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가 생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박시우,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원민,김보람,박홍민,최정수,최호덕,안동현,Bark, Si-Woo,Kim, Koth-Bong-Woo-Ri,Kim, Min-Ji,Kang, Bo-Kyeong,Pak, Won-Min,Kim, Bo-Ram,Park, Hong-Min,Choi, Jung-Su,Choi, Ho-Duk,Ahn, Dong-Hy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4

        중력분을 이용하여 제면한 후 가압가열, microwave 및 가압가열과 microwave 병행 처리한 후, 생면 및 삶은 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생면의 pH는 microwave 1 min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분 함량은 autoclave 50 min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그 외의 처리구에서는 모두 수분 함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면의 색도 측정 결과는 명도는 무처리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microwave 1 min 처리구는 감소한 반면, 나머지 처리구는 증가하였다. 황색도는 autoclave 50 min 처리구와 autoclave 50 min/microwave 1 min 병행 처리구에서 증가한 반면, 나머지 물리적 처리구에서는 감소하였다. 삶은 면의 색도에서는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물리적 처리구에서 증가한 값을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결과는 경도, 부착성, 응집성, 검성, 복원성에서 무처리구와 비교시 microwave 1 min 처리구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외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한 값을 나타내었다. 탄력성과 전단력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인장력은 가압가열 30 min 처리구와 무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나머지 물리적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 평가 결과는 생면의 경우 색 항목에서 물리적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맛, 질감, 향 항목에서는 무처리구와 물리적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microwave 1 min 처리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가압가열(50 min)과 microwave(1 min) 병행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제면 후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가 생면 및 삶은 면에 있어서 색과 질감 항목을 보완, 개선시킨다면 알러겐성이 저감화된 면을 제품화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hysical treatments for quality of wet noodles. Noodles were being tried with a microwave (for 1 min), an autoclave (for 30 or 50 min), and both autoclave and microwave (for 30/1 min or 50/1 m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 levels were slightly decreased after treatments of autoclave and autoclave/microwave. The moisture contents were considerab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autoclave (50 min). After all treatments, the lightness was decreased in all samples, but, redness was increased (except microwave) and the yellowness was increased after autoclave (50 min) and autoclave/microwave (50/1 min). Texture was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microwav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noodles treated with microwave, autoclave (50 min), and autoclave/ microwave (50/1 min) showed a high score in overall preference. From these results, both the autoclave and microwave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wet noodles without diminishing its quality to a great extent.

      • KCI등재

        열처리에 의한 Morganella morganii와 Photobacterium phosphoreum 유래 Histidine Decarboxylase의 불활성화

        박원민(Won-Min Pak),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민지(Min-Ji Kim),박지혜(Ji-Hye Park),배난영(Nan-Young Bae),박선희(Sun-Hee Park),안동현(Dong-Hyun A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3

        Histamine을 생성하는 Morganella morganii와 Photobacterium phosphoreum으로부터 crude histidine decarboxylase(HDC)를 추출하여 65~121°C로 열처리한 다음 균의 생육 및 효소 활성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M. morganii와 P. phosphoreum은 모든 열처리 조건에서 비 가열 처리구와 비교 시 균의 생육이 저해됨을 확인하였다. M. morganii와 P. phosphoreum 유래 HDC의 효소 활성은 65°C에서 90% 이상의 효소 활성이 저해됨을 확인하였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활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DS-PAGE 결과에서는 65~100°C 범위에서 비가열 처리구와 비교 시 조효소액의 단백질 패턴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121°C에서 단백질 band의 강도가 크게 약해졌다. Native-PAGE에서는 65°C 처리 조건에서부터 단백질 패턴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열처리(65~121°C)는 histamine 생성균인 M. morganii와 P. phosphoreum의 생육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HDC의 효소 활성도가 저해됨을 확인하여, 식품산업에서 적용되고 있는 열처리 조건에서 histamine 생성 억제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thermal treatments on the growth of Morganella morganii and Photobacterium phosphoreum and activity of crude histidine decarboxylase (HDC) obtained from M. morganii and P. phosphoreum. Crude HDC and the two strains were treated at 65°C/30 min, 80°C/10 min, 100°C/10 min, and 121°C/10 min. Activity of crude HDC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Viable cells counts of M. morganii and P. phosphoreum were not detected in any heated samples. SDS-PAGE patterns of heated HDC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up to 100°C. However, at 121°C, protein band intensity was weakened. In native-PAGE, there was a major change in the pattern of HDC at 65°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mal treatment can help to reduce histamine production by reducing HDC activity and growth of M. morganii and P. phosphoreum.

      • KCI등재

        물리적 처리에 의한 강력분 밀가루 Gliadin의 항원성 변화

        강보경(Bo-Kyeong Kang),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민지(Min-Ji Kim),박시우(Si-Woo Bark),박원민(Won-Min Pak),김보람(Bo-Ram Kim),안나경(Na-Kyung Ahn),최연욱(Yeon-Uk Choi),최정수(Jung-Su Choi),최호덕(Ho-Duk Choi),안동현(Dong-Hyun 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에서는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가 gliadin의 항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강력분에 가압가열과 microwave를 단독 또는 병행으로 처리하여 Ci-ELISA, SDS-PAGE 및 immunoblotting을 실시하였다. 가압가열 처리의 경우 시간이 길어질수록 IgG와의 결합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50분 처리구에서 약 87%로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 또한 SDS-PAGE와 immunoblotting 결과에서도 무처리구에서 강하게 보였던 gliadin band가 가압가열처리에 의해 거의 소실되고 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가압가열 및 microwave를 병행 처리 시도 마찬가지로 gliadin의 결합력이 감소하였으며, 처리구 중 가압가열 50분, microwave 5분 처리구에서 약 93%로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 반면 microwave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일부 단백질의 변화는 관찰되었으나, 항원성 감소에는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여 단백질 변화가 항원성에는 큰 효과를 준 것 같지 않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압가열 단독 처리 및 가압가열 및 microwave의 병행처리 시 gliadin의 항원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treatments on the antigenicity of gliadin in strong wheat flour. Strong wheat flour was treated with an autoclave (5, 10, 30, 50 min), a microwave (1, 5, 10 min), or both (10, 30, 50 min/ 5, 10 min), followed by SDS-PAGE, immunoblotting, and Ci-ELISA using anti-gliadin Ig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inding ability of IgG to gliadin in strong wheat flour slightly decreased after autoclaving or autoclaving/microwaving. In particular, the binding ability was reduced to about 87% after autoclaving for 50 min and to 89% after autoclaving/microwaving (50/5 min). In addition, gliadin bands in the 50 min autoclaved group disappeared in both SDS-PAGE and immunoblotting. On the other hand, the antigenicity of gliadin was unaffected by microwaving alon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utoclaving may reduce the antigenicity of gliadin in strong wheat flour.

      • KCI등재

        콜라비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박원민 ( Won Min Pak ),김꽃봉우리 ( Koth Bong Woo Ri Kim ),김민지 ( Min Ji Kim ),강보경 ( Bo Kyeong Kang ),박시우 ( Si Woo Bark ),김보람 ( Bo Ram Kim ),안나경 ( Na Kyung Ahn ),최연욱 ( Yeon Uk Choi ),윤성열 ( Sung Ryul Yoon ),안동현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4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7 No.4

        본 연구는 녹색 및 보라색 콜라비 부위(껍질, 잎, 엽육)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물 및 95% 에탄올에서 추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금속봉쇄력, 환원력, rancimat에 의한 산화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색 껍질 에탄올 추출물 및 보라색 잎 물 추출물이 각각 12.00 및 11.70 mg/mL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가졌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보라색 잎 및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뛰어난 라디칼 소거능을 가졌으며, 금속봉쇄력의 경우 보라색 잎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금속봉쇄력을 나타냈다. 반면, 환원력 및 rancimat에 의한 항산화도의 경우 콜라비 추출물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라색 콜라비의 잎과 껍질 부위가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flesh, leaves, and peels of green and purple Kohlrabi were measured by rancimat method, total phenolic compound (TPC),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chelating effect, and reducing power analysis. The highest TPC was observed in ethanol extract from green peel and water extract from purple leaf with 12.00 and 11.70 mg/g of dry sample, respectively. The ethanol extracts from purple Kohlrabi leaf and peel exhibited strong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with reducing power while water extracts from purple Kohlrabi leaf and peel also showed strong DPPH radical scavenging with chelating effects. Antioxidant index of ethanoland water extracts from green and purple Kohlrabi measured by rancimat was lower than butylated hydroxytolu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from purple Kohlrabi leaf and peel exhibited high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ose of green Kohlrabi, and can be potentially used as proper natural antioxidants.

      • KCI등재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

        박원민 ( Won Min Pak ),김꽃봉우리 ( Koth Bong Woo Ri Kim ),김민지 ( Min Ji Kim ),박지혜 ( Ji Hye Park ),배난영 ( Nan Young Bae ),박선희 ( Sun Hee Park ),안동현 ( Dong Hyun Ah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잔가시 모자반 추출물의 피부 노화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활성, collage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11.20 mg/g 및 11.70 mg/g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는 잔가시 모자반 에탄올 및 물 추출물 모두 0.5 mg/ml 농도에서 83.68% 및 79%로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금속봉쇄력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높게 나왔으나 대조구인 EDTA보다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collagenase 저해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이 1 mg/ml 농도에서 80% 이상으로 높은 효소 저해능을 보였다. 따라서, 잔가시 모자반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능, tyrosinase 및 collagenase 저해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나 피부 노화 억제를 위한 소재로서 더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argassum micracanthum (SM) is a member of the family Sargassaceae and commonly occurs along the coast of Korea. Extracts from SM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nt and collagenase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based on their total phenolic concentration (TPC),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metal-chelating effect. The TPC of SM ethanol and water extracts used in the study was 11.20 and 11.70 mg/g of dry sample, respectively. Both SM ethanol and water extracts had high DPPH radical-scavenging effect. The metal-chelating effect of SM ethanol extract (40.47% at 0.5 mg/ml) was higher than that of water extract (23.28% at 0.5 mg/ml). With regard to the antiwrinkling effect, SM ethanol extract showed collage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50 value of 488.20 μg/ ml. Lastly, regarding the anti-melanogenesis effect, SM ethanol extract showed highe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45.08% at 5 mg/ml) than that shown by the water extract (21.29% at 5 m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 has the potential to be a resource with natural anti-melanogenesis, anti-wrinkle, and antioxidant effects.

      • KCI등재

        전해수 수세, 열풍건조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미역의 미생물 감소 효과

        박시우 ( Si Woo Bark ),김꽃봉우리 ( Koth Bong Woo Ri Kim ),김민지 ( Min Ji Kim ),강보경 ( Bo Kyeong Kang ),박원민 ( Won Min Pak ),김보람 ( Bo Ram Kim ),안나경 ( Na Kyung Ahn ),최연욱 ( Yeon Uk Choi ),조영제 ( Young Je Cho ),안동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1

        15% 전해수로 10분간 세척 후 증류수로 10분씩 5회 수세하여 48oC의 열풍 건조기에 UV 등을 설치하여 미생물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전해수 수세 후 생균수, 대장균군, 곰팡이수에서 모두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수세 후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48oC에서 48시간 동안 열풍건조 시 미생물이 다시 검출됨을 확인하였고, 이에 열풍건조기 내에 UV 등을 설치하여, UV 조사 최적 시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UV조사를 12시간 이상 처리 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전해수 수세 및 열풍건조 미역의 색도 결과, 전해수 수세구는 무처리구와 비교 시 황색도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수세 후 열풍건조 시 명도, 적색도 및황색도가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향, 맛 및 전체적 호감도 항목에서 무처리구와 전해수 수세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전해수 처리시 미역의 비린맛 및 비린 향이 감소한다고 하였다. 또한 48oC, 48시간 열풍건조 동안 UV 0-48시간 조사 구간에서도 색, 향, 맛 및 전체적 호감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5% 전해수 수세 시 생미역의 미생물 증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역의 비린 맛 및 비린 냄새를 줄여 관능적으로 나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 전해수 수세 후 열풍건조 하는 동안 UV 조사를 12시간 실시할경우 열풍건조기를 통한 미생물 오염을 억제할 수 있어 전해수-열풍건조-UV 병행 처리 시 미생물 제어효과가 우수한 건미역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olyzed water (EW) and hot-air-drying with ultraviolet light (UV) to reduce coliform bacteria of Undaria pinnatifida (UP). The UP was washed in the order of 15% EW, tap water (TW), and distilled water (DW) under following conditions: 15% EW for 10 min (washing: 1 time), TW for 1 min, and DW for 10 min (washing: 5 times). Viable cells, coliform, and mold counts were at 102-103 CFU/g in untreated samples. After EW treatment, viable cells, coliform, and molds were not detected in whole samples or on the surface of UP. But, after hot-air-drying at 48oC for 48 h, the number of viable cells, coliform, and molds were 101-105 CFU/g. After hot-air-drying at 48oC for 48 h with UV (12-48 h), viable cells, coliform, and molds were not detected in whole samples or on the surface of UP. In respect of color valu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sensory evaluation, the UP with hot-air-drying with UV (12 h) had the highest score in overall preference among UV treatment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s at 15% EW for 10 min and hot-air-drying at 48oC for 48 h with UV (12 h) were effective to reduce coliform bacteria of the dried Undaria pinnatifida.

      • KCI등재

        전해수 처리에 의한 미역의 대장균군 억제효과

        김보람 ( Bo Ram Kim ),김꽃봉우리 ( Koth Bong Woo Ri Kim ),김민지 ( Min Ji Kim ),강보경 ( Bo Kyeong Kang ),박시우 ( Si Woo Bark ),박원민 ( Won Min Pak ),안나경 ( Na Kyung Ahn ),최연욱 ( Yeon Uk Choi ),안동현 ( Dong Hyun Ah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1

        생미역에 고농도 장시간(50%, 75%, 90%/30분), 고농도 단시간(50%, 75%/1분, 2분), 저농도 장시간(15%, 30%/30분),저농도 단시간(15%/5분, 10분)의 전해수를 처리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뒤 미역의 전체와 표면의 생균수, 대장균군, 곰팡이수, 색도,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고농도 단시간의 경우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지만 관능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고 고농도 단시간의 경우 관능적으로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비교적 우수하지만 대장균군이 검출되어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농도 장시간의 경우 대장균군의 생육을 억제시켰으나 장시간 침지에 의해 전해수취가 약간 남에 따라 보다 짧은 시간인 5분과 10분으로 전해수 침지 횟수를 달리하여 실험하였다. 15% 전해수 5분 1회 처리구의 경우 증류수 처리구에 비해 관능적으로는 선호도가 높았지만 미생물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15% 농도의 전해수를 10분간 1회 처리하는 것이 증류수 처리구와 비교 시 총균수, 대장균군수 및 곰팡이수를약 1-2 log cycle 정도 억제함으로써 검출되지 않아 미생물 오염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이며, 관능평가에서도 미역 원물 자체의 비린맛 및 비린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미역을 생산단계에서 화학적 처리인 전해수 세척을 이용해 대장균군의 생육을 억제해 보다 위생적이고 안전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electrolyzed water (EW) against coliform bacteria on Undaria pinnatifida (UP). The UP was washed with 15% EW, tap water (TW), and distilled water in the following order: 15% EW for 5 and 10 min (1st to 3rd washing process), TW for 1 min, and distilled water for 10 min (3rd to 5th washing process). The washing processes using 15% EW and distilled water occurred a total of 6 times. The number of viable cells, coliform bacteria, and molds in the untreated sample were in the range of 101 to 103 CFU/g. In the case of the UP with 15% EW for 5 min sample, the viable cell counts were reduced by 1-2 log cycles as compared with the untreated sample. The coliform bacteria were not detected except after the 1st EW washing process. Mold counts were not detected in all treatments. In the UP with 15% EW for 10 min sample, the viable cells, coliform bacteria, and mold counts were not detected. In col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In sensory evaluation, the UP treated with 15% EW for 10 min (first washing process) got higher scores for color, aroma, and taste than ot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reatment of 15% EW for 10 min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reduce coliform bacteria of the UP.

      • KCI등재
      • SCOPUSKCI등재

        LPS로 유도된 RAW 264.7 cell로부터 NF-κB 조절 억제와 마우스 모델을 통한 큰잎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강보경,김꽃봉우리,김민지,박시우,박원민,안나경,최연욱,배난영,박지혜,안동현,Kang, Bo-Kyeong,Kim, Koth-Bong-Woo-Ri,Kim, Min-Ji,Bark, Si-Woo,Pak, Won-Min,Ahn, Na-Kyung,Choi, Yeon-Uk,Bae, Nan-Young,Park, Ji-Hye,Ahn, Dong-Hyun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1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큰잎모자반의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LPS에 의해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큰잎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살펴보았다. 세포내 염증매개성 cytokine (IL-6, TNF-α 및 IL-1β) 분비량의 측정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 감소를 보였으며, 특히, 100 μg/ml로 처리하였을 경우 LPS 단독 처리와 비교 시 약 48% 이상의 높은 분비량 감소효과를 보였다. 추출물이 iNOS, COX-2 및 NF-kB 발현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LPS 단독처리구에 의해 각 단백질의 발현량이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그 발현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특히 50 및 100 μg/ml 농도에서 PBS 처리구와 유사한 발현량을 보여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귀 부종 억제 효과 및 조직 관찰을 수행한 결과, 추출물 250 mg/kg 농도에서 prednisolone 10 mg/kg 처리와 유사하게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croton oil로 부종을 유발한 마우스 귀 조직에서 croton oil만을 처리한 경우에 비해 추출물을 100 mg/ml 농도로 처리한 경우 prednisolone 처리구와 유사한 정도로 경피 및 진피 두께가 얇아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조직 내 mast cell 침윤을 현저히 억제함을 보였다. 이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큰잎모자반 에탄올 추출물이 염증 치료제로써의 소재로 이용될 가치가 충분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rgassum coreanum ethanolic extract (SCEE) was investigated using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s in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there was no cytotoxicity in the viability of macrophages treated with SCE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The production of NO was considerably suppressed by SCEE, approximately up to 50% at 100 μg/ml. This significantly decreased levels of IL-6, TNF-α, and IL-1β.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iNOS, COX-2, NF-κB was suppressed by SCEE treatment. In in vivo testing, the croton oil-induced mouse ear edema was attenuated by SCEE and there were no mortalities in mice administered with 5000 mg/kg body weight of SCEE over a 2 week observation period. From these results, SCEE inhibits the release of LPS-induced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ors, suggesting that SCEE could be a potential agent for anti-inflammatory therapies.

      • KCI등재

        Vibrio crassostreae PKA 1002 유래 조효소액에 의한 지충이 (Sargassum thunbergii) 분해물의 항산화 효과

        박시우,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원민,안나경,최연욱,박지혜,배난영,임성미,안동현,Bark, Si-Woo,Kim, Koth-Bong-Woo-Ri,Kim, Min-Ji,Kang, Bo-Kyeong,Pak, Won-Min,Ahn, Na-Kyung,Choi, Yeon-Uk,Park, Ji-Hye,Bae, Nan-Young,Lim, Sung-Mee,Ahn, Don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15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2

        지충이 물 추출물을 알긴산 분해능을 가진 V. crassostreae PKA 1002 유래 조효소액을 이용하여 가수분해시킨 후 pH, 색도 및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지충이 물 추출물과 조효소액을 30℃에서 0, 3, 6, 12 및 24시간 반응시켜 환원당 생성능과 점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환원당 생성능은 반응 6시간에서 357.82 μg/ml로 가장 높아졌으며, 점도는 0시간에서 1.57 cp에서 반응 6시간에서 1.22 cP로 가장 낮아져 6시간에서 최적분해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최적 조건에서 pH 및 색도는 지충이 물 추출물과 효소분해물이 각각 6.11과 6.15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색도는 효소분해물이 물 추출물보다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모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PC 함량은 지충이물 추출물과 효소분해물이 2.54 및 2.55 mg/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지충이 효소분해물이 0.05−5 mg/ml 농도에서 물 추출물보다 낮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반면, chelating effect 측정 결과, 0.05−5 mg/ml 농도에서 효소분해물의 활성이 물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Reducing power 측정 결과, 0.005−1 mg/ml 농도에서 지충이 물 추출물과 효소분해물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지충이 효소분해물은 지충이 물 추출물보다 금속봉쇄력의 활성이 증진됨을 확인하여, 주로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지충이 물 추출물과 달리 금속봉쇄력작용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An alginate degrading enzyme from the Vibrio crassostreae PKA 1002 strain was used to hydrolyze the water extract of Sargassum thunbergii. To obtain the optimum degrading conditions for the S. thunbergii water extract, the mixture of the water extract and enzyme was incubated at 30℃ for 0, 3, 6, 12, and 24 h, and its alginate degrading ability was measured by reducing sugar and viscosity. A temperature of 30℃ for a period of 6 h was found to be the optimal condition for the enhancement of the alginate’s degrading ability. The pH of the enzymatic hydrolys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water extract. Overall lightness decreased, but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after enzymatic hydrolysis. Total phenolic compounds did not differ between the water extract and the enzymatic hydrolysat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reducing power of the enzymatic hydrolysate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water extract. However, the chelating effect of the enzymatic hydrolysate (80.08% at 5 mg/m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62.29%).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nzymatic hydrolysate possesses an anti-oxidant activity by way of the action of the chelating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