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Kano 모델과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이용한 관광패스 품질분석
박승화Seunghwa Park,고다은(Daeun Koh),정철(Chul Jeong) 한국관광학회 2025 관광학연구 Vol.49 No.2
이 연구는 관광패스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와 불만족도를 분석하여, 서비스 특성과 고객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Kano 모델과 Timko의 고객만족계수를 활용했으며, PCSI Index로 관광패스 서비스의 만족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Kano 모델 결과, ‘역사적 명소 무료입장’, ‘서울의 문화공간 무료 및 할인 서비스’, ‘무료 교통 이용’은 매력적인 품질로, ‘서울 즐기기 무료 및 할인 서비스’는 일원적인 품질로 나타났다. 반면, ‘공연관람 할인’과 ‘쇼핑 쿠폰북 제공’ 등은 무관심한 품질로 분류되었다. Timko 분석에서는 ‘서울 즐기기 무료 및 할인 서비스’와 ‘역사적 명소 무료입장’이 높은 고객만족을 보였고, PCSI Index는 ‘공연관람할인’이 중요하게 인식되어 개선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는 고객의 기대를 반영한 전략적 개선 방향을 수립할 수 있으며, 엔데믹 시대에 맞춘 관광패스 서비스 품질 개선을 통해 관광자의 편의성과 효용성을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ustomer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tourism pass service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attributes and customer satisfac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employs the Kano model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along with the PCSI Index,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satisfaction level of tourism pass services and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Kano model analysis, “Free Admission to Historical Sites,” “Free and Discounted Services at Seoul Cultural Spaces,” and “Free Transportation” were classified as attractive qualities, while “Free and Discounted Services for Exploring Seoul” fell into the one-dimensional quality category. In contrast, services such as “Discounted Performance Tickets” and “Shopping Coupon Book” were classified as indifferent qualities. Timko’s analysis revealed that “Free and Discounted Services for Exploring Seoul” and “Free Admission to Historical Sites” exhibited high customer satisfaction. Meanwhile, the PCSI Index indicated that “Discounted Performance Tickets” were perceived as important, highlighting the nedd for improvement.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service providers to develop strategic improvement plans that align with customer expectations. Enhancing tourism pass service quality in the post-pandemic era can contribute to greater convenience and utility for tourists.
노화된 흰쥐 소장 장신경계의 형태계측학적 변화 및 미세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박승화(Seung Hwa Park),조익현(Ik Hyun Cho),이종은(Jong Eun Lee),이원택(Won Taek Lee),박경아(Kyung Ah Park) 대한해부학회 2001 Anatomy & Cell Biology Vol.34 No.2
노화에 따른 장신경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3개월 된 Sprague-Dawley계 성숙흰쥐 (300~350 gm)와 24개월 된 노 화흰쥐 (500~550 gm) 소장의 근육층신경얼기와 점막밑신경얼기를 NADH-TR 염색을 하여 형태계측학적 조사를 하였다. 신경세포 형태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신경얼기에 존재하는 신경세포를 세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세포의 모양이 둥글고 크며 세포질이 핵에 비해 많은 세포를 1형, 세포의 모양이 방추형인 세포를 2형, 세포의 모양이 둥글고 작으며 세포질의 양이 매우 적어 핵이 세포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세포를 3형으로 분류하여 계수하였다. 신경세포의 수와 면적은 VIDAS 영상분석기 (Carl Zeiss, Co., Ltd.)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또한 노화흰쥐의 장신경계 미세구조의 변화를 JEM-1200 EXII (JEOL Co., Ltd.)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숙흰쥐의 근육층신경얼기와 점막밑신경얼기에서 내재성신경인 3형 신경세포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신경분포밀 도(단위면적당 신경세포의 총수)는 근육층신경얼기에서 보다 점막밑신경얼기에서 더 높았다. 2. 노화흰쥐에서 주로 1형과 2형 신경세포가 소실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두 신경얼기에서 동일하였다. 3. 노화흰쥐에서 신경세포의 면적은 모든 유형의 신경세포에서 증가하였으며 면적변화 양상도 두 신경얼기에서 동일하 였다. 4. 노화흰쥐의 장신경세포에서 관찰한 미세구조의 변화로는 세포질 내에 리포푸신과립의 증가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다 른 세포소기관의 변성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노화로 인한 장신경계에서의 신경세포의 소실은 주로 자율신경에서 기원한 1형과 2형 신경세포에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신경세포는 노화에 따라 세포질 내에 리포푸신과립이 증가할 뿐 다른 세포소기관은 변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orphometric and ultrastructural change in the adult and aged rat small intestine. The myenteric and submucous plexuses were stained by NADH-TR in the ileum of adult Sprague-Dawley rats (3 mo., 300~350 gm) and aged rats (24 mo., 500~550 gm). The neurons of myenteric and sumucous plexus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depending on their cell body morphology. Type 1 cells were polygonal or round with abundant cytoplasm. Type 2 cells were spindle shaped and type 3 cells were small and round with scanty cytoplasm. The nerve cell numbers and sizes were measured using an image analyzer (VIDAS, Carl Zeiss, Co., Ltd.). Ultrastructural changes were observed by JEM-1200 EXII (JEOL Co., Ltd.)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ed: 1. In adult rats, majority of neuron population were type 3 and neuron density (total numbers/1 μm2) was more higher in submucous plexus than in the myenteric plexus. 2. Statistically significant loss of type 1 and type 2 neurons were in myenteric and submucous plexus of aged rat small intestine. 3. All types of neuron sizes were increased in aged myenteric and submucous plexuses. 4. Lipofusin granules were prominent in the cytoplasm of aged rat. Cell organelles were not shown degenerative chan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ype 1 and type 2 nerve cells which is originated from autonomic nerves were lost in aged rat small intestine. Ultrastructurally lipofusin granules were prominent in the cytoplasm of aged rat and the cell organelles were not degenerated.
박승화(Seung-Hwa Park),홍창희(Chang-Hee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건설산업 분야에서 빌딩정보모델링(BIM)은 단지 설계를 보다 쉽게 지원하고, 3차원 모델을 구현하기 위한 도구만은 아니다. 왜냐하면, 설계, 시공, 유지관리 및 철거에 이르는 건설 생애주기 동안의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조화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구조화된 모델을 가지고 다양한 분석 및 해석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BIM의 역할은 점점 더 증대되어 가고 있다. 노르웨이 베스트바넨의 국립예술박물관 현상설계 경기를 시작으로 국내외적으로 BIM을 설계경기 및 평가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다각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때, 기존 방식의 설계경기와는 다르게 BIM기반으로 전사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한 자동적이며, 신뢰성이 높고 효율적인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각 BIM 도구를 대상으로 하는 모델링 가이드가 필요하며 이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의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 본 논문은 건설산업 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는 BIM 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설계평가 및 절차의 방향에 대해, 전력거래소 본사사옥 등의 이전 설계경기 사례를 비교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설명함으로써 향후 발주될 BIM기반 건축설계경기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AEC(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y not only helps design intent efficiently, but also realizes an object-oriented design including building"s life cycle information. Thus it can manage all data created in each building stage and the roles of BIM are greatly expanded. Contractors and designers have been trying to adopt BIM to design competitions and validate it for the best result in various aspects. Via the computational simulation which differs from the existing process, effective evaluation can be done. For this process, a modeling guideline for each kind of BIM tool and a validation system for the confidential assessment are required. This paper explains a new process about design evaluation methods and process using BIM technologies which follow the new paradigm in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complement points by an example of a competition activity of the Korea Power Exchange(KPX) headquarter office.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a basic data input guideline based on open BIM for automatic assessment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BIM systems and suggests a practical usage of the rule-based Model Chec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