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광천 자연형 하천 정비구간의 생태적 특성 변화 비교 연구

        박원제,이경재,한봉호,장재훈,Park, Won-Zei,Lee, Kyong-Jae,Han, Bong-Ho,Jang, Jae-Hoo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2

        본 연구는 2002년 완공된 불광천(佛光川)자연형 하천 정비구간 생태적 특성변화를 비교하여 향후 하천관리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불광천 자연형 정비사업에 대한 문헌연구, 정비사업 전 후와 현재의 물리적 환경변화 조사 분석과 생태계변화 분석을 주요내용으로 하였다. 준공 이후 호안에 적용된 공법을 중심으로 훼손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충부(水衝部)지역, 강우시 유출수가 발생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호안이 유실되고 식생이 훼손되었다. 현존식생 분야에서는 식물도입 내용과 현존식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저수로변에 파종한 혼합종자 중 싸리류, 벌개미취 등은 대부분 유실되어 큰김의털이 크게 우점하였고, 갈대, 물억새, 갯버들은 소규모로 식재되어 대부분 유실되었다. 지형구조 및 초본식생구조를 종합한 결과, 혼합종자를 파종한 지역은 크게 두 가지 식생유형으로 변화하였는데, 부유물질이 많은 하천 퇴적지에서 주로 생육하는 개여뀌, 소리쟁이 등이 우점하는 지역과 건조지성 벼과식물인 큰김의털, 개밀 등이 우점하는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저수로 호안부에 갈대 및 갯버들을 식재한 공법 적용지는 저수로폭 축소와 함께 유실되었으며, 저수부에 일부 갈대, 물억새, 갯버들이 소규모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그 세력이 미미하였고, 식물종 구성이 매우 단순해진 상태였다. 이에 불광천 자연형 정비구간의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도시하천 치수기능을 고려하되 유수 흐름을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호안공법을 적용해야 하며, 둘째, 하천환경에 적합한 목표식생군락(目標植生群落)을 설정하고, 고밀도로 꾸준히 식재해야 한다. 이때 현재와 같이 관상용 자생식물 보식은 지양해야 하며,교란식생은 지속적 제거가 필요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in managing the project that was carried out on Bulgwangcheon in a nature-friendly way to improve the conditions around the areas, which was brought to completion in 2002, based on changes in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is propose, this study examined documents related to the project, compared physical and enviromnental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was conducted and analyzed changes in the stream ecosystem. The result showed that in areas that effluent water was often observed, especially when it rained, the river wall was washed away and vegetation was found damaged. As for actual vegetation, this study compared planting coverage of each section of the research area and actual vegetation char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Lespedeza spp., Aster koraiensis among mixed seeds that were planted in the reservoir path were almost swept away while Festuca arundinacea dominated the areas.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ns and Salix gracilistyla which had been planted in a small number were also almost washed out though a small number of them were left to form a colony. After examining the topography and structure of the plant community, this study found that areas where mixed seed were planted had changed into two types of vegetation: First type of area is dominated by P and R which are usually raised in apron with abundant floating particles. The second type of area is dominated by dry gramineous plant such as F and A. Areas around low flow channel where Phragmites communis, Miscanthus sacchariflorus and Salix gracilistyla planting construction method is applied was washed away with the width of low flow channel reduced. Though P, M and S formed a small community in some areas around the low flow area, they were in small number and in composition of simple plant species. Two way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to manage the stream in an ecological way. First, adequate revetment construction methods should be applied by monitoring the flow of the stream as well as considering the flood control of urban streams. Second, target vegetation communities that are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the stream should be chosen and be plantedconstantly with high density. At the same time, ornamental native plants shouldn't be planted as they have been and disturbing vegetation should be removed.

      • KCI등재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의 도시농업 인식 비교·평가

        박원제,구본학,미옥,권효진,Park, Won-Zei,Koo, Bon-Hak,Park, Mi-Ok,Kwon, Hyo-Jin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4

        본 연구는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의 도시농업에 대한 인식비교를 바탕으로 정부 및 지자체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도시농업 정책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장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외 도시농업의 최근 경향과 관련법령 및 제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도시농업인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도시농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도심 내 주거공간을 세밀히 분석하여 옥상녹화, 도시텃밭, 공원녹지 등 이용 가능한 경작지를 확보해야 한다. 둘째, 도시농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도시농업 관계법을 제정하고, 제도적 기술적 차원에서 뒷받침해 주어야 한다. 셋째, 도시민과 공무원간에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경작활동 시 문제점 및 개선사항에 대해 건의하고, 농업기술 등을 활발히 교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도시농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도시민들에게 재배방법과 관리방법에 대한 교육 및 다양한 참여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텃밭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다섯째, 조경관련협회를 통해 전문적인 정규교육과 실무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여섯째, 도시민의 흥미를 일으킬만한 프로모션 활동이 수반되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끝으로 도시농업 공원 및 도시농업시설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야 하며, 향후 도심 내 도시농업이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정책의 모색과 실천이 추진되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be able to understand the problems within the urban agriculture policy promote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ous entity base on the comparison of the consciousness of the urban agriculture between urban farmers and public officials and to inquire into the further revitalization scheme in the en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through studying latest trend and the legisl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rban agriculture and then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urban farmers and public officials. Because of this research, the revitalization schemes of urban agriculture are as follows: First, it's necessary to secure the usable arable land, such as the green roof, community garden, as well as urban agriculture park, etc.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urban agriculture relations act suited for the actual circumstances of our country and to back up the legislation at an institutional, technological level in terms of a nation in order to secure the durability of urban agriculture. Third, it is advisable to make a proposal about the problems in time of activities for cultivation by forming a network between urban farmers and public officials and to prepare the plan for the active exchange of farming technologies. Fourth, it's necessary to activate the community gardens by supplying the education through cultivation method & its management method, and a variety of urban-agriculture-participation programs. Fifth,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specialized and practical education through an institute for landscape architecture. Sixth, it is necessary to induce the spontaneous participation in urban agriculture from urban farmers accompanied by the activities for promotion that are worth arousing urban farmers' interest. Lastl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of urban agricultural parks and facilities as well as to promote a search for multilateral policies and their practice so that the further urban agriculture can be stably continued within city boundaries.

      • KCI등재후보

        송천리마을 농촌 어메니티 조성계획

        율진(Park Yool-Jin),박원제(Park Won-Zei)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5 No.4

        본 연구는 전북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를 사례로 하여 농촌관광 기본방향과 전략방안 모색하고 송천리마을 농촌 어메니티 조성계획의 일환으로 농촌관광 자원현황 및 특징, 자연환경, 역사문화자원, 농업산업자원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농촌 어메니티 자원의 잠재된 부가가치를 개발하고, 농촌다움을 표현하는 공간설계 및 계획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해 인간.문화.자연이 소통하는 아름다운 농촌마을을 조성하고, 송천리 농촌어메니티 조성함으로써 쾌적한 농촌환경 조성과 주민의 문화·체육·위락·휴양공간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농촌지역에 잠재되어 있는 어메니티의 경관상품화를 통해서 지역의 볼거리를 창출하고, 경관요소들을 연계한 테마 프로그램으로 재창출시커서 지역자원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데 있고, 농촌의 어메니티의전략 및 전략 방안은 체험관광 유치, 생활 및 문화 환경 조성, 지속적인 소득원 개발, 관광상품 프로그램 개발분야가 있다. In this study with the case of Songcheon-ri, Ungpo-myeon, Iksan-city, Jeonbuk Province this author carried out investigation and analysis on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farm area sightseeing resource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rural industries resources etc. as a part of plan for construction of Songcheon-ri Farm Area Amenity. The purpose is to create amenable farm village environment and space for culture, sports, recreation and rest for residents through creating of beautiful farm village where man, culture and nature are in harmony in order to improve space design and planning skill for expressing farm village feal to its true self and also for building pleasant rural environment and space for culture, recreation and rest through creating Songcheon-ri farm village amenity. It aims for improving additional value of regional resources through creating things to see in the region by commercialization of sight and view of amenity untapped on farm village and re-presentation of theme program by linking elements of sightseeing together. Included in strategy for farm village amenity and measure for strategy are inducement of experience sightseeing, creating environment for living and culture, continuous development of source of income and development of sightseeing products etc.

      • KCI등재후보

        광화문광장 플라워 카펫(Flower Carpet)디자인 계획

        율진(Park Yool-Jin),강대진(Kang Dae-jin),박원제(Park Won-Zei) 한국산림휴양학회 2011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15 No.4

        종로구 세종로 광화문광장 플라워 카펫(2,830m2, 17.6m*162m)은 국가의상징도로와 전통과 현재가 공존하는 삶이 묻어있는 광화문 연가(戀歌)로 표현되는 우리나라와 서울의 상징물인 태극기와 무궁화 꽃잎, 그리고 서울의 로고를 플라워-카펫으로 기본개념을 자수화단으로 설정하였다. 꽃을 감상할 수 있도록 플라워카펫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전망대 벽면에 플라워 카펫에 대한 설명 안내문을 설치하여 시민들이 플라워 카펫의 조성개념 및 배치 문양 등에 대하여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Flower carpet Gwangwhamun Plaza of Sejong-ro, Jongno-gu (2, 830m2, 17.6m*162m) for symbolic road of our country and National Flag of Korea, Taegukgi and petals of Rose of Sharon which are symbolic object of our country and Seoul described as Song of Love of Gwangwhamun where tradition and the present co-exist and Logo of Seoul are designed by embroidery flower garden as its basic concept. For appreciation of flowers at wall face of observatory around flower carpet explanation board is install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concept for creating flower carpet and arrayed patterns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