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조사연구 - 사육방식에 따른 국내외 생산비 절감방안

        박순철,Park, Sun-Cheol 대한양계협회 2014 월간 양계 Vol.46 No.9

        본회는 계란자조금사업 일환으로 지난해 10~12월까지 (재)한국산업관계연구원과 "사육방식에 따른 국내외 생산비 절감방안" 연구용역를 실시했다. 전국 산란계 국제 경쟁력 제고와 생산비 절감 등을 위하여 계분을 친환경 유기질 비료화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농가의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고 생산단계부터 초기 투자비용과 운전비용 절감방안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연구사업을 소개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논문(特別寄稿論文) : 두견새 전설과 문학적 수용 및 의상 고찰

        박순철 ( Sun Cheol Park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중국 문학에서 자연물을 이용하여 자신의 감정과 사상을 표현하는 전통은 매우 오래되었다. 중국문학의 원류인 『시경』에서도 많은 시편에서 직접 자연물을 활용하여 시의를 표현하였는데, 그 중에서 비유와 상징으로 잘 활용된 것의 하나는 새이다. 이후 중국 시가에서 자주 언급된 가장 흥미로운 새 중에 한 마리가 두견새이다. 이 새는 『시경』에서는 그다지 심오한 비유와 상징성을 가지지는 않았으나 春秋戰國時代 촉나라에서 망제의 전설이 만들어져 문헌에 기록된 이후 중국문학 작품 속에서 커다란 비유와 상징을 가지게 되었다. 두견새는 한 마리 새에 불과하지만 이 새에 대한 전설과 이명(異名)이 많을 뿐만 아니라 고사 자체가 문학적 흥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히 당송시대로 내려오면 당시의 유명한 시인들이 전설을 시속에 인용하여 시의를 표현하는 비유와 상징으로 활용하였다. 두견새의 많은 이명(異名) 중에서 두견새와 관련이 깊은 원류적인 명칭은 준, 자준, 준주, 자견, 자규, 두견새 등이 있고, 나머지 다른 많은 이름들은 문학작품에서 시인들이 만들어 낸 것들이다. 촉 망제에 관한 역사고사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되어 진다. 하나는 촉 망제의 천생설(天生說)이다. 둘째는 촉 망제가 왕위에서 물러난 것과 관련된 설명으로 사통설(私通說)과 불치수설(不治水說)이고, 셋째는 촉 망제가 죽어서 두견새가 되었다는 설에 관한 화조설(化鳥說)과 애조설(哀鳥說)이다. 이 중에서 촉 망제의 왕위 선양은 사통설과 불치수설을 합쳐서 설명을 해야 더욱 온전한 해석이 된다. 화조설과 애조설은 똑같이 촉 망제를 애도한 것이지만 애조설이 있는 다음, 화조설이 만들어졌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애조설은 현실 가능한 얘기이지만 화조설은 현실 불가능한 전설적인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애조설이 화조설로 바뀌어 전설화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문학작품에서는 애조설보다 화조설이 더 많이 수용되어 문학적 의상으로 활용되었다. 그 결과 문학작품에서는 망제의 전설이 부분적으로 수용되었다. 그 수용된 부분은 두견새의 애명(哀鳴), 명시(鳴時), 토혈(吐血), 망국(亡國) 등이다. 이 중 두견새의 애명(哀鳴)은 향수(鄕愁)의 의상(意象)을 만들어 내고, 명시(鳴時)는 춘수(春愁)의 의상을 빚어내고, 토혈(吐血)은 애원(哀怨)의 의상을 창조해 내고, 망국(亡國)은 충한(忠恨)의 의상을 형성했다. 이렇게 만들어진 두견새의 네 가지 의상은 이미 중국문학의 한 전통이 되었고, 앞으로도 끊임없는 생명력으로 새로운 의상을 계속 만들어 낼 것이다. A writer gives a chance to understand his emotion and thought with easy to readers by express author`s own thought and an abstract idea which replaced from the present things in the literature. Therefore, A writer uses the way of a metaphor and a symbol about the nature; as a flower, a grass, a bird and a beast. etc. Above all, Birds are the best thing for the writers to describe of the nature. Described birds are full of life through the literary work. We can often find a wild goose, a mandrin duck, a magpie, a swallow, a cuckoo among the birds in the chinese verse. A cuckoo had been an intention to express writer`s idea by the metaphor and the symbol in chinese literature. A cuckoo is more described than other birds. Because It has an ancient historical event like ``historical event of Wangdi(望帝之歷史故事)``, ``an ancient event between a cuckoo and an azalea(杜鵑鳥與杜鵑花)``. A new meaning was given to a cuckoo while it was referenced to in many literature works. According to this course of story, It has had four meanings. There are Homesickness, Spring fever, Tears and regrets, A bitter feeling. Homesickness, cuckoo has the image of which connected with ``historical event of Wangdi` and cuckoo`s saying. After Wangdi(望帝), the king of shu(蜀) dynisty, died as spiting blood, he became a cuckoo. When he cries, the sound is like "It is not enough to go back(不如歸去)". this cuckoo`s sound, which forces us go back home quickly. When the cuckoo cries sadly in the late spring, the spring flowers are gone. At this time, A spring fever come into the mind. Tears and regrets,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historical event of Wangdi` and cuckoo`s saying. A man who was absent from home for many years lamented his tears and regrets while hearing cuckoo`s crying. A bitter feeling, the sad image of cuckoo tell not only the root story from sadness but also crying is running all night. These four images of cuckoo have been utilized most in literature works. A cuckoo`s image is still replaced by many writers and it is still found in literature works.

      • KCI등재

        장애인 탁구선수의 시합 및 훈련에 따른 심장기능의 변화

        박순철(Park Sun-Cheol),김일곤(Kim Il-Kon),김승석(Kim Seung-Suk) 한국체육과학회 2011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No.3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adequate training intensity for disabled table tennis players by using heart rates. The study target was composed of a group of eight TT3-5 disabled table tennis players with more than 7 years of experience and eight TT6-9 disabled table tennis payers with more than 7 years of experience. Each group’s heart rate was measured during their games and practices for comparis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s. The heart rate change (every minute) for TT3-5 players during the ga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an the heart rate change during the training process. Also, the mean heart rate during the game and the training proc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s well (p<.05). The heart rate change (every minute) for TT6-9 players during the ga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05) than the heart rate change during the training process as well as their mean heart rate. The heart rates during the training process for TT3-5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p<.05) than the TT6-9 group in two, four, six, eight and ten minutes where as the differences in 12 minutes were not significant (p>.05). During the game, both groups showed higher average heart rate (p<.05). However, the comparison in between two groups’ mean heart rate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heart rate (p<.05) for TT3-5 group compared to TT6-9 group. The average heart rate for disabled players during the training process and the game is significantly higher (p<.05) for TT3-5 group compared to TT6-9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heart rate in the group of TTT3-5 and TT6-9 were higher in the training and the competition periods compared to the practicing. On the other hand, in the higher degree of disability TT3-5 group showed lower heart rate and exercise intensity compared to the lower degree of disability TT6-9 group.

      • KCI등재

        투고논문 : 이재(이齋) 황윤석(黃胤錫)의 출사(出仕) 일고(一攷)

        박순철 ( Sun Cheol Park ) 한국공자학회 2013 공자학 Vol.24 No.-

        이재(이齋) 황윤석(黃胤錫)은 조선 영조 5년(1729) 여름 4월 28일에 태어나서 정조 15년(1791) 4월 17일에 만은재(晩隱齋)의 서별실(西別室)에서 죽으니 향년 63세였다. 그의 호는 이재(이齋)인데 그 스스로 부친 만은공 서재(書齋)의 벽에 써져 있는 이괘 대상(이卦大象)의 “신언어(愼言語), 절음식(節飮食)”이라는 글귀를 보고 지은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이재 황윤석은 평소에 말을 매우 삼가고 음식을 절제했던 사람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재난고(이齋亂藁)』와 『이재선생문집(이齋先生文集)』을 저본으로 이재 황윤석의 학문연마와 출사배경, 출사후의 치적을 고찰하여 그의 출사관(出仕觀)의 특징을 밝혔다. 이재의 과거응시는 부모의 권유와 자신의 포부로 인한 것이었다. 이런 배경 하에서 이재는 학문과 과업의 비율을 10대 3ㆍ4로 조정하여 학문과 과업을 병행하는 방법을 실천하였다. 그의 스승 김원행도 이를 용인하는 입장을 취하여 학문에 소홀하지 않도록 당부를 계속하였다. 이재는 향시 9회, 경시 17회를 볼 만큼 줄기차게 응시하였다. 그가 이처럼 많이 과거시험에 응시한 것은 음보출사에 대한 아쉬움, 부친의 기대와 부모 봉양의 방편, 본인의 포부와 출사행도의 의지 등이 결합된 산물이다. 음보출사(蔭補出仕) 이후에 여러 관직을 역임하여 직책을 수행할 때는 출사행도의 명분에 맞는 직분을 다하기 위하여 출사와 퇴직을 거듭하면서 격군(格君), 준칙(準則), 청직(淸直), 교화(敎化)와 혜민(惠民), 엄치(嚴治)의 정치를 행하였다. 이재는 선비를 판단하는 커다란 기준의 하나인 학문과 출사의 문제에 대하여 가사가퇴(可仕可退)의 입장을 보였다. 이는 학문과 인격의 수양이 끝난 후, 때를 만나면 나아가 벼슬을 하고 그렇지 않으면 관직에서 물러나 진리를 탐구하며 후진을 가르친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점은 그 스승 김원행(金元行)이 벼슬에 나가지 않고 석담서원(石潭書院)에서 학문을 연구하며 후진을 양성한 사실에 견주어 보면 더욱 큰 이재(이齋)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재는 그의 학문적 바탕 위에서 영·정조 시대를 벼슬할 수 있는 시기로 간주하여 음보출사를 하였고, 출사 후에는 가사(可仕)와 가퇴(可退)의 자세를 견지하면서 사환(仕宦)의 직분을 다하고자 한 출사행도지향형(出仕行道指向型)의 유자(儒者)였다고 평가 할 수 있다. Ijae(?齋) Hwang Yun-seok(黃胤錫) was a scholar who liv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Following his family tradition of studies and father`s teaching, he always showed a modest attitude in speaking, eating and drinking and devoted himself to his studies. He continued his studies under Kim Won-haeng(金元行) in a lecture hall named Seokdamseowon(石潭書院) and also had great interest in learning western studies. His preparation for the state examination began early in his life. It was because of his parents` encouragement and his desire to realize his aspiration. He also focused on practical studies while adjusting his time for learning and working at the rate of 3 or 4 to 10. Kim Won-haeng, who taught him, kept encouraging him to pay attention to his study while admitting such attitude. He took the state exam many times due to several reasons including his dissatisfaction with his low rank in the work, parents` expectation and his wish to find a way to support his parents and realize his ambition as a government official. In this study, I aim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his view on working as a government official by analyzing his devotion to his studies, background facts for taking the state examination and his achievement as a government official. He repeated working in and resigned from a government post; however, whenever he took up a public office, he always performed his job based on his own principles to support the king to rule properly(格君), emphasize norms(準則), live righteously and honestly(淸直), educate people(敎化), give favor to the people(惠民), and strictly administer public affairs (嚴治). In particular, even when he served the country as a low ranking official, he was never negligent in doing his responsibilities. After retiring from the government position, he continued his study and worked hard to foster the young generation. In conclusion, he was a virtuous figure who always lived by such principles that he would do his best to perform his responsibilities given by whatever government posts.

      • KCI등재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박순철 ( Sun Cheol Park ) 한국유교학회 2009 유교사상문화연구 Vol.36 No.-

        후창(後滄) 김택술(金澤述)은 조선말기 전위田愚) 문하의 학문을 닦은 뛰어난 제자였다. 그러나 그의 문집이 번역되지 않은 관계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논문은 그의 학문과 사상을 전반적으로 고찰하여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밝혔다. 첫째, 김택술은 우선 경성(敬誠)으로 내수(內修)를 한 다음 인의(仁義)와 효의(孝義)를 실천하고 힘을 길러서 존양(尊攘)하고자 한 유자(儒者)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국화의 절조(節操)를 본받아서 의(義)를 실천하고 박쥐같은 기회주의자를 배격하고 오랑캐의 제도를 따르며 불의(不義)한 물건을 먹고 사느니 차라리 솔잎을 먹으며 떳떳이 살고자 한 의인(義人)이었다. 셋째, 가족을 중시하여 집안에서 효자의우(孝慈義友)를 실천하고 자아실현과 미래를 기약하는 방법으로 교육을 매우 중시하여 전통유학자로서 매우 선구적이고 새로운 교육방법을 가지고 가르친 교육실천가였다. 넷째, 지행합일(知行合一)을 중시하고 지(知)가 행(行)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까닭은 그 사이에 자기(自欺)가 있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다섯째, 다독(多讀)을 통하여 많은 문장을 지어서 문장의 재도적(載道的) 기능을 긍정한, 간재의 제자 중 가장 뛰어난 문장가 중 한 사람이었다. 여섯째, 성리학에서는 주리적(主理的) 입장에서 전우의 성사심제(性師心弟) 및 심본성(心本性)을 계승하고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의 문제를 궁구하였다. 특히 그는 심(心)이 성(性)과 정(情)을 거느린다는 것을 긍정 하면서도 심이 성에 근본하여 심을 검제(檢制)할 때 가능하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기정진(奇正鎭)와 이항로(李恒老)의 동이(同異)를 논하면서 심은 기(氣)이고 인물성동이(人物性同異)에서 인성(人性)과 물성(物性)이 기질(氣質)에서 분리된다는 입장을 견지함으로써 기정진과 이항로의 절충론적 입장을 취하였다.본 논문은 후창의 전반적인 학문과 사상을 처음 다룬 논문이다. 앞으로 후창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었으면 한다. Huchang Taeksul Kim was an excellent disciple who pursued learning under the instruction of Woo Jeon, a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his collection of works have not been interpreted thus related studies do not exist yet. In such circumstance, his scholarship and ideas were examined entirely and the following are their attributes I have found. First, Taeksul Kim was a Confucian scholar, who, in the first place, trained within himself with respect and earnestness, practiced humanity and justice and obedience to parents and tried to acquire the power to repulse the enemies. Second, he was a righteous man who practiced the righteousness, following the integrity of mums, rejected the opportunists like bats, followed the systems of aliens, and tried to live a life of eating pine needles honorably rather than having unrighteous things. Third, he valued family and practiced Hyojauiu (孝慈義友: obedience, love, righteousness and friendship) in the home. He himself was an educator who valued education as one of the methods to ensure one`s self-fulfillment and future and, as a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 he taught with new teaching methods. Fourth, he valued the unity of knowledge and behavior and believed that it was the self in the way why one could not go on from knowledge to behavior. Fifth, he was one of the finest writers among the disciples of Ganjae who was positive about the function of sentences containing morality because he created a great many sentences through wide reading. Sixth, in Neo-Confucianism, he succeeded to Woo Jeon`s Sungsashimje (性師心弟: nature is the master; mind is the disciple.) and Shimbonsung (心本性: the original nature of mind) in the position of pro-yi (the basic principles) and studied throughly Bonyunjisung (本然之性: one`s true nature) and Kijiljisung (氣質之性: nature of one`s disposition). In particular, he was positive about the mind ruling the nature and desire and he believed that it was only possible when the mind was based on the nature and inspect and control the mind. And he also discuss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eongjin Ki and Hangro Yi; he sticked to the standpoint between those two at which the mind was ki (the atmospheric force of nature) and, in Inmulsungdongyi (人物性同異: a debate over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human`s and other living things` original nature.), the disposition between the man and other living things differed from each other. This is the very first thesis that examined the overall scholarship and ideas of Huchang. I personally wish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and specific studies about hi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문화(文化) : 중(中)`한(韓) 양국(兩國)의 정절(貞節) 관념(觀念)과 양상(樣相) 고찰(考察) -명청(明淸)과 조선(朝鮮)을 중심으로-

        박순철 ( Sun Cheol Park ),김영 ( Yeong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6 No.-

        중국과 한국 양국에는 고대부터 결혼한 여자들의 올바른 처신으로 貞節이라는 관념이 있었다. 이러한 貞節觀念은 특히 명청시대와 조선시대에 性理學의 영향에 의해 법과 제도로 되어 실행되었다. 그러나 두 나라의 정절은 사회성격과 법제도의 차이가 있었지만 共通點과 相異點이 발생하였다. 양국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리학의 통치이념 아래 사회질서를 확립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절관이 대단히 강조되었다. 둘째, 정절을 보편화시키고 강조하기 위하여 양국에서 똑같이 정절을 일반대중에게 알릴 수 있는 제도를 실행하였다. 셋째, 정절관념을 통치계층뿐 아니라 일반백성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교육을 강조하고 서적을 발간하였다. 넷째, 정절관념이 고대에는 인간의 본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택되었던 반면에, 명청시대와 조선시대에는 모두 통치자들에 의해 제도화되어 인위적으로 만들어지고 강요되었다. 양국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守節의 인정 기간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명청과 조선 양국에는 모두 재가금지법규가 있었지만 명청은 조선에 비하여 관대했다. 셋째, 정절유형에서 구체적 사례에 대한 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과 한국 양국의 정절관념과 제도의 특징은 초기에는 인간본성에 기초한 자율적인 貞節도 있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통치자의 忠君이라는 정치적 목적과 유가의 "천리를 보존하고 인욕을 막는다(存天理 알人欲)"라는 이상실현, 개인과 한 집안의 비정상적인 영달을 위해 인위적으로 조장되고 타율적으로 강요되었다는 것이다. There had long been the idea of fidelity for married women for their good behavior in Korean and China. Such concept especially had been set in the forms of law and system by Sung Confucianism at the time of Ming and Qing Dynasties of China and Chosun. The actual meaning of fidelity, however, had both common and different aspe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despite their own social characters and systems. They have several things in common. First, the idea of fidelity has been highly emphasized as a means to maintain social order under the rule of Sung Confucianism. Second, to spread and emphasize fidelity among general people, their governments had adopted systems for that. Third, they had provided education and published books that emphasize fidelity for the ruling class and general people together. Fourth, in the ancient times, the idea of fidelity had been autonomously selected from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but in the Ming and Qing and Chosun Dynasties, it had to be institutionalized and forced by rulers. And their differences are as followings. First, there have been differences in the recognized period of a widow`s maintaining her integrity. Second, the three Dynasties had laws prohibiting second marriage but Ming and Qing Dynasties had more flexibility in applying the law than Chosun. Third, there have been differences in the concrete examples of fidelity types. In conclusion, China and Korea have seen some autonomous fidelity based on the nature of human but as time passed, it had been forced by the political purposes of rulers, the realization of the Confucianism`s idea of "to preserve natural principle and stop greed" and abnormal advancement in life of persons and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