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초적 확률주의와 베이즈 인수

        박일호,Park, Il-Ho 한국논리학회 2008 論理硏究 Vol.11 No.2

        원초적 확률주의자들은 명제가 경험을 표상한다는 것을 거부한다. 그러나 경험의 영향은 다른 믿음에 전파되고, 다른 사람과 소통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명제와 다른 방식으로 경험, 혹은 경험의 영향을 표상할 수 있는 대안을 찾아야 한다. 그들이 제안하는 경험의 영향을 표상하는 유력한 대안은 베이즈 인수이다. 왜냐하면 베이즈 인수는 사전확률의 영향을 제외하고 있으며, 교환성 역시 성립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베이즈 인수만이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즉 베이즈 인수의 대안으로 제시된 q(E|$N_p$) 역시 사전확률의 영향이 제외되어 있으며, 교환성 또한 성립한다는 것을 보인다. 그리고 더 나아가 q(E|$N_p$)는 베이즈 인수가 결여한 프래그마틱한 장점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The radical probabilitists deny that propositions represent experience. However, since the impact of experience should be propagated through our belief system and be communicated with other agents, they should find some alternative protocols which can represent the impact of experience. The useful protocol which the radical probabilistists suggest is the Bayes factors. It is because Bayes factors factor out the impact of the prior probabilities and satisfy the requirement of commutativity. My main challenge to the radical probabilitists is that there is another useful protocol, q(E|$N_p$) which also factors out the impact of the prior probabilities and satisfies the requirement of commutativity. Moreover I claim that q(E|$N_p$) has a pragmatic virtue which the Bayes factors have not.

      • KCI등재

        안정상태 뇌 대사 활성도에 반영된 정신분열병 환자와 정상인에서의 감정이입과 기분인식 관련 뇌 영역

        박일호,전지원,정영철,석정호,박해정,이종두,김재진,Park, Il Ho,Chun, Jiwon,Jung, Young Chul,Seok, Jeong Ho,Park, Hae-Jeong,Lee, Jong Doo,Kim, Jae-Ji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7 생물정신의학 Vol.14 No.2

        Objectives : Empathy has been conceptualized as the ability of emotional resonance and perspective-taking. Emotional awareness has been proposed as the basis of empathy.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mood awareness and their neural correlates in resting-state activity in normal controls an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Empathy and mood awareness scale scores were compared between 29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21 normal controls by voxel-based t-tests and voxel-based correlation analyses of resting-state $^{18}F$-FDG PET images. Results : Empathy and mood labeling scale scor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chizophrenic patients. Mood monitor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athy score in normal controls, but not in schizophrenic patients. In normal controls, empath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ting-state activities in the intraparietal sulcus and mood monitor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emporal pole, frontopolar cortex, inferior temporal gyrus, entorhinal cortex and the subgenual prefrontal cortex resting activities. The orbitofrontal cortex resting ac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mood monitoring-related subgenual prefrontal cortex activity in the normal control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ed decreased orbitofrontal resting activity and loss of its correlations with mood monitoring-related regional activities. Conclusion : This study showed that alteration in the resting-state activity in schizophrenia may reflect dysfunctional empathy and distorted characteristic of emotional awareness. However, the resting-state activity may not reflect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awareness and empathy.

      • KCI등재

        논문 : 고차 조건화와 믿음 기반 약화

        박일호 ( Il Ho Park ) 한국논리학회 2015 論理硏究 Vol.18 No.2

        이 논문의 목표는 표준적인 베이즈주의가 믿음 기반 약화 증거(undermining evidence)에 의해서 촉발된 믿음 갱신을 잘 다룰 수 없다는 와이즈버그의 주장에 답변하는 것이다. 우리의 인식론적인 직관에 따르면, 믿음 기반 약화 증거는 몇몇 관련된 신념도를 감소시켜야 하는 듯하다. 하지만 와이즈버그에 따르면 그런 믿음 변화는 표준적인 믿음 갱신 규칙, 즉 (제프리) 조건화를 통해서는 이루어질 수 없다. 그 이유는 (제프리) 조건화를 통해서는 일부 명제들 사이에 성립하는 확률적 독립성 관계가 보존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이 논문에서 그러한 반베이즈주의적인 결론은 다소 성급하다고 주장할 것이다. 특히, 나는 다른 종류의 조건화가 또 있으며, 그 조건화를 이용하면 믿음 기반약화 증거를 통한 믿음 갱신도 충분히 베이즈주의적 이론틀 속에서 다루어질수 있다는 것을 논증할 것이다. 그러한 조건화는 종종 ‘고차 조건화’라고 불리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respond to Weisberg``s claim that the standard Bayesian epistemology cannot model an agent``s belief updating that is triggered by some undermining evidence. Our epistemological intuition seems to require that the undermining evidence decreases some particular relevant credences. According to Weisberg, however, such a belief change cannot result from the standard Bayesian belief updating rules.i.e., (Jeffrey) Conditionalization. This is because probabilistic independence between some propositions is preserved under (Jeffrey) Conditionalization on the relevant evidence. Yet I will show in this paper that this conclusion is somewhat hasty. In particular, I will show that there is another version of Conditionalization and that when one updates her credences by means of such a version, the belief updating originated in undermining evidence can be well modeled in the Bayesian framework. Some authors often call the version Higher Order Conditionalization.

      • KCI등재

        확실성과 정밀성: 훼손된 확실성 문제에 대한 비정밀 베이즈주의자들의 답변

        박일호 ( Iiho Park ) 한국과학철학회 2020 과학철학 Vol.23 No.1

        베이즈주의 믿음 갱신 규칙 중 하나인 제프리 조건화는 우리가 확신하고 있었던 믿음이 경험에 의해서 불확실해지는 경우를 제대로 다룰 수 없다. 본 논문의 목표는 이런 베이즈주의 믿음 갱신 규칙의 문제를 검토하고 나름의 제안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먼저 1장에서 베이즈주의의 일반적인 특징들을 서술한다. 그 뒤 2장에서 확실성의 훼손문제를 왜 베이즈주의가 다룰 수 없는지 서술한 뒤, 이에 대한 가능한 답변을 설명한다. 3장에서 필자는 확실성의 훼손 문제를 초기 신념도에 의존해서 해결하려는 시도를 서술하고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그 뒤 마지막 4장에서는 확실성의 훼손 문제를 비정밀 확률주의를 통해서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서술하고, 이것이 가지는 장점들을 언급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베이즈주의 이론틀속에서 확실성의 훼손과 비정밀성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Many philosophers have thought that Jeffrey Conditionalization, which is a version of Bayesian credence updating rules, cannot model the cases in which experience makes us lose our certainty.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so-called Certainty Loss Problem, and to provide a way of modeling such a belief updating in the Bayesian framework.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In section 1, I will give a general explanation about Bayesian epistemology. Section 2 will be devoted to expl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rtainty Loss Problem and Jeffrey Conditionalization. In Section 3, we will see a way of modeling the belief updating case at issue. In particular, I will introduce ‘Initial Jeffrey Conditionalization (or Ur-Jeffrey Conditionalization)’ and critically examine this kind of belief updating strategy. In the next section, I will provide another way of modeling the certainty loss case, which heavily depends on the imprecise probabilism framework. In doing so, we can find a theoretical relationship between certainties and precise credences.

      • KCI등재

        M. 맥루언의 미디어 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박일호 ( Il Ho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1

        이 논문은 맥루언이 주장한 전기·전자매체 시대의 인식론적 변화에 따른 특징들이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현상들과 관련성을 갖고 있음을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맥루언이 인쇄매체로부터 전자매체로 변화를 통해서 나타난 것으로 언급하고 있는 인식론적 변화의 대표적인 특징들 세 가지에 주목한다. 그리고 그 특징들이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의 어떤 현상들과 관련을 갖는가에 대해서 밝히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가 주목하는 첫째는 전자매체 시대에 인간의 인식이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 촉각 등을 망라한 복합감각의 작용을 요구받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서 순수 시각적인 경험을 넘어선 미적경험의 확장을 목표로 한다는 점과 관련성을 갖는다. 둘째는 전자매체 시대가 되면서 급속한 정보공유가 이루어지고, 사회 내부에서도 정보공유를 통한 서로간의 상호 교류, 대면 교차 등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맥루언은 이것을 사회의 내부폭발(implosion)이란 말로 정의한다. 정보 공유를 통해서 개인들, 사회들, 국가들 등에서의 경계가 사라짐을 말한다. 필자는 이런 맥루언의 주장을 포스트모더니즘 미술에서 나타나는 다원주의적 경향, 양식상의 경계들이 해체되면서 나타난 혼성적인 수법의 등장과 관련짓는다. 셋째는 맥루언이 전자매체 중에서도 특히 주목하고 있는 TV가 갖고 있는 매체적 특성이다. 맥루언은 TV를 쿨(cool) 미디어의 대표적인 예로 들고 있는데, 그에 의하면 쿨 미디어란 관객의 능동적인 참여를 더욱 높게 요구하는 매체를 말한다. 필자는 여기서 말하는 쿨한 특성이 1970년대의 관객 참여형 미술들에 적용되고, 그것이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로 이어지고 있음에 주목한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interrelate postmodern art`s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which M. McLuhan asserted as the epistemological change in the electronic period. For this purpose, I remark the three characteristic changes in the electronic period and ascertain the relation between them and the artistic phenomena of postmodern era. First, McLuhan asserted that man is required to use multiple senses including vision, auditory sense, tactual sense in the electronic period. This can be applied the expansion of aesthetic experience beyond the visual experience in the postmodern artworks. Secondly, McLuhan presented the implosion of the society as the second change in the electronic period. He explained the implosion had the meaning of deconstruction of boundaries among individuals, societies, and nations by the information common ownership. This can be applied the pluralism and pastische produced by the deconstruction of style`s boundaries in the postmodern artworks. Thirdly, McLuhan especially remarked TV`s medium characteristic. He explained TV as the representative ``cool`` medium. The word ``cool`` is meant as high active participation of audience in the course of watching TV. This can be applied to audience-participating art and interactive art in the postmodern artworks.

      • KCI등재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미술관

        박일호(Park Ilho) 한국예술경영학회 2003 예술경영연구 Vol.4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museum in postmodern era focusing on museum space as context and the industrialization, popularization of museum. The modern museum on the principles of modern art pursued the autonomy of art, and tried to draw the line between art and life. It was designed for the artwork to be isolated from everything that would detract from its own evaluation of itself. The outside world must not come in, so windows were sealed off. Walls were painted whit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mdern art, modern museum transposed the perception from life to formal values of artwork. But the postmodern museum is grounded on the principles of postmodern art coping with modern art. First, it emphasizes the museum space which influences the meaning of artwork. It is from the thought that the meaning of artwork is not determined by itself but by the relation of artwork and the external - plac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etc. This point is explained through the theory of Brian O’Doherty in this paper. Another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museum results from the critical mind that modern art and museum alienated the masses from the apprehension of artwork exaggerating formal values. Therefore postmodern museum focuses on the reunification of art and life, communication with the masses, and management skills of museum. This thought is coincided with expanded industrialization in late capitalistic society, and is connected with industri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museum. I explore this point on the base of the theory of Rosalind Krauss. Investigating those aspects of postmodern museum, I suggest as conclusion that those changes of postmodern museum are not imperative, but must be recieved as supplementing the weakness of modern muse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