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 KCI등재

        디자인 사례를 통해 본 서비스디자인의 핵심 -UX, 시각, 공공디자인을 중심으로-

        박한진 ( Han Jin Park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5 No.-

        산업의 중심이 서비스로 전개되고 있는 오늘날, 디자인 분야에서도 서비스디자인이 붐을 이루고 있으나주체가 되는 디자이너들의 서비스 인식은 표피적인 문제와 함께 역량부족의 문제를 보인다. 이로 인해 실무현장에서 서비스 기획은 디자이너가 구현하지 못하고별도의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문제인식을 배경으로 서비스디자인 관점에서 기존 디자인 사례들을분석하여 서비스디자인의 핵심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디자이너들이 갖는 표피적인 서비스디자인의 개념을 바로 잡고 그 가치를 간접 체험하게 하여 올바른 서비스디자인의 개념과 마인드를 제안하는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서비스디자인은 현장을 기반으로 한 관점, 동기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디자이너 중심의통계조사 및 단순한 FGI 인터뷰식의 리서치가 아닌,현장에서 고유문화에 대한 진정성 있는 이해가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전체적인 문제 재 정의를 요구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러한 내용들을 유저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빙의되는 공동창작이 핵심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하나의 대안과 피드백을반복해 나가는 것이 서비스디자인의 핵심이라 할 수있다. 수많은 디자이너들이 서비스디자인의 특성을 이론적으로만 이해하고 있는데 본 논문이 제시하는 디자인사례 분석을 통하여 서비스디자인 마인드에 대한 재인식이 일어나길 바란다. Nowadays, as the center ship of industry has been toward to Service, there has been a boom as the same in terms of design field. However the designers as subjects seem as they don`t have any interest in this matter and they don`t have the capacity. Therefore, in practical field, Service planning is not done by designers. There is a need of additional specialist. Based on this critical mind, from a service design point of view, criticizing the existing design case, this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the core of servi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the concept of service design, which happened to be superficial and make it to experience indirectly, which turn out to suggest the right concept of service design and mind. It could be said that service design is motivation design based on the design practical field. For this, it is supposed not to be the vain statistical research and not to be just simple FGI(Focus Group Interview). It should be suggested like re-defini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articular situ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understanding of cooperation work, not the understating from the user point of view. The core of service design is to do new method and its feedback continuously through this procedure. Although many designers c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design, theoretically, there is a need to have a mind to understand completely through Cast Study.

      • KCI등재

        저시력인의 G-mail 웹 접근성 개선을 위한 GUI 디자인 사용성 연구

        박한진(Park, Han J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4

        장애인 차별 금지법을 배경으로 시행된 2013년 웹 표준준수 의무 이후, 웹 접근성의 현 상황을 살펴보고자 시작된 본 연구는 저시력인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보편성을 목표로 G-mail의 접근성 및 사용성을 테스트하고 개선안을 연구해 보았다. 저시력인의 FGI 평가 및 접근성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진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G-mail 웹 접근성은 양호함을 보였으나 접근성을 위한 사용성에서 부족함을 보였다. 근본 원인은 저시력인의 시각장애로 인한 특성 즉, 좁은 시야면적과 긴 시선이동 색상/면적 대비와 레이아웃 문제 등, 시야 면적과 PC 모니터의 큰 화면으로 인해 콘텐츠 접근이 어려웠다. 핵심적으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사용성 디자인 기획이 부족하였으며 이를 위한 핵심 개선 방안은 시선의 동선을 잡아줄 수 있는 맞춤형 인터랙티브 레이아웃 디자인, 등대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색상 디자인, 2중 색상반전과 면적대비를 고려한 색상대비 디자인 기획으로 요약된다.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교훈은 접근성은 접근 가능성 자체로만 볼 것이 아니라 사용성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접근성은 목표이며 사용성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론이기 때문이다. 더불어서 이러한 방법론은 보편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오늘날의 웹 디자인이 접근성을 웹 표준 준수라고 생각하는 편협한 생각을 벗고 특정 유저들에 대한 배려가 아닌, 모든 유저를 위한 보편성의 개념으로 인식했을 때 웹은 모든 이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이 될 수 있는 것이다. After 2013 Web standard observance duty, based on Discrimination Disability Act, this research has been studied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Web-accessibility. In terms of low-vision viewer, in order to let the goal of this research put universality of communication, G-mail accessibility and usability, these issues have been tested and the improvement suggestions have been studied. Through FGI assessments of low-vision viewers and th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who are related with Web-accessibility, the outcome showed that there was not any problem with G-mail Web-accessibility. But there was lack of usability for accessibility. The basic cause is on the low-vision viewer’s characteristics, like narrow view-area, color/area contrast, lay out etc. pc monitor (characteristics that the large screen has). The outcomes come down to these design plannings, which I mentioned above. For example, customized- interactive lay-out design to be able to catch the movement of eye, interactive color design inducing light effectiveness, double color inversion, color contrast design planning considering area contrast. The lesson of this study is like, Accessibility is not just a accessibility itself, Accessibility has to accommodate Usability, in other words, Accessibility is the goal and Usability is the method to reach that goal. This method has to have universality. We should not think that current web design is only web standard. We have to recognize web design as concept of universality. Then, it would be the design for all.

      • KCI등재

        사물 인터넷 UI 접근성 디자인 분석과 고찰 - 저시력인의 IOT 접근성 디자인을 중심으로 -

        박한진 ( Park Han-j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3 No.-

        모든 것이 연결로 이루어지는 초 연결 시대에서 사물 인터넷 UI 접근성 디자인의 연구 부족을 배경으로 한 본 연구는 사물 미디어 UI 접근성의 현황을 진단하고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갖는다. 연구 방법은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사물 미디어인 보일러 앱과 조절기 UI 디자인을 저시력인 관점에서 접근성 만족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문제 진단과 원인, 대안을 접근성 전문가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접근성 만족도는 5점 기준에서 앱- 2.6점, 조절기- 2.8점을 보였으며 근본적인 원인은 저시력인의 미디어 이용 특성 파악 부족, UI 디자인의 접근성 표준 준수 미흡과 사물 미디어가 갖는 커넥티드 커뮤니케이션 고찰에 아쉬움이 있었다. 이를 위한 대안과 방향으로는 1. 단일 미디어 접근성 표준 준수, 2. 접근성을 사용성 관점과 복합 미디어에서 접근해야 하는 인터랙티브 사용성 디자인, 3. 사물 미디어가 갖는 커넥티드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고려한 커넥티드 디자인, 4. 사물 미디어 특성을 고려한 사물 미디어 접근성 국제 표준 제정의 필요성이다. 기존 단일 미디어 기반의 인터넷 접근성은 초 연결 커뮤니케이션을 고려한 새로운 특성을 고려할 때 보편적인 커넥티드 커뮤니케이션을 이룰 수 있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accessibility of things media and to find problems and to suggest alternatives in the base on the lack of research on IoT UI accessibility design in the hyper connected era where everything is connected. The research method are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satisfa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low vision people about boiler application and controller UI design which can be encountered in daily life, and to verify the problem diagnosis, the causes and the alternatives through accessibility experts. In term of the accessibility satisfaction in this research result, it showed that the application was 2.6 points in the five-point scale and the controller was 2.8 points. It was said that The fundamental causes were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media use characteristics of the low vision people, the lack of compliance with the accessibility standards of the UI design, and the lack of investigation about connected communication which things media has. Alternatives and directions for this are given below. 1. Compliance with a single media accessibility standard 2. Accessibility usability perspective and interactive usability design to be accessed in multiple media 3. Connected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connecte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object media 4. Necessity of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ings media accessibility that take into account things media's characteristics As existing single media-based internet accessibility is based on the new characteristics considering hyper connected communication. Universal connected communications can be achieved.

      • KCI등재후보

        생화학적 마커와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KCR 랫드의 유전모니터링

        박한진(Han-Jin Park),이철호(Chul-Ho Lee),차달선(Dal-Seon Cha),조재우(Jae-Woo Cho),조규혁(Kyu-Hyuk Cho),최양규(Yang-Kyu Choi),현병화(Byung-Hwa Hyun),조진원(Jin-Won Cho),한상섭(Sang-Seop Han),송창우(Chang-Woo Song) 한국실험동물학회 2004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20 No.2

        The cataract mutant rat which showed lens opacity was found in the colony of Sprague-Dawley rat at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KRICT) in 1996. The mode of inheritance of affected rats was autosomal recessive. These cataractous rats were mated by sister and brother to 27th (F₂₇) generation and named as Korea Cataract Rat (KCR). We performed genetic monitoring of KCR rat using biochemical and microsatellite markers to determine their genetic identified homozygous and distinctive genetic profile. In biochemical monitoring, six rats from each of the F₁₈/F₁₉F₂₀ were tested using 13 biochemical markers. In molecular genetic monitoring, nine rats from the F₂₅ and F₂₆ were tested using 13 microsatellite markers. No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e genetic profiles of the F₁₈/F₁₉F₂₀ in biochemical monitoring. Also, in the molecular genetic monitoring, we identified that both genetic profiles of F₂₅ and F₂₆ were the same. The genetic profile of KCR rats was unique against the other major rat strains. In addition, the polymorphysm of KCR rat for microsatellite markers was different from the other stra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KCR rat is genetically well qualified as far as in this test and it has been well established as a new inbred strain which has a novel genetic profile and cataract trait.

      • KCI등재

        현대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위한 문화 융합 교육의 필요성

        박한진(Park, Han J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3 No.-

        인터랙션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문화 고찰에 대한 디자이너의 인식 부족을 연구 배경으로 한 본 연구는 문화를 기반으로 한 화제의 디자인 사례들을 분석하여 인터렉티브 디자인이 어떻게 영감과 기획을 가질 수 있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문화에 대한 주장은 이미 언급되고 있으나 본 연구는 다양한 사례들을 통하여 문화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현대 시대에서 말하는 좋은 인터랙티브 디자인에 무엇이 기저 되어야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인터랙티브 디자이너에게 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지금까지 화제가 되었던 인터랙티브 디자인 사례를 기획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기저가 되는 문화 현상을 전문 문헌 및 교육 영상과 전문가 워크숍을 통해 분석 및 검증하여 보았으며 연구 범위는 현대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미디어인 웹디자인과 영상 디자인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핵심은 인간을 관찰하고 숨겨진 본질적 가치를 찾아 공감하는 문화 디자인이다. 이러한 문화 디자인은 인간의 행동을 바꾸며 그 행동은 또 다른 문화를 유도하는 디자인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문화는 디자이너에게 협업의 대상이 아니라 디자인 자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자이너는 협업의 관점에서 문화를 고찰할 것이 아니라 스스로 문화를 고찰하는 융합과 통섭의 사고가 필요하다. 이것이 오늘날 인터랙티브 디자이너에게 필요한 디자인적 사고이며 문화 교육이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designers about the culture which is the core of the interaction. By analyzing the case studies of the topical design in the news based on culture, this researcher studied how designers could have inspiration and plann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for culture has already been mentioned generally. However, this research reexamined the value of design based on culture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By looking into what should be grounded in good interactive design in modern times, the need of cultural education for interactive designers would have been sugges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method would be to analyze the interactive design cases which are the topical designs these days. And it would be analyze and verify the underlying cultural phenomenon through professional literature, educational videos and professional workshops. This research range would have been including web design which is the core media of modern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Image design. As a results, It is said that the core of interactive design is a cultural design that understands people and empathizes with essential values. Cultural design is a design that changes human behavior and that leads to another culture. That is why culture is not just the object of collaboration for designers, but the design itself. Therefore, Designers need not to look at culture from a convergence and cooperation point of view, but to think of self-conscious looking at culture themselves. This is the design thinking and education that today`s interactive designers need.

      • KCI등재

        국제경제 ; 16개 광역시,도별 총 산업생산의 상대적 효율성 및 성장구조 분석: DEA와 포지셔닝 분석을 중심으로

        추환 ( Chu Hwan Park ),한진미 ( Jin Mi Han ) 국제지역학회 2008 국제지역연구 Vol.12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16개 광역시·도별 총 산업이 경제성장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운영을 하였는지를 DEA 분석방법을 통해 도출하고, 그리고 지역별 경제성장을 위한 주요 생산요소 즉, 노동, 자본, 연구개발(R&D)투자 등의 요인들이 지역별 경제성장 구조에 차지하는 영향을 포지셔닝 분석을 통해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06년에 비효율성을 보이는 지역은 서울, 대전, 제주 지역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지역들은 2006년도에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동과 성장, 자본과 성장, 연구개발과 성장간의 포지셔닝 분석 결과, 경기도와 충남지역의 성장구조가 노동, 자본, 연구개발 면에서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대구지역의 성장구조는 노동, 자본, 연구개발 면에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ve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of Growth Structure for the sixteen metropolitan cites and provinces in Korea (Seoul, Busan, Daegu, Incheon, Gwangiu, Daejeon, Ulsan, Gyeonggi, Gangwan, Chungchon-Bukdo, Chungchon-Namdo, Cholla-Bukdo, Cholla-Namdo, Kyongsang-Bukdo, Kyongsang-Namdo, Jeju) by the DEA approaches and Positional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xcept Seoul, Deajeon, Jeju, others have improved the relative efficiency in terms of input and output since they were allocated. Also, by the Positioning approach for the production factors such as labor, capital, and R&D investment via production growth, the results show that Gyeonggi, Chungchon-Namdo have effectively been managed, but Daegu is not.

      • SCOPUSKCI등재

        Cohort Infant Mortality Rate of Gunwee and Hapchun Counties and an MCH Center in Taegu

        정한,예민해,천병렬,송정흡,김귀연,김장락,조성억,김현,한진,조재연,Park, Jung-Han,Yeh, Min-Hae,Chun, Byung-Yeol,Song, Jung-Hub,Kim, Gui-Yeon,Kim, Jang-Rak,Cho, Sung-Euk,Kim, Hyun,Chung, Han-Jin,Cho, Jae-Yeon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1990 예방의학회지 Vol.23 No.1

        1985년 4월 1일부터 1987년 3월 31일 사이에 경상북도 군위군에 거주하는 49세이하의 가임여성들과 1987년 3월 1일부터 1988년 2월 28일 사이에 경상남도 합천군에 거주하는 49세이하의 가임여성들 그리고 1985년 4월 1일부터 1987년 3월 31일 사이에 대구시 남구 모자보건센터에 분만을 위해 찾아온 모든 임산부들을 대상으로 이들에게서 태어난 출생아들을 두 군지역에서는 생후 1년간 그리고 모자보건센터에서 출생한 경우는 생후 27일간 추적하여 영아사망률과 신생아 사망률을 각각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중에 군위군과 합천군에서 출생한 1,359명의 영아들 가운데 생후 1년 동안에 17명이 사망하여 농촌지역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12.5이었다. 총 영아사망중 신생아사망이 82.4% 그리고 신생아 후기 사망이 17.6%를 차지하였다. 대구시 남구 모자보건센터에 내원한 산모들에게 태어난 6,001명의 출생아들 가운데 4,834명(80.6%)만이 생후 27일까지 추적되었는데 이들 중 36명이 사망하여 신생아 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7,4명이었다. 추적된 산모와 추적 안된 산모의 특성 및 신생아 체중을 비교한 결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신생아 후기 사망률의 비를 6 : 4로 가정했을 때 모자보건센터에서 출생한 영아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12.3명으로 추정되었다. 군위군과 합천군의 영아사망률과 대구시 남구 모자보건센터에서 관찰된 신생아사망률, 영아사망의 사망시기별 분포와 영아사망원인 그리고 저체중아출생률을 고려할 때 1985년부터 1988년 사이의 한국의 영아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12에서 15명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We followed up all the infants born to the married women under 50 years of age residing in Gunwee county, Kyungpook Province, between 1 April 1985 and 31 March 1987, and those born to the married women under 50 years residing in Hapchun County, Kyungnam Province, between 1 March 1987 and 28 February 1988, to their first birthday. Likewise, we followed up the infants born to the women who visited the MCH Center of South District Health Center in Taegu City for delivery between 1 April 1985 and 31 March 1987 to the 27th day after birth and obtained the infant mortality rate and the neonatal mortality rate, respectively. There were 17 infant deaths among 1,359 live births in Gunwee and Hapchun Counties and the infant mortality rate was 12.5 per 1,000 live births. Out of 17 infant deaths, 82.4 percent were neontal death and 17.6 percent were postnonatal deaths. Out of the 6,001 live births born to the women visited the MCH Center, 4,834 infants (80.6%) were followed up to the 27th day after birth. Of these 4,834 infants, 36 infants died before the 28th day after birth and thus the neonatal mortality rate was 7.4 per 1,000 live births. Comparison of the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the birth weight between infants who were followed up and those who were lost to follow-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ssuming that the neonatal and postneounatal mortality ratio had been 6:4, the infant mortality rate for the infants born at the MCH Center would have been 12.3 per 1,000 live births. Taking such findings into consideration as the infant mortality rate observed in Gunwee and Hapchun Counties, the neonatal mortality rate at the MCH Center, the causes of infant deaths, and the low birth weight incidence rate, a conservative estimate of infant mortality rate of Korea would be between 12 and 15 per 1,000 live births in $1985{\sim}198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