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콩 종실의 가공적성강화 Lipoxygenase와 7S Globulin의 α‘-subunit 및 α-subunit 결실된 F7 계통육성

        박향민,이효재,이지석,유영은,김홍식 한국육종학회 2012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2 No.07

        콩 가공적성 향상을 위한 Lipoxygenase 및 7S Globulin이 결실된 계통을 육성하기 위하여 국내의 장려품종을 모본으로, 7S Globulin의 α‘,α-subunit이 결실된 CS735를 부본으로 하여2006년에 CBC2601(경상대☓CS735), CBC2602(진품콩2호☓CS735), CBC2603(진율콩☓CS735), CBC2604(청자콩3호☓CS735) 4조합을 인공교배하여 세대를 진전시켰다. 2011년 수확된 F6세대 4조합 96계통의 477개체에 대하여 개체당 1립씩 총 477립을 SDS-PAGE를 실시하여 Lipoxygenase 및 7S Globulin의 α‘,α-subunit이 결실된 계통을 선발하였다. 교배조합 CBC2601과 CBC2602에서는 Lipoxygenase와 α‘,α-subunit이 결실 또는 동시결실 계통들이 선발되었으며 교배조합 CBC2603, CBC2604에서는 유색콩 자원의 α‘,α-subunit 이 각각 결실되거나 동시결실 계통을 선발하였다. 2011년 동계에 선발된 F6 세대 4조합 328 계통이 현재 충북대학교 실습포장에서 F7 계통으로 육성중에 있다.

      • KCI등재

        아주까리(Ricinus communis L.) 유전자원의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조성 변이

        이윤호,경호,박향민,남상영,김인재,정헌상,장영석,김홍식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10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22 No.3

        한국의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은 40점과 국내에서 수집되어진 28점을 포함한 총 68점의 아주까리 유전자원에 대한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을 구명하고, 그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육종 및 재배기술의 기초자료로 이용고자 수행하였으며 요약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 100립중의 평균은 26.6 g이었으며, 그 범위는 최소 20.1 g부터 최대 37.1 g이었다. 종실 1 l중의 평균은 481.1 g이었으며, 범위는 407.2~531 g이었다. 2. 종실길이의 평균은 12.3 mm이었으며, 범위는 10.1~14.9mm이었고, 종실넓이는 평균 5.7 mm이었으며, 범위는 4.8~6.4mm이었다. 3. 유전자원의 지방함량의 평균은 47.8%이었으며, 그 범위는 최소 41.6%에서 최대 57.2%이었고, 지방함량이 50%이상인 자원은 6종으로서 IT032142, IT104010, IT104993, IT162783, CCB056 및 CCB057이었다. 4. 포화지방산인 palmitic acid(16:0)와 stearic acid(18:0)의 함량의 범위는 각각 0.9~1.8%와 1.0~2.1%이었다. 불포화지방산인 oleic acid(18:1)의 함량의 범위는 3.6~6.5%이었고, linoleic(18:2) 및 linolenic acid(18:3) 함량의 범위는 각각 4.7~7.3% 및 0.5~1.2%이었다. Ricinoleic acid(18:1-OH) 함량의 평균은 86.2%로 아주까리의 지방산에 있어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범위는 82.5~88.7%이었다. 5. 종실의 지방함량,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linolenic acid는 ricinoleic acid 및 불포화지방산과는 부의상관, 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이었다. ricinoleic acid는 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 불포화지방산과는 정의 상관이었고,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과는 부의 상관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basic informations on utilization of castor bean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A total of 68 genetic resources including 40 accessions obtained from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and 28 landraces collected in Korea were screened to evaluate seed characteristics, oil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and their relationships. One hundred and one liter seed weights ranged 20.1~37.1 g and 407.2~531.0 g with averages of 26.6 g and 481.1 g, respectively. Seed length and width ranged 10.1~14.9mm and 4.8~6.4mm with averages of 12.3mm and 5.7mm, respectively. Oil content ranged 41.6~57.2% with an average of 47.8%. Six accessions, IT032142, IT104010, IT104993, IT62783, CCB056 and CCB057, showed higher oil content than 50.0%. Palmitic and stearic acid contents, saturated fatty acid, ranged 0.9~1.8% and 1.0~2.1%, respectively. Oleic, linoleic, linolenic and ricinoleic acid contents, unsaturated fatty acid, ranged 3.6~6.5%, 4.7~7.3%, 0.5~1.2% and 82.5~88.7%, respectively. Oil,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content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ricinoleic acid and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Ricinoleic acid cont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 KCI등재후보

        국내병원의 항암주사제 조제환경 및 약사 업무 현황 조사

        강민경,박향민,이연주,김다진,이윤선,여미진,이연홍,문진영,허영설,김재연 한국병원약사회 2015 병원약사회지 Vol.32 No.2

        Purpose :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has provided guidelines on handling hazardous drugs and updated its new and continuing concerns for health care workers. However, there are no such guidelines or regulation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work environment and the safety of healthcare workers during the preparation of antineoplastic agents in Korean hospitals. Methods : We invited a total of 110 hospitals with more than 500 beds to participate in our survey. Twenty nine hospitals participated. The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covered work place issues, the number of antineoplastic agent preparations, equipment and environmental quality control, and training about the handling of hazardous drugs. Results : There are three hospitals where the daily compounding number reached more than 600 and the average number per person was 36.5. The preparation room for hazardous drugs at nine hospitals remained positive or equal pressure. In addition, nine hospitals used a clean bench, which is not biologic safety cabinet. None of the 29 hospitals conducted an environmental sampling test to detect hazardous drugs and most of the hospitals performed an efficiency test of the biologic safety cabinet. All of the hospitals conducted personnel training and education about the safe handling of antineoplastic drugs but the length of the training period varied. In addition, none of the hospitals evaluate the health status of worker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cluded gowns, gloves, masks, hair caps and arm covers but not a respirator. The type of equipment and usage times varied. Most of hospitals complied with continuing preparation-compounding times of less than 2.5 hours. Conclusion : This was the baseline study to evaluate the work place and worker safety for the preparation of antineoplastic drugs. The result of our study demonstrate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ized guidelines and improve working conditions for the handling of hazardous drugs in Korean hospitals.

      • KCI등재

        1913년부터 2006년까지 육성된 한국 콩 품종의 아이소플라본 함량의 변이

        경호,박향민,장은규,유영은,황태영,김선림,정재현,신현만,김홍식 한국육종학회 2012 한국육종학회지 Vol.44 No.2

        1913년부터 2006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된 콩 106 품종의 종실 isoflavone 함량의 변이를 구명하였다. 총 isoflavone의 함량은 평균 1489.0 μg/g이었고, 527.9~3436.5 μg/g의 범위이었다. 구성성분의 함량은 daidzein은 평균 650.5 μg/g이었고, 153.0~1710.4 μg/g의 범위이었으며, glycitein은 평균 146.2 μg/g이었고, 32.2~308.2 μg/g의 범위이었다. genistein은 평균 692.3 μg/g이었고, 203.4~1502.4 μg/g의 범위이었다. 총 isoflavone 함량이 높은 품종은 백천(2553.9 μg/g), 보석콩(3436.5 μg/g), 대황콩(2709.2 μg/g), 대망콩2호(2595.0 μg/g), 장기콩(2769.9 μg/g), 풍원콩(2872.8 μg/g), 소진콩(2521.8 μg/g) 및 소록콩(2956.1 μg/g)이었으며, 국내 콩 품종 중에서 보석콩이 가장 높았다. 국내에서 육성된 콩 품종들의 isoflavone 함량은 육성연대, 용도, 종실크기 및 육성모지에 따라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육성연도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2000년대에 육성된 품종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육성된 품종이 높았으며, 1980년 이전에 육성된 품종이 가장 낮았다. 용도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나물용 품종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장류용 품종이, 그 다음으로 밥밑용 품종이 높았으며, 풋콩 및 올콩용 품종이 가장 낮았다. 종실크기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소립종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립종이 높았으며, 대립종이 가장 낮았다. 육성모지에 따른 총 isoflavone 함량은 익산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밀양이 높았으며, 수원이 가장 낮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riation of isoflavone contents in 106 soybean cultivars released from 1913 to 2006 in Korea. A total of seed isoflavone content including genistein, daidzein and glycitein contents ranged from 527.9 μg/g to 3436.5 μg/g with an average of 1489.0 μg/g. The daidzein content ranged from 153.0 μg/g to 1710.4 μg/g with an average of 650.5 μg/g and the glycitein content ranged from 32.2 μg/g to 308.2 μg/g with an average of 146.2 μg/g. The genistein content ranged from 203.4 μg/g to 1502.4 μg/g with an average of 692.3 μg/g. Soybean cultivars which showed higher total of isoflavone content than any other cultivars were ‘Baegcheon’ (2553.9 μg/g), ‘Bosuk’ (3436.5 μg/g) ‘Daehwang’ (2709.2 μg/g), ‘Daemang 2’ (2595.0 μg/g), ‘Jangki’ (2769.9 μg/g), ‘Pungwon’ (2872.8 μg/g), ‘Sojin’ (2521.8 μg/g), and ‘Sorog’ (2956.1 μg/g). ‘Bosuk’ showed the highest total of isoflavone content among Korean soybean cultivars. Significant differences in isoflavone contents appeared to be related with the released years, edible use types, seed sizes and breeding locations in Korean soybean cultivars. Cultivars released in 2000s showed the highest total of isoflavone content, followed by both 1980s and 1990s, and before 1980 showed the lowest content. Cultivars for bean sprouts showed the highest total of isoflavone content, for soy sauce and paste showed the second highest content, followed by cooking with rice, and vegetable and early maturity showed the lowest content according to edible use types. Small seed cultivars showed the highest total of isoflavone content, followed by medium seed, and large seed showed the lowest content. Among three breeding locations, Iksan showed the highest total of isoflavone content, followed by Milyang, and Suwon showed the lowest content.

      • KCI등재

        미국으로부터 재도입된 한국 원산 콩 재래종의 Saponin 함량 변이

        장은규,박향민,황태영,김선림,정규화,최유미,이명철,이정란,김홍식 한국작물학회 2012 한국작물학회지 Vol.57 No.3

        2007년 미국으로부터 한국으로 재도입된 한국 원산 재래종 콩 293점에 대한 종실 saponin의 함량의 변이를 평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roup A saponin의 함량은 평균 484.9 ugg1으로 149.8~1279.0 ugg1의 범위이었고, group B saponin의 함량은 평균 3670.0 ugg1으로 2160.1~7868.6 ug1의 범위이었으며, 총 saponin 함량은 평균 4154.9 ugg1으로 2502.8~8764.0ugg1의 범위이었다. 2. Gruop B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이 높은 5점은 IT226841, IT226761, IT226844, IT226826 및 IT22 8534이었고, 이중에서 IT226841이 group B saponin 함량이 7868.5 ugg1, 총 saponin 함량이 8764.0 ugg1] 로서 가장 높았다. 3. Group A saponin 함량과 총 saponin 함량 간에(r=0.5119), 그리고 group A와 group B saponin 함량 간에(r=0.3708)는 정의 상관관계, group B와 총 saponin함량 간에(r=0.9876)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이었다. 4. 수집지역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북한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경기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충청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의 순으로 높았으며, 경상남도, 전라북도 및 전라남도가 낮은 경향이었다. 5. 종실크기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소립종이 중립종과 대립종보다 높았고, 중립종과 대립종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황색, 검정색, 녹색 및 갈색의 종피색에 따른 총 saponin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variation of saponin contents in 293 Korean native soybean landraces reintroduced from USA to Korea in 2007. Group A saponin content ranged from 149.8 ~mug~;g-1 to 1279.0 ~mug~;g-1 with an average of 484.9 ~mug~;g-1 . Group B saponin content ranged from 2160.1 ~mug~;g-1 to 7868.6 ~mug~;g-1 with an average of 3670.0 ~mug~;g-1 . Total saponin content including both group A and B contents ranged from 2502.8 to 8764.0 ~mug~;g-1 with an average of 4154.9 ~mug~;g-1 . Five promising landraces for use as breeding materials that showed higher than any other landraces in group B and total saponin content were IT226841, IT226761, IT226841, IT226828 and IT228534. IT226841 showed the highest saponin content with group B content of 7868.5 ~mug~;g-1 and total saponin content of 8764.0 ~mug~;g-1 among landraces. In the relationship among each components, group A saponin conten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group B saponin content (r=0.3708) and total saponin content (r=0.5119). Group B saponin content showed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r=0.9876) with total saponin content. When landraces were compared for the total saponin content based on collected location, landraces from North Korea showed the highest, Gyeonggi-do showed second highest content, followed by Chungcheongbuk-do, Gangwon-do, Gyongsangbuk-do, Chungcheongnam-do, Gyongsangnam-do, Jeollabuk-do and Jeollanam-do. Landraces were also grouped according to seed size and seed coat color. Small seed group was higher than medium and large seed groups tha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aponin content. Seed coat colo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aponin content.

      • KCI등재

        해바라기 유전자원의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조성 변이

        이윤호,송항림,박향민,경호,남상영,김인재,최성열,장영석,김홍식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지 Vol.55 No.3

        해바라기의 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품종 육성과 생산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한국자원 34종, 미국자원 219종 및 그 외의 다른 국가로부터 도입된 자원 22종을 포함한 총 275종의 유전자원을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종실특성과 지방함량 및 지방산 변이 조성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형태는 광난형, 협난형, 원형 및 장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광란형이 40.4%로 가장 많았으며, 장형이 5.0%로 가장 적었다. 종실의 과피색은 회색종, 갈색종, 흑색종 및 백색종으로 구분되었고, 회색종과 갈색종이 많았고 백색종이 적었다. 100립중과 1 중의 평균은 각각 6.3 g 및 322.5 g이었고, 분포범위도 각각 2.9~15.5 g 및 178~43 9 g이었다. 2. 해바라기 유전자원의 지방함량의 평균은 25.5%이었고, 그 범위는 11.7~45.6%이었다. 지방함량의 분포는 22~28%의 범위가 가장 많았고, 40%이상이 가장 적었으며, 지방함량이 40%이상으로 높은 유망자원은 미국 도입자원인 IT031967, IT031970 및 IT031965의 3종이었다. 3. 포화지방산인 팔미트산 함량의 평균은 4.7%이었으며, 범위는 3.1~7.6%, 스테아린산 함량의 평균은 2.2%, 범위는 1.3~4.1%이었고, 포화지방산(팔미트산 + 스테아린산) 함량의 평균은 6.9%, 범위는 5.4~9.4%이었다. 4.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의 평균함량은 55.2%이었고 18.1~75.5%의 범위이었으며, 올레산이 70% 이상인 자원은 IT031831, IT031699, IT031895, IT031938 및 IT031694의 5종이었다. 리놀레산의 평균함량은 38.0%이었으며 범위는 18.1~74.1%이었다. 불포화지방산(올레산+리놀레산)의 평균 함량은 93%, 범위는 89.6%~94.8%이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on variability of germplasm and cultivation practice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in sunflower. A total of 275 accessions obtained from the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34 landraces from Korea, 219 and 22 introductions from America and other countries, respectively) were screened to evaluate variations of seed characteristics,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Seed type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broad ovoid, narrow ovoid, rounded and elongated). The broad ovoid type was the highest proportion of 40.4%, while the elongated type was the lowest proportion of 5.0% among accessions. Also, the seed colors were classified into 4 colors (gray, brown, black and white). Gray and brown seed color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and white seed color showed the lowest among accessions, respectively. Hundred and one liter seed weight ranged 2.9~15.5g and 178~439g with averages of 6.3g and 322.0g, respectively. Oil content ranged from 11.7% to 45.6% with an average of 25.5%.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oil content showed the highest in range of 22~28% and the lowest in range of over 40%. Three promising accessions with higher oil content than 40.0% were IT031967, IT031970 and IT031965 introduced from America. Palmitic and stearic acid contents, saturated fatty acid, ranged 3.1~7.6% and 1.3~4.1% with averages of 4.7% and 2.2%, respectively, and a total content of saturated fatty acid ranged 5.4~9.4% with an average of 6.9%. Oleic and linoleic acid contents, unsaturated fatty acid, ranged 18.1~75.7% and 18.1~74.1% with averages of 55.2% and 38.0%, respectively. Five accessions, IT031831, IT031669, IT031895, IT031938 and IT031694, showed higher oleic acid content than 70%. A total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ranged 89.6~94.8% with an average of 93.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