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60년대 외국문학 전공자 그룹과 김현 비평

        박연희 ( Park Yoen-hee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7 국제어문 Vol.40 No.-

        1955년 이후 대거 등장한 전후 신세대 비평가들은 대학이라는 학적 제도아래 출현했다. 즉, 전후 비평계의 신세대는 엘리티시즘을 표방하는 대학이 보편화되는 가운데 이러한 `학력자본(capital scolaire)`의 획득과 결부되어 문화적 패권을 확립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국문학 전공자들과 외국문학 전공자들 각자의 문단적 연대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1960년대 비평의 특수성이라 할 만하다. 따라서 본고는 1950년대 대학의 보편화 이후 문학 장에서 과거식민지 세대와 변별되는 이들 집단의 아비투스(habitus)에 주목했다. 다시 말해, 부르디외의 `학력자본`이라는 개념을 통해, 유종호와 김현 등 외국문학 전공자들이 당대 문단에 출현하게 된 계기와 그 문학관을 좀더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했다. 유종호의 `언어에 대한 자의식`과 김현의 `미학적 감수성`은 전후세대와 4.19세대다운 면모뿐 아니라, 외국문학전공자의 아이덴티티를 여실히 보여준다. 더구나 김현의 경우 초기 비평관은 외국문학에 대한 `올바른 수용 자세`를 고민하던 외국문학도의 자의식과 무관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김현의 이 시기는 『사계(四季)』 동인 활동기와 중첩되며, 바로 이 동인지에 실린 글들을 통해 그가 바슐라르식 상상력 이론에 이미 깊이 감화되어 있었음을 확인했다. In 1950s, critics of the new generation could make the cultural creation improved supported by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self-consciousness as the first critics who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institutional stability of literary journals. In some sense, the criticism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were formed under the so-called literary education in which `the new generation` had affinity with registering institutions in universities. In that era, the critics who had had literal ability that had not been limited in any specific major and so omnipotent power as `observer` to influence greatly on literary section in newspaper did not exist any more. Of course, though it can be said that criticism, in any time, cannot go far beyond the power relations in the literary world, the new generation in the criticism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especially could dominate cultural power by being related to acquisition of `capital scholaire` as universities emphasized elitism. In this process, necessarily each literary circles who majored in Korean literature and foreign literature respectively formed literary solidariti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es on the collective `habitious` which was different from previous generations. By using Bourdieu`s term, `capital scholaire`, I try to find out not only the more specific reasons why Yu, Jong-Ho, Kim, Hyun, and etc. who had majored in foreign literature could appear in the contemporary literary world but also their perspectives in literature. In case of Yu, Jong Ho, his `self-consciousness to the language` shows the new generations` tendencies before and after the war and the identity as the one who had studied in foreign literature. Kim Hyun`s early criticism could not be detached from a person`s self consciousness who had studied in foreign literature and thought about the `justifiable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Interesting enough, Kim Hyun in that time was a member of `Sa-Ge` and it can be witnessed that he applied Bachelard`s theory on imagination in the article that was published in Sa-Ge. .

      • KCI등재

        박인환의 미국 서부 기행과 아메리카니즘

        박연희(Park, Yoen Hee)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9 No.-

        이 논문은 아메리카니즘이 1950년대 한국 지식인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이를 대변하는 박인환의 시적 변모를 검토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1950년대 ‘미국’에 대한 관심은 박인환에 국한된 것은 아니지만, 해방기의 진보적 자유주의 이념이 1950년대 미국화 현상을 통해 보수화된 것은 정치적, 제도적 측면만으로 파악할 수 없는 긴요한 문제의식을 보여준다. 해방기 박인환의 글에 의하면 극도의 물질주의는 정신, 전통의 결여로서의 미국을 상징했다. 그런데 이러한 도식적인 입장은 본격적으로 미국영화 평론을 쓰면서 달라져, 구라파의 정신사적 유산이 결여된 상태가 오히려 아메리카니즘의 원천으로 파악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진다. 요컨대 박인환은 1950년대 중반부터 「지상에서 영원으로」, 「남태평양」, 「리턴 투 파라다이스」 등 독특한 태평양전쟁 영화를 통해 전승국 미국의 고유성을 확인하고 프런티어 정신으로 통일된 미국이라는 유력한 표상 체계를 내면화하기에 이른다. 해방기에는 미국을 타자화하는 가운데 코스모폴리탄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던 박인환이 냉전체제가 전면화되는 1950년대 이후에는 아메리카니즘의 세계지향을 선택한다. 자민족중심주의에 함몰되지 않고 세계질서의 흐름 속에서 자아와 공동체의 실상을 인식하려 했던 박인환 특유의 문학적 자의식은, 그가 쓴 일련의 미국영화 비평이나 미국기행시에 잘 드러나 있듯, 태평양 시대의 개막을 통해 일제 식민지 시대를 청산하고 새롭게 부상하려는 한국사회의 비전과 맞닿아 있다. 그런 점에서 박인환의 아메리카니즘은 문화사상적 측면에서 미국을 세계의 중심으로 무리 없이 받아들인 한국 지식인의 범례에 해당하지만, 다른 한편 좌우 이념의 대립과 갈등에 경사되지 않고 세계 전후의 시적 상징을 만들었던 해방기 청년 모더니스트 특유의 코스모폴리탄적 감각에서 연유한 문학적 귀결이었는지도 모른다.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tatus of Americanism among the Korean intellectuals in 1950s and to study the poetic transformation of Park In-hwan who represented the Americanism. For instance, during the period of the liberation of Korea, Park In-hwan maintained that the extreme materialism of America symbolized the lack of spirit and tradition in itself. However, his schematic understanding and standpoint toward the ‘Things America’ had been changed in the middle of 1950s by writing articles for American movie reviews.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a victorious country such as The Pacific War and the Spirit of the West, Park In-hwan came to understand that the absence of tradition is the root of the culture of its splendid Americanism. In case of Park In-hwan, as the awareness of globalism is gained by opening one"s culture, so the experience of Americanism can be ended in the attempt of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Korean culture. This brought forward due to its topicality in that the progressive identities of modernists and their force clearly revealed the point that was refracted in the media fantasy of America (American culture).

      • KCI등재

        전후, 실존, 시면 표상 : 청년 모더니스트 박인환을 중심으로

        박연희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8 한국문학연구 Vol.0 No.34

        이 글의 목적은 해방기에 등단한 청년 모더니스트 박인환을 통해 한국전쟁 이전에 존재하였던 탈국민적 주체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한국전쟁 이후 국민국가의 제도화 과정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은 국민 주체로 정형화되지만, 단정수립 이전 곧 이데올로기적 자기 규정성이 명확하지 않았던 해방 공간에서는 국민 주체와 변별되는 형태의 문화적 주체가 발견 가능하다. 박인환의 경우 그것은 '마리서사'라는 좌우 구별이 없던 자유로운 문예공간으로서의 고서점을 운영하던 이력이나 당대를 제국주의의 새로운 판본으로 인식하고 제3국가의 정체성에 천착한 시 작업에서 흥미롭게 부각되었다. 알다시피 해방기는 두 개의 양립할 수 없는 세계관이 전 지구적으로 확대되는 시기였다. 바로 이 시기에 1945년을 민족사 내부의 해방이 아닌 세계사 전반의 전후로 감지하였던 청년 세대가 존재했으며, 어떤 의미에서 그들은 국민국가의 주체가 아닌 제국의 타자로 유동하는 무정형의 개인이라 할 만하다. 2차대전 이후 '전후' 개념은 냉전의 문화사, 사회사, 사상사적 전망과 긴밀하게 연접하여 발휘된다. 특히 박인환이 자신의 혼란스런 정체성을 피력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한 실존주의 역시, '전후' 개념의 확산 과정에서 미국의 헤게모니가 농후한 전후사회의 지식ㆍ사상ㆍ문화를 지도하는 새로운 문화담론으로 한국에 유입되었다. 이는 박인환이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이라는 앤솔로지 제호와 서문에서 선진적으로 표현한 '시민' 표상과 유관하다. 남한 단정수립을 계기로 박인환은 해방 직후 무정형의 개인의 형상을 좀더 분명한 자기정체성으로 해명하고 규정할 내적 요구에 직면하게 되는데, 공공영역에서 좌파세력에 대한 전면적인 배제와 억압이 이루어지는 등 국민국가를 경험한 최초의 청년 세대에게 '시민'은 비정치적 영역에서 제안된 새로운 문화적 주체 표상일 수 있었다. 다른 한편 분열된 자의식으로 표현되는 시편들에서 알 수 있듯이, 그러한 '시민'은 실존적 정체성의 한 면을 통과하는 자기존재 증명의 표지이기도 했다. This study is to take a close look at the postnational identity had place ahead of The Korean War through the youth modernist Bak, In-hwan who enters the literary world in the liberation period. Widely known to, the identity of an individual was standardized to the identity of a nation by the course was institutionalized since The Korean War. This is found out the another cultural subject called a national subject in the liberation period was not clear the ideological selfregulation. In case of Bak, In-hwan is well brought out in his personal history of an old bookshop 'MARIE' and his poetry of His modified view is that the new empire's images. In the Emerging Cold War World Order, there is the representations about a subject is connected with sense of the youth generation which was perceived '1945' to be 'afterwar' means World War Ⅱ of world history, to be not 'Sovereign Spaces' of national history. In a chance to independence government establishment, Bak, In-hwan came to grips with a mental requirement which is figure of formless individual in immediate postliberation fixed by himself identity more accurate in immediate postliberation. At this very moment, the representation about 'Citizen' is actionable the representation about cultural subject for the youth generation who was experienced at the nation-state, let us say Anti-communism or what 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