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Remarks on the Double Weighted A_P-Condition
박재근 空軍士官學校 1986 論文集 Vol.21 No.-
The Case of one weighted A_p-Condition was defined by B. Muckenhoupt. But he did not consider double weighted A_1 and A_∞ condition. Muckenhoupt had shown that A_∞=∪ A_p A_p p<∞. In this paper, we consider double weighted A_1 and A_∞ condition for some special case by Jensen's inequality and Muckenhoupt results.
박재근,장현주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2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2 No.4
이 연구는 국민연금과 기초노령연금제도라는 정부의 노후소득보장제도의 확대에 대한 20대~30대 미래세대의 인식이 향후 안정적인 제도운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인식에 기초하고 있다. 이에 사회적 위치 이론과 정치적 성향 이론에 근거하여 사회적 위치, 정치적 성향, 대상집단에 대한 집단정서, 제도에 대한 신뢰수준이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 위치 변수 중 연령과 가구소득, 대상집단에 대한 신뢰도, 제도에 대한 신뢰도가 노후소득보장제도의 수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보다 공적연금이 지닌 노후소득보장기능에 대한 신뢰도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분석결과는 제한된 재원과 향후 노인인구비율의 급속한 증가를 고려할 때, 제도의 노후생활안정기능뿐 아니라 탈 노후빈곤 기능을 강화하여 미래세대가 인지하는 제도의 수용성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은 미래세대에게 추가 부담을 지우는 부과방식으로 전환하는 데는 신중해야 하며, 연금기금을 공공임대주택 및 공공의료시설 확충에 투자하여 연금의 지속가능성과 제도에 대한 신뢰를 제고해야 한다. 또한 기초노령연금은 단기적으로 기초연금화를 추진하고, 노인인구비율에 따라 점차 보충급여방식의 최저보증연금으로 전환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생물Ⅱ교과서에서 물질 대사 단원에 대한 탐구 활동의 비교 분석
박재근 한국생물교육학회 2004 생물교육 Vol.32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inquiry activity for metabolism contents including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unit in high school BiologyⅡ textbooks by the 7th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verage proportions of respiration unit is higher than one of photosynthesis unit differing in description formula and contents depending on textbook writers. The objectives of education for concerning unit is described as concentrating on cognitive ones including contents factors, not affective or psychomotor. It was shown that inquiry activity composed of the observation & experiment, data interpretation and debate & investigation activity in analyzed textbooks was totally 19 times in photosynthesis unit and 16 times in respiration, and the average was 9 in photosynthesis and 4.8 in respiration. Especially, the proportion of observation & experiment activity for the respiration unit was less than photosynthesis. Comparing to contents and procedures of the inquiry activity proposed in metabolism chapters showed that experimental contents and implements in the textbooks were generally to be like, but differed in experimental materials, processes and data management methods in details.
특집2 - 산학협력 업그레이드를 위한 글로벌 산학협력의 필요성 및 성공사례
박재근,Park, Jae-Geun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0 大學敎育 Vol.163 No.-
최근 들어 미국, 유럽, 인도 등과의 FTA체결 등을 통해서 대한민국의 경제시장이 날로 증가해가고 있으며, 이제 해외와의 협력은 우리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가고 있다. 얼마 전 한 신문에 국내기업과 일본기업의 경쟁력을 비교하는 흥미로운 기사가 소개되었다. 이 신문에서는 국내기업들이 한정된 내수시장을 극복하기 위해 해외로 적극적으로 진출하였기 때문에 우수한 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반면 일본기업의 경우 안정된 내수시장이 오히려 해외로 진출할 기회를 가로막아 스스로와 경쟁력을 감퇴시켰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우리 대학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 대학들의 주요한 연구성과라 할 수 있는 논문의 경우 이공계를 보면 대다수의 논문이 이미 해외의 각종 유명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다. 특히 우수한 연구성과의 산물이라 할 수 있는 SCI논문의 경우 2008년기준으로 경제규모에 걸맞은 세계 12위에 랭크되어 있다. 또한 특허의 경우 이미 세계 4위의 출원대국이다. 이러한 성과로 인하여 국제공개어에 한글이 채택되는 성과까지 거두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MB정부가 들어서면서 매년 R&D연구비를 10%이상 증가시킬 계획에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통해 연구성과물의 수준도 향상되어 SCIENCE, CELL, NATURE등의 저명학술지 게재가 늘고 있는 등 연구성과가 세계적인 수준으로 접근해가고 있다. 반면에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 대다수 대학들의 글로벌 산학협력은 미비한 수준이다. 교육분야에 대한 글로벌화는 최근 들어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산학협력부분에 대한 글로벌화는 활성화 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앞으로 해외와의 산학협력은 대학과 연구자에게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될 전망이다. 정부에서는 현재 국제협력 분야의 R&D연구비를 급증시키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기업이 해외로 활발하게 진출하는 상황에서 이제 연구수준도 국내가 아닌 해외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수준을 요구 받고 있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이제 해외와의 산학협력은 대학과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도전이며, 경쟁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기회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최근 한양대학교의 해외와 기술이전, 사업화, 공동연구, R&D센터유치와 관련된 산학협력 사례 소개를 통해 우리나라 대학의 산학협력을 업그레이드하는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제7차 및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박재근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7 과학교육논총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change of contents by the revision of curriculum and concreting educational contents by making a comparison of organizations, systems, contents between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nd its revised version. The finding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was composed in a way that achieved balance among classes, while escaping from the mechanical arrangement of four fields in science and composing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understanding. Second, the revised curriculum avoided the excessive overlapping of contents and emphasized the organic relationships among concepts by combining and abolishing relevant concepts and presenting them in one unit. Third, the revised curriculum presented the appropriate contents for the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by controlling excessively difficult contents through school grade or content level. Fourth, the revised curriculum selected and presented inquiry activities to the minimum, in consideration of conditions such as hours of school and laboratories. Fifth, the revised curriculum made efforts for reflecting actively the concepts relating to the experiences of rea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