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광옴니채널상의 관광정보탐색 동기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 분석 -관광경험과 위험지각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박현지,박중환,오암석,김영하,박봉규,Park, Hyun-Jee,Park, Jung-Hwan,Oh, Am-Suk,Kim, Young-Ha,Park, Bong-Kyu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6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4 No.10

        본 연구는 옴니채널에서의 관광정보탐색과 만족도간의 관계와 관광경험과 위험지각간의 조절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관광정보탐색동기의 편리성과 신뢰성은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정보탐색동기인 편리성과 신뢰성이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관광경험의 조절효과는 유의적이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정보탐색동기인 편리성과 신뢰성이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위험지각의 조절효과는 재무위험의 경우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위험은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무적인 위험의 지각은 만족을 저해한다는 점에서 재무위험을 줄이기 위해 이용하기전 보다 많은 탐색을 통해 정보를 얻으려는 경향이 강하므로, 좀 더 실용적이고 정확한 형태로 정보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determinants of tourists' behavior focused on tourism omni-channel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formation search motivation, tourism omni-channel satisfaction, tourism experience and perceived risk. We presented the hypotheses including ease of use, trust and satisfaction and also analyzed the moderator effects of tourism experience and perceived risk(financial risk, psychological risk) variables. For an accuracy of expected results, we focused on survey with 298 respondents. Based upon prior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verified 1)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formation search motivation and tourism omni-channel satisfaction and 2) th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financial ris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information search motivation and tourism omni-channel satisfaction.

      • KCI등재

        시스템 및 정보서비스 관점에서 항공사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품질영향분석

        박현지,김정인,김영하,Park, Hyun-Jee,Kim, Jung-In,Kim, Young-Ha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SNS의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새로운 SNS 비즈니스 모델 구축 및 마케팅 전략수립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항공사 SNS의 정보품질, 관계혜택, 만족 등의 요인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항공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시스템품질과 정보서비스품질은 사회적 혜택, 심리/고객화 혜택, 경제적 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계혜택중에서는 사회적 혜택과 심리/고객화 혜택이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how to keep the continuous customers and how to build business model and marketing strategy. In detail, this research aims to closely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NS quality(service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for airline customers, relational benefit(social benefits, psychological benefit, customization benefit, economic benefit) and customer satisfaction. As a result, if SNS quality is getting better, relational benefit better is higher. Specifically service information quality is more impactive to relational benefit than system quality.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ustomization benefits from SNS quality is the strongest to customer satisfaction of all factors. To conclud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the guideline when designing marketing strategies for airline customers and for traditional tourism customers who use SNS.

      • KCI등재

        RCT모형을 사용한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SNS 정보탐색행동 비교분석

        박현지 ( Park Hyun-jee ),박영배 ( Park Young-bae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8

        본 연구에서는 영국대학에 유학중인 한국과 일본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 정도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Dresang (1999)이 주장한 급진적 변화이론 (Radical Change Theory)의 정보탐색행동과 자아 존중감의 연관 관계를 이용하여 대학생들의 정보탐색 행동 유형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조사 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성별, 나이, 등록 학위과정으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 점수에 따라 자아 존중감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아 존중감이 학생들의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한국유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은 정보탐색행동 유형 1, 유형 2 및 유형 3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일본유학생의 경우 유형 1을 제외한 유형 2와 유형 3의 정보탐색행동에만 영향을 미친다. 즉, 자아 존중감이 높은 경우 자신의 생각이나 의견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거나 다른 이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성향이 높으며, 이러한 성향이 활발한 SNS활동을 통해 정보탐색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아직까지 적극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정보탐색 행동에 대한 연구 타당성을 제시하는 좋은 결과라고 생각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how self-esteem level affect to information behaviour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on UK Universities using Dresang’s (1999) RCT model. In the study, we identify the demographic of the survey participants, and measured self-esteem level according the age, gender and academic registration level. Then, we conducted multi-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tudents’ information on their behaviour. We found that 1) self-esteem level affect to the Type 1, Type 2 and Type 3 Korean students information behaviour and 2) self-esteem level affect to the Type 2 and Type 3 Japanese students information behaviour. When self-esteem level is high, it is highly desirable to express onself actively or to communicate with others. It is understood that self-esteem level has greatly influenced the conduct of information behaviour.

      • KCI등재

        일본 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이용강도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사회비교성향의 조절효과

        박현지 ( Hyun Jee Park ) 국제지역학회 2021 국제지역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이용 강도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상향적 사회 비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소셜미디어 이용강도와 주관적 웰빙 간의 직접적인 관계를 분석하고, 둘째, 상향적 사회비교의 조절효과를 살펴본다. S특별시에 소재하는 A, B, C, D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일본 대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1일부터 2019년 6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정한 연구 모형을 근거로 분석은 SPSS version 20.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 이용 강도는 친구 수와 애착도 차원에서 이용자의 주관적 웰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소셜미디어에 대한 긍정적 상향 사회비교는 이용 시간과 주관적 웰빙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소셜미디어에 대한 부정적 상향 사회비교는 친구 수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에서 정적인 방향의 조절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강도는 이용자의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이 관계에서 긍정적/부정적 상향 사회비교 성향이 조절적 효과가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의 문제적 이용이 지속되면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사회비교 성향이 이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조절효과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경로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users’ use intensity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This study firstly analyzes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e intensity and subjective well-being, and secondly,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2019 to June 15, 2019, targeting 470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B, C, and D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established research model,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with using SPSS version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t first,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ntensity of social media us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users in terms of the number of friends and attachment. At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ve upward of social comparison on social media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usage time and subjective well-being. At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negative upward of social comparison on social media shows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riends and subjective well-being. In summary, it was found that the intensity of using social media by university students had an effect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users, and in this relationship,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positive/negative hieroglyphic with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had a moderating effect.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if the problematic use of social media continues, it has an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to have the effect of controlling 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more precisely analyze the pathway and the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the moderating effects.

      • KCI등재

        소셜미디어의 과도한 이용과 문제적 이용 관계에서 이용 동기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일본대학생을 중심으로-

        박현지 ( Park Hyun-jee ),박영배 ( Park Young-bae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7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로 인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문제적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과도한 이용을 설정하고 이 관계에서 이용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 소재의 3군데 대학교에 재학 중인 일본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에는 대학생 2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Bootstrapping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의 과도한 소셜미디어 이용은 문제적 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소셜미디어 이용시간이 길수록, 접속시간이 많을수록 문제적 이용의 경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셋째,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의 매개효과는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과도한 이용과 문제적 이용의 관계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 과도한 이용이 이용동기 하위요인들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과도한 이용과 문제적 이용 관계에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고, 이용 동기의 매개적 효과도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의 문제적 이용이 지속되면 중독적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매개효과에 대한 이론적 정립과 경로를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usage motivation show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use and probematic use of social medi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00 Japanese students enrolled in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in Korea, and data for 255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Bootstrapping was applied to verify for mediating effec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xcessive use of social media by college students had a direct effect on problematic use; Second, the longer the time spent using social media and the longer access time, the higher the tendency of problematic us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usage motivation of social media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cessive use of social media and problematic use of college students; Lastly, it can be seen that excessive use of social media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sub-factors of usage motivation. To summarize, college students’ excessive use and problematic use of social media had a positive effect, and also a mediating effect of usage motivation.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if the problematic use of social media continues, addictive phenomena will be appear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analyze the path and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the mediating effects.

      • KCI등재

        HEXACO 성격유형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비교연구-

        박현지 ( Park Hyun-jee ),박영배 ( Park Young Bae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1

        본 연구에서는 사람 특유의 행동 및 사고 양식을 의미하는 성격 6요인으로 대변되는 성격유형 (HEXACO)이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 실증적 상관관계 연구로서, 영국의 대학교에 유학중인 한국과 일본 대학생들 간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 분석하였다. 먼저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HEXACO 성격유형 모델은 성별, 나이, 등록 학위과정으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 점수에 따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HEXACO 성격유형 모델이 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국대학에 유학중인 한국과 일본 대학생들의 HEXACO 성격유형 모델과 소셜미디어 이용동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양국 간의 대학생들은 국적에 무관하게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아직까지 적극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개인의 성격유형과 소셜미디어에 대한 연구 타당성을 제시하는 좋은 결과라고 생각 한다.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행동 (user behaviour of social media)에 대한 연구를 교육학 및 심리학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수용되고 있는 HEXACO 성격유형 모델 간의 관련성을 포괄적으로 검정한 연구이자 각국의 환경적 요인을 배제한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성을 가지는 시도라 할 수 있는 점에서 그 학술적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ity type (HEXACO), which is defined as personality 6 factors, on the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on UK Univers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statistical program using multi-regression. The HEXACO model was classified into gender, age, enrollment degree, and was measu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each item.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 of HEXACO model on students’ motivation to use social media. As a result, HEXACO model and motivation for using social media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studying at UK universities. In particular, students in both countries have similar results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This is a good result that suggests the validity of the study on the personality type and the social media that have not yet been actively examined. It is a comprehensiv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XACO model and the behaviour of social media at early stage.

      • KCI등재
      • KCI등재

        유럽과 아시아대학생의 페이스북 이용행동과 삶의 만족에 관한 비교 연구 -독립적 개인주의문화와 상호의존적 집단문화 관점에서-

        박현지 ( Park¸ Hyun-jee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3

        본 연구는 유럽과 아시아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이용행동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독립적 개인주의문화와 상호의존적 집단주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영국의 L도시에 위치한 A, B, C, D, E대학교에 유학중인 유럽 5개국(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과 아시아 3개국(한국, 중국, 일본)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3일부터 2020년 8월 9일까지 7일 동안 일기연구(diary method)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 회귀모형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첫째, 포스팅과 채팅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럽과 아시아대학생들 모두에게서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댓글의 경우 유럽대학생들은 가설이 기각되었지만, 아시아대학생들에게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셋째, ‘좋아요’도 유럽 및 아시아대학생 모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아 가설을 기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수동적 팔로잉은 시간적 소요가 많이 되는 활동이기에 모두에게서 가설은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피드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럽대학생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으나, 아시아대학생들의 가설은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기연구를 이용하여 자료의 회상편중 현상을 줄이고자 하였으며, 기존 연구보다 세분화된 페이스북 이용행동 요인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독립적 개인주의문화와 상호의존적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비교연구를 하여 기존의 연구와 차별화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유럽과 아시아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들의 일상화된 ‘페이스 북’현상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Facebook usage behaviors according to cultural differences among college students, and comparatively analyzes the effects of these differences on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students from 5 European countries (UK, Germany, France, Italy, Spain) and 3 Asian countries (Korea, China, Japan) who are studying at universities A, B, C, D, and E located in city L in the UK were targeted. A diary method survey was conducted for 7 days from August 3, 2020 to August 9, 2020.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s of posting and chatting on life satisfaction were common to both European and Asian university students. Second, in the case of comments, the hypothesis was rejected by European university students, but the hypothesis was adopted by Asian university students. Third, it can be seen that ‘Like’ does not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both European and Asian university students, thus rejecting the hypothesis. Fourth, since passive following is a time-consuming activity, the hypothesis was adopted by everyone.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positive feedback on life satisfaction, the hypothesis for European university students was rejected, but the hypothesis for Asian university students was accep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o reduce the phenomenon of recall bias in data using diary study. We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according to cultural differences on the effect of Facebook usage behavior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more subdivided than existing studies. Also,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Facebook’, which is used the most by university students globally and their daily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