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단일 기관에서 소아 환자들의 임상검체로부터 분리된 Vancomycin 내성 장구균에 대한 임상적 고찰

        박여훈,김기주,김기환,전진경,이택진,김동수,박은숙,Park, Yeo Hoon,Kim, Khi Joo,Kim, Ki Hwan,Chun, Jin-Kyong,Lee, Taek Jin,Kim, Dong Soo,Park, Eun Suk 대한소아감염학회 200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4 No.2

        목 적 : Vancomycin 내성 장구균(이하 VRE)은 1980년대 후반 처음으로 보고된 이후 전세계적으로 그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나 소아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 등은 소아 환자의 VRE 감염 빈도 및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VRE 균주의 임상 양상과 VRE 감염의 위험인자 및 경과에 대해 조사하여 VRE 감염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한 15세 이하의 소아 환자에서 분리된 VRE 230주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 환아는 ICU 환자군과 Non-ICU 환자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간에 있어 VRE가 분리되기 전 처치형태 및 분리된 균주의 항균제 감수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ICU 환자군 및 수술이나 중재적 시술을 받았던 경우, 3세대 cephalosporin이나 glycopeptide등의 광범위 항생제를 투여했던 경우에서 VRE 분리 빈도가 높았으며 대부분의 경우 E. faecium이 분리되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tetracycline을 제외한 항생제에 높은 내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분리 전 3세대 cephalosporin의 투여 비율이 가장 높았다. 3세대 cephalosporin의 투여 비율은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나 2006년에 들어서는 glycopeptide의 사용이 감소하였으며, 2006년에는 VRE가 분리된 환아 수가 감소하였으나 1998년부터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결 론 : 소아의 경우에서도 VRE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VRE 감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군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와 항균제 사용 제한이 필요하며 이미 분리된 환자에 있어서도 신중한 항생제 선택과 함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감염 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While cases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have increasingly been reported worldwide since it was first reported in the late 1980s, there have been few systemic studies on the pediatric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planning of VRE prevention by investigating the prevalence, risk factors and transmission of VRE infection. Methods : We studied 230 patients under age 15 years who were isolated VRE between January 2001 and December 2006 retrospectively.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and the non-ICU groups. We reviewed the procedures before VRE detection as well as antibiotic sensitivity of detected organisms. Results : The number of VRE-isolation cases was higher in the ICU group than the non-ICU group. Instances of VRE-isolation were also more prevalent in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s or active procedures while taking 3rd-generation cephalosporins or glycopeptides. Almost all antibiotics except tetracycline were resistant to VRE. The proportion of 3rd-generation cephalosporin use was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antibiotics before VRE detection. Additionally, the use of 3rd-generation cephalosporins has increased annually, but that of glycopeptides had decreased in 2006. Also, the rates of VRE isolation have been increasing since 1998. Conclusion : VRE infection is increasing in pediatric population. Strict adherence to appropriate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VRE transmission in hospitals, and tracking of VRE colonization through active surveillance in high risk units are recommended.

      • 2세 남아에서 발견된 들깨 알레르기 1례

        송지은 ( Ji Eun Song ),이재랑 ( Jae Rang Lee ),박여훈 ( Yeo Hoon Park ),홍정연 ( Jung Yeon Hong ),손선미 ( Sun Mi Son ),김경원 ( Kyung Won Kim ),고홍 ( Hong Koh ),정기섭 ( Ki Sup Chung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 Ea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1

        저자들은 아토피 피부염이 있으며 난백, 땅콩 등에 알레르기가 있는 유아에서 이유기에 처음으로 섭취한 들깨에 의해 심한 소화기 증상이 발생했던 들깨 알레르기 환아 1례를 경험하였기에 들깨 단백분석 및 환아 혈청 내 특이 IgE와의 immunoblot 분석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ven though perilla is one of the most commonly consumed grain in Asia including Korea, perilla allergy is rare. A 2 year-old boy had erythematous popular urticaria on his whole body, as well as vomiting and diarrhea after ingestion of boiled perilla. On the second day of admission, old blood clots in the vomitus and blood tinged stool were shown. He underwent an esophago gastro duodenoscopy which showed a large duonenal ulcer. After treatment, his general condition improved. We report a case of perilla allergy with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78-83]

      • 소아 천식에서 유도 객담 내 CXCL13의 의의

        백지영 ( Ji Young Baek ),최봉석 ( Bong Seok Choi ),이용주 ( Yong Ju Lee ),박여훈 ( Yeo Hoon Park ),김경원 ( Kyung Won Kim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 Earn Kim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4

        목적: CXCL13은 B 세포의 귀소 반응에 관여하는 케모카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T 세포 관련 염증에 관여한다는 보고가 있고, Th17 세포에서 주로 분비된다는 보고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 천식에서 CXCL13의 임상적인 의의와 기관지과민성, 폐기능과 기도 내 호산구성 염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세브란스 어린이 병원에 내원한 만 6세에서 15세 이하의 소아 1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천식 환아는 80명, 대조군은 80명이었다. 전체 대상아에서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 검사를 시행하였고, 혈액 내 호산구 수, 혈청 총 IgE, ECP 및 유도객담 내 호산구 수, ECP 및 CXCL13을 측정하였다. 결과: 유도 객담 내 CXCL13은 천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03), 객담 내 호산구 수(r=0.190, P=0.017) 및 ECP(r=0.285, P=0.002)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혈액 내 호산구 수 및 ECP, 총 IgE와는 통계적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고, 폐기능 및 메타콜린 기관지과민성과 도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CXCL13은 소아 천식에서 호산구성 염증과 관련하여 기도 내 만성 염증에 역함을 담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유도 객담 CXCL13은 향후 케모카인과 천식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CXCL13 is known to be a chemokine delivering B cell to the secondary lymphatic follicles, such as spleen, lymph nodes, and Peyer`s patches. Recently, there have been some reports that CXCL13 is important for T cell inflammation and expressed by Th17 cell which produces IL-17.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linical implication of CXCL13 in children with asthma. Methods: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160 children aged 6 to 15 years who visited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There were 80 children with asthma and 80 children without. The pulmonary function test and th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were performed. Total eosinophi1 count,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and total IgE in serum and eosinophils, ECP and CXCL13 in sputum were measured. Result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8.3±2.3 years for the asthma group and 9.3±2.5 years for the control group.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67.5% and 55.0% respectively. The sputum CXCL13 level for the asthm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level for the control group (P=0.003). This significance persisted even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sex (P=0.010). The sputum CXCL13 leve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sputum eosinophils (r=0.190, P=0.017) and ECP (r=0.285, P=0.002).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CXCL13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asthma related to eosinophilic inflammation. Further studies on sputum CXCL13 could help to reveal the role of chemokines in asthm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420-428]

      • 소아 천식과 호산구성 기관지염에서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EGF)의 의의

        김경원 ( Kyung Won Kim ),지혜미 ( Hye Mi Jee ),이경은 ( Kyung Eun Lee ),박여훈 ( Yeo Hoon Park ),최봉석 ( Bong Seok Choi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 Earn Kim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2

        목적: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기도개형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켜 천식에서 기도 벽의 부종에 기여할 뿐 아니라 기관지과민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기관지 천식의 중요한 매개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식 및 호산구성 기관지염 환아에서 이러한 VEGF의 임상적인 의의와 기관지과민성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만 6세에서 14세 사이의 2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천식 환아는 117명, 호산구성 기관지염환아는 77명, 대조군은 84명이었다. 전체 대상자에서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흡입 유발시험, 피부 단자 시험을 시행하였고, 혈액 내 호산구수, 혈청 총 IgE, ECP, 유도 객담 내 호산구수 및 유도 객담 상층액의 ECP, VEGF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천식군의 유도 객담 VEGF 농도는 89.04 (29.95-178.09) pg/mL, 호산구성 기관지염군은 25.30 (11.02-80.23) pg/mL, 대조군은 37.37(16.56-71.30) pg/mL로 천식군에서 호산구성 기관지염군과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다(P=0.0003). 또한 유도 객담 VEGF 농도는 유도객담 내 ECP 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r=0.524; P<0.0001), 유도 객담 내 호산구수와는 관련이 없었다. 또한 유도 객담 내VEGF는 FEV1, (r=-0.252; P=0.001) 및 post-bronchodilator FEV1 (r=-0.181; P=0.038)와 의미있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VEGF는 소아 천식에서 기도 내 호산구 활성화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유도 객담 VEGF는 호산구성 기도 염증의 정도 및 기류제한을 반영하는 보조적인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n important mediator of airway inflammation and remodeling in asthma. We aimed to explore whether VEGF is expressed at elevated levels in asthmatic airways or eosinophilic bronchitis (EB) and associated with eosinophilic inflammation, pulmonary function,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in children. Methods: One hundred seventeen asthmatic children, 77 children with EB, and 84 healthy children were enrolled. Sputum supernatants were collected and VEGF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levels were measured. Results: Asthmatic children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VEGF in induced sputum [89.04 (29.95-178.09) pg/mL] compared to children with EB [25.30 (11.02-80.23) pg/mL] and healthy children [37.37 (16.56-71.30) pg/mL; P=0.0003]. VEGF in sputum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utum ECP (r=0.524; P<0.0001).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putum VEGF and FEV1, (r=-0.252; P=0.001) or post-bronchodilator FEV1 (r=-0.181; P=0.038) whereas non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putum VEGF and sputum eosinophil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VEGF is associated with activated eosinophils in the asthmatic airway, but not EB. Sputum VEGF could be a supportive marker that represents activation of airway eosinophils and persistent airflow limitation in asthmatic children.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173-182]

      • 천식 환아에서 호기산화질소(exhaled nitric oxide)와 폐기능 및 기도과민성의 연관성

        최봉석 ( Bong Seok Choi ),지혜미 ( Hye Mi Jee ),박여훈 ( Yeo Hoon Park ),김경원 ( Kyung Won Kim ),손명현 ( Myung Hyun Sohn ),김규언 ( Kyu Earn Kim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3

        목적: 호기산화질소는 하기도 염증의 지표로 천식의 진단, 중증도 평가, 및 추적관찰의 도구로써 의미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 논란이 있다. 폐기능 검사는 천식의 진단 및 치료, 관리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기도과민성은 천식의 중요한 특징으로 메타콜린 유발검사나 기관지 확장제 투여 후 폐기능 검사 등으로 평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천식 환아에서 호기산화질소가 반영하는 기도염증과 폐기능 및 기도과민성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6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세브란스 어린이병원으로 내원하여 천식으로 진단받은 환아 121명과 대조군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4주 이내에 스테로이드 등의 조절제를 사용하였거나 급성 호흡기 감염이 있었던 경우는 제외하였다. 전체군을 대상으로 호기산화질소농도, 폐기능 검사, 기관지 확장제 투여 후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유발검사, impulse oscillometry (IOS)검사를 시행하였다. 호기산화질소와 다른 검사 결과값들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각 군 간의 호기산화질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호기산화질소는 천식군[28.3(15-55.75) ppb]에서 대조군[20(12.35-39.7) ppb]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15) 호기산화질소는 폐기능 검사와는 FEF25-75 (%pred)에 대해서만 약한 연관성을 보였다.(r=-0.169, P=0.022) 기도가역성을 나타내는 dFEV1 (r=0.23, P=0.001), dR5 (r=-0.148, P=0.044)에서 호기산화질소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메타콜린 유발검사상 PC20값과 호기산화질소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18, P<0.001) 결론: 호기산화질소는 기도염증 및 기도과민성을 반영하는 보조적인 표지자로서 천식 진단 및 추적 관찰 도구로써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나, 폐기능을 직접적으로 반영하지는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Exhaled nitric oxide (eNO) has been proposed as a non-invasive marker for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Pulmonary function test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Airway hyperresponsiveness (AHR) is one of the major features in asthma and usually assessed by th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eNO and pulmonary function/AHR in asthmatic children. Methods: There were 121 asthmatic children and 81 controls in the study. The eNO level was measured, the methacholline challenge test, spirometry, impulse oscillometry (IOS) and assessment of their bronchodilator responses were performed on all subjects. Results: The asthma group had a higher eNO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28.3 (15-55.75) vs. 20 (12.35-39.7) ppb, P=0.015]. The eNO level correlated positively with dFEV1 (r=0.230, P=0.001). It correlate inversely with dR5 (r=-0.149, P=0.036), eNO with PC20 (r=-0.318, P<0.001) and with FEF25-75 (r=-0.17, P=0.015), but not with FEV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eNO values may reflect AHR, as well as airway inflammation, but not pulmonary function.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291-29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