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lice in Wonderland and its Language/Cultural Acquisition Towards Cognitive Culture System

        박은정(Eunjung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12 영미연구 Vol.26 No.-

        This paper aims to theorize and practice language learning in that how effectively communicative the culture based English acquisition is for those who are in the environment of English as the Foreign Language. The theorization in this paper is that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ognitive culture system may largely parallel to the nature of universality in language. It has the assumption which directs “cultural universal” is effective and communicativ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just as the “universal grammar” is effective to learn English, especially for those who are EFL. As Chomsky proposed the language system, which is also believed to be an innately determined brain system of human species, I will propose a culture cognitive system in which the narrative functions properly through cogn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producer and the perceiver. This paper will attempt to theo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culture system and the narrative cognitive system,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culture based English acquisition and brain based English one. Cognizing the narrative in order to cognize the culture is the dirving motivation and excitement for English learners to improve their English in the classroom setting. I will exemplify with Alice in Wonderland, a cultural contents, some effective teaching strategy of the cognitive narrative to obtai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ognition and to be involved in culture cognitive system.

      • KCI등재후보

        Hyperlexia 아동의 글자읽기 기술과 언어·인지적 특성

        박은정(Eunjung Park),황민아(Mina Hwang),남민(Min Na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Hyperlexia 아동의 글자읽기 기술과 이와 관련된 언어.인지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3세 10개월-7세 6개월의 Hyperlexia 아동 11명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11명의 정상아동에게 지능검사, 언어검사, 언어문제해결력검사, 기초학습기능검사의 '읽기'와 '읽기이해' 소검사를 실시하였다. Hyperlexia 아동들의 경우 언어성 지능지수에 비교된 글자읽기지수에서 모두 1.20 이상의 점수를 보였고, 정상아동의 글자읽기지수에 비하여 봉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읽기이해지수는 Hyperlexia 아동과 정상아동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yperlexia 아동은 자신의 언어성 지능에서 기대되는 것 이상의 글자 읽기 능력을 보이는 반면, 읽기이해에서는 글자읽기 능력 자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Hyperlexia 아동들은 정상아동에 비해 언어상 지능이 유의미하게 낮았고, 전반적인 언어능력, 특히 표현언어와 언어문제해결력에서 낮은 능력을 보였다. 지능검사의 하위 소검사들에 대한 수행을 분석한 결과, Hyperlexia 아동들은 언어성 검사들 뿐 아니라 동작성 검사 중 통합적 사고와 개념화를 요구하는 측면에서 어려움을 보인 반면, 단순한 시지각적 재인능력은 정상아동보다 우수하였다. .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선교를 위한 놀이목회상담 연구

        박은정 ( Park Eunjung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8 복음과 상담 Vol.26 No.2

        본 논문은 국내 다문화 가정 선교를 위한 목회상담의 한 방법으로써 놀이목회상담을 제안하고 그 내용을 다루고 있다. 한국 교회는 해외 파송 선교를 통해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파하려는 노력을 경주해 왔으나 오늘날에는 다문화 가정이 새로운 선교 대상이 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15년 간 한 교회의 외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다문화 예배를 담당하였다. 이 경험에 근거하여 다문화 가정 선교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써‘놀이목회상담’을 제안해 보려고 한다. 놀이는 사람을 편하게 하고 감동시키는 힘이 있기에 우리는 놀이할 때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Johann Huzinga는 놀이의 역할이 인간의 종교성과시, 예술 등 문화의 근원적인 요소들을 연결해 주는 통로라고 강조한다. 하나님께서 이 땅을 창조하실 때 그 창조 안에는 기쁨과 질서가 있었다. 따라서 문화와 언어가 서로 다른 이들도 하나님께 드리는 놀이 예배에 참여함으로서 상처를 치유 받고 하나님의 형상대로 회복되는 창조의 기쁨과 질서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첫째,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신학적 이해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둘째, 놀이를 일반적, 심리학적, 신학적 차원에서 각각 이해하였다. 셋째, 다문화 가정의 선교를 위해 효과적으로 예배에 적용할 수 있는 놀이목회상담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The article suggests Play Pastoral Counseling as a method for pastoral counseling with regard to the missionary work of domestic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als with the gist of Play Pastoral Counseling. While Korean Churches concentrated their effort on propagating gospel effectively through sending missionaries overseas, nowadays multi-cultural families are on the horizon as the object of missionary efforts. The author has been in charge of multi-cultural service in the span of 15 years for foreign workers in a church. Based on this experience, I propose ‘Play Pastoral Counseling’ as the effective tool for evangelizing multi-cultural families. Because play has the power to make people relax and be moved, we feel catharsis when we play. Johann Huzinga emphasizes that the role of play is the corridor connecting the principal elements of culture like human religiosity, poetry, art, etc. When God created this world there were order and joy of creation. People who have diverse cultures and languages, by participating in play service for God, would be made whole and be restored as God created them in the beginning to participate in the order and joys of creation. The article researches gener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s for multi-cultural families firstly. Secondly, it individually reviews play generally, psychologically and theologically. Thirdly, it discusses Play Pastoral Counseling as the effective tool of worship for evangelizing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솔 벨로우의 『학생처장의 12월』 - 민족 정체성과 의사소통의 문제 : 솔 벨로우의 『학생처장의 12월』

        박은정(Eunjung Park)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2006 영미연구 Vol.15 No.-

        This paper will cover the problems of communication that Albert Corde has as Saul Bellow"s accomplice in three major spheres: the political wall between the East of Bucharest and the West of Chicago; communicative transformations among intimate relations; and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the signifying practice as a journalist. Since Bellow has been awarded the Nobel Prize in 1976, his next novel, The Dean"s December , did not appear until 1982. In it he is wrestling with his major preoccupation: What is it that enables us to communicate, to transmit our hearts? This novel shows Bellow"s incapability of communicative transformation through an appropriate form of language. The protagonist, Albert Corde, feels compelled to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his existence by overcoming miscommunication among human beings. On the level of individual communication, the conversations of intimates, genuine communication seems to be extremely difficult for Albert, even though he is a widely-known journalist. The ques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Albert and Minna, husband and wife, receives the most persistent and complex treatment throughout The Dean"s December . Because she came from Eastern Europe she not only experiences a language barrier in the U.S. but is also culturally marginal. Albert and Minna are at opposite extremes of culture and language. This could easily reflect a similar impasse between Bellow, the writer and Alexandra, the mathmatician who knew nothing about literature. However, the novel ends that husband and wife begin to communicate again after her mother"s death, Minna recovers from her own illness, and she turns to her husband for help. Bellow questions the validity of a merely journalistic objective account and suggests that truth can be discovered only when a serious artist applies his powerful imagination to real experiences. In order to represent his incapability of communicative transformation, Bellow created the iron curtain, where Albert Corde was situated, is not to enough show his true self. And Bellow tried to let Corde transcend world of journalism toward that of art that could possibly convey truth to human heart.

      • KCI등재

        한국 대하소설에 나타난 ‘해방 인식’ 연구 - 『북간도』, 『토지』, 『아리랑』을 중심으로 -

        박은정 ( Park Eunjung ) 세계문학비교학회(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2020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0 No.-

        본 연구는 한국 대하소설에 나타난 ‘해방 인식’을 밝힘으로써 한국문학에서 ‘해방’의 의미를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안수길의 『북간도』, 박경리의 『토지』, 조정래의 『아리랑』을 분석한다. 분석 내용은 두 가지로, 첫째는 세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민중의 만주 이동 경위와 이후 이들과 이들 자손들의 독립 운동 관련 상황을 밝혀 그 속에 내재한 민중의 ‘해방 인식’을 밝히는 것이다. 둘째는 세 작품의 마지막 부분이 식민지로부터 해방되는 1945년 8월 15일임을 통해 작가들이 ‘해방’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우선 첫 번째 분석 내용은 민중들의 생존과 인권의 문제와 연결된다. 민중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농민들은 그들의 터전인 ‘토지’와 유리되었을 때 생존의 위협을 받는다. 그들은 토지를 통해 생명을 유지하고,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존엄을 유지할 때 생활이 가능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세 작품은 민중들이 토지에서 유리되고 인간성에 훼손을 받음으로써 자신들이 터전을 떠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보여준다. 이는 개인이나 국가나 마찬가지다. 국가를 잃고, 국권을 빼앗길 때, 민중들은 국가를 되찾음으로써 개인의 생존과 존엄을 보장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민중의 ‘해방 인식’은 식민지 상황에서의 해방인 동시에 개인의 해방을 의미한다. 이는 양반이나 지식인에 비해 훨씬 현실적인 면모를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두 번째 문제는 작가의 해방 인식이다. 세 작품은 작품의 말미에 보인 식민지 종식에 대한 입장이 다르게 나타난다. 『토지』는 온몸을 감고 있던 쇠사슬이 풀리는 느낌으로, 『북간도』와 『아리랑』은 해방을 또 다른 해결해야 할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아리랑』은 일본의 패망이 조선의 해방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만주에서 중국인들과의 갈등을 풀어야 할 문제로 제시한다. 『북간도』 또한 ‘해방 뒤에 올 것이 무엇인가’라는 과제를 남김으로써 이후 전개되는 근대사의 문제를 생각하게 만든다. 이는 세작품이 1945년 8월 15일에 대단원의 막을 내리지만, 작가의 지향이 그 시점에 머물러 있는지, 아니면 그 이후로 나아가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 살펴본 세 작품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하소설로 이들 작품에 나타나는 해방 인식은 해방 직후의 문학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자기 반성과 변명, 혹은 자기 고백의 성격을 벗어나 식민지 시대를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그 속에 나타난 민중들의 해방 인식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meaning of ‘liberation’ in Korean literature by revealing ‘liberation perception’ in the well-known Korean novels (roman-fleuve).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An Soo-gil’s Buggando, Park Kyong-ni’s Toji, and Jo Jung-rae’s Arirang. Through three novel analyzes, this study highlights two things: The first is to clarify the people’s movements in Manchuria, which are common to all three works, and the situation of independence movements between them and their descendants. The second is to highlight the meaning of the last common part (August 15th, 1945), liberated from the colony, to reveal how writers perceive ‘liberation’ by the similar endings from the three novels. Firstly, the analysis is linked to the issues of people’s survival and human rights. Farmer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the people and live on the land, are threatened with survival when they are abandoned on the Toji. Under the status of a farmer slave, the minimum human rights can only be guaranteed, because living is possible through land and living with minimal dignity as human beings. The three novels in this study show the reality that people have to leave their homes because people are released from the land and damaged by humanity. This is true of individuals and nations. When the land is lost and the sovereignty is taken away, the people are guaranteed the survival and dignity of the individual by regaining the state. Therefore, people’s “perception of liberation” in the works means not only liberation from the colonial situation but also individual liberation. This is much more realistic than a ruling class or an intellectual social class in the country. The second problem of this study is the recognition of the writer’s liberation. The three novels show different positions about the end of the colonialism. Toji depicts the liberation as feeling like the chains are being rolled up all over the body, while Buggando and Arirang draw the liberation as another challenge. Arirang suggests that Japan’s defeat was not just a liberation of Choseon, but a conflict problem to be resolved with the Chinese in Manchuria. Buggando also leaves the task of “what will come after the liberation” and reminds us of the problem of modern history. This is the end of the three novels on August 15, 1945, but each novel differs depending on whether the writer’s intention is to stay at that point or move forward. The three works discussed are Korea’s most famous novels, and the perception of liberation in these works totally looks at the colonial era beyond the self-reflection, excuses, or self-confessions of the works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distinguishable in that it can grasp the recognition of the liberation of different peoples in the three novels.

      • KCI등재

        카드소팅테스트를 위한 정량적인 분석 기법의 개발

        박은정(Park Eunjung),서종환(Seo Jonghwa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1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수많은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입장에서 컨텐츠를 분류하고 구조화하는 것이 중요하며 여기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이 카드소팅테스트(card sorting test)이다. 카드소팅테스트를 통해 디자이너들은 사용자들이 웹사이트의 컨텐츠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분류하는 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카드소팅테스트 결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방법의 부재로 인해 디자이너들이 카드소팅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활용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보 구조화 분석 방법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카드소팅테스트 결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분석방법을 실제 웹사이트 컨텐츠의 분류작업에 활용해 봄으로써 그 실제적인 효용성과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분석 방법은 디자이너들이 카드소팅테스트 결과를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Classifying and organizing contents from users' point of view are important for efficiently providing numerous information to user in web sites. Many designers use card sorting test to do such work in practice. Card sorting test helps them understand how their users classify complicated contents of their web sites. But a literature review revealed that there isn't any quantitatively technique for analyzing card sorting test data so that designers have had many difficulties to implement the method and justify the result. Based on analysis of previous techniques for classifying contents this paper suggested a new technique for analyzing card sorting test data. A case study was produced to apply this new technique to a real practice of contents classification.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showed how this technique can be us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contents classification. The new technique which this study suggests will be useful to analyze card sorting test data in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manner.

      • KCI등재

        『토지』에 나타난 의복 표현의 의미

        박은정 ( Park Eunjung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5 No.-

        이 글은 『토지』의 문화적 요소 중 하나인 ‘의복’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토지』는 조선-대한제국-일제 강점기를 거쳐 해방에 이르기까지 격동기 한국을 살았던 사람들의 모습을 그리고 있어 당시 문화적 요소가 고스란히 담겨있다. 특히 등장인물들의 옷차림은 그들이 서울, 일본, 만주, 러시아 등으로 이동을 하면서 매우 다양하게 제시된다. 이는 『토지』가 가진 시간적, 공간적 배경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리고 이에 더해 ‘의복’에 대한 작가의 관심이 우선적으로 작용한다. 『토지』는 다른 작가의 소설에서 찾을 수 없는 ‘의복’의 의미를 담고 있다. 비슷한 창작시기나 비슷한 배경을 지닌 소설에서도 인물의 의복 표현은 나타나지만 『토지』에서처럼 한 인물에 대한 지속적인 의복 표현이 나타나는 작품은 찾기 어렵다. 이는 『토지』가 가진 문학적 특징으로 생각된다. 『토지』에는 700여 명의 인물이 등장하고 이들은 각각의 의복 표현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있지만, 이 글에서는 그 인물들 중 여섯 인물에 대해 분석하고 그 의미를 밝힌다. 먼저 윤씨 부인은 흰 옷을 통해 민중적 동질성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윤씨 부인이 인식했던 봉건적 신분제도의 붕괴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최서희는 화려한 옷차림으로 최 참판댁의 복원을 통한 봉건사회로의 회귀를 나타낸다. 임명희와 강선혜는 옷차림을 통해 신여성으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당시 초기 신여성들이 처해있던 현실을 파악할 수 있다. 김두수와 유인실은 식민지 시대 밀정과 독립운동가로 등장하여 그들의 활동을 위한 위장적 옷차림을 보여준다. 살펴본 인물들의 옷차림은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이 드러내는 봉건성, 근대성, 식민성은 격동기 한국 사회를 드러내 보여준다. 『토지』의 인물들은 옷차림을 통해 개인의 상황과 처한 현실, 생각 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한국 사회의 변모 과정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clothing' which is one of the cultural elements of Toji and aims to reveal its meaning. Toji refers to the people who lived in the turbulent period of Korea from the Joseon Dynasty, the Korean Empire, to the Liberation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novel contains the entire cultural elements at the time. Particularly, the distinctive clothing attire of the characters is presented in a variety of ways as they move to Seoul, Japan, Manchuria, and Russia.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temporal and spatial background of Toji. In addition, the interest of Toji writer on 'clothes' is a priority. Toji contains various meanings of 'clothes' that can not be found in other novels. Even in novels with similar backgrounds and times, the expression of one character’s clothing describes, but it is hard to find a single work in which the various expression of the continuous clothes are expressed for each character as in Toji. This is thought to be a literary feature of Toji. In Toji, about 700 characters appear, and they reveal their identity through the expression of their clothes. In this article, the meaning of clothes is analyzed and revealed mainly in the clothing of six characters. First, Mrs. Yoon shows the people's homogeneity through white clothes. Through this white clothes, it is possible to grasp the collapse of the feudal status system that Mrs. Yoon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Choi Seo-Hee shows a return to the feudal society through restoration of ‘Choi’s Family’. Im Myung-Hee and Kang Seon-Hye show their identity as a new generation woman (‘modern girl’) through clothing. Through the expression analysis of these clothes, we can grasp the social reality of the new generation women at that time. Kim Doo-Su and Yoo In-Sil appeared as colonial emigrants and independence activists and showed camouflage attire for their activities. The attire of the characters shown in the study shows the character of Joseon - Korean Empire - Japanese colonial period. Their feudalism, modernity, and colonialism reveal the turbulent Korean society. The characters of Toji not only show the individual situation, reality, and thoughts through clothing, but also enable them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박은정(Park, Eunjung),강민철(Kang, Minchul),김수임(Kim, Sooim) 한국웰니스학회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탄력성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54명에게 설문을 배포하고, 수집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효능감은 자아탄력성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 있어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조절효과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에 따라 결과가 달리 나왔다. 종속변수가 블안인 경우 모든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척도(사회적 지지추구, 문제해결중심, 회피중심)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종속변수가 우울인 경우 사회적 지지추구의 조절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ego-resiliency and anxiety/depression. For thi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54 university student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significantly mediated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on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depression/anxiety differ by sub-factors of stress coping styles. In case of anxiety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moderating effects of all the sub-factorsof stress coping styles(seeking social support, problem solving, avoidance) were significant, while in case of depress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only seeking social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장기 시장 조성 플랫폼에서의 교차 보조 및 플랫폼 흡수 전략 비교: ‘우아한형제들’과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은정(Eunjung Park),곽기호(Kiho Kwak) 한국경영학회 2020 Korea Business Review Vol.24 No.신년 특별호

        서로 다른 형태의 제휴 고객 간 교환(거래), 소비, 소통 등 상호작용을 가능케 함으로써 가치를 창출하는 조직인 플랫폼(Platform)은 생산자와 구매자 간 직접 거래를 촉진하는 시장 조성자(Market-Makers), 광고주와 청중 간 메시지 및 콘텐츠 연결을 주선하는 청중 조성자(Audience-Makers), 제휴 고객 간 교차 네트워크 효과를 일으키는 수요 조직자(Demand-Coordinators)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시장 조성 플랫폼은 다양한 거래 제품과 서비스가 등장함에 따라 가장 주목받고 있는 플랫폼이다. 이러한 시장 조성 플랫폼은 네트워크 효과와 이로 인한 수확 체증 현상, 고객 잠김, 그리고 전환 비용 증가로 인해 승자독식 현상(Winner-Take-All)이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우리는 동일한 대상의 거래를 촉진하는 복수의 시장 조성 플랫폼이 공존․경쟁하는 현상도 동시에 관찰할 수 있다. “동일 시장 내에서 복수의 시장 조성 플랫폼은 어떻게 공존 및 경쟁하는가?” 본 연구문제에 기반하여 우리는 우리나라의 음식 배달 플랫폼의 대표 기업인 ‘우아한형제들(플랫폼명: 배달의 민족)’과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플랫폼명: 요기요, 배달통)’의 경쟁 전략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아한형제들’은 보완재 관계의 플랫폼을 흡수하는 전략(Envelopment of Complementary Platforms)과 음식점주(생산자)를 수익영역(Money Side)에서 지원영역(Subsidy Side)으로 전환하는 교차보조 전략(Cross-Subsidization for Producer)을 구사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딜리버리히어로 코리아’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약한 대체재(Weak Substitutes) 관계인 두 개의 플랫폼(요기요, 배달통)을 묶고, 거대 온라인 오픈마켓과 같은 비관련 플랫폼(Unrelated Platform)과의 제휴를 통한 플랫폼 흡수 전략(Envelopment of Weak Substitute and Unrelated Platforms)과 쿠폰·할인권과 같은 소비자에 대한 교차보조 도구 활용(Cross-Subsidization for User) 전략을 전개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두 플랫폼의 전략의 차이와 뛰어난 시장성과는 결국 성장하는 음식 배달 시장의 다양한 사용자의 차별화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으며, 결국 각자의 영역을 구축하였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동시에 2019년 12월에 발표된 두 기업 간 합병은 다양한 플랫폼 흡수 전략과 교차보조 전략을 동시에 수행하는 거대 플랫폼의 탄생을 시사한다. 이는 이상적인 스타트업의 성장 사례라는 평가에도 불구, 독과점 우려를 넘어 음식점주(생산자)의 급격한 협상력 저하 및 그에 따른 소비자 후생 저하의 관점에서 보다 심층적인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Platform, defined as an organization that creates value by enabling interactions, such as exchanges, consumption, and communications, between distinct types of affiliated customers, can be categorized as a market maker, audience maker, and demand coordinator. Specifically, the market maker platform, enables distinct customers to transact with each other, is currently recognized as the most relevant platform type. In particular, despite the well-known phenomena, ‘Winner-Take-All’, originated from network effects, increasing return to scale, customer lockin, and switching costs, we can also observe the co-existence of two or more platforms in the same market. “How do multiple market maker platforms co-exist and compete in the same market?” To solve the question, we conduct a comparative case study to explore the competitive strategies of Woowa Brothers (Tribe of Delivery) and Delivery Hero Korea (Here You Are and Delivery Box) in the food delivery market. From the perspective of platform envelopment and cross-subsidization strategies, we found that Woowa Brothers developed ‘an envelopment of a complementary platform’ and transition of producers from money side to subsidy side, so-called ‘Cross-subsidization for producer’. On the other hand, we observed that Delivery Hero Korea implemented ‘an envelopment of weak substitutes and unrelated platform’ and ‘Cross-subsidization for user’.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firms strategies and their market performance suggests that they have satisfied the differentiated needs of various users in the growing food delivery market and thus, they succeeded to establish their networks. However, the merger between two firms announced in December 2019, will result in the creation of a single mega platforms can perform multiple platform envelopment and cross-subsidization strategies. It raises a concern about the drastic decrease in bargaining power of producers and consumer welfare correspondingly.

      • 인물분석을 통해서 본 「주생전」의 욕망 연구

        박은정 ( Eunjung Park ) 시학과 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31 No.-

        『주생전』 은 17세기를 전후해 권필이 창작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애정전기소설(愛情傳奇小說)이다. 『주생전』 이 창작된 17세기 전후는 급격한 사회변동이 일어났던 시기로 당시의 문학 작품에도 이런 시대적 분위기가 나타난다. 『주생전』 은 기존의 전기소설이 가지고 있던 환상성이 약화되고, 현실성이 강화되는 변모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는 등장인물의 성격에서도 드러난다. 『주생전』 의 등장인물은 이런 사회 변화를 잘 포착하고 있다. 따라서 『주생전』 의 인물을 분석하는 일은 작품 창작 당시의 인물들의 변화 양상을 살피는 길이 되기도 한다.본 연구에서는 이런 변화 양상을 살피기 위해 인물 각각의 묘사를 통한 욕망을 분석 하고자 했다. 인물 분석은 작품에 제시된 인물묘사를 외양묘사, 내면묘사 그리고 인물에 대한 기본 설명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생, 배도, 선화는 각각 다른 욕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생은 몰락한 양반의 모습을 보여준다. 입신(立身)을 위한 학문의 길이 좌절되자, 그 욕망은 사회적 욕망이 아니라 개인적 욕망으로 변화된다. 주생은 강호유람을 하던 중 만난 대상에 대해 구애하는 데 집중하여 그의 욕망이 애정을 갈구하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욕망이 애정을 갈구하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은 선화도 마찬가지다. 명문대가의 여식인 선화는 주생을 만난 순간부터 지속적으로 애정의 욕망을보인다. 작품 속에서 선화에게 일어나는 욕망은 오직 애정으로만 고정되어 있어, 고전 소설의 평면적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기생의 신분으로 등장하는 배도의 욕망은 이들과는 다르다. 배도의 욕망은 신분상승에 있다. 배도의 욕망이 선화에 대한 질투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보다는 신분상승에 대한 욕망이 더욱 크게 부각된다. 그러므로 배도는 하나의 욕망만을 드러내는 인물이 아니라 다면적 욕망을 드러내는 인물로 그려진다.등장인물들의 욕망은 주생전 창작 당시의 시대적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17세기를 전후해 신분에 대한 고정적 관념이 변화되는 상황이 작품 속에 드러나기 때문이다. 특히 배도는 기생의 신분 복원이라는 문제를 제시하는 인물로 당시 사람들 사이에 신분질서가 붕괴되고 있던 현실을 보여준다. 또한 신분상승의 욕망을 통해 기생 신분의 탈피를 보여준 『춘향전』 의 전범이 되는 인물로도 보인다. 주생전 의 배도는 다면적 욕망을 보여주는 인물이라는 측면과 기생의 신분상승 욕망을 보여주는 인물이라는 측면에서 창작 당시의 사회변화를 잘 포착한 인물로 보인다 「Jusaeng-Jeon」 is a kind of “romance-fictional biography novel”that is estimated to have created around the 17th century by the Kwon Pil. The 17th century is a time of rapid social change took place when 「Jusaeng-Jeon」 is created around. Trying to estimate the character of the person at the time of Jusaeng make the change work can be found meaning that you can capture in the works.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portrayal of characters, each with their desire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Jusaeng, Baedo and Seonhwa seem to have different desires.Jusaeng shows just the look of the fall of noble man (“Yang-ban”).Rise in the world for the length of the study and frustrated, Jusaeng will sit back and settle for a comfortable life. Hence the desire of Jusaeng appears in the form that crave affection. The desire to appear in a form that crave affection same is true Seonhwa. Baedo’sdesire to emerge as identification of a “Geisha” is different from them. Baedo has the desire of upward mobility. The desire of Baedo also appear to envy to the Seonhwa, but is highlighted even more dramatically than the desire for upward mobility. Therefore Baedo is drawn to the figures reveals the multifaceted desire, not the person reveals only one desire.The desire of the characters seem closely related to the 「Jusaeng-Jeon」 at the time of creation of contemporary change. In particular Baedo reality show was being status and order collapsed between the person who presents the status as at the time of issue of the restoration “Geisha”. In addition, it seems that people in the typical example of 「Chunhyangjeon」 after a break of a “Geisha”identity through the desire of upward mobility. Baedo of 「Jusaeng-Jeon」 is seen as a good person who captures the creative person at the time of social change in terms of showing the desire of a person upward mobility aspects of “Geisha”, showing the multi-faceted des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