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타액선 질환의 조영촬영법과 방사성동위원소 스캔법을 이용한 임상적 연구

        박윤경,이상래,황의환,Park Yun-Kyoung,Lee Sang-Rae,Hwang Eui-Hwan 대한영상치의학회 1999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ed the characteristic radiographic features in salivary gland diseases by means of sialography and scintigraphy. Sialograms and scintigrams with diseases of salivary gland were examined. In this group were 5 salivary stones, 14 sialadenitis, 17 Sjogren's syndromes and 8 benign tumor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hape of main duct, those revealed that modified curvilinear and curvilinear types were predominant in Sjogren's syndromes but reverse sigmoid and angular types were in sialolithiasis and sialadenitis combined with sialodochitis. 2.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urse of main duct, those revealed that smooth types were predominant in sialadenitis and irregular types were predominant in Sjogren's syndromes and benign tumors and irregular types were seen in all salivary stones and sialadenitis combined with sialodochitis, 3. In the type of intraglandular pattern, those revealed that destructive changes of salivary duct system and parenchyma were severe in sialadenitis and salivary stones and predominantly severe in Sjogren's syndromes. 4. The function of salivary gland was decreased severely in Sjogren's syndrome. and also decrease in salivary stone and sialadenitis. In benign tumor, the uptake of radioisotope was not seen in lesion and the function of salivary gland decreased in its remaining normal parenchyma.

      • KCI등재

        초·중등 교사의 문화다양성과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

        박윤경 ( Yun Kyoung Park ),성경희 ( Kyung Hee Sung ),조영달 ( Young Dal C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8 시민교육연구 Vol.40 No.3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dentify the various aspects of teachers` attitude on cultural diversity and to verify the its relationship with their attitude o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the survey on 894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attitude on cultural diversity includes three elements; know, emotion, and action. And attitude o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ans teachers` interests, acceptance, care, expectation on them. According to our survey, female teachers, teachers in their 30s, and teachers from rural area located school and elementary school have more positive attitude on cultural diversity. Seco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to teach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get some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re more positive especially on ``know`` aspects. Third,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 tends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teachers` attitude o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base of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program must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nd it`s also needed to develop multicultural materials for teachers to give information on diverse cultural groups in our society.

      • KCI등재

        다문화교육 질적 연구의 동향과 과제

        박윤경 ( Park Yun-kyoung ),박선운 ( Park Sunu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21 교육인류학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국내 다문화교육 분야의 질적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0년까지 다문화교육, 질적 연구 및 사회과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4개에 실린 논문 125편을 크게 연구 영역, 연구 참여자, 연구 방법 및 연구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교육의 연구 영역 중에서 인종·민족 영역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특히 결혼이주 가족구성원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의 측면에서는 학생 관련 연구가 가장 많고 그중에서도 대학생 이상 성인과 초등학생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일반적 질적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자료 수집 방법으로는 심층면담이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었다. 연구 패러다임의 측면에서는 다문화교육 관점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연구들이 많았고, 그다음 다원주의나 동화주의 관점을 반영한 연구들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 질적 연구의 영역 및 참여자 확장, 질적 연구 방법의 다양성 및 엄밀성 제고, 그리고 연구 관점의 명료화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To this end, 125 articles published in four journals from 2003 to 2020 were analyzed, focusing on research areas, participants, methods, and research paradig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ace and ethnicity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research area. Second,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adult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among the research methods, basic qualitative studies were conducted the most, and the in-depth interview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Lastly, studies that did not clearly reveal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the most followed by studies that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pluralism or assimilationism.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qualitative research areas and participants in multicultural education, enhancement of diversity and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clarification of research perspectiv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관련 인식이 교육과정 재구성에 미치는 영향

        박윤경 ( Yun Kyoung Park ),정종성 ( Jong Seong Jeong ),김병수 ( Byoung Soo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6 초등교육연구 Vol.29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관련 인식(만족도, 이해도, 재구성의 필요성)이 교육과정 재구성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 그 관계가 교사들의 교직 경력 및 교육과정 연수 경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국 9개 지역 19개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교사들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만족도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교육과정 재구성 정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이해도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 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교육과정 재구성 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직 경력과 연수경험을 조절 변인으로 설정하였을 때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 인식과 교육과정 재구성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가 밝혀졌다. 다섯째, 교육과정 재구성 필요성인식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직 경력이 21년 이상인 교사들과 교육과정 관련연수 경험이 없는 교사들에게서 유의한 매개 효과가 발견되었다.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은 첫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 만족도와 교육과정재구성 필요성 인식 간의 상관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둘째, 교육과정 이해도와 교육과정 재구성 간의 관계는 긴밀하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조절변인으로 인해새로 밝혀진 경로는 교사의 PCK, 생애사 등의 연구를 통해 새로운 인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정도가 어떤 매커니즘에 의해 결정되는지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hs o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tisfactions and understandings of curriculum and their perceptions of ne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ffect actual curriculum reconstruction. Additionally, years of teaching and experiences i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analyzed as moderating variables. A total of 297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atisfaction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ir perceptions of ne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but not on actual curriculum reconstruction. Second, teachers’ understandings of curriculum did not affect their perceptions of ne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actual curriculum reconstruction. Third, teachers’ perceptions of ne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actual curriculum reconstruction. Fourth, significant paths were found regarding years of teaching, teachers’ perceptions of need for curriculum reconstruction, and actual curriculum reconstruction. Fifth, significant mediating influences were identified for teachers with more than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ers with no inservice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were described regarding the mechanism in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tually reconstruct curriculum.

      • KCI등재

        미국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인구 교육 내용 분석: 사회과 인구 교육에의 시사점 도출

        박윤경 ( Yun Kyoung Par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4

        이 연구는 미국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인구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구 정책 주도적인 우리나라 사회과 인구 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초등학교 3, 4, 5학년 사회 교과서 1종에 대한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초점은 인구 교육의 주제와 내용 요소, 목표, 가치 접근 방식 및 수준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교육 내용은 독립된 단원이 아니라 여러 단원에 걸쳐 제시되고 있으며, 공동체의 유형, 인구 이동을 통한 도시와 지역 및 국가의 성장과 변화, 다양한 사람들이 공존하는 미국 사회와 같은 사회과의 주요 주제와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뤄지고 있다. 둘째, 주요 내용 요소는 인구 이동, 인구·인구 규모, 인구 구성, 인구 분포 및 인구 밀도, 인구 성장 및 인구 변화의 순으로 제시되며, 인구 문제와 인구 정책에 대한 내용은 적은 편이다. 셋째, 주요 목표는 인구 현상에 대한 지식 이해를 바탕으로 기능 습득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제시된다. 넷째, 인구 교육의 가치 접근 방법은 가치배제 접근과 가치 지향 접근이 주를 이루지만, 인구 현상에 대한 대안적 설명과 다양한 입장을 제시하거나 학생의 의견을 묻는 가치중립 접근 방식도 제시되고 있다. 다섯째, 내용 수준은 국가, 세계, 지역, 개인 수준의 순으로 제시되는데, 특히 인구 현상을 개인의 선택이나 경험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있는 개인 수준의 내용들이 제시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과 인구 교육의 내용 선정 및 제시 방법과 관련하여 인구 교육 주제의 다양화, 가치 중립적 접근, 개인 수준에 대한 고려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an alternative approach to population educ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a content analysis on social studies textbooks (3rd, 4th, & 5th grade) was performed. Main focuses of analysis were topics, content, goals, value approaches, and levels of population educat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topics of population education included 1) types of community, 2) the growth and change of cities, states and the nation, and 3) the diversity of American society. Second, related to content, population movement, population and population size, population composition, population distribution and density, and population growth and change were the most covered respectively, but population problems and policies were the least covered. Third, related to goals, population content explicitly focused on knowledge and skills, not on value and attitude. Fourth, related to value approach, value-free and value-oriented approaches were highly found, but the value-neutral approach was not often found. Fifth, related to levels, national, global and regional levels were the most covered respectively. However, an individual level was also taken into conside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ideas for improving the pedagogical approach to select, compose, and describe population content were suggested.

      • KCI등재

        지역 사회의 문화다양성 및 외국이주민에 대한 태도: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박윤경 ( Yun Kyoung Park ),류상희 ( Sang Hee Ryu ),이은주 ( Eun Joo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3

        이 연구는 지역 사회의 문화다양성 및 외국이주민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두 태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부터 노인층까지의 충북 지역 주민 2,318명을 표집 하여 설문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의 문화 다양성 및 외국이주민에 대한 태도는 중간 이상의 긍정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 대상의 연령과 주민 유형에 따라 문화다양성 태도와 외국이주민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문화다양성 태도와 외국이주민에 대한 태도 사이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문화다양성 태도는 외국이주민에 대한 태도의 수용성 영역과, 외국이주민에 대한 태도는 문화다양성 태도의 정의적 영역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주민을 위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지식과 정보 노출 기회 확대, 인종 태도 관련 프로그램 제공 및 연령대별로 차별화된 프로그램 제공 등을 다문화적 환경 조성을 위한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attitudes toward cultural diversity and foreign immigrants, and 2) to examine the corelation between attitudes toward cultural diversity and foreign immigrants. The data sampling for the "A research for the policy of cultural diversity in Chungbuk" conducted in 2014 were utilized. Survey participants included all age groups and residents of rural and urban area.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Attitudes toward cultural diversity and foreign immigrants of Chungbuk residents turned out slightly positive. 2) Age and immigrant experience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influence attitudes toward cultural diversity and foreign immigrants. 3)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ttitudes toward cultural diversity and attitudes toward foreign immigran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several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학교민주주의 진단을 위한 지표 개발 : 충북 지역 학교를 중심으로

        박윤경 ( Park Yun-kyoung ),김명정 ( Kim Myung-jung ),유혜영 ( Yoo Hye-young ),이수정 ( Lee Su-j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충북 지역을 중심으로 학교민주주의 실태를 진단하고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지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 초점 집단 면접 및 정책 포럼의 과정을 거쳐 지표를 개발하고, 충북 지역 학교의 교사, 학생,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표본 조사를 수행하여 지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통계적으로 검증했다. 구체적으로 학교민주주의 지표는 크게 민주적 제도, 민주적 문화, 민주시민교육으로 대범주를 구성했다. 첫 번째, ‘민주적 제도’ 범주는 다시 민주적 학교 제도의 존재 유무(16개)와 민주적 제도의 운영(교사 대상 7개, 학생 대상 9개, 학부모 대상 4개)으로 구분하여 지표를 구성했다. 두 번째, ‘민주적 문화’ 범주는 자유(5개), 평등(5개), 관용(4개), 효능감(2개), 참여(4개), 의사결정구조(3개), 공동체 의식(2개)을 중심으로 지표를 구성했다. 세 번째, ‘민주시민교육’ 범주는 교실수업(3개), 교실밖 비교과(3개), 사회연계(2개)로 나누어 지표를 구성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용, 학생용, 학부모용 조사 도구를 만들어 표본 조사를 실시하고 신뢰도 검사 및 확인적요인 분석을 수행한 결과, 학교민주주의 지표 구성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민주주의 지표 활용시의 유의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indicators for diagnosing school democracy in Chung-buk province areas,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indicators. School Democracy indicators wer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literature review, Delphi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and policy forums. Subsequently, a sample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of schools in Chungbuk to statistically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dicators. In this Study, School Democracy indicators involve three categories: Democratic Institution, Democratic Culture, Democratic Civic Education. First, ‘Democratic Institution’ category is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the existence of democratic school system(16 items) and the operation of democratic institutions(7 items for teachers, 9 items for students, and 4 items for parents). Second, ‘Democratic Culture’ category includes freedom(5 items), equality(5 items), tolerance(4 items), efficacy(2 items), participation(4 items), decision-making structure(3 items), and community consciousness(2 items). Third, ‘Democratic Civic Education’ category is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lessons in classroom(3 items), nonsubject activities(3 items), community-based school activities(2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some considerations for the use of school democracy indicators and a follow-up study.

      • KCI등재

        민주적 학교공동체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윤경 ( Park¸ Yun-kyoung ),이혁규 ( Lee¸ Hyugkyu ),박새롬 ( Park¸ Sae-rom ),심소현 ( Sim¸ So-hyun ),박경수 ( Park¸ Kyung-s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민주적 학교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진이 연수의 전문가위원 및 운영진으로 연수의 개발, 실행 및 평가의 전 과정에 참여하여 그 과정을 기록하고 연수 과정에서 산출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연수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내용, 방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의 측면에서, 대학 및 현장 학교의 전문가들이 개발 주체로 참여하여 협력적인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바탕으로 연수의 방향과 내용을 설정함으로써 연수의 민주성과 현장성의 원리를 구현하였다. 또한 실행 연구의 방식으로 프로그램의 개발-실행-평가-재실행의 나선형적인 순환 과정을 거쳐 연수의 지속적인 개선 및 질 관리를 담보하였다. 다음으로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의 측면에서, 연수 참여자들이 민주적 소통과 협력, 문제 해결 과정을 활동형 프로그램을 통해 체험하고 민주시민교육 실천 사례를 공유하는 실천 지향 체험형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teacher training program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programs that were developed to strengthen teacher competence as a member of the democratic school community.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participated in the entire process of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training program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process,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ogram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program development, professors and teachers participated as equal subjects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training programs based on collabora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ddition, continuous improvement and quality management of the training programs were ensured by undergoing a spiral cyclic process consisting of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re-implementation. Next,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training program, the program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actice-oriented experiential methods in which participants experienced democratic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through activities and shared practice cas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Based on these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were proposed.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 조사

        박윤경 ( Yun Kyoung Park ),정종성 ( Jong Seong Jeong ),김병수 ( Byoung Soo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인식 및 재구성 실태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 전문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전국 9개 지역 19개 초등학교의 교사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성격을 학교 현장에 맞게 교사가 변형하거나 새롭게 생성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의 중요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 활용 사이에는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 교사들이 수업을 잘 하는데 국가수준 교육과정을 잘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교육과정 활용도 및 이해도를 높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의 여러 영역들 중에서 교육 목표나 내용보다는 교육 방법 및 평가 방법의 재구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주로 교육 방법을 중심으로 한 차시나 한 단원 수준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많은 초등학교 교사들이 자신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을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대다수가 외부적 요인이 교육과정 재구성을 방해한다고 보고 있었다. 다섯째, 교사의 성별, 교직 경력, 교육과정 연수 경험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육과정이해 및 활용 관련 인식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문서의 현장 적합성 제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제고 및 교육과정 연수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urriculum and curriculum adapta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urvey with 297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 19 elementary schools across the countr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ved that teachers should modify and develop curriculum according to school situations. Seco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national curriculum did not correspond to their curriculum implementation. Most of teachers believed it was important to understand national curriculum in conducting lessons, but they did not think they fully used and understood curriculum.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ved it was more critical to modify instructional methods and assessment than objective and content in curriculum adaptation. Curriculum adaptation was mostly performed in terms of instructional methods. Fourth,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ved their capabilities of curriculum adaptation was low. They also thought external factors disturbed their curriculum adaptation. Fifth, perceptions of curriculum and curriculum adaptation varied on teachers`` gender, years of education, and experience of inservice education on curriculum.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pabilities to implement and develop curriculum as curriculum professionals.

      • KCI등재

        민주학교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과 요구 : 학교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시사점

        박윤경 ( Park Yun-kyoung ),박새롬 ( Park Sae-rom ),이수정 ( Lee Su-je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0 시민교육연구 Vol.52 No.1

        최근 민주시민의 성장을 지원하는 장으로 학교를 재구조화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민주학교 정책이 새롭게 도입되었다. 이 연구는 민주학교에 대한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여 민주학교의 운영과 학교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충북 지역 6개 초등학교,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교사, 학생, 학부모를 중심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구성원들은 민주학교를 학생자치의 활성화와 학교자치의 실현, 학교 구성원 간의 존중과 민주적 의사소통, 민주시민의 양성과 학생참여형 수업의 구현이 이루어지는 학교로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민주학교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인식 전환, 책임감 있는 권한 행사, 민주적 의사소통을 위한 충분한 시간, 단기성과에 대한 압박으로부터의 자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향후 민주학교의 성공적 정착과 학교민주주의 구현을 위한 시사점으로 학교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 기회와 권한 확대, 민주적 의사소통 문화 형성, 구성원의 책임감 있는 성숙한 참여 의식, 학교 관리자의 민주적 리더십 제고, 단기성과보다는 장기성장 중심의 정책 지원에 대해 논의하였다. Recently, democratic school policy was newly introduced in a move to restructure schools as a platform to support the growth of democratic citize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school members about democratic school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democratic schools and the realization of school democracy. To this e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from six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Chungbuk.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chool members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of democratic schools as follows: 1) revitalization of student autonomy and realization of school autonomy, 2) respect and democratic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and 3)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and realizing student participation-type classes. In addition, the following points were emphasized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a democratic school; 1) recognition and attention of all members, 2) exercise of responsible authority, 3) sufficient time for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4) freedom from pressure on short-term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realizing school democracy; 1) expansion of opportunities and powers for school members to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2) formation of democratic communication culture, 3) members’ responsible participation, 4) enhancement of school administrators’ democratic leadership, and 5) long-term growth-oriented policy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