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위기 이후의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평가와 효율화 방안

        박순일(Soon Il Bark) 한국사회정책학회 2001 한국사회정책 Vol.8 No.2

        98년 이후의 정부의 발 빠른 각종 사회복지정책적 대응으로 급등한 빈곤율과 실업율의 급감하였고, 분배문제의 급속한 악화도 진정세에 있다. 그러나, 지난 수년간의 획기적이고 빠른 속도의 복지투자의 증대가 정책의 정책성에 대한 논란을 불어 일으켰지만, 현 정부의 정책은 경제위기가 1년 안에 크게 완화되자 복지투자의 속도는 후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적정한 투자율에 대한 심도 있는 논란이 없이 재정수요와 기존 정책의 실제 효과에 의거하여 정책의 규모를 줄이는 추세였다. 그 결과, 현 정부의 복지정책은 문제에 대한 기민한 대응과 개혁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에도 빈부격차, 고용불안정, 사각지대의 광범위한 존재, 복지재정의 어려움이 있는데도 정책이 급격히 축소되고 있다. 따라서, 현 정부의 그간의 급속한 재정 확대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업률 감소 및 극빈층 대응의 중심이 된 임시조치적 성과에 그치고 있고, 이 이상은 기존의 고용보험 등의 사회보험을 확대하여 해결하려는 경직성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공공근로, 한시적 보호대책 등은 임시 방편적 정책으로 끝나가고 있다. 그리고 개혁적 정책으로 볼 수 있는 의료보험 및 의약분업 등의 정책은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였고, 가장 잘 되었다고 평가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정책도 조급성과 완고성으로 인해 사회 일각에서 그 효과성이 비판되고 있다. 국민기초생활제도의 실시와 생계급여 및 의료급여에서의 막대한 자금의 투입에도 불구하고 드러나고 있는 빈부격차의 확대, 저소득층의 생활불안과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근본적인 복지 효율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의료보험은 물론 공적연금 등에서 사회보험 재정불안이 심화되어 현재 및 미래의 국민 부담을 과도하게 하여 빈곤층 및 서민의 생활을 불안정하게 하고 경제적 비용을 증대시키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제도는 비용 효과적이고, 경제와 상응하는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취약 및 빈곤 근로층에의 실효성 있게 사회보험을 적용하고, 중·단기에는 서민복지를 강화하기 위한 사회복지제도의 체계화 작업을 적극 추진하여야 하며, 적정 규모의 소득보장대상을 설정하여, 현금급여의 남·오용 가능성을 줄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복지의 내용과 급여방식을 현금급여 중심에서 현물급여의 확대를 통하여 제도의 효율화를 증대시키고, 경제위기 이후 악화된 분배문제를 개선해야 하기 위해 근로자의 노동소득 증대를 우선적으로 하는 생산적 복지가 강화되어야 한다. 그리고 사회보장제도의 재정 안정화를 위해 사회보험제도를 기초생활보장 중심으로의 전면 개정하여 하고, 무엇보다도 현재 사회보험재정 위기의 주요 근원지인 건강보험의 재정안정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적 소득보장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한국에서와 같이 자선금의 기부는 드물고 앞으로도 획기적 증대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환경에서 종교단체의 자선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하지만, 친인척 등의 이전소득의 노력을 줄이지 않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The prompt and large-scaled policy reactions against to social impacts taken placed since the economic crisis has rapidly reduced poverty incidence and unemployment rate within several years. Aggravation of income distribution since 1998 does not expanded further. However, shrink of middle income classes and increase in employment instability are still major social issues despite great volume of financial investment in cash and medical assistance as well as passive labor policy. And, it is necessary to transfer welfare systems into more efficient one of decreasing instability and discontent of livings of lower income class. The prvalent and coming future financial crisises in social insurance in public pension as well as medical insurance would raise excessively cost burden of both employers and employees and economy itself, threatening more livings of lower and petty income classes. Therefore, our welfare system should be converted more cost effective and sustainable structure. First, social insurance should be effectively extended to poor workers in small-scaled workplac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have to be systemized and reduce over and miss use of welfare resources to strengthen welfare for petty class in mid and long term. Second, our welfare system will become more efficient by raising the portion of in-kind benefit rather than cash benefit in welfare provision, because in-kind benefit system would make the efforts of income survey less important and respond more effectively to welfare needs. Third, productive welfare is most important instrument to improve distributional matters alter the economic crisis, because distributional aggravation could be chiefly attributed to reduction of labor income whatever the reasons are. Fourth, social insurance system should be renovated to stabilize present and expected financial shortages, centering on basic benefit provision and private protection is also important to keep solidity in financial structure especially in society where public transfer has strong substitution effects for private transfer.

      • KCI등재

        경제성장과 분배의 갈등과 상생 그리고 고령화의 영향

        박순일(Soon Il Bark) 한국사회정책학회 2005 한국사회정책 Vol.12 No.1

        성장과 분배에 대한 논쟁은 한국사회의 광범위한 갈등의 중심에 있다. 특히 고령화를 맞이하여 성장력의 감소와 복지수요의 급속한 증대가 전망되는 가운데, 양자의 관계가 선순환과 악순환인지에 대한 논쟁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양자 사이에 필연적인 관계가 어느 일방으로 성립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양자 사이에는 경제나 분배 이외의 다른 조건이 중요한 영향을 주어 양자 사이의 관계, 관계성립 기간 등이 국가와 시대, 장기와 단기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럼으로 양자 사이의 관계는 악순환에 있을 때 그 고리를 선순환으로 전환시키는 각종 노동 및 경제정책과 사회정책의 개발과 추진이 더욱 중요하다. 고령화에 대해서도 성장잠재력의 감소를 줄일 수 있는 정책이 중요하다. The Korean economy has grown improving both distribution and quality of life on average since the economic development launched in the early l960s. This long-term positive relationship was resulted following a number of social efforts to complement relatively inferior quality of life to the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Korea was evaluated to be a country of attaining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together in a shorter period than the other developing country have ever experienced. However, the distribution has been worsened severely after the 1997 economic shock, entailing in post-crisis distributional index to be far lower than the pre-crisis level. Aggravated distribution is not yet reinstated, and its prospect is also unclear. Furthermore, polarization of distribution widely spreaded into industrial sectors as well as social sectors. The counter measures also polarize among experts, and especially, growth proponents have been seriously struggling with distribution proponents last several years. Aging, another critical component in futur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s most speedily ongoing among OECD countries. The relationship of economic growth and distribution has been searched for a long history, which seems to demonstrate a positive relationship. As economic growth has accompanied improvement of distribution and welfare, distribution and welfare improvement also seems to impose a heavy burden on the progress of economy in the long-run. But this positive bilateral relationship is not proved to be inevitable according to numerous studies done last several generations. A volume of studies denied a positive relationship especially since the 1980s, beginning stage of current globalization impact. We can not determine a manifest relationship between growth and distribution as their proponents want to insist and there is no inevitable relationship of vicious and virtuous circulation of economic growth and distribution. It implies that economic growth could coexist with improvement of distribution if it was controlled not to deteriorate employment stabilization, not to invest in unproductive, and/or not too much depend on labor saving business and technology. In the same way, distribution could contribute to economic growth by more efficient welfare investment and more market oriented management in welfare service market, and by restricting extreme labor unions` pressure on business, and so on. Therefore, the vicious circulation of growth insisted by distribution proponents should be transferred to a virtuous circulation by social efforts of controlling market activities, and the vicious circle of distribution should be transferred to a virtuous circulation by controlling social barriers of restricting productive activities. Aging has a strong tendency to reduce economic growth as well as distribution so that financial stabilization is more strengthened to reduce its negative impact to economic growth. And aging market is more aggressively cultivated expanding new market frontier.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safety nets have to be renovated to assure the basic livings of disadvantaged groups including innovation of social insurance and other universal support systems. ms.

      • KCI등재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경제적 효과의 선진국 제도와의 비교 분석

        박순일(Soon Il Bark) 한국사회정책학회 2001 한국사회정책 Vol.8 No.1

        본 연구는 복지와 경제의 관계에 대한 보다 논리적 및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복지제도의 효율성을 분석하여, 작금에 논란이 되고 있는 복지제도의 팽창에 따른 경제적 기회비용과의 상층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근대 복지제도의 도입기를 중심으로 그리고 그 이후 복지제도의 팽창기에는 복지제도의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가 있어 왔다. 그러나 1970-80년대 이후의 복지제도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것이 주요 흐름이다. 부정적 효과로는 복지제도가 노동공급 및 저축을 감소시킨다는 것과 복지투자의 경제적 기회비용이 복지효과를 능가하여 자원의 비효율성을 초래 한다는 것이다. 복지제도의 경제적 효과는 사회보장의 성격, 즉 소득보장 혹은 취약생활 지원을 위한 현물서비스이냐에 따라 차이가 남으로 현물 및 현금 서비스 유형에 따라 경제효과 분석모형이 구분되어 졌으며, 이러한 모형은 생계보호 등 공공부조, 국민연금 및 건강보험에 적용되어 분석되었다. 분석의 틀은 지금까지 선진국에서 개발된 것을 우리의 적용하여 선진국의 제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efficiency of welfare system, the rapid expansion of which has provoked economic opportunity of welfare expenditure. The analysis on efficiency is conducted depending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nd welfare policies. The effect of welfare system appraised to be positive when the system was newly introduced in late 19c and early 20c, and such a position also frequently reappeared at the expanding periods of welfare investment. On the other hand, The argument has been relatively centered on negative aspects since late 1970s and early 1980s. Their main criticism is that the welfare system reduce the incentive of labor supply and saving motive, and that the negative economic opportunity brought by further welfare expansion exceeds welfare effects. The economic effect of welfare expansion are dependent on the way of provision of benefit, for instance, cash or in-kind service. Hence, this study divides analytical model into cash and in-kind benefit model, and these models are applied to the public assistance, national pension, and medical insurance and a comparative analysis is also made between Korea and advanced countri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 KCI등재

        한국 사회안전망의 위치와 적정수준 및 구조의 모색

        박순일(Soon Il Bark) 한국사회정책학회 2005 한국사회정책 Vol.12 No.1

        우리나라에서 발생되고 있는 사회안전망에 대한 논쟁은 사회안전망에 대한 개념과 이에 대응한 적정한 안전망의 규모와 방법에 대해 이해와 입장의 차이에서 기원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회안전망이 우리의 경제 및 사회여건에서 적정한 규모가 찾아져야 하고, 성장에 비한 복지의 격차의 축소속도에 대해 사회적 공감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경제와 상생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국민의 기본적 생활을 보장함은 물론 사회안전망제도의 효율화를 위해 사회보장체계의 개혁과 사업의 우선순위와 적정규모, 공공과 민간의 역할 등에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그리고 경제와의 상생과 더불어 사회안전망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각종 서비스와 복지제도에서 경제적 효율성개념이 적요되어야 한다. The issue of social safety net has been seriously discussed since the 1997 economic crisis and the chronical low economic growth in the end of 2002, when many social problems took place in an unprecedented scale. Among them, mass poverty and unemployment and income disparity are most crucial issues. And concern on polarization of income strata has been extended to big disparity in industrial growth between large and small scale firms and between metropolitan and other areas, disparities in wages and work status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and drastic increase in divorce rate and rapid reduction of fertility rate. Meanwhile, social protection is still very limited, excluding a number of the disadvantaged from social security system in spite of the fast expansion of social safety net since 1998. This complexity of social situation provokes different and opposite opinions on causes and solutions of current social issues, dividing intellectual circles of experts, bureaucrats, politician, and civil bodies. They do not even have an agreement upon concept and coverage of social safety net. It is necessary for them to share the common concept and dimension of SSN in advance seeking an adequate model and policy measures of SSN in Korea, taking into account inter-relationship with economic growth. Studies on optimal level of SSN and economic growth should be started to discuss more fundamentally and bases on their close interdependence on the whole. And then, we have to develop specific strategy for deciding the dimension and scale of SSN, the speed of its extension, and its detailed contents. In this regard, the primary protection or stabilization of the basic livings of life in poverty or at stake is likely acceptable even to persons of different ideas. The dimension, level, expansion speed of protection and stabilization should be sustainable only when being harmonious with economic efficiency as well as satisfying adequate levels of welfare demand. While work-fare policy would be the most important measure to attain such a goal, market principle have to take a role in suppling welfare and medical service to near-poor and low income class. Primary protection of basic livings should be secured to all citizens, by strengthening social assistance system, renovating social insurance system into the structure centered on basic protection, and widening public role in providing basic medical, education, housing and personal service. Civil participation in welfare service is very essential for maintaining traditional self-support system, improving financial efficiency, and making protection more effective.

      • KCI등재

        국민복지 증진 차원에서 본 노숙인 정책

        박순일(Soon-il Bark),이태진(Tae-gin Lee) 한국사회정책학회 2019 한국사회정책 Vol.26 No.3

        1998년 한국의 경제위기 이후 급증한 노숙인 규모나 생활 모습이 지금도 크게 변하지 않다. 인간의 기본 생활권을 헌법에 명시하고 분배정의와 인권이 강조되는데도 가난하고 비참한 생활의 노숙현상은 별로 달라지지 않고 있다. 노숙인의 인구비율은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1% 이내이고, 일인당 GDP가 3만 달러를 넘어선 한국에서는 1만분 1도 안 되어서, 풍요한 사회에서 노숙인의 문제는 반드시 근절하여야 한다. 노숙현상은 개인적 문제 보다는 구조적 성격이 크다. 기술과 산업구조의 급격한 발전과 변화, 고령화, 독거가구 및 가족해체의 급속한 증대 등 경제 및 사회의 급격한 변화로 노숙인을 끊임없이 방출하고 있다. 이에 비해 서비스의 공급자들인 정부는 거리 노숙에 대한 체계적 대책을 못하고, 민간단체들은 기존의 노숙인에 대한 생존권 보다는 인권적 차원에서 접근 경향을 보여, 노숙에 대한 효과적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 노숙문제는 시장의 사각지대에 있을뿐더러 정부 실패의 전형이다. 따라서 본 글에선 노숙의 문제가 노숙인 개인의 생활권 보장과 동시에 일반에 주는 사회적 비용을 모두 고려하는 국민복지의 모델에서 접근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정책의 우선순위와 방향을 제시한다. 노숙인 문제가 고질화 되면 시장은 물론 정부의 해결능력을 믿기도 어렵게 되어, 제 3의 국민복지의 주체로서 민간의 역할이 강조하였다. The magnitude and poor life of homeless people that have surged since the 1998 economic crisis in Korea has not changed much. Even though the basic human living rights are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and distribution justice and human rights are emphasized, the homeless phenomenon of poor and miserable life has not much changed. The proportion of the homeless population is less than 1% in most developed countries, and less than 1 / 10,000 in Korea with GDP per capita exceeding $ 30,000, so the problem of the homeless in affluent society must be eradicated. The homeless phenomenon is more structural than personal problem. The rapid changes of economy and society, such as the rapid development and change of technology and industrial structure, the aging society, the rapid increase of single-family households and family dismantling, are continuously releasing the homeless to the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which is a provider of services, fails to take systematic measures to cope with street homelessness, and private organizations are not able to provide effective services for homelessness because they tend to approach human rights rather than the existing homeless. The problem of homelessness is not only in the blind spot of the market but also a typical example of government failure. In this paper, the problem of homelessness is approached from the model of national welfare based taking into account the security of the homeless person and the social cost to the society together. And then effective policy measures and their priorities are searched based on this model. If the problem of homelessness became chronical and solidified, it became difficult to believe the ability of the government to solve the market, and the role of the private sector as the subject of the third national welfare is emphasized.

      • KCI등재

        국민행복증진을 위한 경제와 사회의 순환적 발전과 완전고용

        박순일(Soon Il Bark) 한국경제발전학회 2017 經濟發展硏究 Vol.23 No.1

        경제 및 사회의 주요 목표 중의 하나는 완전고용이지만, 자유주의, 사회주의 및 사민주의 체제의 어떤 경제정책도 완전고용의 달성에 실패하였다. 또한 경제의 궁극적 목표가 국민행복의 증진에 있지만 지금까지의 경제발전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본 논문은 완전고용 및 국민행복증진 달성의 실패에 대해 실증분석을 하고, 완전고용을 달성하고 국민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경제와 사회의 순환적 균형발전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정책개혁방안을 찾아본다 One of the main goals of the economy and society is full employment, but any economic policy of the liberal, socialist and socio-democratic regimes has failed to achieve full employment. In addition, although the ultimate goal of the economy is to promote the happiness of the people, it has not succeeded despite the economic development until now. In this paper, we analyze empirically the failure of achieving full employment and national happiness promotion especially emphasizing unused resources such as chronical unemployment and surplus of capital. Then the development model of fulfilling these main purpose are searched, presenting a cyclical equilibrium development model of economy and society that can achieve full employment and enhance national happiness, The policy direction and several measures are also provided in order to enable the suggested model to be fulfil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