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의 선형적 사고에 대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

        박장범 한국문학교육학회 2022 문학교육학 Vol.- No.74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possibility of linear mind in Korean novel education. The linear mind is way of casual thinking that has procedural rationality which is immanenced in lineal text. It appears in novel as four types of standardization; ⅰ) standardizationing language in homogenized character culture ⅱ) standardizationing way of representing outside world ⅲ) standardizationing psychology as a reality ⅳ) standardizationing response of novel reader. The analysis of actual novel reading review from students indicates that there are four representative type of linear mind in novel reading. ⅰ) seeking same background of character culture ⅱ) recognition of novel as a objective record of truth ⅲ) excessive worship of actual author ⅳ) reading anxiety and suppression of divergent response. When students reads a novel there might be working of linear min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linear mind in Korean novel education should be searched in a reality of new media and multimedia. Since letter is the most generalized media, linear mind can be a standardized principle of participation in a new literacy environment. 이 연구는 선형적 텍스트로서 소설이 갖는 미디어 특성을 선형적 사고(linear mind)로 설정하고 소설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소설은 그 기원에서부터 오늘날의 전개에 이르기까지 미디어의 문제가 초점화되는 문학 장르이다. 인쇄미디어가 갖는 특성인 선형적 사고는 근대의 선형적 텍스트에 결부되어 절차적 합리성을 따라 전개되는 인과중심의 순차적인 사유 유형으로서, 표준화를 특징으로 한다. 이는 균질화된 문자문화 공동체의 언어 표준화, 텍스트 저자의 재현 공간에 대한 표준화, 세계 재현의 원리로서의 사실적 심리에 대한 표준화, 선형적 텍스트를 통해 유도되는 독자 반응의 표준화로 나타난다. 이를 근거로 분석한 실제 학습자의 소설 읽기 양상에서 선형적 사고에 주목한 집단은 자유로운 읽기 집단과 달리 동일 문자문화에 대한 소구, 객관적인 현실 증언으로서의 소설 인식, 실제 작가에 대한 과도한 숭앙, 독서 불안과 발산적 반응의 억제 등을 보였다. 인쇄된 선형적 텍스트로 소설이 존재할 때 선형적 사고의 작동에 의한 다차원적인 표준화는 의지적으로 중지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선형적 사고를 소설교육에서 유의미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강화가 아니라 극복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표준의 접촉과 교류가 이뤄지는 비선형적 공간인 뉴미디어에서 문자를 쓰는 행위에 주목해볼 수 있다. 이는 기존의미디어 리터러시에서 전통적인 리터러시라는 이름 아래 다소 미흡하게 다뤄져왔던 문자 리터러시의 재조명을 통해 탐색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문학교육에서 바라본 김우진

        박장범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극작가 김우진(金祐鎭, 1897 ~ 1926)이 문학교육에서 정전화된 과정을 교과서의 작품 수록 및 문학사 서술 양상을 통시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 김우진 작품을 입체적으로 조망하는 교육의 필요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김우진과 그의 작품에 대한 문학사적․연극사적 가치와 교육적 가치 사이에는 적지 않은 간극이 발견된다. 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서 김우진의 모습은 크게 세 가지 모습으로 분석된다. 먼저 중견 국민과 민족 담론이 두드러진 1 ~ 5차 교육과정에서 김우진은 희곡에서 신극 운동을 주도하여 근대성을 선취한 ‘근대극의 개척자’로 문학교육에 도입되었다. 이후에 학습자 중심이 새로이 부상하는 6 ~ 7차 교육과정에서는 작가의 개인사와 대중의 관심 속에서 인간 김우진이 주목되어 고뇌하는 식민지 지식인 남성을 넘어선 ‘식민지 현실에 대한 오늘의 성찰’로서의 의미를 확보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2009․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김우진과 그의 작품이 1920년대를 문학적으로 증거하는 ‘자료와 그 창작자’ 이상의 가치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우진과 그의 작품이 문학교육에서 불충분하게 정전화된 것은 최초에 김우진이 중등교육에 도입되었던 이유였던 그의 연극 평론이 소홀하게 다뤄짐으로써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김우진의 교육적 가치는 그의 평론과 이론적 작업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서 다시금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This article aims to thoroughly examine various aspects of Kim Woo-jin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e canonization progress, especially through literature education affects the general public, Kim Woo-jin is highly regarded as ‘an anguishing intellect of Japanese colonial era’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erefore searching for the images of Kim Woo-jin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an reveal his generally accepted social idea.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national and ethnic group – or race-centered canonization, literary history, and literature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re are three representative images of Kim Woo-jin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ⅰ) “the pioneer of a Korean modern drama”(1-5 curriculum), ⅱ) “introspection about the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6-7 curriculum), and ⅲ)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1920s”.(2009․2015 curriculum). That is to say the canonization progress through literature education of Kim Woo-jin has reduced the meaning and value of his work, omitting criticism and reviews.

      • KCI등재

        담론으로서의 뉴미디어 공간에서 영화 읽기

        박장범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50 No.-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ree points about “reading a film through new media”: a conceptual definition, discursive trait, and the implications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a theoretical sense, “reading a film through new media” involves media users’ cooperative and discursive behavior, which happen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 film. However, the analysis of its aspects on YouTube through a review video is an inferior reading to a written review of a film. Review videos present limited interpretation and produce a demagnified meaning of the film. Nevertheless, “reading a film through new media” can be a productive discourse by considering the comments, replies, and other letter-based interactions among the media users. Therefore, “reading a film through new media” should be dealt with as a specific educational point of view i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cluding writing-centered reading education, extending the range of text material in literature education, and establishing productive directionality with a focus on publicness, which can be organized in specific literature classes. 이 연구는 뉴미디어 공간에서 이뤄지는 영화 읽기를 개념적으로 밝히고 그 양상을 분석하여 담론으로서의 구체적 특성을 살펴 문학교육에서의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가장 많이 읽히는 텍스트인 영화는 뉴미디어 공간에서 리뷰 영상에 의해 영상으로 읽힌다. 뉴미디어 공간의 영화 읽기는 ‘영화의 의미 생산 과정에서 뉴미디어를 이용한 미디어 이용자의 협력적인 담론 실천 행위’이다. 그러나 이 행위를 뉴미디어 공간에 위치한 리뷰 영상으로 국한하면 그 내용은 감독 의도에 천착한 해석에 그치고 미디어 형식은 영화의 이미지와 의미 축소로 나타나지만, 읽기 주체의 행위를 고려하면 이는 함께 읽기의 생산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문학교육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기반한 쓰기와 활동 중심의 문학교육에 대한 조망, 문학교육 대상 텍스트 범위의 확대, 담론으로서의 생산성을 갖기 위한 공공성을 염두에 둔 방향성의 설정이 필요하다. 확장된 읽기에 대한 설정을 통해 영화와 영화 읽기는 확장된 텍스트로서 문학교육의 장에 자리할 수 있을 것이다.

      • 비평적 자의식 중심의 소설 읽기 양상 연구

        박장범 ( Jangbeom¸ Park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1 先淸語文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aspect of ‘Novel Reading Focusing on Critical Self-consciousness’ in literature education. When reader realize that he or she has the right to evaluate the value of literature for their own, criticism can do the role of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reader and the text, especially on literature education. However simple imitation of critic based on professional behavior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may lead the education of literary, historic, philosophical knowledge for reader. Furthermore, there is no certain absolute objectivity and standard in our modern time, therefore literature is getting more focused on the specific problem of individual life. Thus, using criticism in literature education should be dealt in the view of reader’s variation based on the variety of their life. Criticism includes interpreting and analysing the text just like the traditional study of literature, nevertheless this contains immersed reader’s controversial aggression necessarily. The meaning of criticism in literature education is revocation of epoche about the text and literature due to the activated subjectivity of a reader. When the author realizes his or her identity by writing text, the reader realizes his or her identity by criticizing text. ‘Critical Self-consciousness’ is a concept of this reader’s self realization desire during the reading. Accordingly, ‘Novel Reading Focusing on Critical Self-consciousness’ is executed by critical reader’s CriticalSelf-consciousness, and doing this can set up the literature into the reader’s real life. In this context, ‘Novel Reading Focusing on Critical Self-consciousness’ is actually a reader’s specific attitude for literature premising continuous thinking of a point of view based on reader’s life. Therefore, criticism can obtain the function of reader’s reflective recognition for literature and the text. Novel Reading Focusing on Critical Self-consciousnessl make reader restructure the content of a text depending on the reader’s own interest and produce the meaning of it. This brings a self inquiry of reader’s opinion on literature and reflecting the evaluation, reader’s a point of view for text may be adjusted. By doing this, reader can achieve his or her own original a point of view for text, and this is the actual opinion that enables communication about literature. Increasing of various point of view can extends the whole literature community which is the individual readers are fully assig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