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기 반추동물 전용 수입산 유기사료 및 국내산 유기 부산물의 사료적 가치 평가

        박중국,김창현,Park, Joong-Kook,Kim, Chang-Hyu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1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value of locally produced organic agricultural by-products to substitute imported organic feed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 Imported organic feeds (corn grain, soybean meal, soybean seed, oat grain, barley grain, wheat grain, buckwheat, sunflower seed meal) and byproducts (rice bran, grape seed meal, rice straw, soybean hull, soybean curd, rice hull,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grain) were analyzed for chemical composition and NDF, ADF, mineral, and amino acid content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Dry matter, NDF and ADF contents in organic feeds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ventional feeds. Especially, the 9.65% fat content of organic soybean meal was 6 times higher than the 1.95% fat content of conventional soybean meal. Fat contents of rice bran, grape seed meal,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grain were 25.66, 6.09, 3.57 and 1.59%, respectively. Protein contents of soybean hull and soybean curd were 14.68 and 19.87%, respectively, which are highest among organic by-products. Levels of aflatoxin in all feeds were below the safety level. Therefore, organic rice bran, green kernel rice and crushed rice as energy source, and soybean hull and soybean curd as protein source could partial replace imported feeds for organic ruminant farming.

      • KCI등재

        미강과 대두피가 첨가된 유기사료의 공급이 비유중기 유산양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박중국,김창현,Park, Joong-Kook,Kim, Chang-Hyun 한국유기농업학회 2010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18 No.4

        본 연구는 유기곡물사료와 농산가공부산물인 미강과 대두피를 이용한 유기배합사료를 제조하였으며, 관행사료와 비교하여 산양유의 생산성 및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Saanen종 비유중기 4두를 유량, 착유일수 및 산차수를 고려하여 배치하였으며, 시험 설계는 2${\times}$3 crossover design으로 하였으며, 2주간 예비기간을 거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사료공급은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량에서 ME가 23 MJ/d, 그리고 CP는 382 g/d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전체 건물섭취량은 T1구(관행사료)와 T2구(유기사료)에서 각각 1,633g과 1,658g으로 비슷한 섭취량을 나타냈으며, 유량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T2구에서 1,816g/d로 T1구의 1,667g/d와 비교하여 약 150g/d 높은 유량 증가를 나타냈다. 유성분과 유지방 함량에서는 처리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지방산조성은 사료내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풍부한 T2구에서 T1구보다 stearic acid(C18:0)와 linoleic acid(C18:2)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경제성 평가에서 1마리당 하루 150원의 소득증가를 나타냈으며 결과적으로 유기사료를 급여함으로써 농가소득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c feed containing rice bran and soybean hull as organic by-products on milk production of mid-lactation dairy goats. Four Saanen dairy goats (initial BW $59.4{\pm}7.4$ kg, average 6 lactation months, fourth kidding) were allocated into conventional feed group (T1) and organic feed group (T2) with 2${\times}$3 crossover design for 9 weeks.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23 MJ ME/d, 382 g CP/d DM based on NRC (1981) and AFRC (1998). Dry matter (DM) intakes of concentrate and silage were higher in T2 (1,232 and 96 g/d) than T1 (1,105 and 91 g/d) (p<0.05). However, DM intake of hay was higher in T1 (488 g) than T2 (347 g) (p<0.05). Total DM intak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1 and T2.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ilk yield between treatments, T2 numerically increased (+150 g/d) compared with T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lk composition and milk urea nitrogen (MUN) between T1 and T2. Relative to T1, T2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tearic acid (C18:0) and linoleic acid (C18:2) (p<0.05). Overall results of the present experiment indicated that organic feed could not adversely affect DM intake and milk production in dairy goats compared with conventional feed.

      • KCI등재

        반추가축영양 : 농산부산물을 이용한 In Vitro 반추위발효 특성 및 적정 배합수준을 통한 옥수수 및 대두박 대체 효과

        박중국 ( Joong Kook Park ),임동현 ( Dong Hyun Lim ),김상범 ( Sang Bum Kim ),기광석 ( Kwang Seok Ki ),이현준 ( Hyun June Lee ),권응기 ( Eung Gi Kwon ),조원모 ( Won Mo Cho ),김창현 ( Chang Hyun Kim ) 한국동물자원과학회(구 한국축산학회) 2011 한국축산학회지 Vol.53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artial replacement of corn grain and soybean meal with agricultural by-product feeds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optimum levels of mixing ratio. The agricultural by-product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artial replacement of concentrate were wheat bran, corn gluten feed, bakery waste, soybean curd, rice bran, green kernel rice, soybean hull, distillers` grain, and mushroom substrate. In the first experiment,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feedstuffs were evaluated at 0, 3, 6, 12, 24, and 48 hours after incub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with green kernel rice and soybean curd which replaced corn grain or soybean meal. Feed were formulated with 40% corn grain + 20% soybean meal(T1), 40% corn grain+17.5% soybean meal + 2.5% soybean curd (T2), 25% corn grain + 20% soybean meal+15% green kernel rice(T3), and 30% corn grain+15% soybean meal+6% green kernel rice+9% soybean curd (T4), respectively, with forage source of 10% alfalfa hay, 20% timothy hay, and 10% corn silage as fed-basis. In 24 and 48 hour cultivations, T4 showed significantly lower pH compared to T1, whereas in 3 and 24 hour cultivations, T4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M degradation compared to T1. In addition, the gas production of T3 was also higher than T1(p<0.05). Overall results of the present experiments indicated that green kernel rice and soybean curd as agricultural by-products have the possibility of partial replacements of corn grain and soybean meal.

      • SCOPUSKCI등재

        증례보고 : 지속적 사각근간 상완신경총 차단을 이용한 복합부위 통증증후군에 의한 어깨를 포함한 상지 통증의 치료 경험

        박중국 ( Chung Guk Park ),이미경 ( Mi Kyoung Lee ),김난숙 ( Nan Suk Kim ),임상호 ( Sang Ho Lim ),최상식 ( Sang Sik Choi ) 대한마취과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51 No.6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 is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regional pain, sensory alterations, motor dysfunction, and abnormality in body temperature, sudomotor activation, skin color changes and regional edema which often appears in the extremities after the onset of a noxious event. CRPS is a disabling disorder with an unknown mechanism. We present a CRPS case which is extremely resistant to conventional pharmaceutical and other therapeutic treatments in the left upper limb, which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continuous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BPB). (Korean J Anesthesiol 2006; 51: 749~51)

      • KCI등재

        원삼국기 백제 한성기 중부지역 呂자형 주거지의 변천과 지역성

        박중국(Park, Jungkuk) 중부고고학회 2011 고고학 Vol.10 No.1

        원삼국기~백제 한성기의 중부지역은 소위 呂(凸)자형 주거지로 표현되는 독특한 주거형태가 발달하였다. 이러한 주거형태는 그간 중부지역 전역에 걸친 공통적인 양상으로 파악되어 왔지만 최근 육각형주거지의 조사가 증가하면서 이를 둘러싸고 편년, 지역성 등에 걸친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각론에 있어서는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지만 주거지의 평면형태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대체로 일치하고 있다. 반면 주거지 평면형태와 함께 구조적으로 중요한 요소인 쪽구들의 경우 부차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呂자형 주거지를 재검토한 결과 쪽구들이야말로 편년과 지역성에 있어서 근간이 된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呂자형 주거지의 검토 결과 평면형태는 오각형 → 육각형으로의 변화가 대세이만, 유적에 따라 역전되는 사례도 존재하는 등 예외가 없지 않아 절대적인 기준은 될 수 없다고 보았다. 반면 쪽구들의 경우 예외없이 ㄱ자형 → ㅣ자형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분 기점이 바로 원삼국기와 백제 한성기를 나누는 기점이라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단계설정은 쪽구들을 기준으로 하고 평면형태는 부차적인 용도로만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전제 하에 쪽구들 주거지의 분포앙상을 검토한 결과 원삼국시대의 쪽구들온 횡성 학담리유적의 예를 제외하면 서울 • 경기지역에만 배타적으로 분포하며, 백제 한성기대도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면서 영서지역까지 확대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쪽구들의 중심지는 서올 • 경제지역이며, 백제 한성기에 영서지역에서 확인되는 쪽구들 주거지는 백제의 의도 하에 이식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노시설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서울 경기지역이 쪽구들의 배타적인 증심지이고,영서 • 영동지역은 기본 적으로 노지만 설치된 공통된 주거문화를 영위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국 쪽구들의 유무를 기준으로 서울 경기지역과 영서 • 영동지역으로 대별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지역차는 각각 韓濊의 생활양식으로 이해될 수 있고 쪽구들이 존재하는 서울 • 경기지역韓영서 • 영동지역은 濊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The alteration of ground plane shape of dwellings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Hanseong Baekje Period has long been argued that reflect chronology or regionality. Though the heating system is a key point to understand structure of a dwelling, as well as the ground plane shape, has been ignored.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chronology and regionality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Hanseong Baekje Period dwellings of Seoul Gyeongi area, through the tunnel-shaped heating system(TSHS). An intensive analysis of the heating system shows that alteration of its shape through time, from the ㄱ shape to the I shape, and by associated artifacts, the alteration seems coincide with the formation of Baekje. In Proto-three kindoms Period, the TSHS dwellings exclusively distributed in Seoul Gyeongi area, and during following Hanseong Baekje Period, the distribution of TSHS dwellings expanded to Youngseo area. Judging by expansion of TSHS dweillngs and their associated artifacts,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TSHS dwellings in Youngseo area were tranplanted by Baekje, infetring emigr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ground plane shape of dwellings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and Baekje may not be the proper attribute for chronology. Rather, the shape of heating system reflects time-scale, regionality and lifestyle more appropriately.

      • KCI등재
      • 중도문화의 지역성

        박중국(Park, Jung-kuk)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1

        중부지역의 원삼국문화는 소위 ‘中島類型文化’로 대표된다. 박순발에 의해 제창된 중 도유형문화란 경질무문토기ㆍ타날문토기ㆍ회흑색무문양토기의 공반, ‘呂(凸)’자형 주거지, 즙석식 적석묘 등의 요소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한성백제의 기층문화이자 濊系집단의 고고학적 문화로 이해된다. 이러한 견해는 이후 연구의 근간이 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현재까지도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조사의 폭증으로 인해 중부지역의 고고학적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확인되면서 기존 중도유형문화의 틀로는 이를 포괄할 수 없다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중도유형문화의 개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중도유형문화를 재검토하여 그 개념을 재정립하고, 기존에 간과해왔던 중부지역의 지역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중도유형문화’라는 용어는 ‘중도 문화’로 대체하고 그 의미를 대폭 수정하여 ‘경질무문토기ㆍ타날문토기가 공반되는 ‘呂’ 자형 주거지의 공통분포권’으로 정리하였다. 그 시간적인 범위는 원삼국기부터 백제 한 성기까지이며, 공간적 범위는 중부지역에서 서해안 일대와 안성천유역을 제외한 지역에 해당된다. 중도문화를 구성하는 토기-주거지-분묘는 서로 대등한 요소가 아니라 다른 공간적 위계를 가진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大-中-小지역으로 이어지는 위계적 지역 구분을 시도해 보았다. 大지역권은 주거지의 爐시설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쪽구들 주거지가 주로 분포 하는 서울ㆍ경기지역과 노지 주거지가 주로 분포하는 영서지역과 영동지역으로 대별되는데, 이는 각각 韓濊의 생활양식이 투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中지역권은 수계와 지형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며, 서울ㆍ경기지역은 북부와 남부, 영서지역은 북한강유역과 남한강유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영동지역은 해당되지 않는다. 경기북부지역은 원삼국기에서 백제 한성기로 이행하면서 취락규모가 축소되는 경향이 확인되며, 경기남부지역은 반대로 취락규모가 확대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북한강유역에 는 낙랑계유물의 빈도가 높게 확인되는 반면, 남한강유역에는 낙랑계유물이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지역차의 배경으로는 경기지역의 경우 백제와의 정치적 역학관계가, 영서지역의 경우는 낙랑과의 교역망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小지역권은 현재 적석분구묘를 기준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는 원삼국기의 강력한 소국의 존재를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중 서울의 송파구 일대는 伯濟國, 연천지역은 臣 濆 沽國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The notion of Jung-do cultural assemblage, which claims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Korea as the association of specific types of potteries, dwellings and burials,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a long time. However, as last 20 years of excavation much revealed new archaeological data, the argument shows clear limitation and loosing its power of explanation. This thesis aims to have a critical review on the Jung-do cultural assemblage first, and then redefine Jung-do archeological culture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potteries, dwellings and burial typ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呂’-shaped dwellings, associated with hard plain pottery and beating patterned pottery, that widely distributed in central Korea, now are defined as new features of redefined Jung-do archeological culture. However, it was also noticed that there are regional variations, like heating system types of the dwellings – east and west part of central Korea. This seems to reflect different lifestyle, likely ethnic difference. Even more, the burial types showed clear differences among regions – it might be a signal of the growth of regional polities, and/or the result of their ‘peer polity interaction’.

      • KCI등재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에 따른 비유 중기 유산양의 유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박중국(Joong Kook Park),김종덕(Jong Duk Kim),김지애(Ji Ae Kim),유정숙(Jung Suk Yoo),배귀석(Gui Seck Bae),김창현(Chang-Hyun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1

        본 시험은 산양유 생산을 위해 유기사료를 이용하여 유산양의 적정 에너지 및 단백질 공급 수준과 조농비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비유중기 Saanen종 유산양 4두(57.5±10.8 ㎏ BW)를 이용하여 4 × 4 라틴방각법으로 실시하였다. 대사에너지 공급수준과 단백질 공급수준을 10.59 (T1), 10.14 (T2), 9.45 (T3) 및 8.75 (T4) MJ/㎏과 11.90 (T1), 12.73 (T2), 15.19 (T3) 및 16.60% (T4)로 달리하였으며, 조농비율은 49:51 (T1), 59:41 (T2), 74:26 (T3) 및 90:10 (T4)의 네 처리구로 나누었다. 사료 섭취량 및 체중은 모든 처리구 사이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량은 T3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T2 및 T4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5). 유지방함량과 생산량은 T4구에서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가장 낮았다 (p<0.05). 유단백질과 유당 생산량은 T1 (61.29 및 70.95 g/일)과 T3 (60.52 및 75.82 g/일)구에서 T2 (50.49 및 59.64 g/일)와 T4 (52.49 및 59.82 g/일)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유산양의 유생산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에너지 공급수준은 최소 9 MJ/㎏ 이상과 단백질 공급수준은 최소 15% 이상을 공급해 주어야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on milk production in Saanen (Capra hircus) dairy goats fed the diets with the different ratio of forage and concentrate. Four lactating goats in mid lactation (57.5±10.79 ㎏ BW) were used in a 4 × 4 Latin square with 21-d periods. Animals were randomly allocated to one of the four groups; 10.59 MJ ME/kg and 11.90% CP (T1), 10.14 MJ ME/㎏ and 12.73% CP (T2), 9.45 MJ ME/㎏ and 15.19% CP (T3), 8.75 MJ ME/㎏ and 16.60% CP DM (T4). Also ratio of forage to concentrate was 49 : 51 (T1), 59 : 41 (T2), 74 : 26 (T3) and 90 : 10 (T4). Intakes of forage and concentrate were linearly increased (p<0.05) with their increasing energy levels in the die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otal dry matter intake and body weight between treatments. Milk yield in T3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p<0.05). Relative to other treatments, T4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the content of milk fat. The yields of milk protein and lactose in T1 (61.29 and 70.95 g/d) and T3 (60.52 and 75.82 g/d)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2 (50.49 and 59.64 g/d) and T4 (52.49 and 59.82 g/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inimum dietary level of energy and protein was 9 MJ ME/kg and 15% CP in mid lactation Saanen dairy goats.

      • KCI등재

        섬유소 분해균을 이용한 건조 청보리 발효사료가 돼지의 In vitro 발효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도연(Do Yeun Park),박중국(Joong Kook Park),조성백(Sung Back Cho),김창현(Chang-Hyun K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0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높은 섬유소 분해력을 검증 받은 Aspergillus niger (KCCM 60357)와 Bacillus licheniformis (KCCM 40934)를 단독 및 혼합 배양한 미생물제제로 양돈용 청보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을 때 사료 성상변화, in vitro 대장발효 및 전장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 설계는 건조 청보리 (control), A. niger (control + A. niger), B. licheniformis (control + B. licheniformis) 및 Mixture (control + Aspergillus niger + Bacillus licheniformis)구로, 균주를 첨가시킨 발효사료에 따라 네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사료 성분변화는 발효사료의 일반 성분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A. niger 및 B. licheniformis구에서 조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In vitro 대장발효성상의 변화는 배양 후 24시간에 건물 분해율이 A. niger와 Mixture구에서 각각 55 및 57.42%로 대조구 및 B. licheniformis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p<0.05). 가스 발생량은 대조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메탄가스 농도는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되었다. pH는 대조구를 비롯한 모든 처리구가 6.8 로 확인되었으며, 암모니아 질소는 모든 발효사료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Xylanase 활력은 A. niger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모든 처리구의 활력이 증가하였다 (p<0.05). 총 VFA 농도는 배양 후 24시간에 B. licheniformis구에서 높은 농도 (12.61mM)를 보여주며 VFA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p<0.05). In vitro 전장 소화율은 B. licheniformis구에서 49.61%로 대조구의 45.65% 보다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증진되었다(p<0.05).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된 미생물을 이용하여 청보리 발효사료를 제조하였을 때 전장 소화율 및 대장발효 환경 개선에 충분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dried whole crop barley treated with cellulolytic microorganisms (Aspergillus niger KCCM 60357 and Bacillus licheniformis KCCM 40934) on the chemical composition, in vitro colonic fermentation and whole tract digestibility in swine. Whole crop barley were fermented with no microorganism addition (control), A. niger, B. licheniformis and co-culture of A. niger and B. licheniformis (Mixture) for 3 days at 30℃. In the feed chemical composition, CP contents of whole crop barley treated with A. niger (7.52%) and B. licheniformis (7.77%)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6.81%) (p<0.05). The in vitro colonic fermentation of dried whole crop barley fermented with contro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H₄ contents than A. niger, B. licheniformis and Mixture at 18h incubation (p<0.05). Dry matter (DM) digestibilities of A. niger (55%) and Mixture (57.42%)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43.74%) (p<0.05). Ammonia-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niger, B. licheniformis and Mixture relative to control at 24 hour incubation (p<0.05). Xylanase activities in A. niger, B. licheniformis and Mixture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at 24 hour incubation (p<0.05). Concentrations of total VF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 licheniformis (12.61 mM) at 24hour incubation (p<0.05). In vitro whole tract digestibil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 licheniformis (49.61%) compared with the control (45.65%) (p<0.05). In conclusion, whole crop barley treated with cellulolytic microorganisms improved whole tract digestibility and colonic fermentation for sw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