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주시험림 한남 지역의 조류 군집 특성

        박찬열 ( Chan Ryul Park ),김은미 ( Eun Mi Kim ),강창완 ( Chang Wan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6

        본 연구는 제주시험림 한남지역에서 2006년 1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매월 3일 연속으로 11개월 동안 선조사법에 의한 2개 지역과 정점조사법에 의한 5개 지역을 정하여 이동성, 둥지 길드, 출현비율의 군집 분석을 통하여 조류 군집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총 58종의 조류를 확인하였으며, 조류를 이동성(migration habit)에 따라 나누면, 텃새 24종, 여름철새 8종, 겨울철새 10종, 나그네새 16종이었다. 대개 육지에서는 여름철새의 종 수가 높지만, 조사지역에서 나그네새 종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별 출현종의 관찰비율을 군집 분석한 결과, 11월부터 2월의 모둠, 3월~7월의 모둠으로 나누어져 계절성을 보였으나, 월별 종 수 변화는 육지에서 나타나는 계절 변동이 없었다. 번식기와 비번식기에 종 구성은 변화하지만, 전체 종수는 계절 변동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나그네새 등 이동성 조류가 제주시 험림을 다수 방문하는 것을 나타낸다. 산림성 조류에게 둥지를 제공하는 딱따구리류는 본 조사지에서는 큰오색딱다구 리 1종으로 육지의 5종과 차이를 나타낸다. 둥지 길드는 덤불 및 지면에서 둥지를 튼 새는 9종, 숲지붕층 8종, 나무구멍 7종, 인가에서 번식하는 1종이 기록되었다. 조사지에서 큰오색딱다구리는 박새류, 흰눈썹황금새, 호반새의 둥지를 제공하는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서 이 종을 보호하기 위한 산림시업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migration, nesting guild,ordination analysis of observed frequency of birds at Jeju Experimental Forests (JEFs) from November 2006 to September 2007 with surveys of two areas by line transect methods and point-count methods at five areas for three consecutive days in each month. Among observed 58 speci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24 residents, 9 summer visitors, 9 winter visitors and 16 passage migrants according to migration habit. In species composition, passage migrants are dominant birds at study areas whereas summer and winter visitors are most dominant birds at mainland`s forests. We could divide two groups of bird community in the view of monthly species composition, one is November to February group, the other March to July group by ordination analysis. Number of species did not show seasonal fluctuation which is common pattern of bird community in mainland. This pattern reflects that species composition can change during breeding and non-breeding periods, but overall number of species did not change. This can be related with the high use of passage migrants at study area, also suggests that the JEFs can be highly utilized as stopover sites during migration. At mainland``s forests, we can observe about five species of woodpeckers, however we just observed the only one species of White-backed Woodpeckers (Dendrocopos leucotos) at study areas. In the view of nesting guild, breeding birds can be grouped into the 9 bush-& ground nesters, 8 canopy nesters, 7 hole nesters and one house nesters. Among hole nesters, we can observe only one species of primary cavity nesters White-backed woodpecker, and the five secondary cavity nesters, that is three species of tits, tricolor flycatchers (Ficedula zanthopygia) and ruddy kingfishers (Halcyon coromanda). Therefore, White-backed woodpeckers can be regarded as a keystone species and forest practice should consider the careful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 KCI등재
      • KCI등재

        생태통로와 주변도로에서 야생조류의 이동 비교

        박찬열 ( Chan Ryul Park ),이장호 ( Jang Ho Lee ),강완모 ( Wan Mo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5

        야생동물 이동을 위해 설치된 ``생태통로``를 야생조류가 선택적으로 이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호암1터널, 까치산근린공원, 덕릉고개 등 육교형 생태통로에서 ``생태통로``와 ``주변도로``를 이동하는 야생조류를 2006년 6월부터 9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3개 지역 중 까치산 근린공원, 덕릉고개 등 능선에 위치한 생태통로에서 야생조류는 생태통로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지 않았으나, 사면에 위치한 호암1터널에서 야생조류는 생태통로를 유의하게 높게 이용하였다. 생태통로의 폭이 90m 이상이거나 사면에 위치할 경우, 야생조류의 이동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통로를 이용한 야생조류의 종 구성 측면에서, 관목층 둥지 조류는 2m 이하의 관목층 엽층량과 상관성이 있었고, 수관층 둥지 조류는 7~8m 엽층량과 상관성이 높았다. 야생조류 이동을 위한 생태통로는 대상지 입지 여건에 따라 목표종을 선정해야 하지만, 서울시의 경우 붉은머리오목눈이 등 관목층 조류를 대상종으로 선정하고, 다양한 야생조류의 이동을 위해서는 사면지역에 약 1ha 크기(폭 90m 이상) 생태통로에 2m 이하의 관목층과 8m 이상의 수관층 피도량을 높여주는 산림환경구조를 조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We recorded the movement of wildbirds nine times at Hoam 1st Tunnel, Kkachisan Park, Deungneung pass to compare the movement between eco-corridor and neighboring crossing road from June to September, 2006 . Among three areas, birds did not prefer the eco-corridor at pass type such as Kkachisan Park and Deungneung pass, however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high at the eco-corridor at Hoam 1st Tunnel. Over 90m width and the slope location of eco-corridors can be beneficial for wild birds to enhance the movement along eco-corridors between isolated two patches. Average foliage volume under two meters showed the relation with bush nesters, and that from 7 to 8m had the highest relationship with canopy nesters. In Seoul city, target specie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construction of eco-corridors according to site characteristics, but Paradoxornis webbianus could be suggested as a main target species at eco-corridors. To enhance the movement of diverse wildbirds, we would implement that eco-corridors could be located at the slope area with the size of 1ha (over 90m width), eco-corridors could be planted and managed with the high foliage volume of shrub layer under two meters and canopy layer over 8 meters.

      • SCOPUSKCI등재

        한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

        이우신,박찬열,임신재,Lee, Woo-Shin,Park, Chan-Ryul,Rhim, Shin-Jae 한국생태학회 2000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3 No.3

        1997년 10월부터 1998년 7월까지의 기간 동안 4회에 걸쳐 계절별로 행주대교로부터 양수리 지역, 중랑천, 탄천, 밤섬 지역의 한강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조류군집과 서식환경을 조사하였다. 이번 조사를 통해서 한강 지역에서는 총 107종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조류의 주요 분포지역은 강동대교부터 팔당댐, 양수리 지역, 행주대교로부터 성산대교, 밤섬 지역 등이며, 관찰개체수가 가장 낮은 지역은 동작대교로부터 영동대교에 이르는 지역으로 관찰 종 수 역시 낮았다. 종구성별 분포양상을 살펴보면 수면성 오리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청둥오리와 흰뺨검둥오리가 주요 구성원이었다. 잠수성 오리류는 동작대교로부터 영동대교에 이르는 지역과 한강 하류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밖에 논병아리류, 갈매기류, 백로류, 물닭류 등이 주요 구성원을 이루고 있었으며, 가마우지류, 황오리류, 고니류, 도요?물떼새류는 소수의 개체가 관찰되었다. 한강 지역 조류군집의 보호 및 유지를 위해서는 다양한 미세서식지의 유지와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Han River area from Oct. 1997 to Jul. 1998. Total 107 bird species were recorded in Han River area. Bird mainly distributed around Kangdong Bridge, Paldang Dam, Yangsuri, Haengju Bridge, Sungsan Bridge, and Bam island. The area between Dongiak Bridge and Youngdong Bridge showed the lowest the density of birds. The dominant birds of Han River area were the dabbling ducks, which were Anas platyrhynchos and A. poecilorhyncha. Diving ducks were distributed in the Dongiak Bridge, Youngdong Bridge, and estuary area. Grebes, Gulls, Herons, and Coots were also dominant bird species. Cormorants, Swans, Sandpipers, and Plovers were minor birds in Han River area.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various micro-habitats are needed for habitation of bird community in Han River area.

      • SCOPUSKCI등재

        만경강 지역 조류군집의 특성과 관리 방안

        이우신,박찬열,임신재,허위행,Lee, Woo-Shin,Park, Chan-Ryul,Rhim, Shin-Jae,Hur, Wee-Haeng 한국생태학회 2002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5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and habitat types in Mangyeong River area from Aug. 1999 to Jun. 2000. Paddy field was the most dominant land use type. Water area, mudflat, shrub field, urban area and green house were also dominant land use types in study area. Eighty-eight bird species were recorded during study period. Maximum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shown as 58 species and 7,084 individuals in Oct. and Jan., respectively. There were low number of diving ducks and clumped pattern of waterfowl distribution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Dabbling ducks distributed at upper reaches near Samrye Bridge, and plovers and sandpipers at lower reaches near estuary. Those results suggest that creation of pools over one meter water-depth and restoration of paddy field into riparian zone with diverse shrubs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bird diversity in the Mangyeong rived. 본 연구는 1999년 8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총 4회에 걸쳐 만경강의 조류군집 특성과 관리 방안을 파악하고자 조류군집과 서식환경을 조사하였다. 만경강에서 조류의 서식환경으로 논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수역, 갯벌, 관목지대, 주거지, 비닐하우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총 88종의 조류가 관찰되었고, 종수는 10월에 58종으로 가장 많았으며, 개체수는 1월에 7,084개체로 가장 많았다. 만경강지역 조류군집의 특성은 잠수성 오리류의 종수가 적고, 상류와 하류의 지역별 서식환경의 차이에 따라 물새의 분포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수면성 오리류는 삼례대교 상류지역에 주로 분포하였으며, 도요 물떼새류는 하류지역의 갯벌을 주로 이용하였다. 따라서 만경강에 다양한 조류를 서식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부 지역에 수심이 1m 이상 되는 지역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여 잠수성 오리류의 서식을 유도하고,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는 하변지역을 관목식생지로 복원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서울 청량리 교통섬과 홍릉숲의 미세먼지 특성과 저감효과 평가

        김평래 ( Pyung-rae Kim ),박찬열 ( Chan-ryul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5 No.5

        도심 교통섬과 도시숲 내부에서 미세먼지 농도와 영향 인자를 조사하여 숲의 미세먼지 효과를 분석하였다. 서울시 동대문구 홍릉시험림(도시숲)과 동대문구 청량리역 교차로에 조성된 숲(교통섬)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2018년 1월부터 11월까지 광산란법 기기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기간 동안 도시숲과 교통섬의 PM<sub>10</sub> 평균농도는 12.5 ㎍/㎥, 15.7 ㎍/㎥으로 나타났으며, PM<sub>2.5</sub>의 평균농도는 6.6 ㎍/㎥, 6.9 ㎍/㎥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도시대기 측정망과 도시숲의 농도를 비교해본 결과, PM<sub>10</sub>의 저감율은 도시숲에서 66.9±28.6%, 교통섬에서 58.6±44.1%로 나타났고, PM<sub>2.5</sub>의 경우 71.3±23.0%, 64.9±31.3%로 각각 나타났다. 미세먼지 저감율의 차이는 도시숲의 규모와 구조의 차이와 관련이 있을 것이며, 풍속은 저감 요인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forests on reducing particulate matter by investigating th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between urban forest and traffic forest. The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in Hongreung Experimental Forest (urban forest) and a forest (traffic forest)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Cheongryangri Station in Dongdaemun-gu, Seoul were measured with the light scattering method instrument from January to November 2018. During the study period, the average PM<sub>10</sub> concentrations in the urban forest and the traffic forest were 12.5㎍/㎥ and 15.7 ㎍/㎥,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PM<sub>2.5</sub> concentrations were 16.6㎍/㎥and 6.9 ㎍/㎥, respectively. Comparing the concentration by the urban atmospheric measurement network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concentration in urban forests showed that the reduction rate of PM<sub>10</sub> was 66.9±28.6% in urbanforest and 58.6±44.1% in traffic forest and that of PM<sub>2.5</sub> was 71.3±23.0% and 64.9±31.3%. The difference in the reduction rate of particulate matter is likely related to the size and structure of the urban forest, and the wind velocity is considered the reduction factor.

      • KCI등재

        그래프 이론을 적용한 서울시 녹지 연결망의 정량적 분석

        강완모 ( Wan Mo Kang ),박찬열 ( Chan Ryul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1975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시 녹지 연결망의 시계열 변화를 그래프 이론을 적용하여 공간의 다중규모 (multi-scale)에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 시기 동안, 서울시 녹지 연결망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 공간 규모는 녹지 간 1,000 ~ 1,600 m 거리였다. 1990년 이후 난개발로 단편화되고 훼손되었던 녹지들과 연결망이 점차 복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6년 개별 녹지의 연결망 분석을 통해, 핵심 녹지와 징검다리 녹지의 두 가지 유형의 녹지 연결망 분포를 확인하였다. 서울시 녹지 분포는 연결성 중요도 지수와 상관관계가 높아서, 남쪽과 북쪽의 가장자리에 핵심 녹지가 분포하고 동쪽, 서쪽, 중앙에 매개 중심성이 높은 징검다리 녹지가 분포함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따라서 서울시 녹지 연결망은 그래프 이론을 적용하여 연결 중심성, 매개 중심성, 연결 중요도 지수 등으로 정량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temporal change of green space network at multi-scales from 1975 to 2006 with the application of graph theory in Seoul, Korea. Remarkable change of connectivity was detected in green space networks at the scale ranging from 1,000 ~ 1,600 m during 30 years. Green spaces and their networks have been restoring after 1990 since forest areas had been fragmented in 1975. In 2006, we identified the important core habitat areas that can sustain diverse wildlife species and stepping stones composed of small patches that can link these core habitat areas. Green space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green space connectivity. So, this study could graphically represent green space networks of Seoul City. Green spaces of core areas distributed at the northern and southern boundary, and those of stepping stones possessing the high value of between ness centrality consisted at the middle, eastern and western bound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een space network can be graphically and quantitatively explained by degree centrality, between ness centrality and relative importance value of connectivity with the application of graph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