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편마비 환자를 위한 한국형 수동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박제모,김희동,이의진,서혜주,정소희,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4

        목적 : 국내 재활치료 환경과 사회적 제도의 상황에 맞춘 편마비 환자를 위한 한국형 수동 휠체어 기술 훈련 프로그램(Korean version of manual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for hemiplegia; K-WSTP)을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향후 편마비 환자의 이동성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기존에 알려진 휠체어 기술과 수동 휠체어에 대한 일반적 훈련내용을 수정·보완하여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에 따라 K-WSTP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K-WSTP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실험군으로 휠체어 사용시 도움이 필요한 편마비 환자 6명, 대조군으로는 휠체어 사용시 독립적인 편마비환자, 작업치료 전공학생, 작업치료사 각 6명씩 총 24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휠체어 훈련프로그램 시행전·후에 휠체어기술검사(Wheelchair Skills Test; WST),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mance Measure; COPM), 한국판수정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주관적의견 등을 평가 하였다. 결과 : 실험군은 훈련 후 WST와 K-MBI 점수에서 훈련 전에 비해 유의한 차이(p<.05)로 향상되었다. 또한, 훈련 후 WST, 수행도, 만족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을 정도(p>.05)로 향상되었다. 전체 연구대상자에 대한 주관적 평가결과 어려움을 느낀 휠체어 기술은‘turns in place’와‘maneuvers sideways’(18.2%)를, 실험군은‘level transfer’와‘relieves weight from buttocks’를 가장 어렵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 개발된 휠체어 훈련프로그램은 편마비 환자의 휠체어 기술, 독립성, 개인의 수행도, 만족도에 긍정적인 향상을 보임으로써 향후 편마비 환자의 재활의지를 고취시키고 이동성 보장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manual Wheelchair Skills Training Program for hemiplegia (K-WSTP),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for improving the wheelchair mobility of hemiplegic patients. Methods: Twenty-four subjects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K-WSTP. Of them, six hemiplegic patients requiring assistance when using a manual wheelchair participated as the training group. The other 18 subjects were selected into comparison groups, i.e., independent hemiplegic patients, college studen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each consisting of 6 persons. All subjects were evaluated based on WST(Wheelchair Skills Test),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mance Measure), K-MBI(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and their subjective opinions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K-WSTP.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ining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5) in terms of the WST and K-MBI after training. The performance score and degree of satisfaction after training did not show a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between the training and comparison groups. Of the total subjects, 18.2% expressed their opinion regarding the difficulties in wheelchair movements such as ‘turn in place’ and ‘maneuver sideways’, whereas the training group expressed an opinion regarding the difficulties in a ‘level transfer’ and ‘relieving weight from the buttocks.’ (note from editor, please check the red sentence carefully to make sure it matches your original intention.) Conclusion: The developed K-WSTP showed improvements in wheelchair skills, independence, individu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enhance the motivation toward rehabilitation, improving one's mobility in daily life, and contribute to the quality of life of hemiplegic patients.

      • KCI등재

        휠체어 사용자의 전면진입착석 화장실 사용에 따른근골격계질환 위험성 및 만족도 평가

        박제모,황도연,김희동,정현애,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4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R&D of toilet design for the disabled by evaluating theFront-entry sitting toilet applied it to actual wheelchair user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ir application as atoilet that is low physical demanding and high satisfaction. Methods : Forty wheelchair users were asked to demonstrate using Front-entry sitting toilet after collecting the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urrent wheelchair usage information. Musculoskeletal disease risk assessmentand user satisfaction were evaluated throughout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Quebec Evaluation of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2.0(QUEST) and subjective opinion questionnaire. Results : Statistical result showed that REBA scores(3.18±.38) of Front-Entry Sitting Toilet were significantlylower(z=-5.930, p<.05) than the conventional toilet(6.53±1.15). Overall, user satisfaction ratings were high withdetailed scores were high in order of durability(4.48±.62), safety(4.38±.63), necessity(4.33±.73) and universal(4.3±.61). Subjective opinion survey showed most were 'it was convenient to not have to rotate(30.8%).'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Front-entry sitting toilet was highly likely to reduce the risk of musculoskeletaldisorders and users' satisfactions were high.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expand the scope of occupationaltherapists and contribute to the physical, mental and social health in the daily activities of the people by applyingvarious approaches. 목적 : 전면진입착석 화장실을 구현하고 실제 사용자에게 적용한 후 평가해봄으로써 휠체어 사용자들에게신체적인 부담이 적으며 사용상 만족도가 높은 화장실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 휠체어 사용자 40명에게 일반적 특성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휠체어에 관한 정보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화장실과 전면진입착석 화장실에서 화장실 용무를 시연하는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를 적용한 근골격계질환 위험성 평가,Quebec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2.0(QUEST 2.0)을 활용한 사용자만족도 조사, 사용 후 주관적 의견을 평가하였다. 결과 : REBA 평가 결과 기존의 화장실을 이용했을 때 점수(6.53±1.15)와 전면진입착석 화장실을 이용한후 점수(3.18±.38)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z=-5.930, p<.001)를 보였다. 사용자 만족도 조사결과 내구성(4.48±.62)이 가장 좋은 점수로 평가되었고 안전성(4.38±.63), 필요성(4.33±.73), 범용성(4.3±.61) 순서로 점수가 높았고 크기 적절성(3.93±.67)이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사용 후 주관적 의견 조사에서 ‘몸을 회전하지 않아도 되니 편하다(30.8%)’가 가장 많았다. 결론 : 본 연구결과 전면진입착석 화장실이 근골격계질환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는 가능성과 사용자들의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환경수정 중재 방법을 고려할 경우 응용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용하길 바라며 추후 연구에서 개인적 화장실 뿐만아니라 공공화장실에서도활용할 수 있는 작업치료학의 발전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우세손 마비에 따른 기능회복에 대한 후향적 코호트 조사 연구

        박제모,김희동,황도연,손영효,최요한,김혜미,이의진,배성환,배성진,장연식,남영옥,양경옥,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1

        목적 : 뇌졸중 이후 우세손이 마비된 경우 기능회복 정도가 비우세손의 손상보다 더 높을 것이라는 관측이 존 재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 연구 자료는 부족하기 때문에 후향적 코호트 조사를 통해 우세손의 마비 유무에 따른 기능회복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5개 의료기관에서 1차 대상자(n=205)를 모집한 후 일반적 특성 및 뇌졸중 관련 특성, 적용된 평가도구 등을 조사하고 발병일에서 초기평가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이내인 2차 대상자(n=122)를 선 별하여 평가기록 자료를 수집하였다. 적용된 평가도구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하여 6개의 평가도구를 선정 하였다(Modified Barthel Index; MBI, Maunual Function Test; MFT, Hand Strength Test; HST, Nine-Hole Pegboard test; NHP,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Box and Block Test; BBT). 평가기록은 평가기간(초기, 3개월 후, 6개월 후)에 따라 자료를 수집한 후 통계학적 분석을 실시 하였다. 결과 : HST, NHP, BBT에서 우세손 마비 유무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p<.001), MBI는 평가기간에 따른 차이만(p<.05) 보였으며 우세손 마비유무와 평가기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존재하지 않았다(p>.05). 우세 손 마비 환자의 HST(lateral pinch, palmar pinch)와 BBT의 변화량은 비우세손 마비 환자보다 유의한 차이(p<.05)로 더 높았지만 그 외 평가결과에서는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추후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다양한 작업치료 중재전략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희망한다. Objective: There has been observed that the degree of functional recovery is higher than non-dominant hand if the dominant hand paralyzed after a stroke. In Korean research context,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 conducted on this issue. This study has therefore tried to explore the changes in functional recovery due to dominant hand paralysis by using a retrospective cohort survey to provide information to a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rategy. Methods: After recruiting primary subjects(n=205) from five medical institutions, we investigated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troke-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applied evaluation tools. Subjects who have admitted from onset to initial evaluation within 6 months were excluded. Information about the assessment records were collected from the secondary subjects(n=122). Six evaluation tools(Modified Barthel Index, Maunual Function Test, Hand Strength Test, Nine-Hole Pegboard Test,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Box and Block Test) were select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for the assessment tool applied to the secondary subjects. Results: The assessment results of HST, NHP and BBT(p<.001) along with assessment period in MBI(p<.05)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dominant hand paralysi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However,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existence of dominant hand paralysis and assessment period. The changes on the assessment value of HST and BBT showed that the paralyzed dominant hand group was high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an the non-dominant hand group. Conclusion: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various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strategies for hemiplegic patients due to stroke in the future.

      • KCI등재

        한 손 추진이 가능한 편마비 환자용 수동 휠체어 개발 및 평가

        박제모,백지영,정화식,정현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4

        목적 : 본 연구는 편마비 환자의 표준형 수동 휠체어 사용상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방안으로 한 손 추 진이 가능한 수동 휠체어(one-hand propellable manual wheelchair) 장치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참여자는 광역시소재 재활병원 및 요양병원에 입원한 편마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 구도구는 일반적으로 편마비 환자가 많이 사용하는 표준형 수동 휠체어와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 손 추 진이 가능한 장치가 장착된 수동 휠체어를 사용하였다. 평가도구는 휠체어 기술 검사(Wheelchair Skills Test; WST)를 도입하였으며 참여자의 주관적 의견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행성, 편리성, 차이성, 수용성 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평가결과 편마비 환자가 발을 사용하지 않고 보조자 없이 기존의 표준형 수동 휠체어를 운전할 경 우 모든 WST 항목에서 매우 높은 실패율(96.7%)을 보임으로써 발을 사용하지 않으면 휠체어를 독립 적으로 이동할 수 없음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개발된 한 손 추진이 가능한 수동 휠체어에 대한 평가결과 기존의 표준형 수동 휠체어를 운전한 경우보다 휠체어 조작 능력, 주행성, 편리성 등에 있어서 편마비 환자에게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휠체어에 비하여 차이성이나 추 후 수용성에 있어서도 탁월한 효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편마비 환자가 기존의 휠체어를 운전할 경우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적극적인 해결 방안으로서 이의 도입과 확산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과 보급의 활성화를 통하여 편마비 환자를 비롯한 한 손 사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하고 독립적인 이동성 참 여와 작업수행의 촉진을 이끌어 낼 것으로 예상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age problems of a standard manual wheelchair for hemiplegic clients and to develop a ‘one-handed propellable manual wheelchair’ and identifying its effectiveness. Methods : Thirty hemiplegic clients who were admitted into a rehabilitation and convalescent hospital in a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as subjects. The research tools were standard manual wheelchairs commonly used by people with an impaired gait and a one-handed propellable device equipped on a manual wheelchair developed for this study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Wheelchair Skill Tests (WST), drivability, convenience, difference, and acceptability were adopted as the evaluation tools. Results : The failure rate of all WST items was recorded for more than 96.7% of the participants who drove a standard manual wheelchair without using their feet. As compared to an existing wheelchair,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ST, drivability, convenience, difference, and acceptability for the participants when driving a manual wheelchair equipped with the developed device. Conclusion :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use of a one-handed propellable wheelchair can be an active and effective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for hemiplegic clients who are using existing manual wheelchairs.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o develop and distribute this technology and promote relative research, allowing the mobility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of hemiplegic clients to increase.

      • KCI등재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제공을 위한 통합 매뉴얼 개발 : 옹호중재 관점에서

        박제모,김희동,전재민,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7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5 No.2

        목적 : 본 연구는 재활 보조기기서비스에 대한 옹호중재의 관점에서 개인의 특성에 따른 지원절차 및 품목을 통합한 매뉴얼을 개발하여 서비스 수요자뿐만 아니라 제공자에게도 보조기기서비스의 세부절차와 내용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재활서비스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연구방법 : 국내 11개 지역별 보조기기센터와 관련 행정기관 4개소를 대상으로 방문, 전화, 홈페이지검색 등을 통하여 매뉴얼, 제공절차, 관련법령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기관과 지원분야에 따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구분한 후 각 분류에 맞추어 보조기기서비스 통합 지원절차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매뉴얼은 개인의 특성에 따른 서비스 흐름도와 제품정보로 구성하였다. 결과 : 개발된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통합 매뉴얼은 먼저 지역별 보조기기센터 및 관련 행정기관의 지원제도 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과정을 하나로 통합한 통합지원절차 흐름도와 공공기관별(전국 보조기기센터, 보건복지부, 국가보훈처, 고용노동부, 미래창조과학부) 지원절차 흐름도로 구분하여 개발 하였다. 또한 제품정보는 지역별 보조기기센터의 보조기기목록과 행정기관별 지급 가능한 보조기기목록 으로 분류하여 제공하였다. 결론 : 본 매뉴얼은 국내 재활 보조기기서비스 지원절차와 제품정보를 통합하였기 때문에 재활 보조기기서 비스 수요자나 제공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향후 작업치료 관점에서 보조기 기서비스에 대한 독립적 옹호중재의 역할을 기대한다. Objective : In this study, an integrated manual that integrates various processes of current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long with assistive product information was developed. The purpose of developing integrated manual was to help understand and use easier for people related to the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from an advocacy intervention perspective.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11 reg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and 4 administrations of Korea by visiting, telephoning and referencing webpage. From these institutions,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anual, service procedure, and related laws and ordinances were collected. These collected data were then reviewed, classified and finally developed integrate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anual that consist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flowchart and assistive technology product information. Results : Developed flowchart was firstly classified into the regional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and governmental administrations and providing the service procedures and product information, respectively. An integrated flowchart was finally developed by providing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procedure and produc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ding agencies and users' personal characteristics. Conclusion : Developed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anual can save time and expenses of assistive technology users and providers. It is expected that people who ne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an have an independent advocates in occupational therapy perspective.

      • KCI등재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 활용에 따른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양손 기민성 효과검증

        김희동,박제모,장연식,이두표,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3

        목적 : 본 연구는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과 평가를 적용하여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능력과 양손 기민성의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41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0명으로 성별·연령별 동질성을 확보하여 분류한 후 실험군은 매일 양손훈련도구와 일반작업치료를 각각 15분간 실시하고, 대조군은 일반작업치료를 30분간 실시하였다. 훈련 제공기간은 주 5회 6주 동안 실시하였다. 평가는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MVPT-3)와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CMDT)를 활용하여 모든 집단에 실시하고 실험군은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수행능력 측정을 추가로 실시하였으며 평가는 총 3회(훈련 전, 3주후, 6주후)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에 대한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평가결과 수행시간에 대한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p>.05) 수행시간은 평가 주차별로 감소하였으며, 오류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MVPT –3에서 실험군은 훈련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p<.05)로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또한, 집단간 분석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p<.05)를 보인 훈련기간은 3주후와 6주 후 훈련이었다. CMDT에서는 집단과 훈련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 양손 협응력 훈련도구의 활용 및 평가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상지 기능향상에 효과적인 훈련도구로서의 적용이 가능함을 보였으며 향후 병실이나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two-hand coordination training tool on visual perception and hand dexter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o propose the role of the tool as a training method Methods: Forty on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e study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mbination of the two-hand coordination training tool(15 minutes) and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15 minutes) were provid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On the other hand, only the traditional therapy give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lasted for six weeks and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attend the session for five days a week. 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3(MVPT-3) and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CMDT) were used as outcome measures for both groups. Outcomes were measured every third weeks including intial measurement.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completion time of CMD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ime periods (p>.05) while the time decreased over the period of experiment and the number of erro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ime periods (p<.05). There was increase in the scores of MVPT in the experimental group over time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in the experimental group. Furthermore, group differences were shown at third and sixth wee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s of CMDT between groups and between time periods. Conclusion: Findings of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training tool for two-hand coordination is effective and applicable for rehabilitation for visual perception and functional ability of upper extremity. Therefore, we hope this tool could be utilized both at home and hospital.

      • KCI등재

        작업치료 임상가의 응급상황별 응급처치 대처능력과 교육필요성 연구

        류선혜,박제모,김희동,황도연,손영효,이명주,배서영,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8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작업치료 임상가의 응급처치 교육경험에 따라 실제 응급상황에서의 대 처능력과 교육필요성을 조사하여 교육경험이 응급처치 대처능력과 교육필요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 으로써 향후 작업치료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응급처치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현재 의료기관 및 사회복지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 임상가로서 총 150명에게 본 연구에서 구성한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6문항), 응급처 치 교육경험(7문항), 각 응급상황에 따른 대처능력과 교육필요성(총 24문항)등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였 다. 응급처치 교육경험에 따른 응급상황별 대처능력과 교육필요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정을 시 행하였으며 두 종속변수 간의 상관성은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응급처치 교육경험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전체 대상자(n=150) 중 115명(76.7%)이 응급처치 교 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처치 교육경험 유무에 따른 응급처치 대처능력은 경험과는 상관없이 모두 ‘대처할 수 없다’라고 응답하였으며 ‘호흡장애(t=2.721, p<.05)’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두 집단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교육필요성에 대한 집단 간 차이 분석에서는 심정지 (t=-2.646, p<.05)와 경련 및 마비(t=4.17, p<.05) 항목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두 종속변수간의 상관관계는 확률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결과,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경험이 있더라도 실제 응급처치 대처능력은 무경험자와 크게 다 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응급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보다 지속적이고 현장감있 는 교육과 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ping ability and educational need in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the first aid education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on the ability to cope with first aid and the need for education. Methods: One hundred and fifty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clinical settings were selected and survey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7 questions, which includ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first aid experience of the subject as well as their ability to cope with various emergency situations and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first aid education. Results: One hundred and fifteen(76.7%)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d first aid education or training. For their ability to cope with first aid treatme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had first aid education experience, they answered that they were ‘unable to cope’ regardless of experience. All items except respiratory disorder (t = 2.721, p <.05)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p >.05). The correlation between two dependent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 <.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bility to cope with first aid treatment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an untrained person even when they have experience teaching first aid. Therefore, more continuous and realistic education and training will be needed to respond appropriately to an actual emergency situation.

      • KCI등재

        일반 대중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

        황도연,박제모,김희동,황재현,신지혜,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8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6 No.1

        목적 : 본 연구는 일반 대중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에 대한 인지도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작업치료 인지도 현실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의 인구 밀집지역에서 불특정 일반 대중을 무작위 선정하여 설문조사에 동의한 2,9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먼저 피설문자에게 작업치료에 대해 들어보았거 나 알고 있다고 대답한 경우 다음 설문을 진행하고 모르겠다고 대답한 경우에는 설문자가 조사용지에 체크한 후 설문을 종료하였다. 설문내용은 작업치료에 대한 일반적인 인지도 4문항과 작업치료 필요성 4문항으로 구성하여 배포 및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은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13부를 제외한 최종 2,967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에 대해 들어보았거나 알고 있다는 응답은 252명(8.5%), 그렇지 않다는 2,715명(91.5%) 이었다. 연령대와 직업에 따른 작업치료 인지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며 인지 한다고 응답한 252명 중 20대(28.6%)와 학생(41.7%)의 인지도가 다른 군에 비해 높았다. 작업치료가 우리생활에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215명(85.3%)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향후 작업치료의 전망에 대 해서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73±.75점으로 상당히 높은 평가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최근 작업치료분야가 예전에 비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직까지는 인지도가 낮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작업치료 인지도 개선을 위한 방향설정과 인지도 제고를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을 희망한다.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the awar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of the general public and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Methods: A randomly selected 2,980 subjects from general public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who agreed to a survey were participated. If the subjects had heard or known about OT, then they were guided to continue to the next questions. However if they haven't, the surveyor checked the questionnaire and finished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four questions for OT awareness and other four questions for OT necessity. The data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2,967 subjects by excluding 13 respondents who responded poorly to the questions. Results: Of the 2,967 subjects, 252(8.5%) participants said that they had heard or known of OT. Being aware of O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age and occupation(p<.001) especially in their 20s(28.6%) and student group(41.7%). Regarding the necessity of OT, 215(85.3%) participants responded that OT is needed for our lives and an average of 3.73±75 out of 5 point scale was evaluated on the prospects for future OT. Conclusion: The current OT field is increasingly expanding as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it has still relatively low recognition yet.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improving OT awareness.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훈련을 위한 다목적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황도연,박제모,오명화,정현애,김희동,배성환,김유정,변혜원,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is study developed Multi-purpose Blind Box and applied to stroke patients who suffered from sensory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to provide the role as a training tool. Methods: Thirty three stroke patients were participated as subjects. Multi-purpose blind box developed in thisstudy were used as research tool and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Two-point DiscriminationTest(TD), Modified Moberg Pickup Test(MPT), MVPT-3 and QUEST 2.0 were used as assessment tools. Theexperimental group conducted Multi-purpose Blind Box training program 30 minutes per day with three times aweek while the control group were given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Results: The score differences of SWM, TD, MPT and MVPT-3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Multi-purposeBlind Box train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p<.05).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decrease in SWM and TD scores, a decrease in MPT time and an improvement in MVPT-3 scores after trainingwith Multi-purpose blind box. Usability after using Multi-purpose blind box were rated more than average in allquestion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using Multi-purpose blind box for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oryfunction and visual perception of stroke patients and therefore it further could be applied for assessment tool aswell. 목적 : 본 연구는 다목적 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를 개발하고 이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을 위한 훈련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대상자는 광역시 소재 병원에서 작업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33명을 선정 하였다. 연구도구로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감각과 시지각 기능향상 훈련용 다목적 암맹상자를 활용하였으며, 평가도구는 Semmes Weinstein Monofilament(SWM), Two-point Discrimination Test(TD), ModifiedMoberg Pickup Test(MPT), MVPT-3와 QUEST 2.0을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은 무작위 할당을 통해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초기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프로그램을 1회당 30분간 주 3회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은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받도록 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모두 6주간 훈련 후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전·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SWM, TD, MPT 및 MVPT-3 점수 차이는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5). 또한 실험군에서는 다목적 암맹상자 훈련 시행 후SWM과 TD 수치의 감소, MPT 시간의 감소 그리고 MVPT-3 점수는 향상됨을 보였다. 다목적 암맹상자 활용 후 사용성 평가는 모든 문항에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대답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 다목적 암맹상자를 이용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고, 향후 훈련도구뿐만 아니라 평가도구로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 KCI등재

        고령자를 위한 일어서기 보조기기 개발 및 평가

        김희동,박제모,황도연,김희영,이문영,이두표,박보라,정화식 대한작업치료학회 2019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7 No.3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propose the role of a newly developed Stand-up Assistive Device for the elderly toprovide a comfortable, convenient, and safe way of standing from various sitting conditions. Methods: A Stand-up Assistive Device was developed for research tool by overcoming such issues as heavy weight,bulky size and high costs. Total of 90 elderlies over 65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evaluate the developeddevice by administering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sit-to-stand performance analysis(standing stagesand motor skills) and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 which were usedas assessment tools. Results: Statistical significance(p<.05) were observed between with/without using developed device in the scores ofREBA. Sit-to-stand performance analysis also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mean score of stage 1 tostage 6 for the standing phase when the participants were standing with using the assistive device as comparedto without using it(p<.05). It was also consistent for motor skills a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lows,endures, paces and mean score of motor skill between two conditions.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 revealed thatthe participants were positively responded ‘satisfactory’ or above in general. Conclusion: Stand-up Assistive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demonstrated certain advantages in terms ofconvenience, efficiency and safety when it is used for the elderly. It is recommended that developed device couldbe broadly applied to potential users who are having problems of standing up from various sitting situations. 목적 : 본 연구는 일어서기에 어려움을 가진 고령자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의 신체적 부담을 줄여주고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성취하기 위해 일어서기 능력이 저하된 고령자에게 사용이 쉽고 편리하고 안전한 일어서기 보조기기를 개발하고 사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사회적 참여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기존 일어서기 보조기기의 문제점인 큰 부피, 무거운 중량 그리고 높은 가격등을 최소화한 일어서기 보조기기를 개발하여 연구도구로 활용하였다. 개발된 일어서기 보조기기에 대한평가를 위해 65세 이상의 노인 90명을 대상으로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일어서기 단계별 수행도 및 운동기술능력 분석, Quebec User Evaluation of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QUEST)를 평가도구로 활용하였다. 결과 : 개발한 보조기기 적용 전·후에 따른 일어서기 자세분석 결과 목, 몸통, 위팔, 아래팔 그리고 REBA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보조기기의 적용 전·후에 따른 일어서기 단계별수행도 분석 결과 1단계에서 6단계와 전체 단계 평균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운동기술능력에서는 유연성, 지속하기, 속도처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QUEST를활용한 사용성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만족한다’이상의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개발한 일어서기 보조기기가 근골격계 위험성이 높은 고령자에게 수행도 및 운동기술의 향상뿐만 아니라 만족스러운 보조도구로써의 역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고령자뿐만 아니라 일어서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보조기기를 적용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겪을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작업치료의 중재적 적용범위를 보다 확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