것으로 표음주의와 형태주의의 절충적 안을 채택한 것이다.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에서 ‘소리 대로 적되’의 구절은 한글 창제정신이 반영된 것과 동시에 당시 시대적 배경인 봉건적 질서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로 나아가려는 정신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어법에 따라’ 적는다는 것은 공시적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기저형을 밝혀 적고, 공시적 규칙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을 소리대로 적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시경 선생의 ‘본음과 임시음’ 개념을 이어받은 것이다. 「한글 맞춤법」(1988) 사이시옷 표기는 음소-형태주의적 원칙에 철저하게 입각하고 있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낳는다. 같은 의미를 갖는 형태소가 상황에 따라 각기 쓰인다는 것은 언어생활에 부담을 가중시킨다. 들리는 소리에 따라 형태를 바꾸어 글말을 표기하는 것보다는 ‘하나의 의미에 하나의 형태를 고정’하여 표기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current rules about ‘Sai-sios’ in Explanation of Korean orthography and suggest improvement by examining the phenomenon of ‘Sai-sios’ in the Korean spell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eks ways to narrow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Korean and north Korean by examining in detail one of the rules of ‘Sai-sios’ in Explanation of Korean orthography. The principle of the first rule in Explanation of Korean orthography is to take over the basic spirit of the 1933’s Korean orthography negotiate. The phrase “depending on the sound” in Korean orthography negotiate(1933) reflects the spirit of King Sejong and reflects the spirit of moving away from the feudal order at that time to new age. In addition, writing ‘according to the grammar" means that the base type can be explained by the synchronic rule, and that it is written in a sound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synchronic rule. It is inherited by Ju Sigyeong’s thoery. ‘Sai-sios’ in Explanation of Korean orthography is based on phoneme- morphism principles, but it has several problems. The fact that morphemes with the same meaning are us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adds to the burden on language life. Instead of changing the form according to the sound you hear, it is more efficient way to communicate by ‘fixing one form to one".

      • KCI등재

        안구운동 추적 기법을 활용한 6학년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 읽기 과정 분석

        박효정 ( Hyo Jeong Park ),신동훈 ( Dong Hoon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3

        이 연구는 안구운동 추적기법을 활용하여 6학년 초등 과학 교과서``과학 이야기``를 읽을 때 학생들의 읽기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과제는 2009 개정교육과정 6학년 1학기 과학 실험본 교과서에 수록된 3개의 ‘과학 이야기’ 글이고, 연구 대상은 서울 G 초등학교6학년 학생 22명이었다. 참가자들은 중간 글 - 긴 글 - 짧은 글 순서로3개의 글을 읽고, 각 글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하는 9개의 문제를 풀었다. 이해도 결과 및 성취도 결과를 바탕으로 참가자들을 상위 집단,중위 집단, 하위 집단의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안구운동 특성은 다음과 같은차이를 보였다. 고정 수는 상위 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높았으며, 고정시간은 상위 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낮았다. 회귀 수는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높았으며, 회귀시간은 상위집단이 하위집단보다 낮았다. 문장별 고정 수 및 평균 고정 시간 분석 결과, 상위집단이 전체 글의 주제나 주요 원리를 담고 있는 핵심 문장(key sentence)을 더 오래 살펴보았음을 알 수 있었다. 시선 흐름 및 사후 면담 분석 결과, 상위 집단은 문장 간 회귀가 많았으며 글의 핵심이 되는 부분이 어디인지 알고 그 곳에 특히 주의를 기울였다. 반면 하위 집단은 대부분 회귀 없이 순차적으로만 글을 읽었고, 일부 학생은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도약을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문제 풀이 방식에서도 집단 간 차이를 찾을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고정과 회귀가 많고 평균 고정 시간이 짧은 읽기방식이 과학 이야기 이해도와 관련이 있으며, 문장 간의 빈번한 회귀,충분한 핵심 탐색 과정, 효율적인 주의 배분, 글에 대한 높은 이해력, 집중력을 보이는 학생이 과학이야기 이해도가 높았다. 교과서에 사용된 단어나 문장 또한 과학이야기 이해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이 연구는 기존의 과학 읽기 연구들과 비교하여 초등학생의 과학 읽기에서 어떠한 경향이 나타나는지 탐구하였고, 이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과학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6th grade elementary science textbook ``Science stories`` reading process of students by utilizing eye movement tracking techniques. Participants read 3 articles in the new experimental science textbooks and solved 9 problems about each article. By understanding and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high-groups, middle-groups, and low-groups. The results of ey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he high-groups and low-groups had the following differences. Number of fixations and number of regressions were higher in high-groups. Average fixation duration and average regressive fixation duration were longer in low-groups. Fixation time for the key sentence of the article was longer in high-groups. Analysis of a scan path and post-interview, high-groups had frequent regression between sentences and they knew where the core of the article is and paid much attention there. In contrast low-groups are sequentially read most articles and some of them had a leap of abnormal range. Problem-solving approach is also different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reading style is associated with the science stories comprehension and students who had more regressions, much core search process, effective attention distribution, high concentration showed better understanding results. Also words or sentences used in textbooks are associated with science stories comprehension.

      • KCI등재

        연구논문 : 과학 관련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박효정 ( Hyo Jeong Park ),신영준 ( Young Joon Shi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초등과학교육 Vol.3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application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science of the elementary school on the career choice. For this study, a total of 32 lessons (4 units) utiliz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related the science curriculum were developed. The study subjects were 128 students from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A test with regard to the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and the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factors was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For more detailed analys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female and male students; students who hope and do not hope career in science-related fields. As a result of the performance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it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And, it also showed all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cience related major/department, education lecture selection``.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the students who do not wish science related jobs in the future also changed their mind on to the science. In addition, all the subcategories of the ``preference for science learning`` area such as ``preference for science subject``, ``preference for experiment``, ``recognition of science subject availability``,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teacher``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The ``perception about career related to scienc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whol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on the whole in ``participation in science related activitie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도서관 사서의 핵심업무에 관한 연구

        태연,한희정,효정,양동민,Park, Tae-Yeon,Han, Hui-Jeong,Oh, Hyo-Jung,Yang, Dongm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2

        기술혁신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와 이에 따른 고용구조 변화 양상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뜨겁다. 특히 사회 전반의 지능정보화는 도서관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도서관 내 직군으로서 사서도 또한 이러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사서의 직무별 기술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미래 사서의 핵심업무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사서의 새로운 역할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People's interest in the emergence of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consequently changes in employment structure increased. Especially, the society-wide intelligent informatization w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library environment, and librarian as a job in the library also needs to actively cope with these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technology substitutability according to librarian's duties, and derive the core tasks of the future librarian. Finally, the new roles of future librarian are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명사형 어미 ‘-기’와 과거시제 어미의 결합양상 분석

        박효정 ( Park Hyo-jeong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8 언어사실과 관점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bination of the noun ending ‘- gi(기)’ and the prefinal ending ‘-eot(었)-’. In this paper, we have divided the use of ‘-eotgi(었 기)’ into three parts. ; first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otgi(었기)’ and predicates of upper sentence. Second I explain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eotgi(었기)’ and korean particles. And then I have discussed whether there is any restriction on predicates in front of ‘-eotgi(었기)’. The predicate of the upper sentence of ‘-eotgi(었기)’ is more likely to be presented as an idiomatic expression with ‘ttaemune(때문에)’. When the predicate of the upper sentence is psychological adjectives, it's possible that the sentence, ‘-eotgi(었기)’ is a correct sentence. And when we have a predicate expressing a hope such as ‘yesanghada(예상하다)’ and a verb that expresses future actions or behaviors, we can see that the prefinal ending ‘-eot(었)-’ are combined with ‘-기’. There are ‘i/ka(이/가)’, ‘eul/leul(을/를)’, ‘-boda(neun)(보다(는))’, ‘-neun(는)’, ‘do(도)’, ‘man(만)’, ‘-na(나)’, ‘-lo(로)’, ‘-e(에)’ in the search that combines with ‘-었 기’. And the predicate of the upper sentence on ‘-eotgi(었기)’ is mainly ‘hada(하다)’. Finally most of predicates in front of ‘-eotgi(었기)’ were known to be verbs, and ‘-ida (이다)’ and auxiliary verbs were also observed. However,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adjective with the predicate in front of the < -eotgi(었기)+particles > but it is characteristic that adjectives did not appear in the idiom of such as psychological adjectives, ‘barada(바라다)’, ‘mangjeongida(망정이다)’, ‘sibsangida(십상이다)’, ‘yesanghada(예상하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학도서관 공간별 특성에 따른 활용도 분석 - J대학교 이용자 로그데이터를 기반으로 -

        태연,손은정,효정,Park, Tae-Yeon,Son, Eun-Jeong,Oh, Hyo-Ju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공간 활용 현황 분석을 통해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고려 사항들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공간을 범주화하고 그에 따른 이용률을 분석하였으며, 둘째, 이용자 공간의 특성에 따른 주요 이용자 그룹의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셋째. 구체적인 이용자 그룹별 공간 선호 요인을 판별하고, 넷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도서관 공간을 설계하기 위한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실증적인 분석을 위해 국립 J대학의 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1년간 누적된 이용자 공간 이용 데이터(98,282명, 433,769건)를 수집·정제하여 공간별, 기간별(월별, 시간별)로 이용 패턴을 파악하였다. 또한 동 기간 내 도서관 방문자 전체 데이터(2,426,553건)를 통해 도서관의 주요 이용자 그룹(학부생, 대학원생, 졸업생)을 도출, 이용자 그룹별 공간 특성에 따른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도서관의 이용자 공간의 구성 및 배치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pace use in university library and draw up considerations for enhancing space utiliz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or this purpose, the utilization rate of each space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the user's space of the university library, and secondly, the preferences of the major user group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space. For empirical analysis, we collected and refined users' space usage data (98,282 people's data 433,769 cases) accumulated for one year for the central library of "J" National University. Then we analyzed the usage pattern according to space and period(monthly, hourly). In addition, preferences for each major group of users (undergraduates, 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s) in the library were analyzed through the library visitors' data (2,426,553 cases) over the sam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composition and arrangement of users' space in future university libra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