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의 중국식 이름문화 수용 과정의 고찰 - 백제왕과 왕족의 이름을 중심으로 -

        박윤선 ( Park Youn-sun ) 백제학회 2018 백제학보 Vol.0 No.25

        백제왕의 이름은 성씨와 시호 등 중국식 이름 문화를 수용하면서 그 내용과 구성에서 변화를 겪는다. 백제의 전체 시기는 백제왕명의 변화양상에 따라 전통식 왕명시기, 성씨 도입기, 중국식 왕명시기 등의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전통식 왕명시기는 백제왕이 전통방식의 한 개의 이름을 가졌던 시기이다. 시조 온조왕부터 제12대 계왕까지로 즉위 전후나 생전과 사후에 모두 한 가지 이름을 사용하였다. 두 번째는 성씨도입기이다. 백제왕들은 전통방식의 이름과 ‘부여’ 혹은 그 축약형인 ‘여’ 성씨 등의 두 가지 이름을 가졌다. 이때 성명은 전통식 왕명의 이름자를 취해서 성씨에 붙이는 방식으로 만드니, 전통과 신문화의 과도기적 양상이 왕명에서도 그대로 보인다. 근초고왕부터 삼근왕까지이다. 이전시기와 마찬가지로 전통방식의 이름이 일상적으로 사용되었고, 성명은 중국과의 교류 등 특정 경우에 제한적으로 쓰였다. 세 번째는 중국식 왕명시기이다. 동성왕이 시호를 가지게 되면서 백제왕의 이름은 살아 있을 때 사용하는 성명과 사후의 시호 등 두 가지 이름으로 체계화하였다. 하지만 이 시기의 왕명에도 전통성은 남아 있다. 휘를 먼저 만들고, 성씨를 나중에 붙이는 초기 성명 방식의 흔적이 보이며, 전통식의 이름이 존재하기도 하고, 일상적으로 성씨 없이 이름(휘)만으로 지칭되는 것 또한 그러하다. 성씨 도입기에 백제왕은 전통식의 이름을 쓰다가, 즉위 즈음에 중국과 교류상 요구 등의 필요에 의하여 성씨를 넣은 이름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성씨의 사용이 대내외적으로 왕자(王者)임의 과시와 상징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백제에서 왕족집단 구성원 모두가 일상적으로 성씨를 사용한 것이 아니었던 사실은 부계혈족집단의 표지라는 성씨의 내용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백제의 실제 친족집단과 (중국식의) 성씨집단 사이의 괴리가 그 원인일 수 있다. 중국식 왕명시기에도 여전했던 백제왕명의 전통성은 백제사회에서 성씨문화의 이해와 수용의 한계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names of the kings of Baekje undergo a change in their content and composition while adopting Chinese Naming Customs such as family names and posthumous epithets. The history of Baekje can be divided into the traditional name era, early family name era, and the Chinese name era. First, the traditional name era is when the kings of Baekje had a single name according to traditional customs. From the founder King Onjo to the 12th ruler King Gye, rulers would use one name before or after their reign or death. The second era is the early family name era. The kings of Baekje had two names, one of the traditional method and the other using “Buyeo” or the abbreviation “Yeo” as a family name. Names during this time were formed by attaching the first name of the traditional regnal name to a family name, showing the transitory nature of tradition and new culture in the names of kings. This era is from King Geunchogo to King Samgeun. Like the former era, the traditional name was used in daily life, and the family name was added only in certain circumstances such as exchanges made with China. The third era is the Chinese name era. As King Dongsung used a posthumous epithet, the names of kings were systemized into a name during their lifetime and a posthumous epithet. However the names of kings during this time show vestiges of tradition. There are traces of early naming customs such as first names being made first and family names being retroactively attached, traditional names, and being referred to by first name only in daily life. In the early family name era, the kings of Baekje would first use a traditional name and move on to using a full name with a family name around their time of accession, necessitated by occasions such as exchanges with China. The use of a last name would symbolize and display their status as royalty. The fact that not all royal families of Baekje would routinely use a family name shows that the family name as an indication of a patriarchal society was not yet fully realized. This might have been due to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group of royal relatives and the group using family names. The prevalence of the traditional nature of Baekje names show the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and adopting the family name customs.

      • KCI등재

        6세기 중반 고구려와 신라의 통호(通好)와 이나사(移那斯)ㆍ마도(麻都)

        박윤선(Park Youn-sun) 한국역사연구회 2010 역사와 현실 Vol.- No.77

        Until about the contact times in the middle of the 6<SUP>th</SUP>century, there were no friendly interchanges between Koguryeo and Shilla for approximately 100 years, and their relationship was mostly hostile. Not only that, but at 551 which is thought to be right before the contact times, Shilla and Baekje joined hands with each other and took away the territory of Koguryeo near the Han river. Right after that, Shilla and Koguryeo allied with each other. But at this time, Inasa and Mado, who were at Alla, took the risk of having trouble with Baekje and stuck to Shilla. Under the pressure of Baekje, they were also trying to have liaison with Koguryeo. Koguryeo, with problems in and out of borders, could not actively react to the attack of Baekje and the Shilla-Gaya forces. At that time, breaking the relationship of Shilla and Baekjae must have been the most effective solution that Koguryeo could come up with. Since Inasa and Mado not only stayed at Alla but also had very accurate information from the constant connection with Shilla. Also, it is thought that the effort of them to get away from the threats of Baekje and change the situation made the liaison of Koguryeo and Shilla possible.

      • 궤양성 직장염은 치료에 관계없이 전대장염으로 진행하는가?

        박윤선 ( Youn Sun Park ),장병익 ( Byung Ik Jang ),김태년 ( Tae Nyeun Kim ) 영남대학교 기초/임상의학연구소 200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4 No.2S

        Background:The incidence of Ulcerative colitis (UC) in Korea are low compared with those of Western countries, but have been increasing rapidly during the past decade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UC in Asian population are not well recogniz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course of UC in Korea. Material and Methods:We retrospectively analyzed 211 UC patients first diagnosed and long term follow up colonoscopic examined at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between 1989 and 2006. We reviewed extension of lesion by follow up endoscopic finding and symptom depend on treatment. 1) Results: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 : 1.1 and the median age at diagnosis was 46.0 years (range, 17-83 years). At diagnosis, proctitis was noted in 70 patients (33.2%), proctosigmoiditis in 40 (19%), left-sided colitis in 22 (10.4%), extensive colitis in 79 (37.4%). Further extension in the colon was most fre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proctitis (22.8%). In the patients initially diagnosed with proctitis, 28.6% of the patients were not taking any kind of medication for UC and 54 patients (77%, treatment group 34 patients, untreatment group 20) had not progress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56 months, range 2-193 months). The maximal extent of the disease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 (P = 0.99). Conclusion:The initial extent of the disease in Korean UC patients was similar to that found in other Western studies. In the present study, most of limited UC(proctitis, proctosigmoiditis, 77-82%) did not progress to extensive colitis regardless of treatments, but large scale multicenter analysis was needed.

      • KCI등재

        도일(渡日) 백제유민(百濟遺民)의 정체성 변화 고찰

        박윤선(Park Youn-sun) 한국역사연구회 2012 역사와 현실 Vol.- No.83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identity changes the Baekjae migrants (refugees) went through after they lost their home country, is to determine how the status of the Baekjae migrants changed, and decide how to portray them in the history of the Baekjae dynasty. A ‘social identity’ means ‘self- definition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When Baekjae fell and Baekjae migrants massively moved to Japan, ancient Japan was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constitutional country under the power of the Japanese Emperor,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identity of ‘Japanese’ and the concept of ‘Japanese consciousness,’ which would treat Baekjae migrants as ‘others,’ were just being developed. In other words, when the Baekjae migrants settled down in Japan, there was not a strong sense of ‘identity’ in the Japanese society. So, ancient Japan actively incorporated Baekjae migrates into its own society. Baekjae migrants were mostly members of the Revival army which resisted the Shilla-Tang alliance, so immigration to Japan was obviously done actively and enthusiastically. Also, the constant cultural exchange with Japan established a cultural, religious, and linguistic similarity, and such historical conditions would have contributed to the Baekjae migrants’ adaptation to the ancient Japanese society. By analyzing the perspective of the Baekjae migrants which can be called ‘self-definition,’ and the attitude of the ancient Japanese society toward the Baekjae migrants that can be called ‘definition by others,’ we can see that the Baekjae migrants, especially the ruling class, adapted remarkably easily to the new society. The adaptation and assimilation to a new society was a process of acquiring a new social group identity, and also a process of losing the original one as Baekjae citizens. This process also coincided with the construction of a law-governed state in ancient Japanese society.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주시경의 삶과 학문의 세계 삼국시대 명문을 가진 소금동불상 분석을 통한 고대인의 불교신앙생활

        박윤선 ( Youn Su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삼국시대 불상 가운데 현재 가장 많이 남아 있는 것은 소금동불이다. 소금동불은 주로 불상만 독존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들 불상에는 뒤에 광배꽂이가 남아 있어 원래는 광배가 만들어졌음을 보여주는 예가 상당수 있다. 현전하는 명문이 있는 소금동불상은 9건에 불과하지만 삼국시대 사람들이 주로 광배에 명문을 기록했던 점을 고려하면 광배를 잃어버린 소금동불 가운데에는 명문을 가진 불상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명문의 내용은 부모나 처 등 근친자의 추복을 기원하는 소원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현재 부모를 위해서 혹은 자신이 부처를 만나 불법을 듣기를 바라는 등 모두 개인적 소원 성취가 조상의 목적이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삼국시대 사람들은 소금동불상을 만들면 그 공덕으로 자신의 소원을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이 상당히 퍼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 소금동불은 주로 탑이나 사찰에서 발견된다. 불상이 탑 속에 사리장엄으로써 다른 장엄구와 함께 안치되었거나, 또는 사찰 어딘가에 있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유점사 본전인 능인보전의 주존으로 예배의 대상이 되어 온 53개의 소금동불상들, 사찰 혹은 금당의 구현인 석굴에 천불이 모셔진 예 등을 볼 때 현세 천불 가운데 하나인 연가7년명 등의 금동불상들이 사찰의 전각에 모셔져 예배의 대상이 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삼국시대 명문 소금동불상은 근친자의 추복을 위해 만들어진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들 추복을 바라는 소금동불상들도 53불이나 천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찰의 전각과 같은 일정한 장소에 모셔져 예경되었을 것이다. 이들 불상 중 석가상이 압도적 다수를 점하고 있는 사실은 당시 불교신앙에서 석가가 중심적 지위였던 점을, 그리고 명문에서 보이는 불교 이해의 불완전성은 소금동불 조성자들을 비롯한 삼국시대 사람들의 불교이해 수준이 아직 충분하지 못한 점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Small Gilt Bronze Buddha statues are found in pagodas as parts of the sarira or temples. Considering that the Yoo Jum temple``s 53-Buddha statues are enshrined in Yoo Jum temple as the main Buddha statues and became as an object of reverence and the example of 1000-Buddha statues`` cave of the Long Mun caves temples, the Yeon Ga 7th year``s inscription-Buddha statue and other 1000-Buddha statues have a high probability of being enshrined in a temple. Also the Buddha statues of praying for repose of the deceased, which take up the most part of miniature gilt bronze Buddha statues with inscriptions, were probably taken to a certain place in the temple and worshiped. This is similar to the examples of the 53-Buddha or 1000- Buddha. The reason why the construction of Won Chals(temples for praying for repose of the dead) were popular among the aristocrats is probably same as people without such financial abilities made small gilt bronze Buddha statues and prayed for the dead. These statues were enshrined in the temple and revered. From this we can see that in aristocrats or in peoples of lower social status, praying for the dead by building Buddha statues was popular,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cale. The primary motive of building Buddha statues was to revere the dead, and the popularity of the Siddhartha statues as objects of wishing can be inferred from its high share of the Buddha statues.

      • KCI등재

        백제 인명의 이해 시론 - 막고와 해를 중심으로

        박윤선 ( Park Youn-sun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1

        본고는 백제인명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막고`와 `해`의 분석을 통하여, 백제인명의 구조와 성격의 이해를 시도해 보았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막고와 해는 사회적 역할과 지위를 보여주는 명칭 및 그러한 역할과 지위에서 비롯된 존칭으로, 우리 고유의 명칭이었다고 추론된다. 인명 안에서 그들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앞에 오기도 하고, 뒤에 위치하기도 하는데, 위치가 달라도 동일한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백제 인명은 여러 가지 사회적 지위와 역할을 보여주는 명칭으로만 구성되기도 하였다. 고대사회에서 성씨는 그 소유자가 특권계층임을 보여주는 표식이기도 했다. 성씨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도, 인명은 사회적 위상을 드러내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대성팔족의 하나인 해씨는 본래 존칭이었던 `해`가 성씨화한 것이라 판단한다. 동성자막고 등에서 보이는 `동성(자)`은 성씨화의 중간단계의 모습을 드러내는 생생한 사례라 이해된다. `해`와 `동성(자)`의 인명은 백제사회에서 성씨가 자생하여 발전해간 모습을 보여준다. This manuscript attempts an understanding of Baekje personal nam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names “Makgo” and “Hae”, names that repeatedly appear in Baekje records. “Makgo” and “Hae” are identified both in front of and behind personal names, and can be presumed to have functioned as unique titles that indicate social status and roles. These titles do not have a set place in personal names. Personal names did not necessarily include given names. In comparison, titles that indicate social status or role are included in names in various forms. In ancient societies, the ownership of family names itself was an indicator of a selected social elite. Thus even without the use of family names, such titles would serve the purpose of identifying social status. There are instances in Baekje names such as “Dongsung (ja)” that show an intermediate stage of development into a family name. There are also instances like “Hae” that show a development from an honorific title into a family name. These are examples of a spontaneous generation and development of family names in Baekje society on the road to a more widespread culture of such.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사학(史學)) : 중국 남조의 사찰명 분석을 통해 본 남조불교의 특징 -백제 불교 이해를 위한 전제-

        박윤선 ( Youn Sun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1 韓國思想과 文化 Vol.56 No.-

        현재 확인 가능한 중국 남조 사찰명을 분석하여 분류를 시도해 보았다. 크게 명칭형과 종교형으로 양대분하고, 명칭형은 다시 지명형과 인명형으로 구분했다. 종교형은 다시 인간의 보편적 기원이나 전통신앙에서 유래된 용어를 쓴 사찰명과 불교적 용어를 채용한 사찰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동진이전의 사찰 건립 초기에는 지명과 인명 중심의 명칭형이 다수를 차지했는데, 그것이 남조대에 이르면 지명형부터 크게 줄어들기 시작하여, 남제대에는 인명형마저 그 비중이 미미해지니 이제 종교형이 절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양대에는 종교형 가운데에도 불교형 이름의 비중이 가장 높아지게 되었다. 사찰명의 시대적 변화는 중국에서 불교 이해가 점차 깊이를 가지게 되어 가는 양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지명이나 인명 등을 채용한 사찰명은 과도기적인 양상으로 이러한 이름은 곧 사라질 것이 예견되는 것이었다. 종교형 사찰명 가운데 전통신앙형 역시 순차적으로 불교적 용어에 밀려서 후퇴되었어야 하겠지만, 견고한 역사적·철학사상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 중국의 전통 철학 사상은 오히려 불교에게서 변용을 이끌어냈고, 그러한 사정은 사찰명에도 반영되었다. 전통신앙적 성격의 용어가 이후에도 사라지지 않고 계속 사찰명에 채용되었으며 마침내 일반화되기에 이르른 것이다. 남조대는 불교가 중국의 전통사상과 신앙의 기반위에서 이해되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와 같은 사실이 사찰 명칭에서도 다시 한 번 확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불교가 백제에 전해졌다. 백제는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였고, 그 이후에도 백제는 주로 남조와 교류하며 정치·외교적으로, 또 문화적으로 남조의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백제 불교 역시 남조 불교의 영향이 적다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서 남조 불교가 중국 전통 사상·철학과 긴밀하게 얽혀 있었다는 사실은 백제 불교의 모습을 추론하는 데 참고할 필요가 있다. 백제에 수용된 불교는 백제에서 또 다시 백제의 전통적인 철학사상·신앙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성장해 갔을 것이다. 수용 초기의 불교와 백제에서 일정한 시간을 지난 불교 사이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백제가 처음 수용한 불교, 그리고 그 이후 백제불교에 영향을 주었을 남조 불교가 여전히 도교 등 전통사상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는 점, 그리고 불교를 수용한 백제 사상계의 기반이 불교의 그러한 요소와 친연성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수용기뿐 아니라 이후의 불교에서도 전통신앙적 요소는 엄연히 존재하였을 것이다. 즉 백제에서 불교는 도교 등 중국 전통사상·신앙적 요소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한 적이 없이 늘 함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I tried the analysis and the categorization of the temple names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China. First, I categorized them into name type and religion type. Then, I categorized the name type again into region-name type and person-name type. Finally, I categorized the religion type into general religious term type and Buddhist term type. In the early days of building temples, before East Jin Dynasty, many of the names were name type. However, as it reached the Southern Dynasties, name types rapidly decreased, starting with the region-name type. At the NamJae period, the person-name type decreased too, and religion type held a huge proportion. At the Yang Dynasty, the Buddhist term type held the largest proportion. The change of temple names along times reflects the deepening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China. The temple names using the names of people or regions were a transition period, and were deemed to disappear. Out of the religion types, the general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must have retreated gradually because of the Buddhistic term type names, but the Chinese traditional religion with its strong historic and philosophical roots actually changed Chinese Buddhism, and it was shown likewise on the names of the temples. The traditional religious term type names didn`t disappear and were constantly used for the temple names and it was gradually generalized. The Southern Dynasties period is when Buddhism is understood on the basis of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religion, and it was reflected directly to the temple names. This kind of Buddhism was accepted to Baekjae. Baekjae embraced Buddhism from East Jin, and even after that, Baekjae mainly interchanged with the Southern Dynasties and was influenced very much in political, diplomatic, and cultural ways. The Buddhism of Baekjae also was influenced very much by the Buddhism of the Southern Dynasties. In that point we need to remember that the Southern Dynasties` Buddhism is very much intertwined with traditional Chinese ideas and philosophy when inferring the form of Baekjae`s Buddhism. The Buddhism accepted by Baekjae must have developed while exchanging influence with th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of Baekjae. The early times of Buddhism in Baekjae and Buddhism in Baekja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should have some difference. However if we think of the fact that Buddhism first accepted in Baekjae, and the Buddhism after some time later still contained some traditional content such as Taoism, and the fact that the base of Baekjae ideas had affinity with such content in Buddhism we can deduce that Buddhism in the accepting times and after still contained elements of traditional religion. Thus it is thought that in Baekjae, Buddhism was never separated from Chinese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such as Taoism and was always together.

      • SCOPUSKCI등재

        소장 크론병의 PET-CT 경험 1예

        박윤선 ( Youn Sun Park ),김국현 ( Kook Hyun Kim ),최재원 ( Jae Won Choi ),은종렬 ( Jong Ryul Eun ),장병익 ( Byung Ik Jang ),김태년 ( Tae Nyeun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06 Intestinal Research Vol.4 No.1

        Endoscopic and radiologic studies are frequently required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to determine disease activity, extent of disease, and delineating typ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using fluorine-18-fluoro-deoxyglucose to identify metabolically active tissues may offer a simple noninvasive alternative to conventional studies in identification and localization of active intestinal inflammation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Crohn`s disease can also be detected by PET-CT. In this case, we discribe a small bowel Crohn`s disease with PET-CT finding. There was intensely increased fluorine-18-fluoro-deoxyglucose uptake in terminal ileum area. (Intestinal Research 2006;4:57-60)

      • KCI등재후보

        백제 국제관계사 연구동향과 시기구분 시론

        박윤선 ( Youn Sun Park ) 백제학회 2015 백제학보 Vol.0 No.13

        백제의 대외관계, 즉 국제관계 관련 연구는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상당 수준에 올라 있다. 그러나 아직 어떤 내용을 백제의 국제관계 연구라 해야 할지 보편적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토 대상의 범위를 한정하는데 어려움을 느꼈다. 이에 본고는 백제의 국제관계사를 관계사의 주체인 백제와 객체인 상대국가의 변화를 기준으로 시기 구분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백제 국제관계 관련 연구의 범위와 백제국제관계사에서 획기가 되는 중요 사건들을 확인하고, 그 중요 사건들과 관련된 연구성과로 검토대상을 한정하였다. 백제의 국제관계사는 우선 주체인 백제가 어떠한 상태였는지 즉 국가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고대국가 완비이전단계와 고대국가단계 그리고 멸망이후 등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교류주체인 백제의 국가단계의 확인과 의식은 시기적 구분의 기준이 됨과 동시에, 동일시기 안에서 국가적(공적) 주체뿐 아니라 개인적(사적)주체의 구분에 의해 백제 국제관계사 전체를 보다 구조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하였다. 다음으로 핵심단계인 고대국가단계 전체 시기는 관계의 객체인 상대국에 따라 양분하였다. 백제가 가장 중시했던 국가가 그 기준이 되는데, 백제의 국제관계에서 고구려를 가장 중시했던 관산성전투 이전시기(제Ⅰ기)와 신라를 가장 중시했던 그 이후 시기(제Ⅱ기)가 그것이다. 그리고 Ⅰ, Ⅱ기는 각각의 시기에서 그 다음으로 중시되었던 신라나 고구려와의 연맹 혹은 연합 관계를 기준으로 양분되었고, 다시 그 하부의 시기구분기준으로는 각각 가야와 중국의 통일왕조 수 당이 작용했다. 이렇게 획기의 기준이 되는 연구내용으로 한정하여 연구동향을 약술하고자 하였으나, 그 외 기존 연구에서 많이 다뤄졌던 남조와의 관계 등의 관련성과에 일정하게 지면을 할애하지 않을 수 없었다. 대분기의 기준이 되었던 국가부터 소분기의 기준국가의 순서대로, 즉 Ⅰ기의 경우 고구려, 신라, 가야의 백제국제관계에서의 비중이 차례로 낮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기준으로 작용했던 국가와의 관계범위와 그렇지 않았던 국가와의관계는 그 성격이 본질적으로 달랐다고 생각된다. Research on Baekje’s foreign relations (international relations) has reached both a considerabl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evel. However the lack of a general standard to determine whether a certain material is research on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 or not causes hardships in confining the range of examinable material. This article therefore attempts to chronologically classify Baekje’s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based on the change of the subject Baekje and object, the corresponding nation’s relationship. In this process, I have ascertained the main events that act as milestones in Baekje’s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e range of research on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 and limited the range of examinable material to research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mian events. Baekje’s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tes according to the subject Baekje’s status as a country. Thus I have divided the history into before Baekje was an ancient country, when it was an ancient country, and after its demise. Next, I divided the main state, when Baekje was an ancient country, into two according to the object, the corresponding nation. The standard is which country Baekje most concentrated on, Koguryeo before the Kwansanseong-battle era (Era 1) and Shilla(Era 2) after that. Era 1 and 2 are respectively divided according to the alliance or league like relationship with the next most important Koguryeo or Shilla, and the standard of division for that substructure is Gaya and the united Chinese dynasty Sui and Tang. I attempted to provide a brief account of the trend of research by limiting it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milestones, but I couldn’t overlook the relationship with the Southern Chinese dynasties that had been the topic of previous research several times. The importance of a country in Baekje’s international relations declines from the standard country of the big division to the standard country of the small division, thus in Era 1 from Koguryeo, Shilla, and Gaya. Also the relationship of a country that acted as a standard and one that did not is deemed to be intrinsically different.

      • KCI등재

        무왕대 전반기 삼국의 각축과 백제의 외교

        박윤선(Park Youn-sun)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3

        백제와 신라 사이에는 6세기 중반이후 적대관계가 설정되었다. 백제는 신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로부터 한강유역을 되찾았으나, 신라가 백제를 배신하고 한강유역을 독차지한 것이다. 백제와 고구려 관계는 근본적인 변화가 없었다. 빈번하지는 않지만 백제와 고구려가 6세기 후반에도 7세기 초에도 여전히 서로 대적하고 있는 사실이 확인된다. 백제와 고구려의 무력충돌이 이전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든 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백제가 이전과 달리 고구려뿐만 아니라 신라와도 대립하게 되었다. 국경을 마주하고 있어 직접적인 충돌을 피할 수 없으며, 회복한 한강유역을 독차지하고, 성왕마저 전사시킨 신라와의 원한이 백제로서는 더욱 다급하였을 것이다. 백제는 이러한 신라와 효과적으로 대적하기 위해 고구려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였다. 그러는 한편 백제는 고구려와 서북 변경을 접하고 있어 고구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북조 왕조들, 그리고 수나라와의 적극적인 외교활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고구려를 견제하는 정책을 추진하였다. 7세기에 들어서면 고구려가 적극적으로 대남 공세를 펴 나갔다. 이제 백제, 고구려 그리고 신라 삼국은 독자적으로 서로를 대적하였다. 본격적인 삼국각축의 시기에 들어선 것이다. 이러한 삼국 각축 시기의 전개에는 신라의 국가적 성장, 이를 배경으로 하는 한강유역 확보와 그로 인한 중국왕조와의 직접 통교 가능 등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제 신라까지도 고구려와 백제를 대적하는데 중국왕조와의 외교관계를 이용하게 되었다. 신라가 국제적으로도 고구려 백제와 비등한 국가적 위상을 갖추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백제는 수와의 외교를 이용하여 고구려를 견제하였다. 백제가 고구려와 수나라 사이에 兩端策을 썼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양단책설의 근원인 『수서』 권81 열전 백제조 사료와 기타 관계 사료를 검토해 볼 때, 『수서』의 주장은 백제 양단책의 결정적인 증거로 삼기 부족하다. 또한 당시 정황상 백제가 고구려와 연화할 적극적인 필요성을 찾기도 어렵다. 백제가 양단책을 썼다는 것은 백제가 수나라의 고구려정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않은 것에 대한 수의 입장에서의 해석이며 주장으로 생각된다. 백제가 신라를 효과적으로 대적하기 위해 고구려와의 직접적인 대결을 피하고, 고구려 견제를 수와의 외교를 통해 해결하는 등 백제와 신라, 백제와 고구려, 그리고 백제와 수의 관계는 서로 맞물려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무왕대 백제와 왜의 관계는 이들 관계의 연결고리와 연계 없이 별개로 존재한다. 즉 백제의 외교 범위에는 서로 다른 차원의 범위가 존재하였던 것이다. From the late 6th century, Baekje and Shilla had a hostile relationship. Shilla, which combined forces with Baekje and took the Han river area from Koguryeo, betrayed Baekje and took the Han river area for itself. The relationship of Baekje and Koguryeo didn't change much. There is evidence that shows in the late 6th century and the early 7th century that Baekje and Koguryeo were still confronting each other. From the 7th century Koguryeo started actively taking the offensive against the south. By then, Baekje, Shilla, and Koguryeo independently confronted each other. Shilla had risen to the level in which it can use the relationship with the Chinese dynasty to confront Baekje and Koguryeo. From this we can imply Shilla has obtained a position which is equal to that of Baekje and Koguryeo internationally. Baekje used the diplomacy with the Sui dynasty to check Koguryeo. There is a hypothesis which says Baekje used the Yang-Dan policy between the Sui dynasty and Koguryeo. However, if we analyze the source of this hypothesis, the book ?Sui Seo?No.81 and other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the assertion that Baekje used the Yang-Dan policy was a translation in the Sui dynasty's point of view of Baekje not helping the Sui dynasty to attack Koguryeo and is only an opinion. In order to confront Shilla efficiently, Baekje avoided clashes with Koguryeo, and used the diplomacy with Sui to check Koguryeo. As we can see, the relationships of Baekje and Shilla, Baekje and Sui, and Baekje and Koguryeo are all linked with each other. As opposed to this, the relationship of Baekje and wae exists with no links with other relationships. That is to say, Baekje's range of diplomacy had ranges of different dimen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