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COVID-19 유행 상황에서 자살 시도의 세대별 비교
박이레,강재명,채현아,임용수,강승걸,나경세,조서은,조성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22 신경정신의학 Vol.61 No.4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ous other factors influencing those attempting suicide from the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included subjects who visited the emergency room of the Gachon University Gil Medical Center in Incheon after attempting to cause self-harm or commit suicide. Of the total of 598 cases, the characteristics of 383 subjects belonging to the younger generation (39 years old or younger) and 215 to the older generation subject (40 years old or older)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Results The younger generation subjects who attempted suicide had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psychiatric disorders such as bipolar disorder and histories of past suicide attempts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Those attempting suicide among the younger generation were less planned in their attempts to commit suicide than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authenticity of their suicide attempts was significantly lower. Conclusion The younger generation subjects who attempted suicide were more affected by mental illnesses and more impulsive than those of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authenticity and medical lethality of their suicide attempts were low. An individual-centric intervention strategy for suicide prevention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thes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공공조직의 소통문화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혁신행동의 매개효과
박이레(朴이레),박채린(朴彩璘),Khaltar Odkhuu 한국지방정부학회 2023 지방정부연구 Vol.26 No.4
최근 공공조직을 둘러싼 환경변화의 폭이 큰 가운데,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문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조직의 소통문화는 조직의 업무수행에 영향을 미쳐 업무성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혁신이 적용되는 범위가 확장되는 환경 가운데, 조직관리 측면에서의 혁신도 강조되고 있다. 혁신은 성공할 경우 큰 유익을 가져다주게 되지만, 그만큼 위험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의 소통문화를 조직침묵과 의사소통 방향으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변수간의 인과관계에서 혁신행동을 매개변수로 설정하며 구조적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체념적 침묵은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순응적 침묵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수평적 의사소통은 업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지만, 수직적 의사소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셋째, 혁신행동은 체념적 침묵과 업무성과와의 완전 관계를 매개하였지만, 순응적 침묵과 업무성과와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넷째, 혁신행동은 수직적 의사소통과 업무성과와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지만, 수평적 의사소통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따라 공공조직의 소통문화, 혁신행동을 통한 업무성과 도출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In the midst of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surrounding public organizations,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culture of an organization affects the organization’s work process, which also affects work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 an environment wher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innovation is expanding, innova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is also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the communication culture of the organization into organizational silenc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direction and analyzed its effect on work performance. Moreover, the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innovative behavior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Findings suggested that adaptive silence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work performance whereas acquiescent silenc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The results also support the significant mediating role of innovative behavior, indicating that vertical communication has an important indirect effect on work performance through its influence on fostering individuals’ innovative behavior whereas acquiescent silence has a negative indirect effect on work performance by weakening the individuals’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deriving work performance through communication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in public organizations were discussed.
공공조직 내에서의 조직정치가 정부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침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이레,이혁규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신공공관리의 등장으로 인해 행정학적 차원에서 공적 성과의 도출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성과 도출을 위해 조직문화의 조성이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지만, 조직 내에 얽혀있는 수많은 정치적 조직문화들은 공공조직에 속해 있는 개인으로 하여금 성과를 도출하는 것보다 조직에 융화되는 것을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게 한다. 정치적 조직문화는 개인에게 의사결정 시 침묵하도록 직·간접적인 압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성과 도출에 있어, 조직정치와 조직침묵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조직 내 정치 문화와 정부성과 간에 인과적 관계에서 조직침묵이 매개적 영향력을 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조직침묵은 침묵에 대한 개인의 태도에 따라 체념적 침묵, 순응적 침묵, 친사회적 침묵으로 구분하여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기반으로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직정치가 개인에게 ‘수동적’인 선택을 하도록 압력을 가할 것이라 판단하여 ‘수동성’에 기반한 체념적 침묵과 순응적 침묵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선행연구에서와 동일하게 본 연구에서도 조직 내 정치는 정부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정치는 체념적 침묵과 순응적 침묵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체념적 침묵은 정부성과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순응적 침묵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직정치가 정부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침묵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변수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공공조직에서의 성과 도출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공무원의 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결정성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이레,KHALTAR ODKHUU 한국인사행정학회 2024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3 No.4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on public officials'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e len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There has been limited research on extrinsic motivat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intrinsic motivation in the public sector. Addressing this gap,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xamining extrinsic motivation to mitigate growing turnover rates among public officials and introduces a new approach, recognizing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not exclusive to the public sector. Using regression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es, the study found that promotion satisfac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both positively influenced innovative behavior, with Public Service Motivation exerting a stronger effect. Th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motion satisfaction and Public Service Motivation. While promotion and salary satisfaction negatively affected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se negative effects were positively moderated by th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suggesting that extrinsic rewards can undermine intrinsic motivation unless properly managed. The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reveal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motion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with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positively moderating this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lary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Public Service Motiv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with competence positively moderating the effec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strengthening competence can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subsequently stimulate innovative behavior. This study underscores the critical role of motivation in fostering innovative behavior among public officials. I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for fostering innovative behavior by proposing organizational designs that enhance experience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longside proactive administration support systems and organizational culture improvements to internalize Public Service Motivation.
新에너지 거버넌스와 에너지 전환체제 성공조건 탐색: 에너지 가격정책 수용성에서 개인가치, 에너지선호, 정치경제학적 요인의 역할에 대한 분석
박이레,김서용,황희영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9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ional acceptability of energy price policy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in an exploratory dimension. Recently, a social discussion on the transition of energy system has been made. The shift to energy policy toward de-nuclear power and renewable energy demands the cost burden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which is expected to be a change in overall energy price policy. The public acceptance of energy price policy is a factor that induces the possibility of energy conversion. Therefore, a systematic analysis is required. In this study, energy-related price policies are defined as rate increase, tax increase, progressive system, low income support, and rate discrimination, and the influences of individual value factors, energy preference factors, and political and economic factors are examine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at the product level. As a result, the stronger the value of environmentalism, the more support for the low-income group, but the higher the level of objection to the use-based rate discrimination policy (which is expensive for home use and cheap for industrial use). In the energy preference factor, the preference for nuclear waste was to raise prices, support low-income class, and the new energy preference was to intensify the progressive system. Energy security supports the rate increase and the progressive system. The upper class showed support for all policies except tax hikes, and the higher the rate burden, the higher the support for various policies. However, the higher the actual expenditure, the more against the progressive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 가격 정책에 대한 국민적 수용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가격 정책의 유형을 기능적 성격에 따라 수요조절정책(요금인상, 세금인상), 복지정책(누진제도 강화, 저소득층 지원), 산업정책(용도별 요금 차별화)으로 구분하고, 개인의 가치적 요인, 에너지 선호요인, 정치경제학적 요인 등이 개별 정책의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가치적 요인인 환경주의는 저소득층 지원정책의 수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용도별 요금차별화 정책의 수용성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 선호요인 중 원자력 폐기에 대한 선호는 가격인상과 저소득층 지원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에너지 선호는 누진제도 강화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안보는 요금인상과 누진제도 강화 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경제학적 요인 중 계층인식은 세금인상을 제외한 모든 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금부담 능력은 모든 정책의 수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요금 지출은 누진제도 강화정책의 수용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조직 내에서의 조직정치가 정부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직침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이레,이혁규,김태형 한국조직학회 2022 한국조직학회보 Vol.18 No.4
신공공관리의 등장으로 인해 행정학적 차원에서 공적 성과의 도출은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정부성과 도출을 위해 조직문화의 조성이 매우 중요하게 논의되지만, 조직 내에 얽혀있는 수많은 정치적 조직문화들은 공공조직에 속해 있는 개인으로 하여금 성과를 도출하는 것보다 조직에 융화되는 것을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게 한다. 정치적 조직문화는 개인에게 의사결정 시 침묵하도록 직·간접적인 압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성과 도출에 있어, 조직정치와 조직침묵이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조직 내 정치 문화와 정부성과 간에 인과적 관계에서 조직침묵이 매개적 영향력을 줄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조직침묵은 침묵에 대한 개인의 태도에 따라 체념적 침묵, 순응적 침묵, 친사회적 침묵으로 구분하여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기반으로 조직 내 의사결정 과정에서 조직정치가 개인에게 ‘수동적’인 선택을 하도록 압력을 가할 것이라 판단하여 ‘수동성’에 기반한 체념적 침묵과 순응적 침묵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선행연구에서와 동일하게 본 연구에서도 조직 내 정치는 정부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정치는 체념적 침묵과 순응적 침묵에 모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체념적 침묵은 정부성과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순응적 침묵은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조직정치가 정부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침묵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변수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라 공공조직에서의 성과 도출을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