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취유부벽정기>의 삽입 시와 서사 구조

        박일용 ( Park Il-y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고전문학과 교육 Vol.15 No.-

        Miss Ki, the heroine of < Chuiyu-boobeokjeong-ki >(취유부벽정기) is the image on which Hong-saeng`s mind is projected. And the mind of Hong-saeng(홍생) is the allegory of Kim, si-seop`s(김시습) mind to king Dan-jong. So I think the mind of Ki who thinks patriotism is more important than her life is the allegory of Kim si-seop`s patriotic sentiment to king Dan-jong. And I think the sorrow of Hong-saeng for the ruins of Ko-choseon(고조선) means sorrow of Kim, si-seop`s(김시습) for the death of Dan-jong`s. They felt sorrowful because values that they considered as absolute ones were damaged. However, everything in the world are fatally changed. Although people think the most important thing they think now is never changed, after long time they cannot but see all is changed. At last people realize the thing seemed most important will disappear in vain. So the writer of < Chuiyu-boobeokjeong-ki >(취유부벽정기) made a image of Miss Ki who is a nymph of moon and was the princess of Ko-choseon to awaken Hong-saeng. He intended to change hong-saeng`s mind to king Dan-jong with the change of Miss Ki`s mind to her father. But the writer knew the fact that though Hong-saeng changed his mind, he could not become happy. So he wanted to transcend the real world, but he can't. After all he expressed his wants in fantastic lunar world.

      • KCI등재

        <용궁부연록>에 나타난 경계 허물기와 두 가지 변증법

        박일용 ( Il Yong Park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39 No.-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에는 주인공 한생이 용왕의 초청을 받아 절대 갈수 없는 곳이라 여겼던 용궁에 다녀오는 것으로 그려진다. 이는 이 작품이 주인공 한생의 용왕 및 용궁 세계와의 소통 문제를 다룬 작품으로서, 용궁(龍宮)이라는 우의적(寓意的) 공간에 대한 주인공 한생의 경계 허물기를 형상화한 작품임을 뜻한다. 이러한 한생의 경계 허물기는 용궁 방문 과정에 이루어지는 가회각 상량문의 작성과 윤필연 참여라는 두 단계의 환상 체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한생이 자신이 지은 가회각 상량문에서 제시한 용왕의 딸과 용궁 밖의 군자의 혼인 형식을 빈 용궁의 안과 밖의 변증법적 화합 형식이 기실 자신의 무의식적 소망의 투사이며, 용궁 안과 밖의 경계가 기실 용궁에 대한 자신의 태도에 의해 설정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한생이 윤필연에 참여하여 잔치에 참여한 용왕과 용궁의 악대, 용왕의 신료, 그리고 용궁 밖의 존재들의 노래를 들은 뒤, 그들이 용궁 안과 용궁 밖이라는 이분법적 범주로 나누어질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는 걸 깨닫는다. 한생은 이러한 두 단계의 각성 과정을 통해 용궁 안과 밖의 경계가 용왕에 대한 자신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고, 용왕의 신성을 인정하면서 용왕을 예찬하는 시를 짓는다. In Yonggung-Booyun-rok<용궁부연록> the hero Han-saeng(한생) visited the underwater palace, Yonggung(용궁), where he had thought as he could have not been. It means that this novel works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ero Han-saeng(한생) and Yonggung(용궁), symbolizing his experience of blurring the line between Yonggung(용궁) and the real world. This could be reached by two steps of his illusionary experiences of the celebration writings of Kahoegak(가회각) and the participation of Yunpil-festival(潤筆宴). In the first step, the hero Han-saeng(한생) comprehended that the dialectical unity between Yonggung(용궁) and the real world which was symbolized as the marriage between the daughter of Yongwang(용왕) and the gentleman of the real world was a projection of his unconscious wish, and that the border between Yonggung(용궁) and the real world had made in his attitude toward Yonggoong(용궁). In the second step, listening the songs of Yunpil-festival(潤筆宴), the hero Han-saeng(한생) realized that Yongwang(용왕), the band of Yonggung(용궁), retainers of Yongwang(용왕), and the beings outside Yonggung(용궁) could not be devided into two classifications of Yonggung(용궁) and the real world. Through this two steps of realization, the hero Han-saeng(한생) perceived that the border between Yonggung and the real world had been originated from his own view of Yongwang(용왕), and finally composed a poem which included an admiration for Yongwang(용왕) as a holy being.

      • KCI등재
      • KCI등재

        특집 : 고전소설의 주인공 ; <최고운전>과 『삼국사기』 <최치원전>에 그려진 최치원의 인물 형상

        박일용 ( Il Yong Park ) 한국고소설학회 2011 古小說 硏究 Vol.32 No.-

        <최고운전>에 형상화된 최고운의 행적 가운데, ``당나라에 가서 과거에 급제를 하고 문명(文名)을 떨쳤으며, 황소(黃巢)를 물리치는데 공을 세운다``는 사실은 『삼국사기』 <최치원전>의 기사 내용과 크게 어긋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들 사실은 두 서사물에서 각각 상반된 위치에 배치되는 한편, 각기 상반된 의미를 구현한다. 이는 <최고운전>이 『삼국사기』 <최치원전>을 역대칭적 형태로 패러디한 작품임을 뜻한다. 이러한 역대칭적 패러디는 아비의 명을 따라 당나라에 들어가 공부를 한 『삼국사기』 <최치원전>의 최치원의 형상을 뒤집어서, 아비에게 버림을 받고 세상 밖에서 공부를 하는 <최고운전>의 형상을 창출함으로써 가능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보면 <최고운전>의 작가는 민간에 전승되던 최고운의 ``탄생 및 기아``와 관련된 설화적 전승물과 『삼국사기』 <최치원전> 의 내용 가운데 중국에서의 활동 및 만년의 행적을 결합시켜, 작품의 구성 축을 마련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 축에 맞추어 나머지 구성 요소들을 창안하여 <최고운전>을 창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Both <Choi, Go-Woon Cheon(崔孤雲傳)> and <Choi, Chi-won Cheon(崔致遠傳)> in 『Samkook Saki(三國史記)』 includes the same character of Choi, Chi-won who passed the state examination(during Dang Danasty) to be famous as fine writer and contributed to have turned Hwang, So(黃巢) away. In each work, however, the same story of Choi, Chi-won is arranged contradictory so as to make a different meaning. In fact, <Choi, Go-Woon Cheon(崔孤雲傳)> is antisymmetry parody of <Choi, Chi-won Cheon(崔致遠傳)>. It makes the parody possible that the reversal of Choi, Chi-won`s motivation to pursuit of Learning, which is because of his father`s order in <Choi, Chi-won Cheon(崔致遠傳)> but being deserted by his father in <Choi, Go-Woon Cheon(崔孤雲傳)>. It is assumed that the writer of <Choi, Go-Woon Cheon(崔孤雲傳)> constructed the frame of the work by combining the folktale about Choi, Chi-won`s birth and adversity with his great performance in Dang and the Latter years in <Choi, Chi-won Cheon(崔致遠傳)>. The other components of <Choi, Go-Woon Cheon(崔孤雲傳)> seem to have been created according to this frame.

      • KCI등재

        <주생전>의 패러디로서 <위생전>의 문학적 의미

        박일용 ( Park Il-y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문학치료연구 Vol.26 No.-

        <위생전>에 설정된 남녀 주인공의 만남의 방식, 즉 남주인공 위생이 처음 본 여인인 소숙방의 방에 난입을 해서 그녀와 성관계를 맺는 모습은 충격적이다. 그런데, 충동적인 욕망을 억제하지 못하고 여인의 방에 난입하는 남주인공의 심리와 그러한 남성의 심리를 이해하면서 그의 욕구를 받아들이는 여주인공의 태도가 섬세하게 묘사된다. 그리고 그러한 여주인공의 태도에 감명을 받아 충동적 욕망이 순수한 사랑으로 승화되는 남주인공의 심리변화가 설득력 있게 그려진다. 또한 이후에 전개되는 혼인 과정, 이별 장면, 상사병이 들어 죽게 되는 장면, 아내 소숙방이 남편을 따라 목을 매어 죽는 장면 등을 통해, 남주인공 위생의 성격적 특징과 그가 느낀 사랑의 순수성을 생동감 있게 그려낸다. <위생전>에서 이처럼 문제적 형태의 사랑을 섬세하게 형상화할 수 있었던 것은, 이 작품에 앞서 <주생전>이 있었기 때문이다. <주생전>에서는 남녀 주인공의 만남 과정에 그들을 매개해주는 배도라는 기생이 설정되기 때문에 <위생전>에서와 같은 폭력적 만남이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주생전>에는 사랑을 약속했던 기녀 배도를 버리고 높은 신분의 여인인 선화를 선택하는 남주인공 주생의 배신적 행위가 나타난다. <위생전>에서는 이처럼 세속적 욕망과 결합된 주생의 사랑을 패러디하여, 위생의 순수한 운명적 사랑을 그려낸 것이다. In < Wi-Saeng Jeon >(위생전), it is shocking that a main character Wi-Saeng rushed into So, Sook-Bang`s room and had a sexual intercourse with her because this impetuous way of encounter between them had made just after Wi-Saeng`s peeping at her. Nevertheless, a psychological description of two characters is delicately depicted in the work and it is highly cogent. Wi-Saeng had been obviously out of self-control at that time and So, Sook-Bang fully understood his mental state to accept his craving. So, Sook-Bang`s tolerant attitude impressed Wi-Saeng and his impulsive desire changed into spiritualized love finally. A character of Wi-Saeng and his pure love is described animatedly through whole scenes such as their marriage, a moment of parting, Wi-Saeng`s dying of lovesick, and So, Sook-Bang`s hanging herself to know the death of Wi-Saeng. It is because of an existence of < Joo-Saeng Jeon >(주생전), that the problematic type of love can be finely depicted in < Wi-Saeng Jeon >. There is abandoned keiusha Bae-Do in < Joo-Saeng Jeon >, who mediated a encounter between two main characters but to be a victim of a betrayal. The main character Joo-Saeng deserted geisha Bae-Do to select high status woman Seon-Hwa. This forsaken character substitutes for the shocking way of encounter in < Wi-Saeng Jeon >. In conclusion, the pure, destined love of Wi-Saeng in < Wi-Saeng Jeon > is a parody of the love of Joo-Saeng which is combined with the worldly desires in < Joo-Saeng Jeon >.

      • KCI등재

        <주생전>의 공간 구조와 환상성

        박일용 ( Il Yong Park ) 한국고소설학회 2013 古小說 硏究 Vol.35 No.-

        <주생전>에서 주생은 세상을 떠돌다 하룻밤 사이에 고향 전당에 도착하여, 그곳에서 꿈결처럼 기생 배도 그리고 전 승상의 딸인 선화와 만나 욕망을 해소한 뒤, 꿈을 깨듯이 조선까지 밀려왔다고 한다. 주생의 환상적 체험 내용이 의사몽유록(擬似夢遊錄)적인 액자 소설형식을 빌어 서술된 것이다. 그런데, <주생전>에는 작품의 말미에 주인공 주생이 서술자인 ‘나’를 만나 자신의 체험을 이야기하는 장면이 덧붙여지고 있다. 이렇게 보면 <주생전>은 이중적 액자 형식의 소설작품이라 할 수 있다. 내부 액자 형식을 빌어 주생의 환상 체험을 그려낸 뒤 외부 액자 형식으로 그것의 각성 양상을 형상화함으로써, 독자들에게 작중인물의 실재적 욕망과 현실 질서 사이의 거리를 인식시킨 것이다. In ``Joo-Saeng jeon``(주생전), Joo-Saeng(주생) had wandered around the world in isolation to meet gisaeng Bae-Do(배도) and Sun-Hwa(선화), a daughter of the former prime minister, when he arrived in his hometown. After his fantastical accomplishment of desires, he arrived back in Joseon with feeling of awakening from the dream. This, the dreamlike fantasy of Joo-Saeng, is described in a form of rahmennovelle and it is also a kind of dreamlike story (의사몽유록). At the end of the ``Joo-Saeng jeon``, there is a part that Joo-Saeng told his personal experience to ``I``, a narrator of the whole story. This makes the ``Joo-Saeng jeon`` as a double rahmennovelle. The form of double rahmennovelle reveals a distance between socialㆍsexual desires of main characters and orders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