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 산스끄리뜨의 교차 운율(Ardhasamavṛtta) 연구-께다라브핫따(Kedārabhaṭṭa)의 Vṛttaratnākara와 강가다사(Gaṅgādāsa)의 Chandomañjarī 를 중심으로-

        박영길(Park Young-Gil)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동서인문 Vol.0 No.13

        산스끄리뜨 운율은 크게 음절(akṣara, syllable)의 수와 운각(韻脚, gaṇa)으로 구성된 시형과 ‘음절의 길이’(mātrā)로 분석되는 시형과 같은 두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는 일반적으로 브릿따(vṛtta) 운율로, 후자는 자띠(jāti) 운율로 불린다. 브릿따 운율은 다시 그 형식에 따라 세 유형으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는 ‘네 구(4 pāda-s)의 음절수와 운각이 모두 동일한 형태’의 동일 운율(samavṛtta)’이고 두 번째는 ‘네 구의 음절수와 운각이 홀짝 구로 절반만 동일한 형태’의 교차 운율(ardhasamavṛtta)’이며 마지막은 ‘네 구의 음절수와 장단 구조가 제각각 다른 형태’의 이질 운율(viṣamavṛtta)’이다. 본고에서 다룰 교차 운율은 기본적으로 브릿따 범주의 운율 중 하나이므로 브릿따 운율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운각 만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것은 야(Ya), 마(Ma), 따(Ta) 라(Ra), 자(Ja), 브하(Bha), 나(Na), 사(Sa)와 같은 ‘3음절로 된 운각’ 그리고 ‘1개의 장음’을 의미하는 구루(G) 및 ‘1개의 단음’을 의미하는 라그후(L)와 같은 10개이다. 교차 운율의 음절수는 10a+11b, 10c+11d 또는 11a+12b, 11c+12d이 일반적이고 드물게 12a+14b, 12c+14d와 같이 2음절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도 발견된다. 교차 운율은 가장 오래된 운율서인 삥갈라(Piṅgala)의 Chandaḥśāstra(ChŚ. 2-3 BC.)를 비롯해서 라뜨나까라샨띠(Ratnākaraśānti, 10-11 AD.) 의 Chandoratnākara(ChR, 11-12 AD.), 께다라 브핫따(Kedārabhaṭṭa)의 Vṛttaratnākara(VṛK, 11 AD.), 강가다사(Gaṅgādāsa)의 Chandomañjarī(ChM, 14-15 AD.) 등 거의 모든 운율서에서 정의되고 해설되었다. 문헌에 따라 교차 운율의 종류는 조금씩 다르지만 전체를 합치면 15종류이다. 본고에서는 VṛK와 ChM를 중심으로 ChŚ, ChR의 정의를 분석하고 해설했다.

      • KCI등재

        동북아 지적재산권분쟁해결을 위한 ADR센터필요성에 관하여

        박영길 ( Young Gil Park )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09 지식재산연구 Vol.4 No.3

        이 논문은 동북아시아에 있어서의 지적재산권분쟁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분쟁해결 기관으로서 ADR의 설치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이 논문의 구성은 Ⅱ에서는 한, 중, 일간의 비교법을 연구함에 있어서는 특수적 문제로서, 첫째 중국법체계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사상과 철학을 이해하여야 하고, 둘째, 동북아시아 각국의 법체계에서 법이란 무엇인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Ⅲ에서는 동북아시아에 있어서 지적재산권법의 공통법의 성립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현재 “경제를 발전”시켜야 한다는 명제는 한ㆍ중ㆍ일 3국의 공통된 인식으로 하고 있으면서도, 팽팽한 대립관계가 내재되어 있다는 특수성이 있다. 한ㆍ중ㆍ일 3 국 모두 WTO에 가입되어 있기 때문에 지적재산권법의 내용은 거의 유사하여 통일법이 형성될 가능성은 크게 확대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공통법이 성립될 가능성은 시기적으로 아직은 빠르다고 생각한다. 특히 공통법의 성립가능성을 저해하는 요소로서 중국의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확립문제를 생각할 수 있으나, 중국도 이제는 2008년 개정 특허법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회주의적 요소를 제거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듯하다. 그렇다면 공통지적재산권법이 성립된 경우는 물론이고, 공통법이 성립되지 않은 현재, 현실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한ㆍ중ㆍ일간의 지적재산권분쟁을 어떻게 해결하여야 할 것인가의 문제로서 각국의 재판에 의한 방법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한ㆍ중ㆍ일간에 발생하는 지적재산권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로서 “동북아시아지적재산권ADR센터”의 설치를 제안하고 있다. 동북아시아지적재산권ADR센터는 민간기구로서 국제성을 가지는 단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researching into an issue of installing ADR as organization of solving dispute given the occurrence of intellectual-property right dispute in Northeast Asia. As for composition of this paper, Ⅱ is addressing first, the necessity for understanding an idea and philosophy of forming the background of a Chinese legal system, and second, a problem about what a law is in a legal system of each country in Northeast Asia, as a special issue in researching into a comparing method among Korea, China, and Japan. Ⅲ examined possibility for establishment in common law for the intellectual-property law in Northeast Asia. The proposition as saying that there is necessity for “developing economy,” is being recognized now in common by 3 countries in Korea, China, and Japan, but has specificity as saying that the strained antagonistic relationship is immanent. However, all of 3 countries in Korea, China, and Japan are joined in WTO, thus the contents of the intellectual-property Law are almost similar. So, the possibility for being formed the unified law can be said to have been largely expanded. However, the possibility for being realistically established the common law is thought to be still early in light of period. If so, there are many problems about a method by justice in each country as a problem about how a dispute of intellectual property will be solved among Korea, China, and Japan, which is happening now. Thus, the installment of “ADR Center for Northeast Asia” is being proposed as a system to solve the disput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 which takes place among Korea, China, and Japan.

      • KCI등재후보

        『수보드히니』( Subodhini) 필사본 단편(F.35r-v)에 나타난 요가 호흡법

        박영길(Park, Young-Gil) 한국요가학회 2012 요가학연구 Vol.- No.8

        BG. iv.29송은‘쁘라나와 아빠나의 흐름을 멈춘 후, 쁘라나를 아빠나에 바치고 아빠나를 쁘라나에 바치는’제의를 설명하는 평범한 게송으로 현재까지 특별한 논의는 없었다. 하지만 하타요가의 호흡법를 염두에 둔다면 이 제의(호흡제의)의 의미와 정체를 파악하는 것이 결코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필자는 산스끄리뜨 필사본 단편(F.35r-v)의 해설에서 호흡제의의 정체를 파악할 단서를 발견할 수 있었다. 15세기 쉬리드하라 스와미의 BG주해 Subodhini의 단편으로 추정되는 이 필사본 단편( Subodhini F.35r-v)에 따르면 BG. iv.29의 쁘라나는‘상승하는 숨’이고 아빠나는‘하강하는 숨’이다. 이것은 쁘라나와 아빠나를 천편일률적으로‘들숨과 날숨’혹은 그 반대로‘날숨과 들숨’으로 파악하는 라다끄리쉬난, 제너 등 현대 학자들의 번역과 구별된다. 하지만 이 필사본의 해석은‘코 안쪽에서 움직이는 쁘라나와 아빠나의 합일’이라는 표현을 담고 있는 BG v.27의 쁘라나-아빠나 개념과 일치할 뿐만 아니라 호흡법을 전문적으로 해설하는 하타요가의 입장과도 일치한다. 하타요가 문헌이‘상승하려는 쁘라나와 하강하려는 아빠나의 결합’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하타요가의 목표라 할 수 있는 꾼달리니의 각성과 상승이, ‘들숨 후 그 숨을 최대한 참은 상태’에서 물라반드하(mulabandha)와 같은 무드라를 통해 쁘라나와 아빠나가 결합된 이후에 비로소 가능하기 때문이다.(본문 각주 74-79를 참조) 물론 후대에 체계화되는 하타요가에 의거해서 BG iv.29의 호흡제의를 해설하는 것은 정당한 방법이 아니고 또 그 해석을 BG의 원의로 단정할 수도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BG. iv.29에 설명된 모호한 호흡제의의 의미와 수행론적 의의를 파악케 해주는 단서는 하타요가 문헌뿐이고 필사본 단편( Subodhini; F.35r-v)이 그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는 것이다. 이 점에서, 바꾸어 생각해 볼 것은‘만약 하타요가의 호흡법으로 BG의 호흡제의를 합당하게 해석한다면’그것은‘후대에 체계화된 하타요가의 정교한 호흡법이 BG시대에도 있었다는 한 사례’가 될 것이다. BG. iv.29 containsśloka that explain a breathing sacrifice (prāṇāyāmayajña) which consists in stopping the currents of‘prāṇa and apāna and subsequently consecrating them to each other. Since this has been considered to reflect a common theory in Yoga, scholars have made no remarkable arguments on it previously. However, if we consider the definitions of the method of the Yogic Prāṇāyāma(esp,Haṭha(yoga)pradīpikā)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actual method of this specific prāṇāyāmayajña. Some clues on this issue can be gathered from an explanation found in a Sanskrit Manuscript (F.35r-v), which is a part of the BG-bhāṣya composed byŚrīdhāra Svāmīin the 15 th century. This manuscript renders the terms prāṇa and apāna as‘up-flow (ūrdhvagati)’and‘down-flow (adhogati)’, which suggests a distinctive understanding from that of modern scholars who usually translate these as ‘in-breath and out-breath’or‘out-breath and in-breath.’ However I discover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F.35r-v is the one and only explanation that corresponds to‘the union of prāṇa and apāna that float around in a nose’, a definition given by BG. v.27, and which explains the breathing sacrifice (prāṇāyāmayajña) of BG. iv.29 as well. Śrīdhāra explains the prāṇāyāmayajña of BG.iv.29 as the union of prāṇa and apāna by pulling the down-flowing (adhogati) apāna and by dragging down the up-flowing (ūrdhvagati) prāṇa by means of the two mudrāmūlabandha and jālaṃdhara, while breathing in and holding one’s breath. This explanation byŚrīdhāra also concurs with the method of prāṇāyāma described in Haṭhayoga.

      • KCI등재

        하타요가(haṭhayoga) 전통에서의 84좌법(āsana)설

        박영길(Park Young-Gil) 한국인도학회 2010 印度硏究 Vol.15 No.1

        하타요가 문헌에 따르면 좌법( sana)의 수는 840만개이지만 중요시되는 것은 ‘쉬바가 선별한 84개의 좌법’이다. 쉬바가 84개의 좌법을 선별했다는 것은 고락샤나타 이래 17세기 문헌까지 거의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내용으로 사실상 하타요가의 전통적 가르침으로 전수되고 있다.하지만 전통적인 하타요가 문헌에서 84좌법이 설명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84좌법의 목록조차 열거되지 않았다는 것은 역설적이다. 여기서 ‘쉬바의 84좌법설’의 실체에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과연 84좌법은 실제로 존재했던 것인가, 아니면 84는 하나의 신비로운 숫자에 불과한 것인가? 하타요가 문헌은 좌법의 유용성을 설명하는 데 많은 정성을 기울였을 것 같지만 9-12세기의 고락샤나타의 작품들을 비롯해 「쉬바상히따」, 「요가샤스뜨라」등 14세기 이전의 문헌에서 언급된 좌법 수는 4개를 넘지 않는다. 그 이후의 대중적인 문헌인 「요가야갸왈까」가 8개, 그리고 하타요가의 체계를 완성한 「하타(요가)쁘라디삐까」가 비교적 많은 15개의 좌법을 설명하고 있을 뿐이며, 17세기 문헌으로 다양한 수행법을 제시하는 「게란다상히따」가 이례적으로 많은 좌법을 설명하지만 그 수는 32개를 넘지 않는다. 비록 하타요가 문헌이 ‘쉬바의 84좌법’을 언급하지만 문맥과 정황상 강조되는 것은 ‘840만개의 좌법 중에서 쉬바가 84개를 선별했다’는 것이 아니라, ‘쉬바가 선별한 84좌법 중에서도 4개의 좌법, 특히 달인좌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고락샤나타 이후의 하타요가 문헌이 달인좌를 강조하는 이유는 하타요가의 핵심 수련법인 조식(pr???y?ma)과 무드라(mudr?)가 회음의 압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한편 17-18세기에 성립된 문헌들은 그 이전의 문헌과 확연히 구별될 정도로 다양한 좌법을 설명하며, 84좌법의 실체도 「하타라뜨나왈리」와 「조가쁘라디빠까」에서 등장한다. 하지만 이 시기의 문헌에 언급된 84좌법이 ‘84좌법의 실체에 대한 문헌적 증거’가 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그것은 일차적으로 두 문헌에 각각 열거된 84좌법의 목록이 서로 이질적이어서 오히려 ‘84좌법의 원본’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두 문헌의 84좌법(중복을 제외하면 약 150개의 좌법)은 전대의 좌법 전통과도 이질적인데, 이것이 암시하는 것은 두 문헌의 좌법이 하타요가의 좌법전통을 계승한 것이 아니라 그 당시 해당 지역에서 유행했던 좌법상을 반영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좌법설명에 인색했던 전통적인 하타요가 문헌에 비추어 볼 때 좌법사에서 획기적인 전환점이며, 아마 이 시기부터 좌법이 하타요가의 외형적 전형으로 인식되는 데 기여했을 것이다. According to Gorak?an?tha, the founder of Ha?hayoga, there are 8,400,000 ?sanas. This number is mentioned in the ?ivasa?hit?, Ghera??asa?hit?, and Yoga??stra as well as in the Gorak?a?ataka. But this is only a symbolic number, not an actual reference to teachings. Most Hathayoga texts, including the Gorak?a?ataka mention that ?iva had selected 84 among those 8,400,000 ?sanas. This reference occurs not only in early texts like the Gorak?a?ataka, and the ?ivasa?hit?, but also in the classic Ha?hayogaprad?pik? and the later Ghera??asa?hit?, and the 17th century Commentary to the Yogas?tra, the Yogasiddh?ntacandrik?. Despite that, and paradoxically, there are no authoritative texts of ha?hayoga explaining these 84 ?sanas. For example, there are 1 or 2 ?sanas explained in the Gorak?a?ataka and the Yoga??stra, 4 in the ?ivasa?hit?, 8 in the Yogay?jnavalkya, and only 15 even in the Ha?hayogaprad?pik?. The 17th c. text Ghera??asa?hit? which, in contrast to previous texts, explains more ?sanas, still only explains no more than 32 of them. Thus only can only raise doubts as to whether ?iva's 84 ?sanas actually existed, or whether the number 84 is, as in the teachings of Hinduism, Buddhism, Jainism, and even the ?j?vikas, merely a mystical number symbolizing perfection. This paper examines the kind and number of ?sanas in classical hatha yoga texts, ?aiva, Jaina, K??ikha??a, to see whether the 84 ?sanas actually exist or not. Although there are 8,400,000 ?sanas, only 84 were selected by ?iva, of which 4 (Siddh?sana, Padm?sana, Si?h?sana, and V?r?sana) are explained. Among these 4 ?sanas, the Siddh?snana figures prominently. In other words, hathayoga texts mentioning ?iva's 84 ?sanas actually view the Siddh?sana as the most important one. The 84 ?sanas occur concretely in the Ha?haratn?val?, and the Jogaprad?pak? (17-18th c.). But the explanations thereof are completely different in these two texts. Probably this means that no single Ur-text describing the prototype of the 84 ?sanas ever existed. Thus the 84 ?sanas in the Ha?haratn?val?, and Jogaprad?pak? are a new creation, probably in order to secure authority for later teachings, and the fact that the two texts provide completely different explanations is due to local differences concerning the ?sanas that gained popularity. At any rate, this means that no single Ur-text describing the prototype of the 84 ?sanas ever existed. Although the 84 ?sanas described in these two tex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show what kind of ?sanas were popular in the 17-18th centuries. This represents a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sanas, especially if we compare it with earlier hatha yoga texts who refrained from providing concrete explanations of ?sanas. Thus, these two texts became representative for describing concrete hatha yoga ?sana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수슘나로의 진입과 상승 주체에 대한 고찰

        박영길(PARK, Young-Gil) 한국요가학회 2011 요가학연구 Vol.6 No.1

        꾼달리니는 수슘나의 입구에서 잠들어 있지만 일단 각성된 후엔 수슘나로 진입해서 정수리의 브라흐마란드라로 상승한다는 것은 하타요가에서 하나의 정설로 간주된다. 그리고 꾼달리니가 브라흐마란드라에 머무는 것은 ‘삼매’, ‘해탈’, ‘업의 소멸’ 등 하타요가가 추구하는 최고의 경지와 동일시된다. 『하타(요가)쁘라디삐까』에서 발견되는 특이한 점은,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의 시점’에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꾼달리니로 표현했던 것이 아니라 쁘라나로 표현했다는 것이다. 이것은 운율이나 문맥을 고려한 일회적이고 예외적인 표현이 아니라 『하타(요가)쁘라디삐까』의 일관된 입장이다. 여기서 몇 가지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가 꾼달리니인가 아니면, 쁘라나인가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는 만약 수슘나로 상승하는 주체가 쁘라나라면 바로 이 쁘라나와 꾼달리니의 관계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세 번째는『하타(요가)쁘라디삐까』가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꾼달리니로 표현하지 않고 쁘라나로 표현한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의문과 관련해서 흥미로운 것은 꾼달리니의 형질(形質)에 대한 단서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먼저,『하타(요가)쁘라디삐까』와 『월광』에 의거해서 꾼달리니가 각성된 후 수슘나로 진입하는 주체가 쁘라나이고 또 쁘라나가 수슘나로 상승해서 브라흐마란드라에 도달하는 것이 하타요가의 목표 즉, 해탈의 경지와 동일시된다는 것을 검토하였다. 여기서 수슘나는 이다, 삥갈라(pingala)와 달리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에 활성화되는 특별한 나디(nadi)이다.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쁘라나로 표현했던 문맥’에서 새롭게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각성된 꾼달리니’와 ‘수슘나로 상승하는 주체로서의 쁘라나’가 의미상 교환가능하다는 점이다. 당연한 말이지만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쁘라나’는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에 생성된 어떤 특별한 쁘라나이고 이것은 ‘이다와 삥갈라로 흐르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쁘라나’와 질적으로 다른 것이다. 그리고 꾼달리니가 각성된 후 ‘쁘라나가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해서 브라흐마란드라에 도달하는 것’은 해탈, 업의 소멸 등 하타 요가가 추구하는 최고의 경지로 간주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남겨진 의문은, ‘각성된 꾼달리니’와 ‘수슘나로 진입하는 쁘라나’가 동일하다면 ‘꾼달리니가 각성된 후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왜 꾼달리니로 표현하지 않고 쁘라나로 표현했는지’에 대한 것이다. 이것에 대한 단서는 수슘나 나디의 형질에서 발견할 수 있다. 수슘나는 해부학적 기관이 아니라 마치 동양 의학의 경락(經絡)처럼, 기체 에너지가 흐르는 통로이다. 이 점을 염두에 둔다면 ‘꾼달리니가 각성된 이후 시점’에 수슘나로 진입하고 상승하는 주체를 쁘라나로 표현한 이유는 한 가지 뿐이다. 그것은 ‘각성된 꾼달리니’의 형질(形質)이 정액이나 혈액과 같은 액체가 아니라 쁘라나와 같은 기체라는 것이다. According to Haṭhayoga s theory, the kuṇḍalinī lies dormant at the entrance of the suṣumnā which, after becoming awakened, advances to the suṣumnā and rises up to the brahmarandhra at the vertex. Furthermore, the kuṇdalinī which dwells at the brahmarandhra is referred to as samādhi, and is considered as the state of liberation or mokṣa. The Haṭhayogapradīpikā and its commentary, the Jyotsnā have the peculiarity of expressing the subject of ‘the kuṇḍalinī after its awakening’ as ascending to the suṣumnā not by using the term kuṇḍalinī, but instead by using the term prāṇa . This is not simply a singular occurrence due to metrical consideration, but a consistent viewpoint found throughout the Haṭhayogapradīpikā . What is more puzzling is that ‘the kuṇḍalinī after its awakening, advances to the suṣumnā and the ascending subject is prāṇa’ occurs very consistently in its commentary, the Jyotsnā . Here, the following doubts can be formulated. The first one is regarding ‘the kuṇḍalinī after its awakening’ and concerns whether the ascending subject is kuṇḍalinī or prāṇa. The second one, granted that the ascending subject is prāṇa, is how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prāṇa and kuṇḍalinī. The third one concerns the reason why in the Haṭhayogapradīpikā the ascending subject is not expressed as being kuṇḍalinī but prāṇa. Here, a hint about the characteristic of the kuṇḍalinī can be discovered, In this paper, I first examine whether the ascending subject according to the Haṭhayogapradīpikā and the Jyotsnā is prāṇa and whether its advance to the suṣumnā and reaching the brahmarandhra is identical to the goal of Hathayoga. Here, suṣumnā, the corridor of prāṇa s ascendancy, is referred to as iḍā, it is, unlike piṅgalā, a special nāḍi which is activate after kuṇḍalinī s awakening. The awakened kuṇḍalinī and prāṇa as the ascending subject are interchangeable terms. Thus, there is only one reason why the ascending subject is referred to as prāṇa. Namely, the characteristic of awakened kuṇḍalinī is not a fluid similar to sperm, but a gaseous body similar to prāṇa. The suṣumnā is not an anatomical organ, but something akin to energy channels as discussed in oriental medicine. Thus, as it is a channel where a gaseous body flows through, it is correct in this context to describe the awakened kuṇḍalinī as prāṇa.

      • KCI등재후보

        후기 하타요가 문헌 연구 (I)

        박영길(PARK, Young-Gil) 한국요가학회 2011 요가학연구 Vol.5 No.1

        하타요가 문헌은 9-12세기부터 19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작성되었고 따라서 적지 않은 문헌이 존재하지만 현재까지 출판된 하타요가 원전은 약 30여개에 불과하며 아직 출판되지 않은 필사본, 심지어 존재한다는 사실조차 알려지지 않은 필사본도 적지 않다. 하타요가 문헌에 대한 연구와 번역 그리고 하타요가의 독창적인 수행체계에 대한 연구는 물론이고 하타요가 문헌의 전체 규모나 윤곽을 파악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2010년 불교학연구 제8호에 중기 하타요가 문헌을 개괄한 바 있는데 여기서 계속해서 17세기 이후 하타요가 문헌, 육따브하바데와, 하타라뜨나왈리, 게란다상히따, 요가까르니까 를 소개하고자 한다. From the dawn of 9 -12 centuries through the apogee of 15th century to 18th century, the amount of the Hathayoga literature is supposed to have been enormous. Since 1890, however, there have been publications of about 30 works until now, the entire scale of the literature still incomprehensible and the study on the Hathayoga literature has been limited severely until now. For the 100 years until now, there have been publications of about 10 research works of academic worth. This article, first of all, purports to deal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main contents of the Hathayoga literature, investigating their construction from 17 th century to 18 th century.

      • KCI등재

        고전 산끄스리뜨의 아누쉬뚜브(Anuṣṭubh)에 대하여

        박영길(Park Young Gil) 한국불교연구원 2015 불교연구 Vol.42 No.-

        아누쉬뚜브(anuṣṭubh) 혹은 쉴로까(śloka)로 알려진 8음절 운율은 고전 산스끄리뜨 문헌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운율 중 하나인데 '쁘라마니까 등 8음절로 구성된 동일운율(samavṛtta)들'과는 달리 '규정된 위치의 운각(韻脚, gaṇa)'조차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대단히 특이한 형태의 운율이다. 흥미로운 것은 이 운율이 산스끄리뜨 운율서에서 아누쉬뚜브라는 명칭으로 해설된 운율이 아니라 '박뜨라 군에 속하는 운율들의 규칙 중 일부'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박뜨라=아누쉬뚜브'라는 등식이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12개의 박뜨라 운율 중 박뜨라와 빠티야 박뜨라의 규정을 합친 형태가 아누쉬뚜브 기본형(pathyā)에 해당하고 Bha, Ra, Na, Ta, Ma, Sa와 같은 여섯 비뿔라(vipulā)가 아누쉬뚜브 확장형(vipulā)에 해당한다. 반면 박뜨라, 비빠리따박뜨라, 짜빨라박뜨라는 '고전 산스끄리뜨의 아누쉬뚜브의 규정'에 위배된다. 한편 6세기의 Bṛhatsamahita와 14세기의 Śrutabhodha는 쉴로까(śloka)라는 별개의 운율을 해설하는데 여기서의 쉴로까는 '아누쉬뚜브 기본형'과 일치하지만 확장형(vipulā)의 규정을 담고 있지는 않다. §. 아누쉬뚜브 기본형의 형태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ⅰ. 홀수 구의 2-3-4번째 음절엔 ∪∪∪, ∪∪-이 올 수 없다. ⅱ. 짝수 구의 2-3-4-번째 음절엔 ∪∪∪, ∪∪- 외에 -∪-이 올 수 없다. ⅲ. 홀수 구의 5-6-7번째 음절은 ∪--이어야 한다. ⅳ. 짝수 구의 5-6-7번째 음절은 ∪-∪이어야 한다. §.. 아누쉬뚜브 확장형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ⅰ. 확장형의 경우에도 짝수구 5-6-7번째 음절은 ∪-∪이어야 한다. ⅱ. 홀수 구의 5-6-7번째 음절엔 ---, --∪, -∪-, -∪∪, ∪∪-, ∪∪∪이 올 수 있다. ⅲ. 이 경우 홀수 구의 4번째 음절은 장음(-, guru)이어야 한다. The anuṣṭubh or also called śloka consisting of 4 pādas with 8 syllables each(total 32 syllables) is known as one of the famous meter in the classical sanskrit. According to the sanskrit literature, all the rules of anuṣṭubh including pathyā and vipulas are founded in the vaktrachandas. However all of the vaktrachandas are not thought to be the same as the anuṣṭubh. Among the 12 vaktrachandas, the rules of vaktra and pathyāvaktra are regarded as having the same schema of anuṣṭubh-pathyā, and 6 vaktravipulas namely, Bha(-∪∪), Ra(-∪-), Na(∪∪∪), Ta(--∪), Ma(---) and Sa(∪∪-) are considered as the 6 anuṣṭubh-vipulās. While vaktra itself, viparitavaktra and capalavaktra are not thought to be identical with the anuṣṭubh. On the other hands, the śloka meter, explained in the Bṛhatsamhitā and the Śrutabodha is considered to be of the same schema of anuṣṭubh-pathyā. However the rules of vipulas are not included in those of the śloka meter. I. The General Rules for Anuṣṭubh-pathyā(= Śloka of ŚrB) i. The 2nd-3rd-4th syllables of odd pāda must not Na-gaṇa(∪∪∪), Sa-gaṇa(∪∪-) ii. The 2nd-3rd-4th syllables of even pāda must not Na-gāna(∪∪∪), Sa-gaṇa(∪∪-) and Ra-gaṇa(-∪-) iii. The 5-6-7th syllables of odd pāda is Ya-gaṇa(∪--), and iv. The 5-6-7th syllables is even pāda must be Ja-gaṇa(∪-∪) II. The General Rules for Anuṣṭubh-vipulā. i. The 5-6-7th syllables of even pāda must be Ja-gaṇa(∪-∪). ii. The 5-6-7th syllables of odd pāda allow Ma-gaṇa(---), Ta-gaṇa(--∪), Ra-gaṇa(-∪-), Bbh-gaṇa(-∪∪), Sa-gaṇa(∪∪-) and Na-gaṇa(∪∪∪). iii. In vipulā, the 4th syllable of odd pāda must be guru(-).only ---, ∪--, -∪- and ∪∪- are permitted in the 2nd-3rd-4th syll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