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 이행의 한계와 한국의 역할

        박수진(S.J. Park),임종환(J.H. Lim),이도원(D.W. Lee),최진무(J.M. Choi),구홍미(H.M. Koo),정진숙(J.S. Jeong),안유순(Y.S. An) 국제개발협력학회 2013 국제개발협력연구 Vol.5 No.1

        사막화와 토지황폐화에 의한 피해규모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사막화의 영향을 받는 국가들의 대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설립된 유엔사막화방지협약(UNCCD)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취약한 과학적 기반과 파트너십 구축 미비, 실질적인 실행체계의 부재, 당사국 간의 첨예한 입장차이 등 협약의 목적이 달성되기 위해서는 선결되어야 할 과제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엔사막화방지협약의 주요 내용 및 한계점을 살펴보고, 한국에서의 유엔사막화방지협약 제 10차 총회 개최 및 ‘창원이니셔티브’채택을 계기로 한국이 사막화와 토지황폐화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사업들을 제시하였다. 다수의 전문가 대담과 워크샵을 통해 경쟁력, 가시성, 연결성, 기술이전, 투자비용, 고용효과의 6가지 기준에 따라 제안된 예상저감사업들에 대한 타당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WODOG이 타당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DLDD 모니터링 및 평가 센터, TerrAsia, ELD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순위화 된 사업평가결과를 활용함으로써 한국은 아시아 지역에서의 토지황폐화 이슈를 선점하여 발전시킬수 있고, 궁극적으로 사막화와 토지황폐화 저감에 일정부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 damage caused by desertification and land degradation is escalating, efforts to prevent and mitigate it develop at various spatial levels. UNCCD, established for affected countries to enhance their ability to respond effectively to desertific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Despite its importance and influence, however, the Convention still has challenges to be addressed: the weak scientific process, the inadequate partnerships, the lack of substantial framework for implementing the Convention, and the clear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parti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how the Republic of Korea may contribute to mitigating desertification and land degradation with the UNCCD COP 10, held in Changwon, Korea, as a momentum to improve and supplement the Convention. Firstly, mitigation projects discussed internationally are drawn from several occasions of experts’ dialogues and workshops, and secondly, the validity of each project is evaluated based on 6 criteria – competitiveness, visibility, connectivity, transfer of technology, cost, and effects on employment. The result of evaluation can be utilized as Korea considers appropriate projects which will contribute to implementing the Convention and mitigating desertification and land degradation.

      • KCI등재

        Fragipan Formation within Closed Depressions in Southern Wisconsin, United States

        Park, S.J.(박수진),P. Almond(피터 알몬드),K. McSweeney(케빈 맥스위니),B. Lowery(벌 라우리) 대한지리학회 2006 대한지리학회지 Vol.41 No.2

        이 연구는 미국 위스콘신 남부지방의 뢰스(loess)로 덮여있는 빙퇴석평야상의 소규모 저습지와 산록부에서 관찰되는 치밀차표층(dense subsurface horizons)의 형성원인과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이 된 치밀차표층은 Bd 혹은 Bx층으로 명명될 수 있는 토양층이다. 일부 치밀차표층은 형태적으로 이쇄반층(fragipan, Bx)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이지만, 아직까지 주변지역에서 이쇄반층의 존재가 보고된 바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치밀차표층과 이쇄반층의 상대적인 분포의 차이를 지형기복과의 관계를 통해 관찰하였으며, 그 형성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물리·화학적 분석과 더불어 토양구조의 현미경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쇄반층의 형성은 토양구조의 물리적인 숙성과정(physical ripening)과 그에 이은 콜로이드물질의 집적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치밀차표층에서 관찰되는 높은 밀도의 토양매질은 빙하가 물러나면서 형성된 소규모 빙하호수와 범람원에 퇴적된 뢰스물질들이 물리적인 숙성과정(physical ripening)을 거치면서 형성된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대규모의 주상구조(prismatic structure)가 형성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토양화과정을 거치면서 Si를 포함하는 콜로이드 물질의 집적에 의해 토양매질이 더욱 단단해지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이쇄반층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Si의 집적정도는 지형적인 특성과 물의 흐름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물과 물질의 집적이 주로 나타나는 소규모의 저습지에서는 Si의 집적으로 인해 잘 발달된 이쇄반층(Bx)이 발달하게 된다. 반면, Si의 제거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산록부에서는 이쇄반층의 단계로 발전하지 못하고 치밀층(Bd)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쇄반층이 만들어진 경우에는 그 상부에 불투수층이 형성되어, 물리적 숙성과정으로 형성된 주상구조의 상부가 서서히 파괴되는 현상을 보기에 된다. 이 경우에는 이쇄반층 상부에 용탈이쇄반층 (eluvial fragic horizon, Ex)이 나타나게 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edogenesis of dense subsurface horizons (denoted either Bx or Bd) observed within closed depressions and in toeslope positions at loess-covered glacial tillplains in southern Wisconsin. Some of these dense subsurface horizons, especially those occurring within depressions, show a close morphological resemblance to fragipans elsewhere, even though the existence of fragipans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southern Wisconsin. The spatial occurrence of fragipans was first examined over the landscape to characterize general soil-landscape relationships. Detailed physico-chemical and micromorphological analyses were followe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fragipans within a closed depression along a catenary sequence. The formation of fragipans at the study site is a result of sequential processes of physical ripening and accumulation of colloidal materials. A very coarse prismatic structure with a closely packed soil matrix was formed via physical ripening processes of loess deposited in small glacial lakes and floodplains that existed soon after the retreat of the last glacier. The physically formed dense horizons became hardened by the accumulation of colloidal materials, notably amorphous Si. The accumulation intensity of amorphous Si varies with mass balance relationships, which are governed by topography and local drainage conditions. Well-developed Bx horizons evolve at closed depressions where net accumulation of amorphous Si occurs, but the collapsed layers remain as Bd horizons at other locations where soluble Si has continuously been removed downslope or downvalley. Hydromorphic processes caused by the presence of fragipans are degrading upper parts of the prisms,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n eluvial fragic horizon (Ex).

      • KCI등재

        풍수 사신사(四神砂)의 지형발달사적 해석 Vol.26 No.3

        박수진(Park S J),최원석(Choi W S),이도원(Lee D)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4 문화 역사 지리 Vol.26 No.3

        현대사회에서 풍수는 농경사회를 거치면서 습득된 지형에 대한 이해와 그 이용방법에 대한 경험적 지식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시각에서 풍수의 명당은 생물이나 인간이 생활할 수 있는 자연적 조건의 최적 장소를 표현하는 전통적 개념이다. 명당이 되기 위해 구비되어야 하는 대표적인 지형적 조건이 사신사이며, 이 개념은 장풍과 득수를 통해 기가 머물고 모일 수 있는 명당의 대표적인 국면으로 한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풍수이론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사신사의 발달과정을 지형발달사적 측면에서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사신사가 가지는 기후학적, 수문학적, 경관관리적인 의미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아시아의 지형특성분석을 통해 중국에서 처음 개념화된 사신사가 한국풍수에 수용되고 재해석되는 과정을 추정해보았다. 지형학적으로 사신사는 일정한 융기속도 하에서 지표삭박작용이 나타날 때 만들어지는 산지유역의 대표적인 한 형태이다. 하지만, 잘 발달된 사신사 지형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유역내의 침식속도를 줄일 수 있는 좁은 수구의 존재가 필수조건이다. 융기와 침식, 그리고 유역 내에서 물질의 재분배과정이 균형을 이루면서 만들어지는 사신사는 인간이 농경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조건들을 제공해줄 수 있다. 따라서, 사신사가 중국문헌에서 처음 제시되었다고 하지만, 한반도 지형의 발달사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그 개념이 한반도에 도입되고 발전해가는 과정은 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신사는 지형의 형태와 그 내부에서 일어나는 각종 자연환경특성을 전일적으로 파악하는 독특한 인식틀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부족한 사신사를 보완하려는 전통적인 비보행위는 지형형성작용을 유지 ·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현대적인 환경관리에서도 주목되는 접근법이다. Pungsu (Fengshui in Chinese) in modern society is of significance for an understanding of the geographical phenomena gained through agricultural practices, as well as the empirical knowledge of their usage. Along these lines, the bright court (明堂) of Pungsu is the traditional concept referring to the most ideal location that organisms can thrive in. The primary geographical condition required for bright court is the Sashinsa (四神砂, Sands of Four Spirits), which indicates the state in which Gi (氣) is gathered through storing wind (藏風) and gaining water (得水). Sashinsa is not exclusive to Korean; the concept is widely incorporated in East Asian Pungsu theory. This study translate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ypical Sashinsa landforms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andform, and utilized the results to analyze their climatological, hydrological, and landscape management significance. It also estimated the process through which Sashinsa - which was first conceptualized in Chinese - was adopted and reinterpreted into Korean Pungsu through terrain analyses of East Asian digital elevation models. Geomorphologically, Sashinsa is a representative form of small catchment that has been shaped under landsurface denudation with a constant uplift rate. However, a narrow water mouth (水口) that decreases the rate of erosion within the catchment is necessary in forming a well-developed Sashinsa. A balance of uplift, erosion, and redistribution of materials within the catchment creates a Sashinsa that can provide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suitable for agriculture and dwellings. Consequently, even though Sashinsa is believed to have been first documented in China,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its incorporation into Korea Pungsu and development is entirely natural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Korean landform. Sashinsa provides unique perception for fully comprehending landform shapes along with various of environmental processes that occur within. The traditional Bibo (裨補), which redeems the weaknesses of Sashinsa, is especially gaining attention in modern environmental management approaches, as it attempts to maintain and develop geomorphological proce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