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뒤르케임과 지성인

        박영신(Yong Shin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08 사회이론 Vol.- No.34

        이 글은 뒤르케임의 사회학이 그의 지성인다움과 뗄 수 없게 얽혀 있다는 논지를 펼친다. 먼저 내가 벨라를 통하여 뒤르케임의 사회학과 만났던 것과 뒤이어 그러한 사회학에 관심을 두어온 우리나라의 젊은 사회학자들을 만났던 것을 뒤돌아보면서, 뒤르케임의 사회학이 우리의 사회학에서 특별한 자리를 지켜왔다는 것을 새겨본다. 이어, 뒤르케임이 합리스런 `개인`중심의 인식론을 거부하고 `사회` 중심의 인식론을 내놓을 때 그가 쓴 `사회`라는 말은 근본의 뜻에서 `도덕`이라고 이해한 점을 지적하여, 그가 어떻게 도덕성의 문제와 평생 씨름을 해왔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그가 독일에 잠시 머물고 있을 때 `전체성`을 강조한 독일 사회과학을 접하였으며 그 뒤에 가서야 주요 저작을 내놓기 시작했다는 점도 밝힌다. 이후 그가 추구한 도덕 사회학의 과제와 그 지향성 때문에 `드레퓌스 사건`이 일어났을 때 그를 변호하기 위하여 연구실에서 뛰쳐나오지 않으면 안 되었다는 점을 논구한다. 여기서 뒤르케임의 사회학은 학문에 대한 헌신과 지성인된 의무감을 동시에 요청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학문 관심은 오랫동안 화해할 수 없다고 여긴 `학문`과 `참여`라는 두 세계를 연결하여 새로운 지성인의 유형을 만든 특유한 시도였다. 그의 탄생 150돌을 새기며 이 글은 오늘날 우리나라 사회학의 상황과 그와 이어진 지성 풍경을 성찰하며 마무리한다.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Durkheim`s commitment to sociology is entwined with his intellectual struggle for the moral integration of Third Republic France. By looking back on my encounters with Durkheim`s sociology, through my intellectual connection to Bellah and later through meeting young Korean scholars of Durkheim during my teaching career, I show that Durkheim`s sociology has continued to be a distinctive part of sociological discourse in Korea. Turning to the formation of Durkheim`s own sociology to sketch how he came to focus on his lifelong struggle with morality by pointing out that what he meant by `social` is `moral` in a fundamental sense and that he rejected rational-individualistic epistemology. I note that he began producing major works only a few years after his sojourn in Germany where he had met its social science which tended to assert holistic strains. I move on to discuss the way that his sociology of morality led him to come out for the defense of Dreyfus, stressing that his sociology demanded simultaneously an academic commitment and intellectual obligation. Durkheim`s sociology was a unique attempt to bridge two worlds of scholarship and engagement with moral issues that have been long regarded as irreconcilable, and to formulate a new type of intellectual. In commemorating the sesquicentennial of the birth of Durkheim, I conclude this article with some reflections on Korean sociology and its intellectual landscape today.

      • KCI등재

        사회 운동의 역동 구조

        박영신(Yong Shin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06 사회이론 Vol.- No.30

        이 글은 사회 운동이 무엇으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 구성 요소의 역동 관계를 개념화하고자 한다. 사회 운동에 대한 연구는 주로 그 전개 과정에 초점을 맞춰왔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연구 관심에서 벗어나 사회 운동 내부의 역동 관계에 주목한다. `상징`과 `지식`과 `실행`이라는 세 가지 사회 운동의 구성 요소와 힘의 관계를 아주 넓게 그려, 거기에 터하여 사회 운동을 풀이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한다. 이 논의는 사회 운동의 연구 현황을 평가하거나 특정 운동의 분석을 시도하지 않는다. 어떤 규범과 당위의 입장을 개진하는 것도 아니다. 여러 보기를 통하여 사회 운동의 세 구성 요소들을 잇고 있는 관계의 성격을 개념 및 이론 수준에서 논의하고자 할 뿐이다. 사회 운동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서 나타나는 균형의 상태가 다르기는 하지만 그 요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역동 관계에서 사회 운동이 빚어 나온다. 사회 운동의 구성 요소를 강조하는 것은 이들 구성 요소들 사이에서 생기는 쌍방의 작용과 침투와 교환의 일반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논한 새로운 연구 방향에 주목하여 사회 운동의 논의가 더욱 심화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 KCI등재

        베버의 "쇠우리"

        박영신(Yong Shin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14 사회이론 Vol.- No.46

        이 글은 가장 강력한 은유의 표현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막스베버의 ‘쇠우리’를 파헤쳐본다. 먼저 지난 70년대 후반 내가 이 말을 ‘쇠우리’라는 한글로 옮긴 이야기를 되돌아본다. 당시 우리나라 사회학은 베버의 비교-역사 연구에 나타난 근대 변동의 비극과 그 흠에 대하여 관심을 두고 있지 않을 때, 나는 궁지에 들어선 근대성에 대한 그의 생각을 풀이해보고자 하였다. 이어, 이 글은 베버가 세상을 떠난 지 60돌이 되던 1980년 학술계간지 「현상과인식」이 연 학술모임에서 ‘쇠우리’의 어두운 시대를 짧게 검토해보았던 나의 발표 논문 “<프로테스탄트 윤리>의 재인식”을 살핀다. 그런 다음, 베버의 ‘합리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삶의 ‘끌어올림’과 ‘끌어내림’ 사이에서 일어나는 모순의 역학관계를 밝혀 그의 생각을 내 식으로 다지며 넓혀보고자 한다. 앞의 것은 현존 질서를 초월하도록 ‘끌어올리는’ 초월 지향성을 말하고, 뒤의 것은 초월의 힘을 막아 현존 질서를 유지하도록 ‘끌어내리는’ 체제의 압력을 말한다. 이 삶의 역동성은 굴대 문명, 다른 말로 역사에서 삶의 초월 차원에 대한 인식을 가능케 한 유대교, 불교, 유교, 그리고 기독교와 같은 세계 종교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 논의에 이어, ‘쇠우리’ 개념이 한국사회에는 잘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들추어낸다. 근대의 겉모습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가족의 복리에 대한 헌신을 강조하는 가족주의가 힘을 쓰고 있고 그것이 사회 조직의 모형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에서 드러나고 있는 삶의 유형을 그리기 위해서는 ‘쇠우리’에 ‘대(竹)우리’가 더해져야 한다. 인간으로서의 개인이 아니라 기계의 부속품으로 생각하게 된 오늘날의 세계에서 우리가 지녀야 할 책임 있는 마음가짐은, 초월의 힘과 체제의 힘 사이에서 벌어지는 모순의 계곡을 돌파해 가는 것이라는 말로 이 글은 마무리한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plore Max Weber`s ‘iron cage’ known as his most powerful metaphor. It begins by looking back on my translation of it into Korean vernacular, namely ‘soeuri" in the late 70`s, as a way of explicating Weber`s view on modernity in a predicament, when sociology in Korea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tragic defect of modern transformation in his comparative-historical works. Then it goes back to the essay “ The Protestant Ethic Revisited” which I presented at the Seoul Conference on Max Weber in 1980 organized by the Hyonsang-gwa-insik (The Korean Journal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to remember the sixtieth anniversary of his death, in which the dark age of the iron cage was briefly examined. It moves to elaborate on and extend Weber`s thinking by showing the dynamics of contradictory forces in the process of rationalization, ‘life-elevating’ and ‘life-lowering’. The former denotes ‘transcendental tendency’ that motivates human beings to transcend the existing order, and the latter indicates the pressures coming from systems to impede the transcendental forces and thus maintain the existing order. This began to emerge in the history of human life ever since the axial civilizations/religions, namely world religions such as Juda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which offered the sense of the transcendental dimensions of life in history. And then it points out that Weber`s ‘iron cage’, distinguished in a rationalized western world, may not be applicable to Korean society, in which despite its modern facade, commitment to the family and its well-being is emphasized and taken as a model of social organization. It is to be supplemented by a ‘bamboo cage’ (‘daeuri") to delineate the type of life in Korea today.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responsible attitude we assume in this world is to break through the valley of contradictions between transcendental and systemic forces, when man/woman tends to regard him/herself not as a human individual but as a cog in the machine.

      • KCI등재

        ‘소명’으로서의 언론 : 오늘날의 상황

        박영신(Yong-Shin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19 사회이론 Vol.- No.55

        ‘소명’(calling)이라는 말은 우리 사회의 언론 영역에서도 낯설다. 언론이 특정 영역으로 분화하여 자율 영역을 확보해온 역사가 단순히 짧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을 지키려는 소명 의식이 사회 구조 속에서 억눌려 왔기 때문이다. 이 글은 먼저 우리역사에서 처음으로 언론의 자율 공간으로 분화되어 나타난 19세가 끝자락의 ≪독립신문≫으로 돌아가, 그 첫 호에 실린 논설에서 언론의 사명을 어떻게 이해했는지를 살핀다. 이어 이 글은 언론의 자유에 익숙하지 않은 조선 왕조, 아예 그 자유를 빼앗긴 일제 강탈기, 언론의 자유를 누리게 된 잠시 동안의 해방기를 거쳐 오랜 군사 독재 시대에 들면서 언론의 자율 영역이 국가 권력에 의하여 훼손되고 오늘에 와서는 경제 권력에 의하여 손상을 입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여기에 정보 기술이 발달하면서 ‘가짜’가 더욱 기승을 부리게 된 상황이 덧씌워져 오늘날의 언론이 새로운 도전을 받게 되었다는 점을 들추어, 이를 뚫고 나아가기 위해서는 시민의 분별력이 요구된다는 점도 밝힌다. ‘진실’에 헌신하는 언론과 이를 분별할 수 있는 참여 시민이 만나는 지점이 여기에 있다. 이 글은 역겨운 조건에도 불구하고 거기에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감연히 이를 돌파하여 언론의 존재 이유에 헌신하는 데서 언론의 소명 의식을 지켜갈 수 있다는 점을 내우며 마무리한다. In Korean society ‘calling’ is an unfamiliar word even in journalism. It is not simply because it is not long to have journalism as a differentiated and autonomous sphere, but because journalism as a calling has been suffocated in the social structural conditions. This paper begins by going to the first vernacular newspaper Doglibsinmun (The Independent)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ich emerg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history as an autonomous sphere differentiated from Joseon society, and shows how it understood its sense of calling by looking at the mission of the press as written on the editorial of its first issue. This moves to show that journalism as an autonomous sphere was damaged first under the Joseon Dynasty unfamiliar with the freedom of speech, the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at took away the freedom of the press, in the years of long military dictatorship following a brief period of liberation that enjoyed the freedom of the press, and today by economic power. I argue this is a new challenge for journalism today that the situation is further aggrieved by information technology that makes it easy to spread ‘fakes’, and that citizen’s discernment is needed in order to breakthrough this predicament. Here is the point where the media devoted to the truth and the active citizens who can discern it meet. Finally, I conclude that it is a calling for journalism that despite the oppressing conditions, the journalist does not conform to it but resolutely weathers all difficulties and devotes to the cause of journalism.

      • KCI등재

        ‘정치’의 바탕과 뻗침 -주권재민, 3.1운동, 그리고 공화정-

        박영신(Yo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9 현상과 인식 Vol.43 No.3

        이 글은 올해로 백돌을 맞는 3.1운동의 유산 가운데 ‘정치’ 영역에 주목하여 그 바탕과 그것이 뻗어나간 과정을 살핀다. 여기서 나는 ‘정치라는 것’을 시민의 참여에 잇대어 이해하는 개념을 제시한다. 정치는 물리력에 기대는 폭력에서 언어를 수단으로 삼는 비폭력으로, 소수 특권층의 활동 무대인 왕궁에서 시민 모두의 참여 공간인 광장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밟아왔다. 우리 역사에서 이 ‘정치’는 19세기가 끝날 무렵 〈독립신문〉과 독립협회 및 만민공동회 운동을 통하여 주권재민과 공화정의 정신으로 나타났다. 일찍이 기독교가 이 노선의 후원 세력이었으며, 갑오년의 반정부 무력 투쟁에 개입했던 이전의 동학이 천도교로 이름을 바꾸고 전도와 교육운동에 힘을 쏟으면서 이 흐름에 합류하였다. 두 종교 운동은 1910년대 들어 전국 규모의 조직망을 갖춘 가장 영향력 있는 조직으로 발전하였고, 두 세력이 하나로 뭉쳐 3.1운동을 전국으로 번지게 할 수 있었다. 이 반일 독립 운동에 힘입어 수립된 상해 임시정부가 주권재민의 원리와 공화정의 정신을 표상한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 대한민국은 이 전통을 이어받았다. 오늘날의 정치 상황에서, 우리가 얼마나 충실하게 이 ‘정치’ 유산을 이어받고 있는지 물음을 던지면서 이 글은 마무리한다. In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ule (1910-1945), this article examines, with a focus on its political dimension in the legacy left behind by it, the process in which it was laid and stretched. Here I propose that the “political” comprises citizens participation in it. Politics has undergone a gradual change from violence to non-violence, and from the court to the public space. In Korean society it emerged in the closing years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sovereignty of the people and the idea of a democratic republic were advocat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vernacular newspaper Dongrip-sinmun (The Independent), the reform movements launched by Dongrip-hyeophoe (The Independence Club), Manmingongdonghoe (The People’s Joint Association). This political orientation was supported earlier by the Christian movement, and then by the Cheondogyo (The Heavenly Way), which aimed at propagation and education, having departed from its Tonghak (Eastern Learning) movement previously involved in the armed rebellion against the government in 1894. In the 1910s, these two religious movements became most influential, each with a nationwide organization, and their alliance made possible the March First Movement every nook and corner of the country. It was a natural consequence that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established in the aftermath of this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upheld the popular sovereignty and proclaimed the republic. The Republic of Korea has succeeded this history. This article concludes by asking how faithful ‘we’ are to this ‘political’ tradition today.

      • KCI등재

        ‘사람의 권리’, 그 이바지와 올가미

        박영신(Yo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6 현상과 인식 Vol.30 No.3

        The idea behind ‘human rights’ ― that a human possesses inalienable qualities by virtue of being human ― is as old as every religious and cultural tradition around the world. This idea, nevertheless, has evolved since the Enlightenment, though the legacies of the American and the French revolutions, and in the global governance institutions such as the United Nations. It is therefore the Western vision of human rights that has triumphed over those of other traditions and made a lasting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human rights. However, there is a clear anthropocentric bias in the ‘human rights’ discourse. The value of the human is central to this discourse and other ‘living beings’ have value only in so far as they are of use to humans. Given that this human-centered paradigm has led to the mistreatment of nature and to environmental exploitation, I propose that the idea of ‘relatedness’ is to be redeemed. Responsible ethics is not to focus, in the name of human rights, on the pursuit of human interests, preferences and tastes, but to care for humans' neighbors in the ecological systems within the relatedness paradigm.

      • KCI등재

        `공공 분노`에 대하여

        박영신(Yong-Shin Park) 한국사회이론학회 2017 사회이론 Vol.- No.51

        이 글은 이론과 내용의 두 부분으로 이뤄진다. 먼저 분노는 타인에 의한 ‘자기 훼손’에 맞서 취하는 방어 행위이며 그 객관화 과정이라고 잠정 정의한다. 분노는 자아 형성과 자아의 실체에 따라 표현과 통제를 달리하기 때문에 그것을 설명하는 공식을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 집합 분노는 개인 분노의 집합 행태이다. 개인 분노가 집합의 형태로 공공의 공간에서 일어나게 되면 이 집합 분노는 공공 분노가 된다. 이에 이어, 이 글은 지난 해 가을부터 올해 초봄까지 ‘박 근혜 탄핵’을 요구하며, 토요일 마다 서울 광화문에서 집회를 연 촛불 시위를 보기로 삼아 공공 분노를 논한다. 촛불 집회 참여자들 모두 대통령이 저지른 권력 남용에 대하여 분개한 사람들이지만, 대통령 탄핵이라는 구호 이외에는 서로 다른 생각과 동기를 갖고 있고 그래서 다양한 주장을 하였다. 이 집회는 앞선 정권에 대한 반대시위를 통하여 나타나게 된 이전의 운동 조직들에 의하여 집행되고 진행되었으며, 이것은 국민 주권과 시민다움에 대하여 배우고 가르치는 시민 교육의 형태를 띠었다. 공공 분노는 ‘간접’ 민주주의로 변하여 더욱 관료화하고 일반 국민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된 정치 체제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난 ‘직접’ 민주주의의 형태이다. 마침내, 헌법재판소는 2017년 3월 10일 대통령을 헌법 위반으로 유죄 판결하여 그의 대통령직을 파면하였다. This paper has two parts: theoretical and substantive. It begins with the working definition of anger as defense for self-impairment provoked by an aggravator and its objectification. Anger varies in expression and control depending on self-formation, making it impossible to reach a formula explaining anger. Individual anger forms a collective anger as it takes place in the public. This paper moves on to look at the public anger by taking the illustration of the historic candlelight rally demanding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the daughter of the late dictator Park Chung-hee, in Seoul and nationwide, beginning from late autumn last year to early spring this year. The protesters, incensed by all sorts of abuses committed by the president, do not agree with each other except the single slogan: Impeach Park Geun-hye. This months-long rally is a reproduction of the old candlelight protests orchestrated by pre-existing movement organizations that emerged ever since the previous protests against the ruling governments, and displays itself as a form of civic education where learning and teaching about citizenship and sovereignty take place. Collective anger is a form of ‘direct’ democracy as a response to the political system which has transformed into an ‘indirect’ democracy, more bureaucratized and more detached from the general populace. At last, the constitutional court adjudicated her to be guilty and her presidency dismissed for committing unconstitutional dishonesty on the 10th of March, 2017.

      • KCI등재

        민주주의의 조건 —지배 계급의 문자(‘漢字’)에서 인민의 글자(‘한글’)로—

        박영신(Yong-Shin Park)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0 현상과 인식 Vol.44 No.2

        우리나라에서 민주주의가 언제 어떻게 첫걸음을 내디디었는지에 대한 논의를 찾기 어려운 마당에, 이 글은 민주주의의 역사를 논의코자 한다. 민주주의는 말글의 힘을 받아 널리 퍼져 우리나라에 왔다. 링컨이 게티즈버그 ‘연설’에서 민주주의의 원칙을 다짐하고 이를 널리 펼쳤으나, 그 원칙은 시공간의 제약을 받는 말의 힘을 넘어서서 글의 힘에 실려 오늘날 온 세계 구석구석으로 널리 번지었다. 글의 힘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 힘은 종교개혁의 도움을 받았다. 일반 인민 모두가 쉽게 읽을 수 있는 소통 수단에 힘입어 이 뜻이 널리 퍼졌다. 신조에 따라 모두가 성경을 읽어야 한다고 가르쳤기에 교중은 모두 글을 읽을 수 있어야 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였다. 기독교가 들어올 때 성경이 국문으로 옮겨지기 시작하여 일반 인민에게 널리 읽혔다. 다른 말로, 국문 해독력을 갖춘 사회층이 성장하였다. 이러한 때에 서 재필의 〈독립신문〉이 창간되었다. 이 신문은 지배 계급의 문자 대신에 인민 모두가 쉽게 읽을 수 있게 국문을 소통의 수단으로 삼아 국문으로 박아내었다. 그 자체가 급진성이었다. 한문을 소통 수단으로 정하여 이를 독점해온 지배 계급에 대한 도전이었다. 민주주의의 첫걸음은 국문을 소통 수단으로 삼으면서 시작되었다. 일제 강탈기에 나온 우리 신문을 비롯하여 지식 계급은 〈독립신문〉의 급진성에서 뒷걸음질 하여 국한문을 주장해왔다. 소통 수단의 일반화를 위하여 일한 ‘한글 사람들’은 민주주의의 밑거름이었다. 이 글은 반백년 전에 세상을 떠난 한글 사람 최 현배를 기리며 쓴 것이다. In Korea, it is rare to find a discussion on when and how democracy took its first step, and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this neglected history of democracy. Democracy has come to our country with the power of the word. Lincoln pledged and widely propagated the principle of democracy with his Gettysburg’s speech, but the principle surpasse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which the power of locution could not surmount, by the power of the written word throughout the world today. It was impossible without the power of writing. The power of this writing was largely attributed to the Reformation. It has spread widely as a means of communication made easily available to all ordinary people. They had to be able to read because it was taught that they should read the Bible according to the creed. When Christianity was introduced, the Bible began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and was widely read by the general public. In other words, it was when the social class with the ability to read Korean vernacular language was growing. At this time, Seo Jai-pil’s Dongrip-sinmun (The Independent) was founded. It used Korean characters, not the Chinese character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so that all the people could easily learn it. It was radical in itself. The first step in democracy was to use the Korean languag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it was a challenge to the ruling class that monopolized the Chinese character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e knowledge class, including our newspapers, which were esta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been insisting on mixing Korean and Chinese by backing away from the radicality of the Dongrip-sinmun. The people of ‘Hanguel’ who worked for the generalization of the means of communication formed the condition of democracy. I dedicate this article in honor of Choi Hyun-bae, a man of ‘Hanguel’ who died just fifty years ago.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