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한우 한국자료분석학회 200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6 No.3
This paper examines online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political websites. More specifically, the paper analyzes the structure of hyperlink-mediated communication patterns among South Korean political parties and National Assemblymen and how the structure has changed over the last two years.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defined by the existence of hyperlinks among political websites. The data were obtained for 2000 and 2001. Several techniques from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hree major parties are most central in hyperlink network, and the network has become more centralized and denser over time. 이 논문은 월드와이드웹공간에서 나타나는 한국의 정당들과 국회의원들 사이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구조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조사 및 분석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는 정당 및 의원이 운영하는 웹사이트에 내재된 하이퍼링크로 조작적으로 정의된다. 분석자료는 2000년과 2001년 각 정당 및 국회의원 웹사이트에서 획득하였다. 수집된 하이퍼링크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정당 웹사이트들이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그리고, 구조를 측정하는 지표들은 2년 동안에 정치 행위자들 사이의 네트워크가 좀 더 촘촘히 결합되고 상호간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의 국제 협동연구 : 동아시아 지역의 분석을 중심으로
박한우,Park, Han-Woo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05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36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some aspect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the age of digital technologies. First, the paper describes the longitudinal structure of collaborative pattern among the 10 East-Asian countries based on their frequency of co-authoring SCI journal articles in the year 2001-2003. Second, a focus interview was made to explore the way in which new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have changed a research practice in the field of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This research found that Japan and China are preferred as the number one collaborator by other Asian countries. Their shar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ith other Asian countries has been increasing in three years.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with a scholar suggest that digital network technologies have several advantages enabling individual and institutional actors to collaborate with each other effectively in terms of knowledge management as well as information exchange.
복합적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포털 댓글에 관한 연구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
박한우,이연옥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2
This paper provides a thorough account on the techniques to analyze a large number of comments collected from a Web portal. We begin with an illustration of the socio-political importance of user comments on South Korean portal sites. The corpus of the data consists of more than 40,000 comments made with regard to a video clip relating to the `BBK scandal' in the 2007 presidential election. User comments were obtained from Daum, a popular domestic portal site in South Korea. Using two text analysis software programs, KrKwic and K-LIWC, complemented by a traditional qualitative analysis, we have found that a mixed method is particularly useful when examining such a large body of text. 이 논문은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 동안에 네티즌이 포털 웹사이트에 남긴 댓글을 분석한다. 댓글달기는 네티즌의 일상 활동으로 되어가고 있다. 그럼에도 댓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지 않고 있다. 특히 수만 건에 달하는 대규모 댓글 자료의 컴퓨터 자동분석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 논문의 목적은 서로 다른 기능을 지닌 두 개의 텍스트 분석 소프트웨어(KrKwic, K-LIWC)와 연구자의 질적 분석을 이용하여 포털 댓글의 의미구조를 파악하는 데 있다. 분석 자료는 17대 대통령 선거 기간에 미디어 '다음'에 게시된 광운대 BBK 동영상에 대한 약 4만 건의 댓글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두 개 소프트웨어의 사용은 계량적 분석의 범위를 확대했으며 질적 분석은 댓글에 숨겨진 네티즌의 정치적 태도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필리핀의 2004년 선거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웹 공간 분석
박한우,한지은,최경호,김효동,Kate A. Mirandilla 한국언론학회 2005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국가의 정치 시스템 및 선거 과정에 있어 인터넷의 이용, 역할, 영향 등을 살펴봄으로써 사이버 공간에서 전개되는 정치 활동의 온라인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국제 비교 연구의 필리핀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지난 2004년에 열린 선거에서 인터넷이 이용되는 다양한 방식을 검토하고 있다. 선거에서의 인터넷의 역할을 필리핀의 정치 문화와 연관하여 탐구하였다. 방법론적으로 먼저, 지난 필리핀 선거의 웹 공간을 형성하는 여러 웹사이트들 가운데 92개가 표집되었다. 표본들을 대상으로 정보성 및 참여유도성 피쳐의 분포 현황을 운영자의 유형에 따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당과 비정부기구에서 운영하자의 유형에 따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당과 비정부기구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들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정당과 비정부기구는 선거와 관련된 뉴스와 온라인 포럼의 운영 등 가장 많은 유형의 피쳐(feature)를 제공하였다. 후보자 웹사이트 또한 유권자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여러 컨텐츠와 서비스를 상당히 제공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필리핀의 인터넷 정치 문화에 영향을 미친 정치 및 사회적 상황과 결부되어 논의되었다. 필리핀의 결과는 마지막 부분에서 한국과 비교되었다. This research is a part of International Internet and Election project and conducts a web sphere analysis for political websites during the 2004 Philippine's national election. Based on the sample websites (N=92)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sites (that are political parties, candidates, media, civic & advocacies, and governmental agencies), this paper examines the political role of the Internet around the election campaign in a larger context. The types of content and service features contained on the political websites are investigated. This research found that both information and engagement features on the websites of Philippine's parties and NGOs were much more prevalent than other types of sites in the sample. Candidate web sites were also visible actors for example, in terms of encouraging people to exchange their opinions about electoral issues in electronic boards. Further, the findings a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Philippine's political culture and are briefly compared with South Korean case.
국회의원 블로그의 이웃링크에 미치는 요인: 구조방정식 모형의 구축
박한우,최경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0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8 No.3
This study analyzes the link structure of the South Korean political blogosphere using a statistical method. The sample for this research is South Korea's National Assemblymen who were elected in April 2004 (N=107), and the data collections such as the inter-linkage between politicians' blogs occurred during July of 2005. Traditional multi-variate techniques were employed to identify some antecedent variables which predict the existence of permanent (neighbor) links on the blogs of Assembly members. Finally, this paper intends to produ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a link network among politicians. The results reveal that online connectivity factor composed of blog usage time and outdegre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degree. 한국의 국회의원 웹사이트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연결망의 모습이 어떠한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 새롭게 전개되는 정치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온라인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국회의원들 사이에서 점차 사용이 증가되는 블로그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7대 국회의원 블로그의 이웃 인링크(inlink)의 존재 여부와 관련된 변인들을 파악하고, 구조방정식모형 등을 통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블로그사용기간'과 'outdegree'로 구성되는 온라인 연결망요인은 종속변수인 'indegree'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명성의 조작적 정의로서 'indegree'를 사용하고 명성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요인들을 파악한 통계적 분석의 수행을 제언한다.주요용어 : 블로그, 이웃링크, 연결망, indegree, ourdegree, 구조방정식모형.
LexiURL을 이용한 동시링크 분석-정치웹진ㆍ정치포럼 사이트
박한우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2
While "link analysis" has become a strong method to examine the web capital of social entities among international scholars, little work has been done in a South Korea's research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help Korean researchers understand the most recent link analysis tool, that is, the LexiURL. This non-commercial program is designed to collect the shared inlink data to two websites. In conjunction with social network programs, web data gathered using the LexiURL can also be visualized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online networking among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In this article, political webzine and political forum sites are selected for research domain. 네트워크분석은 한 무리의 행위자가 맺은 관계를 파악하여, 해당 집단의 구조적 속성을 연구하는 방법론이다. 이 논문은 (온라인 네트워크 분석도구인) LexiURL을 이용해서 웹사이트에 포함된 동시링크를 분석하여 정치적 웹사이트의 온라인 관계구조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검토한다. 웹사이트의 링크 분석이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을 파악하는 유용한 방법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동시링크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은 영국에서 개발된 링크분석 프로그램인 LexiURL을 사용하려는 국내의 학계, 연구계, 산업계 이용자의 이해를 돕는 것이다. 정치웹진 정치포럼 사이트를 대상으로 LexiURL을 이용한 웹 링크의 절차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과학기술 학회의 온라인 네트워크와 웹 영향력 지수 -SCI(E) 등재 학술지를 출판하는 국내 학회를 대상으로-
박한우 한국자료분석학회 200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9 No.6
이 연구는 과학기술 학회 웹사이트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분석하여 학회들 간 온라인 관계의 구조가 어떻게 형성되어 있으며 연계의 특성이 어떠한지를 검토한다. 나아가 웹 영향력 지수를 이용해서 각 학회의 온라인 영향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한화학회가 인링크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 반면에 한국화학공학회가 가장 많은 아웃링크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작성한 결과, 유사한 분야의 학회들이 독립적인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웹 영향력 지수의 순위를 보면, 대한기계학회가 가장 높았다. 이 연구는 링크 분석이 과학기술 분야의 사이버 커뮤니케이션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방법론임을 시사해 준다.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academic web space since a new research method "link analysis" was born in mid-1990s. Link analysis becomes an essential part of "webometrics" in information sciences as well as other social sciences. Yet little work has been don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of non-university websites. This is particularly true in conjunction with Asian organization sites. Therefore, this research attempt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online networking among S&T academic institutions in South Korea. Further, online influence of these organizations is estimated using web impact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