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근대문학과 미문, 이태준의 미문의식

        박진숙(Park Jin-sook)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4

        본 논문은 한국 근대 문학사에 나타난 미문, 미문주의, 미문의식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학사에서의 ‘미문’ 논의는 노자영의 연애 서한집, 혹은 이태준 문학작품과 연관되어 있다. 노자영 류의 『사랑의 불꽃』을 위시한 연애서한은 정의 문학이 강조되던 문단 상황과 일본 미문이 결합된 결과 나타난 현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개성을 강조하는 이태준의 『문장강화』는 일본 미문의 영향하에 쓰여졌고 이태준 문학의 사소설적 경향 역시 이에서 비롯되었다. 이 두 양상은 미문과 작가-독자관의 차이에서 초래된 것이다. 미문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수사학을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미문 논의는 언문일치, 문장론을 넘어서 독자중심미학이라는 장의 형성을 기반으로 하여 읽기모드가 결합된 사소설의 의미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Mi-moon, Mi-moon oriented writing attitude, and the consciousness about Mi-moon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The concept of Mi-moon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as closely related to the collections of love letters of No Ja-young or the literary works of Lee Tae-joon. Such love letter collections as the Flame of Love by No Ja-young were brought into being, when 'literature of feelings' was emphasized in Korean literary world and Mi-moon made its appearance in Japanese literary circle. Lee Tae-joon's Lectures on Writing, which emphasized the individuality, were influenced by Japanese Mi-moon. Likewise, his literature's tendency to private life novel was basically attributable to Japanese Mi-moon. Both aspects were caused by differenced view on Mi-moon and writer-reader relations. Mi-moon can be said to have contributed to Korean modern literature in establishing the rhetoric. We should debate on Mi-moon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private life novel, when it also should be linked to reading mode based on reader-oriented aesthetic, beyond the syntax and the unity of speech and writing.

      • KCI등재

        1930년대 농촌진흥운동과 농민소설의 텍스트화 양상

        박진숙 ( Jin Sook Park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2 No.-

        본 논문에서는 일제의 동화정책과 근대문학과의 상관관계라는 관점으로, 농촌진흥운동을 텍스트화하고 있는 이기영의 단편소설 「서화」와 박영준의 단편소설 「모범경작생」을 분석해 보았다. 조선총독부가 행한 정책 구현과 농민 혹은 작가의 문학적 반응을 모색해 보고자 한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었다. 두 소설은 농촌진흥운동의 텍스트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소설 서사 구축의 대부분이 농촌진흥운동의 세부 시책들로 직조되어 있다. 소작 농민의 전형 돌쇠가 탄생하는 배경이 모범부락이 지녀야 할 자발적 문제 해결의 과정이라는 서사를 통해서라는 것과 「서화」의 인물 배치, 사건 구성이 농촌진흥운동의 세부 시행내용을 토대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새로이 확인해 볼 수 있다. 「모범 경작생」은 농촌진흥운동과 ``졸업생지도``, 중견인물 양성정책 등에 대한 농민들의 반응의 서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두 작품은 각각 돌쇠와 길서라는 인물을 창조해낸다. 돌쇠라는 긍정적 인물을 창조해내면서, 농민운동의 방향 설정이 농촌진흥운동이라는 현실적 토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가 하면, 길서라는 부정적 인물을 내세워 농촌진흥정책의 허구성을 비판하고 나아가 일제의 조선 농촌 지배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Seohwa" by Kiyeong Lee and "Mopeom Kyeongjaksaeng" by Yeongjun Park, which textualizes Rural Revitalization Campaign(RRC), focusing on the co-relationship between Japanese assimilation policies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I intended to explore how the policies of Government General of Korea(GGK) were enforced and what a literary response the farmers or writers made to them. The above two novels are almost a textualiztion of RRC, as most of the narrations are constructed to the details of RRC. We can find out in "Seohwa" that the birth of Tolsoe, a healthy peasant ag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spontaneous problem solving as a qualification for a Mopeom Purak and that its characters and plot are based on the details of RRC. Likewise, "Mopeom Kyeongjaksaeng" is a text woven together with the responses of the peasants to RRC, especially policies of ``guidance of graduates``, training leading figures. The above two works creates the character of Tolsoe and Gilseo respectively. We can understand that the direction of peasant movement is set through the real basis of RRC in creating a positive character, Tolsoe. On the other hand, we can recognize the fictitiousness of RRC through a negative character, Gilseo, and the Japanese ruling policies over Korean rural community.

      • KCI등재

        김남천의 「장날」연구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덤불 속」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진숙(Park Jin Sook) 한국현대문학회 201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37

        김남천의 「장날」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덤불 속」을 패러디한 작품이다. 복수초점화라는 기법을 그대로 수용하여 소설을 구성하고 있지만, 「덤불 속」과는 주제 면에서 차이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두 텍스트의 공통점과 차이를 규명하여 1939년에 김남천이 왜 「장날」을 창작했는지 텍스트의 무의식을 밝히고자 하였다. 김남천의 소설에서는 「장날」처럼 농민의 삶을 다룬 작품이 거의 없다. 그런 점에서도 이 작품은 의미가 있거니와, 소설은 장날 소를 팔러 왔던 주인공이 살해되고, 이와 관련된 인물들이 저마다 얘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민이 소를 판다는 것은 자신의 존재 기반을 스스로 없애버린다는 뜻이다. 이런 점에서 이 소설은 이렇게 하지 않으면 안 되는 농민의 실존의식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과정에 조선 농회의 조직 확대와 이로 인해 더 피폐해지고 있는 농촌 사회가 묘사되고 있다. 이 작품은 아쿠타가와를 조선적으로 전유하여 일제의 동화정책이 농민의 삶을 어떻게 장악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수작이다. 이는 김남천의 창작방법론에 관한 고민 끝에 쓰여진 것으로, 일제의 동화정책과 근대문학과의 관계를 내장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The novel "Changnal(Market Day)" by Namcheon Kim is a parody of "Yabu no Naka(藪の中, Inside of the Bush)" by Ryunosuke Akutagawa. Although Kim constructed his novel by adopting multiple focalization technique of Akutagawa,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wo novels. I tried to reveal the underlying unconsciousness beneath his text by investigat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texts, while asking why he wrote the novel "Changnal". There are few in Kim's novels describing peasants' life such as "Changnal". This novel is important in this point. Moreover, it has an interesting plot; main character was killed on a market day when he came to sell his cow, every dramatis personae telling his/her narration. Selling his cow for a Korean peasant signifies an existential crisis. This novel shows stern rural realities which forced them to do so, while describing the expansion of Korean Nonghoe(agricultural cooperative) and the impoverished conditions of the rural communities because of the former. This novel is a remarkable work showing how the Japanese assimilation policies could control peasants' lives by appropriating Akutagawa in terms of Korean style. Besides, It was written as a result of his painful research of theory of schaffensmethode, while demonstrating internalized delicate relations between Japanese assimilation policies and Korean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노인복지시설의 최근경향과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진숙(Park Jin-Sook),이문섭(Lee Moon-Sup) 대한건축학회 200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ort of direction as for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ready for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for the elderly, which will come into operation in the near future.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small-sized life-unit typ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named the new-model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caring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as part of Japanese representative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he 10 facilities which located in Osaka and Kyoto in Japan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spatial composition and the properties of program were studied along with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olicy for senior citizen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ing: The space of facility consists of private unit space and public common space, i. e. kitchen and livingroom. In each phase from private room to unit, nearby common space and the whole public space, this sequential space composition has continuity and hierarchy, which deeply affects total planning for the facility.

      • KCI등재

        정비석의 「성황당」과 텍스트의 무의식

        박진숙 ( Park¸ Jin-sook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1 도시인문학연구 Vol.13 No.2

        이 글은 정비석의 「성황당」이 한국문학의 정전 중 하나가 되고, 한국문학사에서 살아남은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를 텍스트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텍스트 분석 과정 속에는 「성황당」이 라디오 드라마나 희곡, 영화 시나리오의 원작이었다는 점도 전제가 되며, 현재 확인할 수 있는 시나리오와의 비교분석도 포함되어 있다. 시나리오 「성황당」은 본고에서 처음 소개 분석되는데, 소설 「성황당」텍스트의 무의식이 임야조사사업의 텍스트화로 향하고 있음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참조점이 된다. 임야조사사업과 삼림령 위반이라는 구체적 내용을 모르는 상태에서 소설만 읽을 경우, 단지 일제의 억압과 근대 법률의 문제라는 식으로 추상적으로 파악하게 된다. 시나리오와 함께 읽을 경우 숯 구이 현보가 산림범죄로 연루되는 과정이 매우 구체적으로 그려져 당대의 상황을 독자들에게 알려주고자 한다는 것이 드러난다. 원작 소설과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소설가가 의도했을지도 모르나 구체적으로 그리지 못했던 어떤 부분이 시나리오에서 명확하게 그려져 있다는 사실에 대한 확인은 당대 독자의 텍스트 향유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소설 텍스트의 무의식과 관련되어 있다. 비상시라는 상황도 무시한 채 확보되는 순이와 현보의 건강성은 임야조사사업 시행 과정의 드러냄과 함께 당대 영화가 추구한 ‘조선적인 것’을 향해 있으며, 이러한 부분이 정전으로 승인된 암묵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rough text analysis why the Seonghwangdang(城隍堂, the shrine for a tutelary Deity) by Bi-seok Jeong became one of the canons of Korean literature and survived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 will also try to compare this novel with a scenarios available as of now, because it was the original of radio dramas, plays, and movie scenarios. It is the first time to analyze the scenario of “Seonghwangdang”, and can be a key to investigate that the unconscious of the novel “Seonghwangdang” is oriented towards textualization of the Forest Land Survey Project by Japanese Government in General in Korea. If you read this novel without knowing the details of Forest Land Survey Project and violations of Forest Ordinance, you will understand them in the way that it is only a matter of Japanese oppression and the modern law. But reading it along with the scenario, you can grasp the process of charcoal grilling worker Hyun-bo's involvement in forest land crime concretely, realizing the reality of the time. We can find out in the scenario some parts which the author failed to represent in his original novel unconsciously. This is related to the unconscious of text, occurring in the process of readers’ enjoying the text at that time. The health of Soon-i and Hyun-bo, represented in the novel, is not only directed to ‘the Joseonness’ pursued by the movies of the time, but also reveals the process of implementing Forest Land Survey Project. This is examined to be an implicit content that is later approved as a canon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가람의 국학운동과 이태준

        박진숙(Park, Jin-sook) 한국현대문학회 2014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3

        본 논문은 가람 이병기의 조선어 인식과 조선어문학의 구상을 위한 노력을 소설가 이태준과의 관련성 속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태준의 월북으로 가려진 두 사람의 교유를 재구성해보면, 1924년 휘문고보에서 스승과 제자로 처음 만나 1929년 이태준이 『학생』지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이병기가 이 잡지에 글을 실으며 편집에도 관여하는 흔적을 볼 수 있다. 『문장』지 주간으로 활약하게 된 토대가 있었다. 가람의 시조론은 기존 연구사가 밝히고 있듯이 후스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으며 후스의 영향은 이태준의 『문장강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은 실감실정론에 근거하여 후스가 말한 바 "국어의 문학"을 조선에서도 실현하고자 했던 것이다. 가람은 1924년 신미사학을 샀는데, 이는 가람의 조선어 교육뿐만 아니라 시조론에도 영향을 끼쳤다. 시조에 사용된 수사법을 「시조와 그 연구」에서 설명하고 있거니와, 이는 이태준이 『문장강화』에서 간결체와 만연체, 강건체와 우유체, 건조체와 화려체 설명과 함께 현재 국어교육에서 사문화된 상태로 이어지고 있다. 가람과 이태준의 노력은 조선어문학, 조선어글쓰기 체제 구축을 위해 서구와 일본, 중국의 것을 나름대로 전유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그들의 노력은 국학운동의 일환이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the efforts to construct Korean language literature of Pyeong-gi Lee(Karam, nom de plume) in relation to Tae-joon Lee. Their companionship, hidden behind Tae-joon’s defection to North Korea, began in 1924 as a teacher and student at Whuimoon High School. While Tae-joon worked as an editor of Journal Haksaeng(student) in 1929, Pyeong-gi not only submitted to it but also had a part in editing it. This explains their participating in Journal Munjang(The Sentences) as editors. Karam’s theory of Sijo(時調, a kind of Korean poem) was influenced by Hu Shih(胡適), whose influence can be also found in Tae-joon’s Munjang Kanghwa. Both of them try to construct ‘the literature of national language’, invented by Hu Shih, in colonial Korea on the base of the theory of real feeling and emotion. Karam bought Shinbizigaku (新美辭學, new studies on rhetoric) in 1924, which exerted much influence on his theory of Sijo as well as his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e explained rhetorics of Sijo works in the paper titled as “Sijo and a Study on It”. Likewise, Tae-joon explained such rhetoric styles as concise vs. prolix, robust vs. feeble, bald vs. aureate in his Munjang Kanghwa. Their achievements can be said to be a result of appropriation of literature theory of the West, Japan, and China in their own way. In this point, their efforts formed a part of Korean studies m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페넬로피아드』에 나타난 죽음과 소생 - 헤테로토피아의 재현을 중심으로 -

        박진숙 ( Park¸ Jin-sook )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2020 현대영어영문학 Vol.64 No.4

        Park, Jin-Sook. “Death and Resurrection in The Penelopiad: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Heterotopia.” Modern Studies in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64.4 (2020): 25-4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death and resurrection in Margaret Atwood’s The Penelopiad from the representational standpoint of heterotopia. Heterotopias, a concept articulated by Foucault, are “actually realized utopian spaces” - that is, ‘hetero-’, different spaces or counter-sites in a kind of both mythical and real contestation of the place in which we live, as all the other real arrangements that can be found within society. Penelope and twelve maids are making their own stories in Hades, the space of death and a counter-site as a heteropia. They are alternately weaving and unweaving shrouds. It shows the weavers’ power of destruction (unravelling) and creation (reweaving), metaphorically. To resurrect women’s own lives, they also perform a ‘ritual’ that looks back at their traumatic memories, and represent them in chorus on the ‘stage’ with dances, a lecture, a court trial and several types of songs. Death and resurrection are pivotal subjects in this work. Death serves as an equalizer, eliminating class or gender differences between maid servants, Penelope and Odysseus. Even though Penelope regards the twelve maids with deep sympathy, she is unable or unwilling to rescue them from death in the end. She even participates in the awful mass execution indirectly. However, it is a painful choice for Penelope to survive and it represents her reality as a woman symbolically. (Namseou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