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의 미디어화

        박홍원(Hong-Won Park)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8 언론정보연구 Vol.55 No.2

        2000년대 중반 이후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연구에서 미디어화(mediatization)라는 용어가 전지구적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디어화는 사회의 거의 모든 제도와 실천의 영역에 걸쳐 미디어가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장기적인 사회변동을 추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학술용어이다. 미디어화 연구자들은 미디어 기술이 일상으로 침투하면서 인간이 수행하는 모든 실천은 미디어화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이처럼 미디어화한 실천은 모든 사회제도들의 조건이라고 파악한다. 미디어화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나날이 증대하고 있는 미디어의 영향력으로 관심 영역을 넓혀가고 있지만, 이론적, 분석적 틀의 부재로 인해 상당한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하나의 이론적 안내자로서 미디어화는 문화와 사회에 미치는 미디어 영향의 문제를 이론적으로 포착하고 경험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출발점을 제공해준다. 이 글은 미디어화 이론의 현 단계를 진단하고 그 가능성을 전망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디어화의 개념과 이론이 전개되어 온 배경과 현황을 개관한 다음 정치의 미디어화에 관한 연구들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그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논의했다. Since the mid-2000’s the term mediatization has received a huge academic attention on a global scale in media and communication studies. Mediatization is an academic term to refer to the fact that the media have driven long-term social transformations as they have extended their influence over almost every sphere of human institutions and practices. Scholars of mediatization hold that all human practices have been mediatized as media technologies have penetrated into everyday life, regarding mediatized practices as preconditions for every social institution in contemporary society of media and information technology. While mediatization scholars have expanded their realms of research to nearly every sphere of our everyday lives, the lack of sound theoretical and analytical frames led to a considerable confusion in the field of mediatization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the mediatization research and to offer a prospective discussion on the potential of mediatization for future media studies. Specifically, after offering a brief review on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development of mediatization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research,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a wide range of studies in mediatization of politic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media and democracy in contemporary digital age of neo-liberal globalization.

      • KCI등재
      • KCI등재

        인간 소외와 커뮤니케이션

        박홍원(Hong-Won Park)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4

        소외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병리적 상태를 가장 잘 담고 있는 용어이지만 그에 관한 이론적 관심은 이전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 것이 사실이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소외현상에 대한 연구가 여러 가지 이유로 시들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1960년대나 1970년대에 비해 오늘날에는 소외를 야기할 조건들이 약화되거나 해소되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소외이론은 여전히 다양한 주체의 경험과 사회구조적 조건을 탐구하는 데 유용한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다.이 글의 목적은 오늘날 급변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전개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이해하는 데 소외이론이 어떤 함의를 줄 수 있는지 논의하는 것이다. 소외이론의 핵심 개념이나 명제들은 마르크스의 이론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먼저 마르크스의 소외이론이 형성된 지적인 경로와 그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다소 긴 분량의 문헌리뷰를 여기서 굳이 소개한 이유는 이러한 경로를 통해 완성된 소외의 개념화는 소외이론의 현재적 함의를 파악하고 논의하는데 유용한 기준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소외의 문제는 개인의 주관적 상태나 개체적 고립감으로 이해하기보다 구조적이고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소외이론의 현재적 함의는 디지털 기술로 급변하고 있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변화가 커뮤니케이션 노동과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간단히 언급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Alienation is a very powerful term for catching the pathological aspects of modern capitalist societies. However, for several institutional and theoretical reasons, academic concerns on the theory of alienation have withered away after the peak period of the 1960’s and 1970’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onditions of alienation are weakened or disappeared compared to 1960’s and 1970’s, the theory of alienation can still offer a very useful insight for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conditions of diverse subjects and social structures in contemporary capitalist societi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alienation theory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a of communication in the radically changing capitalist societies. Given that the central concepts and propositions of alienation theory came from the works of Karl Marx, this paper allots a lot of space for examining the theoretical routes and processes of the formation of Marx’s theory of alienation. The reason why a quite long theoretical review is offered here is that it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and discussing the current implications of alienation theor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question of alienation has to be pursued in the context of whole social structural aspects rather than individual subjectivities or isolations. The current implications of alienation theory is briefly discussed by mentioning the influence of the radically changing mode of capitalist production with the digital informational and cultural technologies.

      • KCI등재

        편집권 독립과 언론의 자유

        박홍원 ( Hong Won Park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1 언론과학연구 Vol.11 No.1

        한국에서 편집권에 관한 논의는 꽤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이론적 입론은 아직 미비한 실정이다. 편집권 독립의 문제는 공적 과업을 수행하는 민주주의 제도로서의 측면과 사적 영리를 추구하는 상업적 기관으로서의 측면이라는 언론의 이중적인 성격에서 발생한 것으로서, 그 핵심 내용은 언론사 내부에서 편집인 측이 발행인측에게 독자적인 지위를 주장할 수 있는지 그 여부와 정도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편집권의 문제를 단순히 언론사 내부의 권한 배분 문제로만 한정해서는 편집권이 가지고 있는 기본권적 측면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 편집권의 문제는 공정하고 진실한 보도를 통해 국민의 알권리를 실현하고 건전한 여론형성을 통해 민주주의에 기여한다는 언론의 공적 과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시정하기 위한 한 방법은 언론 자유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다. 이 글의 목적은 편집권 독립 혹은 언론의 내적 자유를 이해하는 이론적 관점들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논의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편집권의 개념과 논의의 전개과정을 간단히 살펴본 다음 편집권 독립의 문제를 언론의 자유라는 기본권적 측면에서 파악하고 그 함의를 논의했다. Considering to quite a long history of debates on the problem of the editorial right in Korea, there have been very rare efforts for rigorous theoretical inquiries into that issue. Being raised from the dual aspects of the press as democratic institutions that perform public tasks on the one hand and commercial institutions that pursue private profits on the other, the question of editorial independence has been mainly concerned with whether reporters or editorial workers can claim an independent status against the publishers or owners within a media organization. However, when we confine editorial independence to the question of internal distribution of rights or competences between publishers and reporters, the aspects of basic rights related with editorial independence, such as right to know, right to access, and freedom of expression, would be hardly captured. One way to correct this would be to base the question of editorial independence on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pres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oint out theoretical perspectives on editorial independence or internal freedom of the press and to discuss their implications for freedom of the press in general. Specifically, after providing a short review of the concept of the editorial right and a short history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s on the question of editorial independence in Korea, this paper founded the question of editorial independence on the principle of freedom of the press and discussed its implications for enlarging the democratic accountability of the press.

      • KCI등재

        미디어 어카운터빌리티 개념을 통한 사회책임이론의 재조명

        박홍원(Hong-Won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4 언론과 사회 Vol.12 No.3

        언론의 민주적 역할은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겠지만 기본원칙은 자유와 책임의 조화 와 균형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사실 고전적 자유주의에 대한 이론적 수정으로 볼 수 있는 사회책임이론의 기본목표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책임을 도덕적 영역에 한정함으로써 효율적인 미디어 책임장치를 마련하는 데 실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어키운터빌리티 개념은 미디어 책임을 도덕적 책임과 법적 책임을 포괄하는 광의의 영역으로 설정함으로써 사회책임이론의 한계를 극복할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이글에서는 어카운터빌리티와 책임개념을 구분하고 어카운터빌리티와 자유, 책임의 관례에 대해 논의하면서 미디어의 책임성 실현을 위해 어카운터빌리티 개념이 어떠한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갖는지를 살펴보았다. 언론의 자유와 책임 사이의 조화와 균형은 어카운터빌리티를 적극적 언론자유 개념과 연계함으로써 이론적으로 가능한데, 이러한 관점은 언론개혁을 위한 사회적 합의도출의 출발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ough there exists a variety of views regarding what democratic roles of the press mean and consist of, the notion of the democratic media can be pursued within the context of harmony or balance between freedom and responsibility, which actually served as the basic principle underlying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As a qualified version of libertarian theory of the press,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of the press tried to impose responsibility on the big monopolized corporate media, which were thought to playas agents of power rather than as agents of information for the public. However, by limiting responsibility to the realm of moral duty and preferring self-regulation as a way to hold the media responsible,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failed to build an effective media responsibility system. By expanding the realm of media responsibility so as to include both aspects of obligation (or legal responsibility, liability) and duty (or moral responsibility, answerability), the concept of accountability can serve as a theoretical ground for those who want to overcome social responsibility theory s shortcomings. This paper reviews scholarly works on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the notions of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discuss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concept of media accountability for establishing effective means for enhancing media responsibility. The concept of positive freedom occupies an Important theoretical position here, offering a basic principle for keeping the ideas of accountability and freedom in harmony rather than in conflict. The notions of media accountability and positive freedom thus can be combined to serve as a theoretical framework on which diverse issues of press reform may get a social consensus.

      • KCI등재

        공론장의 이론적 진화

        박홍원(Hong-Won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2 언론과 사회 Vol.20 No.4

        하버마스가 1962년 교수자격취득 논문으로 발표한 〈공론장의 구조변동〉은 이후 그의 평생의 이론적 프로젝트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글의 목적은 공론장 개념의 이론적 발전 과정을 정리하고 이 개념이 민주주의, 특히 다원적 민주주의에 갖는 함의를 논의하는 것이다. 이 글은 크게 다섯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하버마스가 〈공론장의 구조변동〉에서 서술한 부르주아 공론장이 형성된 역사적 맥락과 그 파괴적 변형과정을 간단히 요약해 제시한다. 둘째, 〈공론장의 구조변동〉 이후 1980년대 후반까지 하버마스가 그의 이론체계를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지를 간단히 살펴본다. 셋째, 1989년 이 책의 영역본 출판으로 세계적 관심을 끌게 되면서 부르주아 공론장 개념에 대해 제기되었던 여러 비판들을 크게 경험적 적합성과 규범의 문제, 포용과 배제의 문제, 매개와 재현의 문제로 나누어 정리해 그 의미를 논의한다. 넷째, 이러한 비판들을 수용해 하버마스가 그의 공론장 이론을 재정립한 〈사실성과 타당성〉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고 그 이론적 중요성을 논의한다. 다섯째, 〈사실성과 타당성〉 이후 민족국가의 범위를 넘어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는 하버마스의 다양한 저작들을 살펴보고 이들이 다원적 공론장에 대해 갖는 함의를 헌법애국주의와 다문화주의를 중심으로 논의한다. 그의 정치철학에 내재된 이중성으로 인해 하버마스의 다원적 민주주의 인식은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은 경험적 적합성보다는 민주적 의사소통을 위한 규범적 이상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결코 적지 않다.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the seminal work Habermas published as Habilitationsschrift in 1962, formed the basic framework for his lifelong theoretical proje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and to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pluralistic democracy. This paper is composed of five main parts. First, it summarized and evaluates his argumentative descriptions provided in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that is,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formation of the bourgeois public sphere and the process of its destructive transformation. Second, it examines how Habermas had developed his theoretical frameworks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until the late 1980’s when it attained worldly academic concern with the publication of its English translation in 1989. Third, it summarizes a variety of criticisms raised against Habermas’s conception of the bourgeois public sphere into three main categories : the problem of empirical relevance and normativeness, the problem of inclusion and exclusion, and the problem of mediation and representation. Fourth, it introduces Habermas’s efforts to elaborate his theoretical framework in Between facts and norms and discusses its significance for the theoretical evolution of the public sphere. Fifth, it examines Habermas’s recent works that explore the possibility of democracy beyond the scope of nation-state since Between facts and norms and discusses their implications for the pluralistic public sphere by referring to his understanding of constitutional patriotism and multiculturalism. It seems that, because of the duality inherent in his political philosophy, Habermas’s conception of pluralistic or radical democracy is more or less limited.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his theory of the public sphere is of no use. The significance of Habermas’s theory of the public sphere lies not in the fact that it fits well with empirical reality of everyday communicative actions but in the fact that it provides normative ideals for democratic communication.

      • KCI등재

        헤게모니 전환과 미디어: 레이건 행정부의 복지축소정책에 대한 뉴욕타임스 사설 분석

        박홍원 ( Hong Won Park ) 한국지역언론학연합회 2009 언론과학연구 Vol.9 No.4

        이 연구는 미국의 주도적 자유주의 신문인 뉴욕타임스가 레이건 행정부의 보수적 복지축소정책(welfare retrenchment policy)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헤게모니 전환 과정에서 주류 언론이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역할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뉴욕타임스를 비롯한 자유주의 주류 신문들은 1930년대 이후 미국에서 지배적 정책 이념으로 부상한 뉴딜 자유주의를 꾸준히 지지해왔기 때문에 레이건 행정부에 의한 보수적 정책 회귀에 대해 이들이 어떠한 반응을 보였는지 살펴보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의 미디어가 수행하는 이데올로기적 역할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레이건 대통령은 임기 중 복지개혁과 관련해서 정책 실행 차원에서는 크게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복지에 낙인을 찍고 근로를 강화하려던 보수 진영의 의미실천은 뉴욕타임스 사설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조사 결과 뉴욕타임스는 지속적으로 레이건의 복지축소 정책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몇몇 보수주의적 의미 요소들은 뉴욕타임스 사설에서 상당한 동조를 얻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뉴욕타임스는 복지 프로그램 감축이나 예산 삭감 등에 대해서는 그것이 초래할 불평등한 결과를 들어 매우 비판적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했지만 근로를 복지 수혜의 조건으로 삼으려는 워크페어에 대해서는 처음 반대 입장에서 시간이 갈수록 동화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패턴은 내용분석과 프레임 분석 양쪽 모두를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결국 미국의 주류미디어는 정책 위기의 국면에서 서로 대립하는 정책 요소들 사이에서 합의적 요소를 취합해 정책문화를 전환하는 방법으로 헤게모니 전환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dia`s role in the hegemonic transition by analysing the ways in which the New York Times, a leading liberal newspapers in the Unites States, dealt with the Reagan Administration`s radical conservative policy of welfare retrenchment. The reasoning was that, because the liberal newspapers, including the New York Times, had supported the New Deal liberalism since the 1930s. in order for understanding the ideological roles of the capitalist media in the period of hegemonic transition, it would be of great help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the mainstream liberal newspapers responded to the Reagan Administration`s efforts to trigger conservative policies of welfare reform. Even though the Reaganites were not so successful in implementing welfare reform measures, their efforts to stigmatize welfare and to strengthen work requirements for welfare benefits were quite successful in the end, leading to the absorbtion of liberal and conservative elements in the policy discourses of the New York Times. While showing consistent oppositions to the Reagan Administration`s efforts to reduce social programs and budgets, the leading liberal newspaper in the United States had gradually adopted some elements of conservative welfare reform such as workfare. This tendency was confirmed both by content analysis and frame analysis. All these show that the mainstream US media contributed to stable hegemonic transition by absorbing consensual elements in the two competing policy ideas, namely, the New Deal liberalism and the Reaganite radical conservat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