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태형,Park, Tae-Hyeong 대한건축사협회 1998 건축사 Vol.1998 No.2
21세기의 문턱에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를 근원지로 전세계적으로 몰아치고 있는 경제위기는 당장 한 고비를 넘어선다고 하여도 2~3년동안은 그 영향이 지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고, 이로 인하여 그동안 한국의 건축업계를 비롯하여 한국의 주요 해외 건축시장이 되었던 동남아시아는 한동안 IMF의 한파를 겪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하지만 이 기간을 21세기를 향한 더 큰 도약을 위한 준비기로 생산하고, 선진 건축업계의 건축동향을 비롯하여 21세기 미래 건축수요의 방향을 파악하는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음으로써 한국의 건축업계가 21세기에 더욱 성숙한 모습으로 미래 세계건축시장을 재석권할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이런 의미에서 최근 미국을 대표하는 건축가들의 건축동향은 21세기 건축업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시각에서 최근 개관한 게티센터를 살펴보고자 한다.
A Combined Model of Trip Distribution, Mode Choice and Traffic Assignment
박태형,Park, Tae-Hyung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2002 산업공학 Vol.15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rametric optimization approach to simultaneously determining trip distribution, mode choice, and user-equilibrium assignment. In our model, mode choice decisions are based on a binomial logit model and passenger and cargo demands are divided into appropriate mode according to the user equilibrium minimum travel time. Underlying network consists of road and rail networks combined and mode choice available is auto, bus, truck, passenger rail, and cargo rail. We provide an equivalent convex optimization problem formulation and efficient algorithm for solving this problem. The proposed algorithm was applied to a large scale network examples derived from the National Intermodal Transportation Plan (2000-2019).
박태형,이항석,구본엽,마기중 대한시과학회 2022 대한시과학회지 Vol.24 No.2
Purpose :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horia examination in a virtual space with a stereoscop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based on the Howell card. Methods : 51 subjects (20~39 years old) were selected and has no general disease, ocular disease or suppression. Also, stereopsis of the 40 sec or more, and unaided or corrected visual acuity of 1.0 or more with both eyes. The refractive power of the stereoscopic lens was +3.00, +5.00 and +10.00 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optical centers was 62.00 mm. Based on the Howell card, a phoria examination target for conventional and stereoscope was produced. The measurements of lateral and vertical phoria by the conventional and stereoscope were randomly performed at the working distances of 5 m, 40 cm, and 33 cm. Also, the calculated AC/A ratios were obtained. Results : The lateral phoria (△) measured at 5 m, 40 cm, and 33 cm working distance by the conventional, +3.00, +5.00, and +10.00 D stereoscope was -1.18±1.71, +2.39±3.46, +2.23±3.36, +2.36±3.31 (5 m), -3.88±4.17, -4.92±5.92, -4.98±5.70, -4.91±5.58 (40 cm), and -5.53±4.82, -6.50±6.67, -6.49±6.59, -6.38±6.54 (33 cm), respectively. The vertical phoria (△) was -0.03±0.97, -0.03±0.99, -0.03±0.87, +0.02±1.00 (5 m), 0.00±0.92, -0.05±1.00, -0.09±1.01, -0.02±1.02 (40 cm), and -0.05±0.99, -0.01±1.00, -0.11±1.02, -0.05±0.99 (33 cm), respectively. The calculated AC/A ratios (Δ/D) were 5.18±1.24, 3.34±1.45, 3.38±1.37, 3.36±1.35 (40 cm), and 4.81±1.22, 3.30±1.41, 3.36±1.41, and 3.35±1.38 (33 cm), respectively. Conclusion : In the phoria examination using a stereoscope, the depth perception of the implemented virtual space is different from the real space, so the effects of convergence excess at distance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occurred at near. In order to have a similar level to the real space, it is necessary to add the experimental clues to increase the perception of distance with the peripheral virtual space. 목적 : 입체경으로 구현된 가상공간에서 측정한 사위검사를 하웰 시표를 기반으로 하는 기존 검사와 비교하여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전체 대상자는 51명(20~39세)으로 전신질환, 안질환, 억제가 없고, 입체시가 40 sec 이상, 나안 또는교정시력이 양안 1.0 이상인 사람을 선정하였다. 입체경의 광학렌즈 굴절력은 +3.00 D, +5.00 D, +10.00 D이고, 광학중심점 간 거리는 62.00 mm이었다. 하웰 시표를 기반으로, 기존과 입체경용 사위도 검사 시표를 제작하였으며, 검사거리 500.00 cm, 40.00 cm, 33.00 cm에 대해 수평과 수직사위도 검사를 무작위로 수행하였으며, 계산 조절성폭주비를 구하였다. 결과 : 검사거리 500.00 cm, 40.00 cm 및 33.00 cm에서 측정한 기존, +3.00 D, +5.00 D, +10.00 D 입체경에서 수평사위(△)는 각각 -1.18±1.71, +2.39±3.46, +2.23±3.36, +2.36±3.31(500.00 cm), -3.88±4.17, -4.92±5.92, -4.98±5.70, -4.91±5.58(40.00 cm), 및 -5.53±4.82, -6.50±6.67, -6.49±6.59, -6.38±6.54 (33.00 cm), 수직사위(△)는 각각 -0.03±0.97, -0.03±0.99, -0.03±0.87, +0.02±1.00(500.00 cm), 0.00±0.92, -0.05±1.00, -0.09±1.01, -0.02±1.02(40.00 cm), 및 -0.05±0.99, -0.01±1.00, -0.11±1.02, -0.05±0.99(33.00 cm)로 나타났다. 입체경의 원거리 수평사위에서 더 내사위, 근거리는 더 외사위 방향으로 나타났으며, 원거리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0), 수직사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0). 계산 조절성폭주비(△/D)는 각각 5.18±1.24, 3.34±1.45, 3.38±1.37, 3.36±1.35(40.00 cm), 및 4.81±1.22, 3.30±1.41, 3.36±1.41, 3.35±1.38(33.00 cm)이었으며. 입체경에서 더 낮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0). 결론 : 입체경을 이용한 사위도 검사는 구현된 가상공간에 대한 거리감 인지가 실제공간과 다르기 때문에 원거리 과폭주, 근거리 저폭주의 영향이 발생되었다. 실제공간과 유사한 수준을 가지기 위해서는, 거리감 인지를 증가를 위한 주변부 가상공간에 경험적 단서를 추가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