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반적인 인지기능 평가 검사로서의 Mini-mental state examination과 Hasegawa's dementia scale의 특성 비교:문항반응이론의 적용 : 문항반응이론의 적용

        박아람 翰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tem and test characteristics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Folstein & McHugh, 1975) and the Revised Hasegawa's Dementia Scale (HDS-R; h-nai & Hasegawa, 1994) based on the item response theory. The MMSE and the HDS-R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clinical and research fields as general cognitive assessment scales. For this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Kang, Na, & Han, 1997) and the Korean version of Revised Hasegawa's Dementia Scale (K-HDS-R Kang, Na, Son, Jung, & Lee, 1999) were used. The subjects were 567 community-dwelling elderly (CE), 55 Alzheimer's disease patients (AD), and 61 vascular dementia patients (VaD). Among the CE, 358 were randomly selected as a comparison group (CG) to be compared with the dementia patients. The CG, AD, and VaD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mean age or years of education. The seventies of dementia assessed by Clinical Dementia Rating (Hughes, Berg, Danziger, Coben, & Martin, 1982) were not different between AD and VaD. BILOG-MG (Zimowski, Muraki, Mislevy, & Bock, 1996)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estimation of item parameters was done using 2-parameter logistic model and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It was found that most items of the K-MMSE and the K-HDS-R were included in "easy level" in the item difficulty and "appropriate level" in the item discrimination, indicating that the both scales are sensitive to discriminate the low range of ability. The test information curves of the K-MMSE and the K-HDS-R also showed that both scales measured the low range of ability (about -1.0 on the continuum of ability) most accurately without measurement err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he K-MMSE and K-HDS-R are good measures for screening the dementia patien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K-HDS-R is sensitive to detect both the AD and the VaD, while the K-MMSE is sensitive to detect only the AD. The test characteristic curves showed that although both scales maintained the linearity in the low and the middle range of ability, their linearity was weaker in the high as well as the very low range of ability. The linearity of the K-HDS-R was a little bit stronger than that of the K-MMSE. In s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HDS-R would be more useful for screening the dementia patients than the K-MMSE, although the K-MMSE and the K-HDS-R were very similar in the item and the test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IRT)을 사용하여 임상 및 연구 장면에서 널리 사용되는 선별검사인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 Folstein, Folstein, & McHugh, 1975)과 Revised Hasegawa's Dementia Scale(HDS-R: Imai & Hasegawa, 1994)의 문항 및 검사 특성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점사인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1997)과 Korean version of Revised Hasegawa's Dementia Scale(K-HDS-R: 강연욱, 나덕렬, 손귀령, 정진상, 이광호, 1999)이 사용되었다. 연구에 참가한 피검자는 지역사회 노인 567명, 알쯔하이머병 치매환자(이하 AD라 칭함) 55명, 혈관성 치매환자(이하 VaD라 칭함) 61명이었고, 지역사회 노인 중에서 AD 집단 및 VaD 집단과 연령 및 교육년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368명의 "지역사회노인 비교집단"을 무선표집하여 치매집단과 비교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치매집단에게 Clinical Dementia Rating(CDR; Hughes, Berg, Danziger, Coben, & Martin, 1982)을 실시한 결과 치매의 심각도에서 AD 집단과 VaD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분석을 위하여 BILOG-MG(Zimowski Muraki, Mislevy, & Bock, 1996)를 사용하였고 2모수 로지스틱 모형과 최대우도추정법을 사용하여 문항모수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K-MMSE와 K-HDS-R의 대부분의 문항들이 쉬운 수준의 난이도와 적절한 수준의 변별도를 나타내는바 두 검사 모두 하위 능력수준을 잘 변별하고 있다고 사료되었다. 또한 K-MMSE와 K-HDS-R의 검사 정보 곡선을 검토한 결과, 두 검사가 모두 낮은 능력수준(능력 연속체에서 -1에 해당)을 측정의 오차 없이 가장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K-MMSE와 K-HDS-R이 치매환자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도구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결과는 K-MMSE가 AD 집단의 변별에만 민감한 것에 반하여, K-HDS-R은 AD 집단과 VaD 집단 모두의 변별에 민감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선형적 측정 특성과 관련하여 검사 특성 곡선을 검토한 결과는 두 검사 모두 낮은 능력 범주에서는 선형적인 측정이 이루어졌으나 아주 낮은 능력 범주와 상위 능력 범주에서는 선형성이 약화된다는 점을 나타냈고, K-MMSE보다 K-HDS-R이 보다 선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약하면, 이러한 결과는 두 검사들이 보이는 문항 및 검사특성이 상당히 유사하지만, 치매 환자를 선별하는데 있어서K-MMSE보다 K-HDS-R이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다문화사회에서의 교육목회에 관한 연구

        박아람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 사회는 세계화에 따른 이주 노동자, 결혼 이민자들의 이주와 함께 다양한 문화가 유입되면서 다문화사회라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기존의 사회 구성원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기존 구성원과 새로운 사회 구성원간의 정서와 의식의 불일치로 인한 갈등이 생겨나고 축적되면서 이를 해결하고 극복하려는 대안들이 정치, 교육, 문화 등 다방면에서 제시되고 있다. 세계화, 다원주의 등 다문화사회의 특징들은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신앙적 확신에 대한 도전일 뿐 아니라 신앙공동체로서의 존재 여부에 대한 도전으로 작용되고 있다. 하지만 다문화주의라는 새로운 도전에 대한 한국 교회의 태도는 변화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과 새로운 것에 대한 불안에서부터 출발하는 경향이 짖다. 또한 다문화목회를 하고 있는 교회들의 목회 방향에 있어서도 한국인 성도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던 기존의 목적과 내용, 방법 등과 크게 다르지 않거나, 다문화사회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지 않고 시작된 목회로 인해 이주민은 물론 교회 자체도 큰 혼란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세계적인 흐름에 적응하지 못하고 교회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기존의 한국 교회의 모습을 떠나서, 다문화사회에 대한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사회가 가지고 올 변화를 예견하고 좀 더 다각적 대응방안을 모색하여서 교회를 바로 세울 수 있는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을 보일 수 있도록 역동적으로 대처하며 준비하기 위해 다문화사회에서의 교육목회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따라서 다문화라는 전세계적인 흐름 속에서 다양한 문화를 가진 새로운 구성원, 특히 이주노동자, 결혼 이민자, 이주아동을 맞게 된 한국 교회가 그들과 함께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공존하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한국 교회가 직면하게 된 다문화사회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는 이주민들과 기존 구성원인 한국인 성도들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교회의 교육목회에 대한 연구라 할 수 있다.

      • 종합병원 입원환자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건강신념 모델을 기반으로

        박아람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종합병원 내 주돌봄자인 간병인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 소재 3개의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돌보기 위해 환자 또는 가족에 의해 고용된 간병인 159명이었다. 2022년 9월 30일부터 10월 11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감염관리 지식 22문항, 건강신념 하위 개념 30문항(지각된 민감성 8문항, 지각된 심각성 4문항, 지각된 유익성 6문항, 지각된 장애성 8문항, 자기효능감 4문항), 감염관리 수행 15문항, 일반적 특성 13문항의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9.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계산하였고,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Cronbach's α 값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정답률은 전체 평균 90.5%, 총 점수는 22점 만점에 19.90점으로, 대상자의 건강신념 하위 개념은 5점 만점에 자기효능감이 4.3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각된 심각성이 4.03점, 지각된 유익성이 3.98점, 지각된 민감성이 3.77점, 지각된 장애성이 3.74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 총 점수는 60점 만점에 51.66점, 평균 점수는 4점 만점에 3.70점으로, 하위 영역인 환경관리 및 린넨이 3.77점으로 가장 높았고, 호흡기 에티켓(3.75점), 개인 보호장구(3.68점), 손위생(3.56점) 순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지식의 차이는 근무시간(F=3.34, p=.038)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집단별 차이를 보기 위한 Scheffé test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 하위 개념의 차이에서 지각된 민감성은 요양보호사 자격증(t=-3.03, p=.003), 근무시간(F=5.53, p=.005), 간병 형태(t=-2.04, p=.046), 감염환자 간병 경험(t=3.14, p=.003),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9.15, p<.001), 감염관리 관심도(t=-2.95, p=.006),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t=-2.65, p=.023)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지각된 심각성은 최종학력(F=3.27, p=.023), 요양보호사 자격증(t=-2.37, p=.021), 근무시간(F=6.70, p=.002), 감염환자 간병 경험(t=2.76, p=.006),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4.92, p=.008), 감염관리 관심도(t=-4.35, p<.001),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t=-4.04, p<.001)이, 지각된 유익성은 성별(t=-3.07, p=.002), 연령(F=3.11, p=.047), 근무경력(F=3.22, p=.02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환산한 지각된 장애성은 성별(t=-2.08, p=.040), 근무경력(F=2.98, p=.034), 요양보호사 자격증(t=-2.91, p=.004), 근무시간(F=6.47, p=.002), 감염환자 간병 경험(t=-2.02, p=.045),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4.52, p=.012)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자기효능감은 최종학력(F=2.68, p=.049), 요양보호사 자격증(t=-2.23, p=.027), 근무시간(F=7.04,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은 요양보호사 자격증(t=-3.30, p=.001), 감염환자 간병 경험(t=4.27, p<.001), 질병 전파 매개체 가능성(F=3.08, p=.049), 감염관리 관심도(t=-3.23, p=.003),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t=-5.6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은 감염관리 지식(r=.32, p<.001), 건강신념 하위 개념인 지각된 심각성(r=.30, p<.001), 자기효능감(r=.18, p=.022), 지각된 유익성(r=.16, p=.049)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환자 간병 경험(t=4.65, p<.001),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필요하다)(t=2.51, p=.013), 감염관리 지식(t=2.01, p=.046), 지각된 민감성(t=-4.95, p<.001), 지각된 심각성(t=4.30,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40%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종합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간병인의 감염관리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염관리 관심을 높이기 위한 교육 체계를 마련하고, 감염환자 간병 경험,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 감염관리 지식, 지각된 심각성 등 간병인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 감염관리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had affected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f inpatients caregivers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The participants were 159 caregivers who were employed by patients or their families to care for patients admitted to three general hospitals in Cheongju-si.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30 to October 11, 2022.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2 questions on infection control knowledge, 30 questions on health belief(8 questions on perceived susceptibility, 4 questions on perceived severity, 6 questions on perceived benefits, 8 questions perceived barriers, 4 questions on self efficacy), 15 questions on infection control and 13 questions general characteristics. Da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29.0 program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post hoc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Cronbach's α.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rrect answer rate of partcipants’ infection control knowledge was 90.5% overall, the total score for infection control knowledge was 19.90 points out of 22. Sub-concept of health belief was the highest with 4.37 points for self-efficacy, followed by 4.03 points for perceived severity, 3.98 points for perceived benefits, 3.77 points for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3.74 points for perceived barriers. The total score for infection control was 51.66 points out of 60 and the average score was 3.70 points out of 4, followed by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linen with 3.77 points, followed by respiratory etiquette(3.75 points),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3.68 points), and hand hygiene(3.56 poi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and working hours(F=3.34, p=.038).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nd certification of nursig care workers(t=-3.30, p=.001), experience of caring for infected patients(t=4.27, p<.001), possibility of disease transmission mediators(F=3.08, p=.049), interest in infection control(t=-3.23, p=.003 and need for infection control education(t=-5.65, p<.001).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nd perceived severity(r=.30, p<.001), self-efficacy(r=.18, p=.022), and perceived benefits(r=.16, p=.049), and infection control knowledge(r=.32, p<.001). Factors affecting infection control of inpatients caregivers were the experience of caring for infected patients(t=4.65, p<.001), need for infection control education(necessary)(t=2.51, p=.013),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t=2.01, p=.046), perceived susceptibility(t=-4.95, p<.001), and perceived severity(t=4.30, p<.001). These factors explained 40% of variance of infection contro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ducation system to raise interest in infection control and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improve infection control by consider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caregivers, such as nursing experience,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perceived severity.

      •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가 말소리장애의 조음개선에 미치는 효과

        박아람 대구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가 말소리장애의 조음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6세에서 7세의 말소리장애 아동 10명 중 5명씩 두 그룹으로 나누어 12회기 동안 진행하였으며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와 전통적 기법을 활용한 중재를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는 아동이 훈련단어를 발화 한 후 채팅창에 자신의 말소리가 문자로 변환되어 진 것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스스로 오류음을 수정해 나갈 수 있는 중재 방법이며, 전통적 기법은 하위 기법 중 조음점 지시법을 이용하여 아동의 정확한 조음 위치와 호흡 기류의 올바른 사용을 유도하였으며, 목표음에 대한 조음방법과 위치, 조음기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중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하여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중재를 실시한 결과 전체자음정확도, 조음방법, 음소위치, 음절유형에서 개선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조음위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전통적 기법을 사용하여 말소리장애 아동에게 중재를 실시한 결과 전체자음정확도, 조음방법, 조음위치, 음소위치, 음절유형에서 개선이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카카오톡 음성인식과 전통적 기법 두 그룹간에 조음개선정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을 활용한 중재가 전통적 기법과 같이 말소리장애의 조음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카오톡 음성인식 기능의 시각적 피드백을 통해 말소리장애 아동들의 흥미 및 동기유발에 도움을 주었고 접근성이 용이하며 사용이 쉽다는 다양한 장점을 발견 할 수 있어 치료프로그램으로 효과적이며, 말소리장애의 새로운 중재 방법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vention utilizing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on articulation improvement of the voice disabled. To do this, it has progressed for twelve sessions, by dividing into two groups by five persons among ten voice-disabled children with ages from six to seven. Also, we investigated the intervention utilizing kakaotalk voice recognition and intervention utilizing traditional technique, dividing it into ex ante-ex post. The intervention, which uses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is the method which child can recognize that the own voice is changed into text in the chat window immediately and correct the error voice by oneself, after speaking training words. Moreover, the traditional technique is to induce child to use the position of articulation and breathing current correctly, using the direction of articulation point among sub-techniques, and it has intervened by providing articulation method and position for target sound, information for articulation organs. The result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has improved the accuracy of whole consonants, articulation method, position of phoneme, and syllable type, an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of articulation, as a result of utilizing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and implementing it to the voice-disabled. Second, it has improved the accuracy of whole consonant, articulation method, position of articulation, position of phoneme, and syllable type, and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using traditional technique and carrying out intervention to the voice-disabled.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rticulation improvement for both groups of kakaotalk voice recognition and traditional technique. Suppose it synthes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like so, it shows that intervention utilizing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has a positive effect on articulation improvement of the voice-disabled like traditional technique. Also, it is considered as effective for treatment program and new method of intervention for the voice-disabled, since it helps to cause interest and incentive for the voice-disabled via visual feedback of voice recognition of kakaotalk, and is easy to access and to use.

      • 평가염려/개인기준 완벽주의성향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박아람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 지역 3개의 4년제 대학교의 대학생 3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총 350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은 PASW statistics 18.0과 Mplus 5.0을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부트스트랩(Bootstrap) 방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인지적 정서조절방략,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있는 반면,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인지적 정서조절방략,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분석결과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은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부적으로,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는 정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랩 검증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의 간접효과가 유의미하여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개인기준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을 부분 매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완벽주의의 차원에 따라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다를 뿐만 아니라 완벽주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이 매개함을 확인해 주었다. 이는 상담 및 임상현장에서 완벽주의성향에 따라 적절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을 사용하도록 개입할 근거를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이 향상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과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국내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의 감성 선호도 분석 연구

        박아람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future flower cafe and basic materials of flower cafe display by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of display, preference, and the language of sensibility adjectives targeting flower cafes, located in Gangnam-gu, Seoul. It chose study methods of field research, literature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Put simply, it identified the present condition of flower cafe display by choosing flower cafe, located in Gangnam-gu through visit survey, and used experimental films as materials for a questionnaire survey. In the first place, literature survey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dissertations, and magazines, and preliminary research on flower cafe executives, florists, and instructors were conducted. Experimental slides for the study were under the standards of <Facade>, <Window>, <Product display>, <Color>, <Lighting>, <P.O.P>, <Props> based on composing factors of indoor and outdoor space display, presented in the 'Display Marketing' by Sim Nak Hun (2010). Based on these things, it proceeded study methods by using 5-Point Likert Scales and 7-Point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Data, obtained by questionnaire surveys were analyzed and schematized by using statistical programs (Excel, SPSS 18.0). It collected data in regard to the recognition on flower cafe, demographic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measuring views about display, display preference by using experimental slides, and mean value on the analysis of sensibility language. In addition, it conducted a difference verification, a factor analysis, and a comparative analysis of groups in regard to regression analysis. Analysis results on the recognition about flower cafe demonstrate that most subjects knew flower cafes and they responded that display would affect sales. The most intriguing thing is that subjects tended to prefer production display to other display factors. In particular, they predicted operation possibility of flower cafe positively. Most subjects took a considerably high interest in flower cafe, and their preference for a visit was improved. The most preferred display factor was <props> presented by C cafe, which is one of general groups, and sensibility language was 'wide-narrow' by B cafe, which is the latent user group. The lowest preferred display factor was <props> by E cafe, which is the expert group, and sensibility language was 'wide-narrow' by C cafe, which is the latent user group. It is demonstrated that subjects showed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props and sense of size. The mean value of preference of the expert group and the user group appeared to be low in comparison with general people and latent users. In particular, expert user group had a strong tendency of preferring a particular cafe to other study subjects. Difference verification on display preference and sensibility language was conducted. Study results of this verification were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preference of the expert group is low in comparison with general group because the expectation of the expert group on flower cafe i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group. In addition, distinct difference of groups was seen in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is demonstrates that the perspectives of exert group rather than general group, and user group rather than latent user group on flower cafe display are different.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visual preference in flower cafe display. It was evaluated that <P.O.P> of the expert group has a more visual effect on flower cafe display relatively. To identify the effect on sensibility languag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alysis results show that <Factor of size>receives more visual attention on flower cafe. <Factor of size> is comprised of 11 variables: affluent-destitute, strong-weak, colorful-plan, fresh-stale, dynamic-static, modern-traditional, wide-narrow, romantic-realistic, luxurious-vulgar, refined-rustic, and female-masculine. Therefore, systematic plan on flower cafe that can attract the customer satisfaction is required in terms of coziness and convenience of space, which belong to <factor of size> and sensibility as well as promoting the using rate and consumption of flower cafe in planning of flower cafe display. In addition, appropriate plan of oper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ative level of shop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isplay, expressing the individuality of flower cafe, delivering the information of product, an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P>, which can play the role of advertisement.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에 위치한 플라워카페 중에서 디스플레이에 대한 현황 및 선호도와 감성 형용사 언어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플라워카페의 가능성과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현장 방문조사와 문헌조사, 설문조사의 방법을 실시하였다. 현장 방문조사를 통하여 강남구에 위치한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 현황을 파악하고 실험용 슬라이드를 촬영하여 설문조사를 위한 자료로 사용되었다. 설문조사는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과 잡지를 통한 문헌조사와 플라워카페 경영자, 플로리스트, 강사 등 예비 조사를 실시한 후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한 실험용 슬라이드는 심낙훈(2010) ‘디스플레이 마케팅‘에서 제시한 실내외 공간 연출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파사드>, <윈도>, <상품연출>, <색채>, <조명>, <P.O.P>, <소품>을 기준으로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5단계의 리커트 척도(Likert Scale)와 7단계의 의미 분별 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 SD scale)를 이용하여 연구방법을 진행하였으며, 설문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는 통계프로그램 (Excel,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도표화·도식화 하였다. 플라워카페의 인지도 및 인식, 디스플레이에 대한 견해를 측정한 인구통계학적 분석과 신뢰도 분석, 실험용 슬라이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선호도와 감성 언어 분석에 대한 평균치를 집계하고 차이검증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에 대한 군집간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라워카페에 대한 인지도를 분석한 결과, 피험자 대부분이 플라워카페에 대해 알고 있었으며 디스플레이가 매출에 영향을 미칠 것 이라고 응답하였다. 가장 흥미 있는 디스플레이 요소는 상품연출을 선호하였으며, 플라워카페의 운영가능성을 긍정적으로 예측하였다. 피험자 대부분은 플라워카페에 대한 관심이 많았으며 방문에 대한 선호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고의 선호를 보인 디스플레이 요소는 일반인그룹의 C카페의 <소품>으로 나타났고, 감성 언어는 잠재이용자 그룹의 B카페 ‘넓은-좁은’ 으로 나타났다. 최저의 선호를 보인 디스플레이 요소는 전문가그룹의 E카페의 <소품>으로 나타났고, 감성 언어는 잠재이용자 그룹의 C카페 ‘넓은-좁은’ 으로 나타났다. 피험자는 소품과 규모감에서 선호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일반인과 잠재이용자보다 전문가와 이용자 그룹의 대한 선호도 평균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요소별로 다양한 카페를 선호하는 일반인·잠재이용자 그룹과는 달리 전문가·이용자 그룹은 연구 대상지 중 특정카페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다. 디스플레이 선호도와 감성 언어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일반인 집단 보다 전문가 집단이 플라워카페의 기대치가 더 높을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선호도가 낮게 측정될 것 이다’라는 가설설정과 일치하였고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에서도 집단 간의 상이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일반인그룹보다 전문가그룹이, 잠재이용자그룹 보다 이용자그룹이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를 보는 관점이 다른 것으로 판단된다.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에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가 그룹의 <P.O.P>가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에 대한 시각적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감성언어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문가 그룹의 <규모감 인자>가 플라워카페에 대한 시각적 관심을 더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규모감 인자>는 ‘풍부한-빈곤한’, ‘강렬한-연약한’, ‘화려한-소박한’, ‘신선한-신선하지 않은’, ‘동적인-정적인’, ‘현대적인-전통적인’, ‘넓은-좁은’, ‘낭만적인-현실적인’, ‘고급스러운-저급스러운’, ‘세련된-촌스러운’, ‘여성적인-남성적인’ 으로 11가지 변수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플라워카페 디스플레이 계획 시, 경영자는 플라워카페의 이용률과 소비를 증가시키는데 도모하고 <규모감 인자>에 해당하는 공간의 쾌적성과 편리성, 감성을 고려하여 정서적으로 소비자에게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플라워카페의 체계적인 계획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 디스플레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매장의 개성을 표현하며 플라워카페와 상품의 정보를 전달하고 광고의 역할을 하는 <P.O.P>의 특성을 반영하여 보다 쉽게 구입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매장의 질적 수준이 소비자를 만족시키도록 적극 반영하는 운영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해설서비스 제공에 따른 공원이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중심으로

        박아람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는 박람회라는 형식을 통해 다양한 정원문화을 전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정원해설을 통해 정원에 대한 방문자의 이해를 돕고 아울러 행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점에서 특징을 들 수 있다. 박람회장은 일정 기간 동안 운영된 행사공간이지만 공간구성에서는 주제공원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정원박람회를 통해 이루어진 해설서비스에 대한 분석과 그에 대한 만족도는 다른 주제공원이나 자연공원의 해설서비스에 일반화 시킬 수 있는 사례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순천정원박람회 정원해설의 내용과 체계를 분석하고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해설물을 통해 해설서비스 유형과 해설내용에 따른 만족도, 해설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와 공원 재방문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여 공원에서와 해설과 관련하여 시사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박람회장 전체의 해설상 공간 중요도에 대해 해설자와 이용자간의 인식차이 정원해설사와 이용자가 전체 공간 중에서 해설상 중요하거나 선호하는 공간에서는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박람회장의 다양한 정원들 중 정원의 디자인 의도나 디자인 자체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되어있는 작가정원을 더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원해설사들은 한국정원 등 국가별 정원의 유형을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일반인들에게 역사적인 부분이나 생태적인 내용은 다소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디자인해설은 정원의 구성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응용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를 느낀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국가별 정원들을 설명할 때 디자인 요소들을 해설내용에 접목시키는 내용 구성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해설서비스에 대한 공원이용자의 만족 다양한 프로그램에 의해 양성된 정원해설사들의 해설내용은 이용자들에게 무리없이 잘 전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연생태 분야의 해설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해설과 비교했을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자연생태 해설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해설내용의 전문성, 해설내용의 구성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에 의한 해설에서 안내문은 내용적으로는 어렵지 않게 전달되고 있었지만 글씨의 크기나 시설물의 높이 등 2차적인 요인에서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두해설을 이용하지 않고 안내시설만을 이용한 이용자는 자유롭게 경로를 선택하여 관람할 수 있다는 점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이용자에게 궁금한 점이 있을 때 선택적으로 해설이 공급되도록 해설자가 다양한 공간에 배치되어, 이용객들이 예약 부담없이 자유롭게 산책하듯이 관람하고 싶어 하는 수요에 대응하는 유연한 방식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그와 같은 서비스를 위해서 해설사, 자원봉사자, 직원들의 유니폼을 역할에 따라 구분하여 공원 이용자들이 해설사들을 일반안내원과 구별하여 알아보기 쉽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3. 박람회 형태의 이벤트성이 아닌 정원해설이 주가 되는 공원프로그램의 도입가능성 해설서비스의 만족도는 재방문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이 공원을 방문하도록 추천하는데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이용자들은 조경이나 정원과 관련된 공공적 이벤트를 다양하게 접하고 싶은 욕구를 보여주었고, 이는 순천정원박람회의 성공적인 결과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공원이용 프로그램 활동이나 공원의 공공이벤트가 확대될 가능성으로 볼 수 있었다. 4. 금후 연구의 필요성 정원박람회의 해설시스템이나 제공된 정보를 통해 수요자 입장에서 실제로 선호하는 이용패턴이나 정보의 종류는 공원공간계획상의 중요도와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금후의 연구를 통해 정원해설 기법이나 시스템에 대해 더 연구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행사형 정원이나 주제공원에서의 특징적인 해설의 이용을 통해 분명하게 이용자들은 방문한 목적을 표현하였고, 따라서 일반적인 안내해설 이상으로 공원이용자의 만족도를 강화시킬 수 있는 해설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용자들은 해설사들을 통해 정원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 받는 가운데 조경 산업이나 식물의 구입, 조경시설의 설치 등 많은 질문과 의견들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에서, 해설을 통해 어떻게 사회적 수요로 활용할 것인가를 연계시키는 것도 금후의 연구과제로 볼 수있다.

      •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 관련 실천적 지식 형성에 대한 자서전적 성찰

        박아람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사는 복잡한 교실 상황에서 학급을 경영할 때, 책이나 강의를 통해 쌓아온 이론적 지식을 그대로 적용하기 보다는 현재의 상황에 맞도록 구성된 자신만의 지식을 사용하게 된다. 즉, 그 지식은 교사 자신이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 교육관 등을 종합하여 재구성한 교사 자신의 실천적 지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신규교사는 교실이라는 고립된 공간 안에서 자기 사회화를 거쳐 실천적 지식을 구성해 나가며, 신규교사가 경험하고 얻게 되는 처음 한 두 해 학급경영 관련 실천적 지식은 교사의 교직 생활 전체의 학급경영에 영향을 줄 만큼 영향력이 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서전적 성찰을 통해 초등 신규교사가 학급경영과 관련하여 실천적 지식을 습득하고, 그것을 활용하는 경험의 실체를 드러내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원천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Pinar의 자서전적 연구방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후향, 전향, 분석, 종합의 네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 자료는 연구자가 2011년-2012년 2년 동안 학급경영을 하면서 작성한 학급경영 일지이며, 연구 자료 분석은 전사, 내용별 범주화 및 범주 주제 생성, 주제 성분에 대한 설명 세 단계를 거쳐 수행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삼각측정법’ 중 연구자의 통합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서전적 연구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처음 학급을 경영할 때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며 어려움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자서전적 연구방법에 의해 학급경영 일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어려움은 크게 네 가지로 분석되었다. 첫째, 연구자는 ‘나만의 색깔을 내는 학급을 만들고 싶은 욕심’으로 인해 통일된 문화를 지향하는 동료 교사와 마찰을 겪었으며, 둘째,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인식하지 못하여 학생들을 이해하지 못하였다. 셋째, 항상 모든 측면에서 완벽한 반이 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학급경영과 행정업무를 병행하는 과정에서 과중한 행정업무로 인해 학급경영 시간을 침해 받는 문제를 겪기도 하였다. 연구자는 어려움 극복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하였다. 먼저 연구자는 어려움이 생길 때마다 동료 교사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해답을 얻고자 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는 부족한 부분이 있을 때마다 관련 연수를 받았으며, 연수 시 얻은 지식을 학급경영에 적용하려고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학급경영 일지를 기록하며 연구자의 실천적 지식을 분석하고 반성하는 시간을 가짐으로써 보다 나은 교사가 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위와 같이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노력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였다. 연구자의 실천적 지식을 학급경영 영역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자가 형성한 교수·학습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에게 새로운 배움의 기회를 제공해 주기 위해, 교사는 정규 교육과정 외에 다양한 활동을 기획하고 진행하여야 한다’이다. 생활 지도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학생들의 행동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교사는 학생들을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아야 한다.’와 ‘교사는 학생 스스로 협의에 의해 규칙을 정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이다. 특별 활동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교사는 학생들이 특별 활동 행사에 참여할 때, 활동의 의미를 배우고 즐겁게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한다.’이다. 학급 사무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교사는 행정업무 시간과 학급경영 시간을 분리하여 운영해야 한다.’이다. 마지막으로 대인 관계 영역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교사는 학생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가정과 연계하여 지도를 해야 한다’이다. 둘째, 초등 신규교사의 학급경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원천은 다음과 같다. 연구자는 실천적 지식의 원천을 McCutcheon(1995)이 분류한 개인적인 삶, 교수적 맥락, 교수경험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자의 실천적 지식형성에 영향을 준 실천적 지식의 원천 중 개인적인 삶 부분은 가정배경, 연구자의 성격, 학창 시절의 경험, 직전교육, 대학원 교육이다. 그리고 교수적 맥락 부분에서는 학교 경영 방침 및 동료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실천적 지식의 원천으로 작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신규교사로 교수경험이 부족하기 때문에 교수경험 부분에서는 주로 학급경영일지 작성을 통한 자기반성 부분이 실천적 지식의 원천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 본 신규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형성과정 및 원천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내용을 논의하였다. 첫째, 연구자의 실천적 지식 경험은 초등 신규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경험으로 확

      • 아동의 여가시간, 친구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아람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 전후 시점에 따라 아동의 여가시간과 친구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8)의 데이터에서 코로나19 이전의 초등5학년 2차(2019년) 자료와 코로나19 이후의 초등6학년 3차(2020년)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2차 자료의 아동 2,437명과 3차 자료의 아동 2,327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와 STATA 14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주된 분석방법은 코로나19 전후 시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2019년과 2020년의 자료에 대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고, 패널회귀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검증과 Sobel-test(1982)를 통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이후에 아동의 친구관계는 감소하였고, 사회적 위축과 우울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이전에 아동의 여가시간이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오히려 여가시간이 늘어날수록 우울이 증가되었다. 반면, 코로나19 이후에는 여가시간이 늘어날수록 친구관계는 증가하였고, 사회적 위축과 우울이 감소하였다. 셋째, 코로나19 전과 후 모두 아동의 친구관계가 증가할수록 우울은 감소하였으며, 사회적 위축이 감소할수록 우울 또한 감소하였다. 다만 팬데믹 이후에 그 정도는 더욱 심각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이 아동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다시 겪을 수 있는 팬데믹 상황에서 아동들을 보호하고 사회적 위축, 우울과 같은 정서적 위험요인을 예방하는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고립과 단절을 경험하는 팬데믹 상황에서 아동이 사회적 관계와 여가시간을 보장받을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마련하도록 공공영역의 시스템 마련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leisure time and friendships on depression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before and after COVID-19. For analysis,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were used, i.e. 5th Year Elementary School second-phase data before COVID-19 (2019) and 6th Year Elementary School third-phase panel data after COVID-19 (2020). 2,437 children from the second-phase data and 2,327 children from the third-phase data were select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5.0, STATA 14 and the main analysis method was to compare data of the time points before and after COVID-19 by performing a paired sample t-test on data from 2019 and 2020. Baron and Kenny's three-step approach to mediation (1986)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1982) were also adopted to prov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Key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had lesser friends and showed greater signs of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after COVID-19. Second, children's leisure time did not have an impact on social withdrawal before COVID-19, in fact to the contrary, greater signs of depression were shown as leisure tim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children showed lesser signs of social withdrawal as leisure time increased after COVID-19, and social withdrawal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depression. Third, both before and after COVID-19, children showed lesser signs of depression when they have more friends, demonstr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This seems to occur to a greater extent after the pandemic.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COVID-19 pandemic negatively affects children's development,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rawn to protect children in possible pandemic situations and prevent emotional risk factors such as social atrophy and depression. It also present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sector system to provide a safe environment for children to be guaranteed social relationships and leisure time in a pandemic situation where children experience isolation and disconnection.

      • 서울순환도로 강교색채의 경관성 연구

        박아람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도시경관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경관의 정비와 계획에 있어 색채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건축물만이 아닌 가로 시설물과 옥외광고물과 같은 경관요소의 색채에 대해서도 심의와 자문 등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를 해 나가고 있는 것이 추세이다. 교량의 색채에 관해서도 지역마다 색채계획을 별도로 수립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는 현상은 기존의 강조색 중심의 광범위한 색채적용에서 발전된 방향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고속도로나 도시순환도로 등의 많은 교량 색채디자인에 있어, 배경이 되는 주변 경관과의 조화보다는 교량의 존재감을 강조하여 경관의 연속성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해침과 동시에, 각 지역과 장소가 가진 개성을 약화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경관과의 관계를 고려한 교량색채계획의 방향성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문헌고찰, 교량색채의 적용실태와 문제점 분석,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도시순환도로에 대한 현지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분석결과에서 도출된 개선방향을 토대로 시뮬레이션 평가를 실시하여 장소와 조화된 교량색채의 방향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얻어졌다. 첫째, 기존 연구분석을 통해 교량색채는 교량의 기능성, 심미성과 함께 주변경관과의 조화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교량이 설치되는 장소의 경관 및 환경특성의 반영이 요구된다는 것이 정리되었다. 둘째, 국내 교량색채의 적용실태를 관련부처 인터뷰를 통해 정리한 결과, 기존의 교량색채는 단순한 장소구분에 따라 파랑과 초록, 주황색을 적용하였다. 한편 일본의 대표적 도시 순환도로인 도쿄 순환도로의 경우 저채도의 안정적 색상을 적용하여 이것이 주변 경관과의 연속성을 높이는 요인으로서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서울순환도로의 강교 도장색채의 현황과 문제점이 밝혀졌으며 주변 자연 및 도심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한 색상의 적용과 채도의 조절이 요구되어야 함이 명확해졌다. 셋째, 서울과 일본 도쿄의 도시순환도로를 대상으로 한 현지조사의 결과, 서울순환도로의 색채환경은 주로 중&#8228;고채도의 GY와 BG 색상이 대다수를 차지하여 획일화된 경향이 강하고 주변과의 관계성 고려가 약했다. 도쿄 순환도로는 저채도의 Y와 Neutral 등 안정적 색상이 주변 경관에 강한 대비를 주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의 환경색채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평가를 통해, 현재의 교량은 동적이며 활기차지만 주변경관과의 연속성이나 조화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색채이미지 요인으로는 ‘온화함과 쾌적함, 친숙함’ 등이 중요시되며 다음으로 ‘개성과 활기’의 요인을 높여내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순환도로의 강교색채를 대상으로 교량색채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지나, 현지조사 대상과 시뮬레이션 평가 대상지가 일부분으로 국한된 점에서 한계점을 가진다. 본 연구가 지역과 조화된 교량색채계획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role of color is becoming greater in a design and an improvement of townscape with increased importance of townscape recently. Systematic management is working to the color of not only buildings but also street furniture and outdoor advertisement through deliberation and consultation. Also, as for the color of bridges, It is a developed direction that we have more cases of establishing color plans separatly. In the past, mostly accent colors, not assimilated colors, have been widely used. However, to decrease continuity of townscape phenomena are often in the color design of bridges on highways and urban beltways. Because the presence of the bridge itself is emphasized too much rather than the bridge is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townscape. This not only disturbs the harmony with the background but also weakens the personality of the place in the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direction of bridges' color design considering the harmony of townscapes. The following research was performed: the discussion in the literature, the real condition of bridge color and an analysis of the problem, and a local research and an analysis on representative urban beltways in korea and japan. Moreover, a simulation evalu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The direction of the bridge blend of location and color were verified by obj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idges' color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of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company with the functionality and the aesthetics. Second, as a result of an interview at the related office about actual conditions of the national bridges' color application, blue and green, red was applied to the existing colors of the bridge according to simply sorted regions. Third, as a result of local surveys in Seoul and Tokyo, colors on a Seoul beltway are mostly GY and BG color with a midium, high chroma. So, uniform trend is strong and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is weak. Colors on a Tokyo beltway are stable colors like Y and Neutral. So, they do not give a strong contrast to the surrounding landscape. Fourth, at the simulation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bridge's image is dynamic and lively but the continuity and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was lack. The color image factors to improve the weakness are 'tenderness, comfort, and familiarit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providing the issue of the bridge color and the implication for improving for steel bridges' color of beltway. However, what the subject of field research is limited to a capital region and what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s lack are limit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bridge color plan blended of loc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